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201A - Planting device - Google Patents
Plan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7201A KR20130137201A KR1020137019677A KR20137019677A KR20130137201A KR 20130137201 A KR20130137201 A KR 20130137201A KR 1020137019677 A KR1020137019677 A KR 1020137019677A KR 20137019677 A KR20137019677 A KR 20137019677A KR 20130137201 A KR20130137201 A KR 201301372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ing
- water
- drain
- overflow pipe
- reservo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재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8)를 구비한 식재 용기(1)와, 저수부(8)에 설치된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와, 저수부(8)에 식재용수(W)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30)을 포함하고,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식재용수(W)를 배수하는 오버플로관(10)이 저수부(8)에 설치되어 있는 식재 장치로서, 저수부(8)의 바닥면에 급수 수단(30)의 급수 속도를 밑도는 배수 능력을 구비한 드레인부(20a)가 설치되어 있다.A planting container (1) having a reservoir (8) capable of storing planting water, an absorptive plant floor material provided in the reservoir (8),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planting water (W) to the reservoir (8) ( 30, which is a planting device in which the overflow pipe 10 for draining the planting water W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portion 8, wherein the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ortion 8; The drain part 20a provided with the drainage capacity below the water supply speed | rate of 30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재용수(植栽用水)를 저류(貯溜) 가능한 저수부(貯水部)를 구비한 식재 용기, 저수부에 설치된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 및 저수부에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포함하고, 저수부에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식재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overflow)관이 설치된 식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ing container having a reservoir capable of storing planting water, an absorbent planting floor material provided in the reservoir,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planting water to the reservo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overflow pipe for draining planting water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reservoir.
이 종류의 식재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 문헌정보로서 하기에 나타낸 특허문헌 1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록된 식재 장치에서는, 펌프 등의 급수 수단에 의해 식재 용기의 저수부에 식재용수를 공급하면, 오버플로관의 상단을 넘지 않는 레벨로 식재용수가 저수부에 모인다.There is
그 모인 식재용수에 일부가 침지(浸漬)되어 있는 식재 바닥재가 식재용수를 빨아올려 적당량의 식재용수를 내부에 유지하므로, 식재 바닥재에 심어진 식물을 적절히 재배할 수 있다.Since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which is partially immersed in the gathered planting water sucks up the planting water, and maintains an appropriate amount of planting water inside, the plant planted in the planting flooring can be grown appropriately.
식재 바닥재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양의 식재용수가 공급된 경우나, 급수 수단에 의한 식재용수의 공급 속도가 식재 바닥재의 흡수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여분의 식재용수가 오버플로관으로부터 배수된다.When the amount of planting water exceeding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is supplied or when the supply rate of the planting water by the water supply means exceeds the rate of absorption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the excess planting water is drained from the overflow pipe. .
특히, 복수의 식재 용기를 상하로 겹쳐 쌓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버플로관으로부터 배수된 식재용수는, 아래쪽에 설치된 식재 용기에 식재용수로서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겹쳐 쌓은 모든 식재 용기의 식재 바닥재가 필요량의 식재용수를 흡수한다.In particular, when using a plurality of planting containers stacked up and down, the planting water drained from the overflow pipe is supplied as planting water to the planting container provided below, and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of all planting containers finally stacked is required amount. Absorbs planting water.
그리고, 가장 하단에 설치된 식재 용기의 오버플로관으로부터 배수된 식재용수는, 적당한 저수 용기에 회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음번의 관수용(灌水用)의 식재용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And the planting water drained from the overflow pipe of the planting container provided in the lowest stage is collect | recovered in a suitable water storage container, and can be used as next planting water for watering as needed.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사용법에서는, 식재 바닥재에 충분히 흡수시키기 위하여, 식재 용기의 저수부에 식재 바닥재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충분한 양의 식재용수가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most common usage, in order to sufficiently absorb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sufficient amount of planting water exceeding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is sometimes supplied to the reservoir of the planting container.
이와 같은 경우, 특허문헌 1에 기록된 식재 장치에서는, 오버플로관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에 일정량을 초과하는 식재용수가 오래 방치될 가능성이 있고, 식재용수가 오래 방치되면 미관을 해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In such a case, in the planting apparatus recorded in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예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식재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재 용기의 저수부에 식재 바닥재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양의 식재용수를 공급해도, 미관을 해치거나 할 우려가 억제된 식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exemplified above, even if the amount of planting water in excess of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is supplied to the reservoir of the planting contai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ing apparatus in which a concern is suppressed.
본 발명에 의한 식재 장치의 특징적 구성은,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lanting apparatus by this invention is
식재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와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를 탑재 가능한 식재용 공간을 구비한 식재 용기와, 상기 저수부에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포함하고,A food container having a water storage part capable of storing food water and a food storage space capable of mounting an absorbent food flooring material,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food water to the water storage part,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식재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관이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어 있고,An overflow pipe for draining planting water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in the reservoir.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에 상기 급수 수단의 급수 속도를 밑도는 배수 능력을 구비한 드레인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drain part provided with the drainage capability below the water supply rate of the said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in the bottom face of the said water storage part.
