[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37387A - 휴대용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387A
KR20130137387A KR1020120060946A KR20120060946A KR20130137387A KR 20130137387 A KR20130137387 A KR 20130137387A KR 1020120060946 A KR1020120060946 A KR 1020120060946A KR 20120060946 A KR20120060946 A KR 20120060946A KR 20130137387 A KR20130137387 A KR 2013013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heating
measurement strip
heater
h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진
Original Assignee
(주)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코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2006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387A/ko
Priority to PCT/KR2013/003066 priority patent/WO2013183856A1/ko
Publication of KR2013013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3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7/00Detai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휴대용 진단 장치는 측정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측정 스트립에 포함된 시료를 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본체부와, 본체부와 연결되며,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와, 본체부에 구비되며, 공간의 하부에서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부 및 커버부에 구비되며, 공간의 상부에서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제2 가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용 진단 장치는 측정 스트립을 상하에서 가열하므로, 측정 스트립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하며, 일정한 온도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진단 장치{Potable diagnosis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스트립을 이용하여 간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휴대용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진단 장치는 혈액 등의 시료를 분석하여 질병의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는 측정 스트립을 이용하여 질병 여부를 진단한다. 예를 들면, 측정 스트립은 시료와 반응하여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반응 효소가 포함된 반응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장치 본체의 각 기능부는 측정 스트립의 반응영역에서 이루어진 반응 결과를 감지 및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진단한다.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는 상기 질병 중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간질환 진단인자인 GOT/GPT/GGT는 반응 메커니즘 상 실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반응속도가 빠르다. 반응 속도는 진단 시간과 연관되므로, 진단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반응의 최적 온도인 37℃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간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장치에서 온도 조절을 위한 히터의 구성은 중요하다.
휴대용 진단 장치는 크기가 작아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히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진단 장치의 온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진단이 이루어지는 동안 정확한 온도가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하는 휴대용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단 장치는 측정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측정 스트립에 포함된 시료를 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제2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1 히터 및 상기 제1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히터의 열을 상기 측정 스트립으로 전달하는 제1 열전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부는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히터의 열을 상기 측정 스트립으로 전달하는 제2 열전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열전달판은 상기 측정 스트립의 반응홀로 열을 직접 전달하기 위해 상기 측정 스트립의 반응홀과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는 상기 제1 가열부 및 상기 제2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측정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측정 스트립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는 상기 본체에 제1 가열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커버에 상기 제2 가열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단 장치는 측정 스트립을 상하에서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 스트립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고, 상기 측정 스트립의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스트립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스트립을 일정한 온도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진단 장치에 측정 스트립이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진단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진단 장치에 측정 스트립이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진단 장치(100)는 측정 스트립(10)을 수용하여 혈액 등의 시료를 분석함으로써 질병의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이다. 특히, 휴대용 진단 장치(100)는 간질환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휴대용 진단 장치(100)는 본체부(110), 커버부(120), 제1 가열부(130), 제2 가열부(140), 센서부(150), 전원부(160), 연결부(170) 및 온도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상부면 일측에 측정 스트립(1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2)을 갖는다. 공간(112)에는 측정 스트립(10)을 장착하기 위한 슬롯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스트립(10)은 본체부(110)의 정면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상기 슬롯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측정 스트립(10)은 혈액 등의 시료를 포함한다. 측정 스트립(10)은 상하에 반응홀(12)들을 갖는다. 상부의 반응홀(12)을 통해 측정 스트립(10)으로 시료가 주입되고, 하부의 반응홀(12)을 통해 상기 시료를 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광이 지난다.
본체부(110)는 공간의 하부에 광학부(114)를 갖는다. 광학부(114)는 측정 스트립(10)의 시료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질병, 특히 간질환의 여부를 진단한다. 광학부(114)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진단하는 기술은 일반적이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또한, 본체부(110)는 광학부(114)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6)를 갖는다.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와 연결되며, 측정 스트립(10)이 수용되는 공간(112)을 개폐한다. 일 예로,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와 힌지 결합되어 공간(112)을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부(1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공간(112)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30)는 본체(110)에 구비되며, 공간(112)의 하부에서 측정 스트립(10)을 가열한다. 제1 가열부(130)는 제1 히터(132) 및 제1 열전달판(134)을 포함한다.