상기한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식재 장치에서는, 저수부의 바닥면에 급수 수단의 급수 속도를 밑도는 배수 능력을 구비한 드레인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 수단에 의한 저수부로의 급수가 종료한 시점에서 식재 바닥재에 흡수되지 않고 저수부에 잔류하고 있는 식재용수는, 드레인부에 의해 배수된다.In the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since the drain portion having a drainage capacity that is less than the water supply rate of the water supply mean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ortion,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is supplied to the planting floor material at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by the water supply means is finished. The planting water remaining in the reservoir without being absorbed is drained by the drain.
따라서, 저수부에 식재용수가 오래 방치되는 일이 없어져, 식재 바닥재에 곰팡이(黴) 등이 발생하거나, 또는 식재용수에 해충이 발생하는 등의 우려도 없고, 미관을 해칠 일도 없다.Therefore, the planting water is not left for a long time in the reservoir, there is no fear that mold or the like is generated in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or pests are generated in the planting water, and there is no harm to aesthetics.
또한, 드레인부의 배수 능력은 급수 수단의 급수 속도를 밑돌므로, 급수 수단에 의한 저수부로의 급수 중에는, 저수부에 적당한 높이로 식재용수가 유지되므로, 식재 바닥재는 그 식재용수를 적절히 흡수하고, 보수(保水)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age capacity of the drain portion is lower than the water supply rate of the water supply means, during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by the water supply means, the planting water is maintained at a suitable height in the water storage portion, so that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bsorbs the planting water appropriately and repairs it. It can show the state of maintenan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오버플로관과 연통된 배수관이 상기 저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과 상기 배수관의 내면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Another characteristic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servoir, and the drain portion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pipe. Is in point.
예를 들면, 드레인부가 오버플로관이나 배수관의 설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분의 식재용수의 배수는 가능해도, 드레인부에 진입한 식재용수는, 저수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벽(底壁) 부재의 하면을 가로 방향으로 타고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그 이동에 따라 저벽 부재의 하면을 더럽힌다는 문제나, 상하로 겹쳐 쌓인 식재 용기의 경계로부터 외부로 배어나오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rai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verflow pipe or the drain pipe, even if drainage of excess planting water is possible, the planting water entering the drai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member to be formed is easy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oblems such as soil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member due to the movement, or problems such as coming out from the boundary of the plant container stacked up and down.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그러나, 본 구성이면, 드레인부에 진입한 식재용수는, 먼저, 저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배수관의 내면을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그 배수관의 하단으로부터 낙하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하단의 식재 용기의 저수부나 식재 바닥재의 표면에 확실하게 도달하게 된다.Howev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lanting water entering the drain portion first moves downwar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pi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reservoir and falls from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so that the plant material of the bottom The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the plant floor are reliably reached.
또한, 본 구성이면, 드레인부에 진입한 식재용수가 그 배수관의 외면을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구성에 비하여, 최하단의 식재 용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배수된 식재용수를, 배수관에 외부에서 끼운 호스 등에 의해 적절한 탱크 내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Moreover, with this structure, compared to the structure which the planting water which entered the drain part moves downwar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drainage pipe, the planting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part of the lowest planting container by the hose etc. which were externally attached to the drainage pipe. It can be reliably recovered into a suitable tan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드레인부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다.Another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the drain portion extend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본 구성이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드레인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수된 식재용수가, 드레인부의 바로 아래에서 옆쪽으로 변위된 위치에 낙하하므로, 결과적으로, 일단(一段) 아래의 식재 용기에 설치된 식재 바닥재가 관수되게 되어 안성맞춤이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lanting water drained downward from the drain portion by its own weight falls to a position displaced laterally from directly under the drain portion, as a result,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provided in the planting container below one end It is perfect to be water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구성은, 상기 드레인부의 옆쪽에 식재용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포착하기 위한 이물질 포착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Another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that the foreign material capture | acquisition convex part for trapping the foreign material contained in planting water is provided in the side of the said drain part.
본 구성이면, 저수부에 저수되어 있는 식재용수의 수면 위, 수중 또는 저수부의 바닥면 부근에 이물질이 부유하고 있는 경우도, 이들 이물질의 대부분이 이물질 포착 볼록부에 의해 포착되므로, 드레인부가 이들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폐색되지 않아, 정상적인 배수 상태가 확보된다.In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foreign matters float on the surface of the planting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or in the water or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most of these foreign substances are trapped by the foreign substance trapping convex portions, so that the drain portion is It is not easily occluded by foreign matters, ensuring a normal drainage 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장치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식재 바닥재를 설치한 식재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파단 측면도이다.
도 3은 식재 용기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식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식재 용기의 드레인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의한 드레인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의한 드레인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제5실시예에 의한 드레인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오버플로관에 차폐판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hole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lanting container provided with planting floorin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planting contain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lan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and sectional drawing which show the drain part of the planting container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por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por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hield plate is installed in an overflow tube.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용수(W)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8)를 구비한 식재 용기(1)와, 저수부(8)에 식재용수(W)를 공급하는 전동식 등의 펌프(30)(급수 수단의 일례)를 구비한다. 식재 용기(1)는 합성 수지제의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plant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upplies the planting water W to the
식재 용기(1)를 1개만 사용하여 식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식재용 공간(2)의 개구부를 같은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복수의 식재 용기(1)를 상하로 겹쳐 쌓은 상태로 사용된다. 그 경우, 필요에 따라, 여러 단으로 겹쳐 쌓은 식재 용기(1)의 코너부에 앵글재(17)를 배치하고, 식재 용기(1)와 앵글재(17)를 적당한 연결구(18)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lant by using only one
(식재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Schematic Configuration of Plant Container)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식재 용기(1)는, 저벽(3)과 그 저벽(3)의 세 변에서 위쪽으로 세워 설치되는 1개의 장(長) 측벽(4)과 2개의 단(短) 측벽(5)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식재용 공간(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저벽(3)의 상면의 일부에서는, 단 측벽(5)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3개의 칸막이 벽(partition wall)(6)도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each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 용기(1)의 상면에 다른 식재 용기(1) 또는 커버 부재(1a)를 탑재하여 장착하면, 식재용 공간(2)이 3개의 칸막이 벽(6)에 의해 합계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되고,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가 전면(前面)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저벽(3)의 전단(前端)에서는 상하 길이가 짧은 전벽(前壁)(7)이 위쪽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어, 식재 용기(1)의 저벽(3), 장 측벽(4), 단 측벽(5), 칸막이 벽(6), 전벽(7)이 서로 협동하여, 식재용수(W)를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8)를 형성하고 있다.In the front end of the
저수부(8)도 칸막이 벽(6)에 의해 합계 4개의 단위 저수부(8a)로 구획되어,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하부에 배치되고, 각각의 칸막이 벽(6)과 장 측벽(4)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각각의 단위 저수부(8a)끼리를 가로 방향으로 연통하는 연통로(9)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P)은 스펀지형 등의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식재 바닥재(A)에 심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1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에 1개의 식재 바닥재(A)가 탑재된다.As shown in FIG. 2, the plant P is planted in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which consists of absorbent materials, such as a sponge type | mold, and generally on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in one
각각의 단위 저수부(8a)의 저벽(3)은, 수평으로 연장된 후방 저벽(3a)과, 후방 저벽(3a)의 전단에서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 쪽을 향해 점차 위쪽에 위치하도록 앞이 올라가게 경사(경사각 α)진 전방 저벽(3b)을 가진다. 경사각(α)의 값은, 예를 들면, 약 14°로 하면 된다.The
단위 식재용 공간(2a)에 탑재된 식재 바닥재(A)의 후단은 후방 저벽(3a)에 탑재되고, 그 식재 바닥재(A)의 전단은 일반적으로 전방 저벽(3b)의 전단 부근에 탑재된다.The rear end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mounted in the
식재 바닥재(A)는, 예를 들면, 보수성 충전재[피트 모스(peat moss)], 우레탄 프리폴리머(urethane prepolymer),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물을 100: 120: 1: 800 등의 비율[수치는 모두 중량부(part by weight)]로 혼합하여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식재 바닥재(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방체,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형 등의 각종 형상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is, for example, a water-retaining filler (peat moss), a urethane prepolymer, a polyester-based polyol, and water in a ratio of 100: 120: 1: 800, etc. Parts by weight], which can be prepared by mixing into a suitable shape. The shape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thing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u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ylindrical form, can be applied.
식재 용기(1)의 후방 저벽(3a)에는,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식재용수(W)를 배수함으로써, 저수부(8) 내에서의 식재용수(W)를 일정량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오버플로관(10)이 위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오버플로관(10)은, 저수부(8) 내에서 또한 좌우의 칸막이 벽(6)의 뒤쪽에 위치하는 2개의 오버플로관(10)으로 이루어진다.An overflow pipe for maintaining the planting water W in the
그리고, 오버플로관(10)의 아래쪽에는, 오버플로관(10)에 진입한 식재용수(W)를 아래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관(11)이 일체로 연결 접속되어 있다.And the