제1 히터(132)는 공간(112) 하부의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며, 측정 스트립(10)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한다. 제1 히터(132)는 나선 형태의 열선이거나, 나선 형태의 배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1 열전달판(134)은 제1 히터(13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히터(132)의 열을 측정 스트립(10)으로 전달한다. 제1 열전달판(134)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열전달판(134)은 평판 형태를 가지므로, 제1 히터(132)의 열을 측정 스트립(10)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히터(132)와 제1 열전달판(134)은 광학부(114)가 측정 스트립을 측정할 수 있도록 광학부(114)를 노출하도록 구비된다.
제2 가열부(140)는 커버(120)에 구비되며, 공간(112)의 상부에서 측정 스트립(10)을 가열한다. 제2 가열부(140)는 제2 히터(142) 및 제2 열전달판(144)을 포함한다.
제2 히터(142)는 커버(1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측정 스트립(10)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한다. 제2 히터(142)는 나선 형태의 열선이거나, 나선 형태의 배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2 히터(142)의 나선 형태와 제1 히터(132)의 나선 형태는 측정 스트립(10)으로 균일하게 열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2 히터(142)의 나선 형태와 제1 히터(132)의 나선 형태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2 열전달판(144)은 제2 히터(14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히터(142)의 열을 측정 스트립(10)으로 전달한다. 제2 열전달판(144)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열전달판(144)은 평판 형태를 가지므로, 제2 히터(142)의 열을 측정 스트립(10)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열전달판(144)은 돌출부(145)를 갖는다. 돌출부(145)는 공간(112)에 수용된 측정 스트립(10)의 반응홀과 대응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다. 제2 열전달판(144)은 돌출부(145)를 통해 측정 스트립(10)의 반응홀(12)로 열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스트립(10)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30)와 제2 가열부(140)는 측정 스트립(10)의 상하부에서 측정 스트립(10)을 감싸도록 가열한다. 이때, 측정 스트립(10)의 온도는 진단하고자 하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질병이 간질환인 경우, 측정 스트립(10)은 약 37℃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진단 장치(100)는 측정 스트립(10)을 균일하고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30)와 제2 가열부(140)가 측정 스트립(10)의 상하부에 위치하므로, 측정 스트립(10)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스트립(10)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측정 스트립(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1 가열부(130) 및 제2 가열부(140)가 각각 제1 열전달판(134) 및 제2 열전달판(14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제1 가열부(130) 및 제2 가열부(140)는 각각 제1 히터(132) 및 제2 히터(14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150)는 본체부(110) 또는 커버(120)에 구비되며, 제1 가열부(130) 및 제2 가열부(140)에 의해 가열되는 측정 스트립(10)의 온도를 측정한다. 센서부(150)는 측정 스트립(10)이 장착되는 본체부(110)의 공간(112)에 구비되는 것이 측정 스트립(10)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간(112)은 측정 스트립(10)의 장착되므로, 상기 센서부(150)가 장착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가열부(130)와 제2 가열부(140)로 가열하면서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100)의 온도 분포를 산출한 후, 측정 스트립(10)이 장착되는 상기 공간(112)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갖는 위치에 상기 센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측정 스트립(10)이 장착되는 공간(112)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센서부(15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150)는 측정 스트립(10)이 장착되는 상기 공간(112)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갖는 위치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측정 스트립(10)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본체부(110)에 제1 가열부(1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제1 가열부(13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본체부(110)의 공간(112)에서 일부가 돌출된다.
연결부(170)는 커버부(120)에 제2 가열부(14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연결부(170)는 커버부(120)가 닫힐 때 전원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커버부(120)가 닫히면서 연결부(170)가 전원부(160)의 돌출된 부위와 접촉한다. 따라서, 커버부(120)가 닫힐 때, 전원부(160)의 전원이 연결부(170)를 통해 제2 가열부(140)로 전달된다.