다른 한편, 좌우 중앙에 위치하는 칸막이 벽(6)의 뒤쪽에는, 후술하는 식재용수 펌핑용의 급수 호스(H2)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13)이, 후방 저벽(3a)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태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ehind the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칸막이 벽(6)과 오버플로관(10) 사이는, 오버플로관(10)과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후방 저벽(3a)에서 세워 설치된 판형의 제1 보강 리브(19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plate-shaped first reinforcing
또한,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칸막이 벽(6)과 안내통(13) 사이는, 판형의 제2 보강 리브(19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안내통(13)은, 안내통(13)과 가장 근접한 장 측벽(4)의 부위와의 사이도, 안내통(13)과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의 제3 보강 리브(19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Moreover, between the
안내통(13)과 뒤쪽의 장 측벽(4)과의 사이는 제3 보강 리브(19c)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므로, 안내통(13)과 칸막이 벽(6) 사이에 형성된 제2 보강 리브(19b)에는, 안내통(13)의 좌우에 위치하는 2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a) 사이의 식재용수(W)의 왕래를 허용하는 절결(切缺)(19p)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reinforcing
절결(19p)의 최하단의 높이는 약 7∼8㎜이며, 오버플로관(10)의 높이(약 14㎜)를 충분히 밑돌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lowest height of the
그리고, 제2 보강 리브(19b)에 형성된 절결(19p) 대신에, 제3 보강 리브(19c)의 하단 부근에 안내통(13)의 좌우에 위치하는 2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a) 사이에서의 식재용수(W)의 왕래를 허락하는 절결을 설치해도 된다.And instead of the
복수의 식재 용기(1)끼리 상하로 겹쳐 쌓을 때의 편리성을 위하여, 각각의 칸막이 벽(6)의 상부 에지는, 저벽(3)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 상부 에지(6a)로 되어 있다.For convenience in stacking the plurality of
동일한 목적으로, 저벽(3)의 둘레부에는 끼워맞춤용의 계단부(3s)가 형성되어 있고, 단 측벽(5)의 상부 에지에는, 단 측벽(5)의 하부 에지에 설치된 원형의 기둥형 바디(columnar-body)(12a)가 감입(嵌入)하는 요입부(凹入部)(14)가 설치되어 있다.For the same purpose, a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 용기(1)를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 위쪽에 위치하는 식재 용기(1)의 저벽(3)의 하면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식재 용기(1)의 칸막이 벽(6)의 경사 상부 에지(6a)와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또한, 전술한 맞닿음과 거의 동시에, 위쪽에 위치하는 식재 용기(1)의 저벽(3)의 계단부(3s)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식재 용기(1)의 상면 개구부에, 또한, 기둥형 바다(12a)가 요입부(14)에 감입하도록 설정되어 있다.At the same time as the abutment described above, the stepped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식재 용기(1)의 상면 개구부에 탑재 가능한 커버 부재(1a)에는, 단 측벽(5)의 요입부(14)에 감입하는 볼록부(15)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또한, 커버 부재(1a)의 하면에는, 급수 호스(H2)의 선단부[또는, 그 선단부 부근에 장착한 분기 조인트(J2)]의 방향을 특히 좌우 방향에 대해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16)도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단 측벽(5)의 하부 에지에 설치된 기둥형 바디(12a)는, 필요에 따라, 식재용수(W)를 측면으로부터 공급하는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And the
이 경우에는, 그 기둥형 바디(12a)의 내부를 봉쇄하고 있는 벽 부재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 관통 구멍에 식재용수 펌핑용의 호스를 접속하면 된다.In this case,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wall member sealing the inside of the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실내 등의 바닥면에 배치한 케이싱(1c) 위에 복수 단의 식재 용기(1)를 각 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연결하고, 각 식재 용기(1)에 급수하기 위한 식재용수(W)를 저류 가능한 식재용수 탱크(1b)를 케이싱(1c)의 내부에 배치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a plurality of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케이싱(1c)과 식재 용기(1) 사이에서, 평면에서 볼 때의 윤곽 형상을 공통화하고, 또한 식재용수 탱크(1b)의 내부에 펌프(30)를 설치함으로써, 식재 장치의 전체로서 외관적으로 심플하고 뛰어난 것이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planting is carried out by commonizing the contour shape in plan view between the casing 1c and the
각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 등으로부터 배수된 여분의 식재용수(W)는, 최하단의 오버플로관(10)의 아래쪽에 연접(連接)된 배수관(11)과, 배수관(11)의 하단에 바깥쪽에서 끼워진 배수 호스(H3)를 통하여 식재용수 탱크(1b)에 회수된다. 그리고, 오버플로관(10) 및 배수관(11)의 내경(內徑)은 약 14∼15㎜로 되어 있다.The excess planting water W drained from the
식재용수 탱크(1b)에 회수된 식재용수(W)는, 펌프(30)의 출구와 식재용수 탱크(1b)의 상면에 설치된 조인트(J1)를 접속하는 탱크내 호스(H1)와, 조인트(J1)로부터 각 안내통(13)을 통하여 위쪽으로 안내되는 급수 호스(H2)를 통하여, 최상단의 식재 용기(1)에 공급되는 형태로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planting water W recovered to the planting water tank 1b includes an in-tank hose H1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급수 호스(H2)의 선단은 분기 조인트(J2)에 의해 2개로 분기되어, 최상단의 식재 용기(1)의 좌우의 단위 저수부(8a)에 거의 균등하게 공급된다.The front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H2 is branched into two by the branch joint J2, and is supplied almost uniformly to the left and
각 식재 바닥재(A)는, 그 하부를 단위 저수부(8a) 내의 식재용수(W)에 담근 상태로 탑재된다. 따라서, 각 식재 바닥재(A)가 식재용수(W)를 흡수하면서, 식물(P)의 뿌리(R)에 식재용수(W)를 공급하여 식재할 수 있다.Each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is mounted in the state which immersed the lower part in the planting water W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식재 바닥재(A)를 탑재하는 전방 저벽(3b)이, 각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 쪽일수록 위쪽으로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일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각(α)을 가지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따라서, 식재 바닥재(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식재용수(W) 내에 침지하고, 개구부 측이 식재용수(W)에 약간 침지하든지, 경우에 따라서는, 식재용수(W)에 침지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A is immersed in the planting water W in the side which is far from an opening, and the opening side is slightly immersed in the planting water W, or in some cases, planting water. It will be in the state which is not immersed in (W).
그 결과, 식물(P)의 뿌리 근권(根圈)[식물의 뿌리(R)가 생장하여 뻗으려고 하는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그 근권에 대하여 충분한 양의 식재용수(W)가 공급되므로, 식물이 양호한 생육이 확보된다.As a result, the root root zone of the plant P (the area where the root R of the plant is intended to grow and expand) can be largely secured, and a sufficient amount of planting water W for the root zone can be secured. Since the plant is supplied, good growth is ensured.
(드레인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Drain Section)
도 3 -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부(8)의 바닥면에는, 저수부(8)에 잔류한 식재용수(W)를 비교적 단시간에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 20f)가 설치되어 있다.3-10, the
따라서, 펌프(30)에 의한 저수부(8)로의 급수가 종료한 시점에서 식재 바닥재(A)에 흡수되지 않고 저수부(8)에 잔류한 식재용수(W)는,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 20f)에 의해 배출되므로, 저수부(8)에 오래 방치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식재 바닥재(A)나 식재용수(W)에 해충이나 곰팡이 그 외의 미생물이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to the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 20f)는 모두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각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 20f)를 구성하는 구멍의 내경 또는 슬릿의 간극(間隙) 치수는, 드레인부에 의한 배수 능력이 펌프(30)의 급수 속도를 밑돌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constituting each of the
따라서, 펌프(30)에 의한 저수부(8)로의 급수 중에는, 저수부(8)에 10㎜ 이상 등의 적당한 높이로 식재용수(W)가 유지되므로, 식재 바닥재(A)는 식재용수(W)를 적절한 효율로 흡수하고, 보수(保水)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during the water supply to the
또한,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 20f)를 구성하는 구멍의 내경 또는 슬릿의 치수는, 식재용수(W)에 포함되는 입자형이나 섬유형 등의 이물질에 의해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가 쉽게 폐색되지 않는 적절한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or the dimension of the slit constituting the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3 -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부(20a)는, 오버플로관(10)의 측면에 형성된 1개의 관통 구멍 형태를 이루고, 그 관통 구멍은 오버플로관(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관통 구멍의 하단의 위치는 저수부(8)의 바닥면의 레벨과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는, 드레인부(20a)의 내경은 약 5㎜로 되어 있다.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버플로관(10)을 구성하는 원통형 부위의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돌출되는 역방향의 원호형을 구비한 오목형 벽부(10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드레인부(20a)는 그 오목형 벽부(10a)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형태로,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고 있다.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5A, a part of the cylindrical portion constituting the
드레인부(20a)의 상류측 단부의 옆쪽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이물질 포착 볼록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포착 볼록부(21a)는 후방 저벽(3a)의 상면과 오목형 벽부(10a)의 외주면이 교차하는 위치에 중심을 가지는 부분 구면형을 이루고 있다.On the side of the upstream end of the
오목형 벽부(10a)는, 평면에서 볼 때, 오버플로관(10)의 전체 둘레의 4분의1을 약간 밑도는 둘레 길이를 구비하고, 좌우 가장 바깥쪽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그 전방 가까이의 단부는 제1 보강 리브(19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그 결과, 좌우 한 쌍의 드레인부(20a)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 후방 방향 또한 좌우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되어 있다.As a result, each of the left and right pairs of
드레인부(20a)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여기서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드레인부(20a)로부터 배출되는 식재용수(W)의 대부분은 도 5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아래쪽에 도달할수록 오목형 벽부(10a)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의 내부가 아니라, 오버플로관(10) 이외의 후방 저벽(3a)에 도달한다.Since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에 예시하는 식재 용기(1)에서는, 오버플로관(10)을 구성하는 원통형 부위의 일부에 평판형 벽부(10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판형 벽부(10b)에 드레인부(20b)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평판형 벽부(10b)는 좌우 가장 바깥쪽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에 접하고 있어, 평면에서 볼 때, 제1 보강 리브(19a)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The
드레인부(20b)는, 평판형 벽부(10b)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형태로,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고 있다.The
그리고, 평판형 벽부(10b)의 직경 방향 그 측면에는, 드레인부(20b)의 내경과 동등한 폭의 홈부(10d)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여기서는, 홈부(10d)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좌우의 평판형 벽부(10b) 부위의 하단 부근이 이물질 포착 볼록부(21b)를 구성하고 있다.Here,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여기에서도, 드레인부(20b)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드레인부(20b)로부터 배출되는 식재용수(W)의 대부분은 도 6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아래쪽에 도달할수록 평판형 벽부(10b)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의 내부가 아니라, 오버플로관(10) 이외의 후방 저벽(3a)에 도달한다.Here too, since th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에 예시하는 식재 용기(1)에서는, 오버플로관(10)을 구성하는 원통형 부위의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돌출되는 아치형 벽부(1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e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이 드레인부(20c)는 아치형 벽부(10c)의 일부에서가 아니라, 아치형 벽부(10c)의 직경 방향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천정부를 따르도록, 후방 저벽(3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형태로,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고 있다.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is