온도 제어부(180)는 본체부(110) 또는 커버부(120)에 구비되며, 제1 가열부(130), 제2 가열부(140) 및 센서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제어부(180)는 센서부(150)에서 측정되는 측정 스트립(10)의 온도에 따라 제1 가열부(130) 및 제2 가열부(140)의 가열 여부를 조절한다. 일 예로, 온도 제어부(180)는 제1 가열부(130) 및 제2 가열부(1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 제어부(180)는 전원부(160)와 연결되어 전원부(160)를 온오프하여 제1 가열부(130) 및 제2 가열부(14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제어부(180)는 측정 스트립(10)이 일정한 온도를 정확하게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진단 장치는 상기 측정 스트립을 일정한 온도로 신속하게 가열하여 할 수 있고, 상기 측정 스트립을 일정한 온도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를 이용하여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용 진단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휴대용 진단 장치 110 : 본체부
120 : 커버부 130 : 제1 가열부
140 : 제2 가열부 150 : 센서부
160 : 전원부 170 : 연결부
180 : 온도 제어부 10 : 측정 스트립

Claims (5)

  1. 측정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측정 스트립에 포함된 시료를 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제2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1 히터 및 상기 제1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히터의 열을 상기 측정 스트립으로 전달하는 제1 열전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부는 상기 측정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2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히터의 열을 상기 측정 스트립으로 전달하는 제2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전달판은 상기 측정 스트립의 반응홀로 열을 직접 전달하기 위해 상기 측정 스트립의 반응홀과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 및 상기 제2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측정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측정 스트립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1 가열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커버에 상기 제2 가열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단 장치.
KR1020120060946A 2012-06-07 2012-06-07 휴대용 진단 장치 Ceased KR20130137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46A KR20130137387A (ko) 2012-06-07 2012-06-07 휴대용 진단 장치
PCT/KR2013/003066 WO2013183856A1 (ko) 2012-06-07 2013-04-12 휴대용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946A KR20130137387A (ko) 2012-06-07 2012-06-07 휴대용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387A true KR20130137387A (ko) 2013-12-17

Family

ID=4971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946A Ceased KR20130137387A (ko) 2012-06-07 2012-06-07 휴대용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37387A (ko)
WO (1) WO20131838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957A1 (ko) * 2015-01-22 2016-07-28 (주)미코바이오메드 휴대용 실시간 dna 분석 장치
KR20170051934A (ko) * 2015-11-03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 시료 검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9294A (en) * 1985-04-08 1994-01-18 Cascade Medical, Inc. Medical diagnostic system
DE8716270U1 (de) * 1987-12-09 1988-02-18 LRE Relais + Elektronik GmbH, 8000 München Vorrichtung, insbesondere zum Untersuchen des Cholesteringehaltes von Blut
US5504011A (en) * 1994-10-21 1996-04-02 International Technidyne Corporation Portable test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of performing a blood coagulation test
US5995236A (en) * 1998-04-13 1999-11-30 Mit Development Corporation Blood fluid characteristics analysis instrument
KR20100032364A (ko) * 2007-04-29 2010-03-25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분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957A1 (ko) * 2015-01-22 2016-07-28 (주)미코바이오메드 휴대용 실시간 dna 분석 장치
KR20170051934A (ko) * 2015-11-03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 시료 검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3856A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4944T3 (es) Un termociclador con una unidad de análisis y/o de verificación de la temperatura y un método para analizar o verificar un rendimiento térmico de un termociclador y para calibrar el termociclador
US9453824B2 (en) Column heater with active pre-heating
CN207832675U (zh) 一种管式恒温核酸扩增检测仪
US20100044288A1 (en) Column temperature monitoring apparatus and chromatographic apparatus
US20110164651A1 (en) Open-loop vertical drywell gradient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CA2740930A1 (en) Multiple temperature measurements coupled with modeling
WO2010048303A1 (en)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 of strip
CN106124289A (zh) 一种免疫定量速测仪的孵育加热装置
CN102149474B (zh) 带有测试器件的调温设备和用于测试调温设备的方法
CN101936898A (zh) 折射计
CN109444394B (zh) 血气生化分析仪
KR20130137387A (ko) 휴대용 진단 장치
KR20190133161A (ko)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CN105683356A (zh) 带有温度传感器的生物反应器系统
KR102265983B1 (ko) 다기능 체외진단기기
CN221740282U (zh) 校准装置
CN221740283U (zh) 校准装置
CN104713861B (zh) 暗腔及使用该暗腔的体外检测分析装置
CN219391554U (zh) 一种快速液盖膜单独温控法装置
EP3252467B1 (en) Heating system for a measurement cell
CN212321783U (zh) 一种柔性电路板检测装置及测试装置
CN214150442U (zh) 一种适用小型尿液分析仪的温控模块
CN208920128U (zh) 一种可精准控温的电磁炉
CN206057069U (zh) 一种免疫定量速测仪的孵育加热装置
JP2003017789A (ja) 光モジュール試験装置及び光モジュール特性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