드레인부(20c)는 오버플로관(10)의 기본적인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안쪽으로 퇴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드레인부(20c)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좌우의 오버플로관(10)의 외주면의 하단 부근이 이물질 포착 볼록부(21c)를 구성하고 있다.The
드레인부(20c)로부터 배출되는 식재용수(W)의 대부분은, 도 7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1)의 내부를 낙하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의 내부 또는 오버플로관(10) 이외의 후방 저벽(3a)에 도달한다.Most of the planting water W discharged from the
도 7에 예시하는 형태의 식재 용기(1)에서는, 드레인부(20c)가 장 측벽(4), 단 측벽(5), 칸막이 벽(6) 등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In the
따라서, 식재 용기(1)를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할 때, 상하로 분할되는 2개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드레인부(20c)를 성형하기 위한 볼록부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식재 용기(1)의 성형 시에 드레인부(20c)를 동시 성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8에 예시하는 식재 용기(1)에 설치된 드레인부(20d)는, 오버플로관(10)을 구성하는 원통형 부위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된 세로 슬릿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The
이 세로 슬릿은 오버플로관(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고 있다.This vertical sl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이 슬릿형의 드레인부(20d)로부터 배출되는 식재용수(W)의 대부분은, 도 8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1)의 내부를 낙하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의 내부 또는 오버플로관(10) 이외의 후방 저벽(3a)에 도달한다.Most of the planting water W discharged from the slit-
도 8에 예시하는 형태의 식재 용기(1)에서도, 세로 슬릿형의 드레인부(20d)가 장 측벽(4), 단 측벽(5), 칸막이 벽(6) 등과 동일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Also in the
따라서, 식재 용기(1)를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기 위한 상하로 분할되는 2개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드레인부(20d)를 성형하기 위한 볼록부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식재 용기(1)의 성형 시에 드레인부(20d)를 동시 성형할 수 있다.Therefore, the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9에 예시하는 식재 용기(1)에서는, 오버플로관(10)은 단순한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드레인부(20d)는, 제1 보강 리브(19a)의 바깥쪽 면과 인접하도록, 오버플로관(10)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형태로,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고 있다.In the
이 드레인부(20e)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드레인부(20e)로부터 배출되는 식재용수(W)의 대부분은, 도 9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아래쪽에 도달할수록 제1 보강 리브(19a)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의 내부가 아니라, 오버플로관(10) 이외의 후방 저벽(3a)에 도달한다.Since the
(제6 실시예)(Sixth Embodiment)
도 10에 나타낸 식재 용기(1)에서는, 각 칸막이 벽(6)의 하부에는, 각 단위 저수부(8a)끼리를 가로 방향으로 연통하는 연통로(9)가 대체로 직사각형의 절결형(切缺形)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드레인부(20f)는, 오버플로관(10)의 측면에 형성된 1개의 관통 구멍 형태를 이루고, 그 관통 구멍은 오버플로관(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경은 약 3㎜로 되어 있다.20 f of drain parts form the form of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관통 구멍의 하단의 위치는 저수부(8)의 실질적인 바닥면을 구성하는 중앙 저벽(3c)의 상면으로부터 5㎜ 높은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드레인부(20f)가 식재용수(W)에 포함되는 입자형이나 섬유형 등의 이물질에 의해 폐색되는 현상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서이다.As shown in FIG.10 (b),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is set at the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플로관(10)을 구성하는 원통형 부위의 일부(대응하는 칸막이 벽(6)보다 중앙 근처에서 전방 부위)가, 대체로 장 측벽(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판형 벽부(1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a part of the cylindrical portion constituting the overflow tube 10 (the front portion near the center than the corresponding partition wall 6) is generally long. It is comprised by the
드레인부(20f)는, 이 평판형 벽부(10b)의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형태로, 저수부(8)의 바닥면과 배수관(11)의 내면을 연통시키고 있다.The
드레인부(20f)의 좌우 옆쪽 및 아래쪽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이물질 포착 볼록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질 포착 볼록부(21d)는, 특히 드레인부(20f)의 좌우 옆쪽에 있어서 대체로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분 구면형을 이루고 있다.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드레인부(20f)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여기서는 대체로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드레인부(20f)로부터 배출되는 식재용수(W)의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아래쪽에 도달할수록 평탄벽부(10b)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이격되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식재 용기 본체(1)의 오버플로관(10) 이외의 저수부(8) 또는 식재 바닥재(A)에 도달한다.Since the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장 측벽(4)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후방 저벽(3a)과, 후방 저벽(3a)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의 대체로 수평인 중앙 저벽(3c)을 향해 대체로 장 측벽(4)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간 세로벽(3d)이 구비되어 있다. 드레인부(20f)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이 중간 세로벽(3d)의 중간 부근의 레벨에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플로관(10)의 상단보다 위쪽에는 차폐판(24)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A and FIG. 10B, a shielding
차폐판(24)은, 오버플로관(10)의 상단 또는 드레인부(20f)로부터 오버플로관(10) 내에 진입하고, 배수관(11)으로부터 흘러내린 식재용수(W)가, 아래쪽의 식재 용기(1)의 저수부(8)에 공급되지 않고 오버플로관(10)에 들어가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이다.The shielding
차폐판(24)은, 좌우 2개의 칸막이 벽(6)의 바깥쪽의 각 측면으로부터, 오버플로관(10)의 축심과 교차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오버플로관(10)의 개구부의 대부분을 덮도록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shielding
오버플로관(10)의 상단부 중에서, 칸막이 벽(6)과의 경계에 상당하는 전후의 2곳으로부터는, 한 쌍의 접속부(25)가 차폐판(24)을 향해 바로 위로 연장되고, 차폐판(24)의 전단 및 후단과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From the front and back two places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with the
또한, 차폐판(24)의 접속부(25)를 제외하고 주위 에지부로부터는 박판형의 안내 벽부(26)가 위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차폐판(24)의 상면은, 칸막이 벽(6)과 안내 벽부(26)에 의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전후에 연장된 홈형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except for the
즉, 위쪽의 식재 용기(1)의 오버플로관(10)의 상단 또는 드레인부(20f)로부터 배수관(11)을 거쳐 흘러내리는 식재용수(W)가, 오버플로관(10)을 향해 낙하하여 와도, 그 대부분은 차폐판(24)의 상면에서 받아져서, 칸막이 벽(6)과 안내 벽부(26)로 안내되어, 전후의 접속부(25)를 따라 오버플로관(10)의 외주 등으로부터 저수부(8)에 공급된다.That is, the planting water W flow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위쪽의 식재 용기 본체(1)의 배수관(11)으로부터 대량의 식재용수(W)가 오버플로관(10)의 내면에 직접 진입하는 일은 없다.Therefore, a large amount of planting water W does not directly enter the inner surface of the
저수부(8)에 고인 과잉의 식재용수(W)는, 오버플로관(10)의 상단과 차폐판(24)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Q)로부터, 오버플로관(10)의 안쪽에 넘쳐흐른다.Excess planting water W accumulated in the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1)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 각각에서는, 식재 바닥재(A)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저수부(8)의 후방 저벽(3a)과 전방 저벽(3b)에 의해 형성한 예를, 또한, 제6 실시예에서는, 그 탑재면을, 중앙 저벽(3c) 및 후방 저벽(3a) 등에 의해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1)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 example in which the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planting floor material A is mounted is formed by the
그러나, 예를 들면, 저수부(8)의 후단에서 전단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평탄한 저벽(3)에 의해 구성하고, 그 저벽(3)의 전방 가까운 위치에, 복수의 경사 리브를 탑재면 형성 부재로서 설치해도 된다.However, for example, it is comprised by the
이 경우, 복수의 경사 리브의 상단면이 식재 바닥재(A)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구성하고 있고, 그 상단면이, 식재용 공간(2a)의 개구부 쪽일수록 위쪽에 위치하고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일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각(α)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ribs constitute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planting floor material A is mounted, and the upper end surface thereof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as the opening side of the
그와 같은 복수의 경사 리브는, 저벽(3)과 일체로 하여 둘 수가 있지만, 또는 경사 리브를 저벽(3)과는 별개로 하여 둘 수도 있다. 별개인 경우에는, 저벽(3)의 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탑재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지만, 저벽(3) 위의 특정 위치에 고정해도 된다.Such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 각각에서는, 탑재면을 구성하는 전방 저벽(3b)의 경사각(α)의 수치예를 14°로 하였으나, 저수부(8)에서의 식재용수(W)의 수위와 식재 바닥재(A)의 크기, 및 식물(P)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리브를 전방 저벽(3b)과 다른 개체로 하는 경우에는, 경사각(α)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경사 리브를 미리 준비하여 두고 선택 사용할 수도 있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numerical example of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2)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오버플로관(10)과 안내통(13)을 각각 칸막이 벽(6)과 일체로 하여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오버플로관(10)과 안내통(13)을 칸막이 벽(6)으로부터 거리를 두어, 칸막이 벽(6)의 후방 등에 설치해도 된다.(2) 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 example was shown in which the
(3)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칸막이 벽(6)에 의해 식재용 공간(2)을 좌우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한 예를 나타냈으나, 칸막이 벽(6)에 의해 식재용 공간(2)을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하지 않고, 단일의 식재용 공간(2)을 가지는 상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칸막이 벽(6)을 설치하는 경우에 구획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a)의 개수에 대하여는 임의이며, 2개 이상의 단위 식재용 공간(2a)으로 구획하여 실시할 수 있다.(3)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식재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를 구비한 식재 용기와, 저수부에 설치된 흡수성의 식재 바닥재와 저수부에 식재용수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포함하고, 저수부에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식재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관이 설치되어 있는 식재 장치를, 식재 용기의 저수부에 식재 바닥재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양의 식재용수를 공급해도, 외관이 쉽게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다.A food container having a reservoir for storing planting water, and an absorbent plant flooring material provided in the reservoir,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plant water to the reservoir, and draining the plant water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reservoir. The pla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overflow pipe can be used as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appearance from being easily damaged even when supplying the planting water in an amount exceeding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e planting flooring material to the reservoir of the planting container.
1: 식재 용기
1b: 식재용수 탱크
2a: 단위 식재용 공간
3: 저벽
3a: 후방 저벽(저벽)
3b: 전방 저벽(저벽)
8: 저수부
8a: 단위 저수부
10: 오버플로관
11: 배수관
20: 드레인부(20a, 20b, 20c, 20d, 20e, 20f)
21a: 이물질 포착 볼록부
21b: 이물질 포착 볼록부
21c: 이물질 포착 볼록부
30: 펌프(급수 수단)
A: 식재 바닥재
W: 식재용수1: food container
1b: plant water tank
2a: unit planting space
3: bottom wall
3a: rear bottom wall (bottom wall)
3b: front bottom wall (bottom wall)
8: reservoir
8a: unit reservoir
10: overflow tube
11: drain pipe
20:
21a: Foreign substance capture convex portion
21b: Foreign substance capture convex portion
21c: Foreign substance capture convex portion
30: pump (water supply means)
A: planting flooring
W: Planting Water
Claims (4)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식재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관이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에 상기 급수 수단의 급수 속도를 밑도는 배수 능력을 구비한 드레인부가 설치되어 있는 식재 장치.A food container having a water storage portion capable of storing food water and a food storage space capable of mounting an absorbent food flooring material,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food water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An overflow pipe for draining planting water exceed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in the reservoir.
The planting apparatus in which the drain part provided with the drainage capacity which is less than the water supply rate of the said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id water storage part.
상기 오버플로관과 연통된 배수관이 상기 저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저수부의 바닥면과 상기 배수관의 내면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식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verflow pip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servoir portion,
The said drain part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aid water storage part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drain pipe.
상기 드레인부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는, 식재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drain portion extend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드레인부의 옆쪽에 식재용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포착하기 위한 이물질 포착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식재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anting apparatus which is provided with the foreign material capture | acquisition convex part for catching the foreign material contained in planting water by the side of the said drai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07110 | 2011-01-17 | ||
JPJP-P-2011-007110 | 2011-01-17 | ||
PCT/JP2012/050518 WO2012098993A1 (en) | 2011-01-17 | 2012-01-12 | Plan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201A true KR20130137201A (en) | 2013-12-16 |
Family
ID=4646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9677A Ceased KR20130137201A (en) | 2011-01-17 | 2012-01-12 | Planting device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JP (1) | JP6057288B2 (en) |
KR (1) | KR20130137201A (en) |
CN (1) | CN102577861B (en) |
HK (1) | HK1171334A1 (en) |
SG (2) | SG10201600184QA (en) |
TW (1) | TWI586259B (en) |
WO (1) | WO201209899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23025B1 (en) * | 2012-09-12 | 2013-06-26 | 孝己 伊藤 | Wall flower bed structure and wall flower bed formation method |
CN103891540B (en) * | 2012-12-27 | 2016-05-11 | 三得利控股株式会社 | Plant cultivating container |
JP6266235B2 (en) * | 2013-01-21 | 2018-01-24 | 株式会社エスミー | Toilet seat cleaner supply system |
TWM475807U (en) * | 2013-10-09 | 2014-04-11 | Sheng San Co Ltd | Planting pot combination structure featuring controllable water diversion |
JP6499137B2 (en) * | 2016-03-31 | 2019-04-10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Wall greening panel |
CN106359065A (en) * | 2016-11-04 | 2017-02-01 | 东莞辰达电器有限公司 | Tide-type planting system |
CN107372285A (en) * | 2017-09-08 | 2017-11-24 | 黄未 | Indoor ecological landscape integrating device |
CN107878539A (en) * | 2017-11-02 | 2018-04-06 | 容县明曦铁皮石斛种植场 | A kind of flowers shipping protector |
CN112293230A (en) * | 2020-10-20 | 2021-02-02 | 马嘉铭 | Indoor spraying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
GB2626154B (en) * | 2023-01-11 | 2025-04-09 | Totam Ltd | Stackable kit of parts for forming hydroponic and/or aeroponic planter |
JP7595383B1 (en) | 2024-05-16 | 2024-12-06 | HarvestX株式会社 | Hydroponic trays, hydroponic system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40821A (en) * | 1983-02-02 | 1984-08-1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Plant culturing apparatus |
JPS61242526A (en) * | 1985-04-19 | 1986-10-28 | 木内 石 | Hydroponic apparatus |
KR20100061690A (en) * | 2007-08-21 | 2010-06-08 |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Planting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47484B2 (en) * | 1989-02-20 | 1997-08-27 | 松下電工株式会社 | Hydroponic culture equipment |
JPH0368752U (en) * | 1989-11-08 | 1991-07-08 | ||
JP3053687B2 (en) * | 1992-01-10 | 2000-06-19 | 株式会社クボタ | Parts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insulated container |
JP3068752B2 (en) * | 1994-08-29 | 2000-07-2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emiconductor device |
JP3053687U (en) * | 1998-04-30 | 1998-11-04 |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 Drainage structure for flower bench |
JP3068752U (en) * | 1999-11-04 | 2000-05-16 | 有限会社三浦園芸 | Water circulation type plant display device |
JP4392475B2 (en) * | 2007-10-22 | 2010-01-06 | 東海スチール工業株式会社 | Wasabi cultivation method |
CN201219394Y (en) * | 2008-07-17 | 2009-04-15 | 黄靖 | Flowerpot with device for detecting and adjusting water amount |
-
2012
- 2012-01-12 KR KR1020137019677A patent/KR20130137201A/en not_active Ceased
- 2012-01-12 JP JP2012553672A patent/JP605728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12 SG SG10201600184QA patent/SG10201600184QA/en unknown
- 2012-01-12 WO PCT/JP2012/050518 patent/WO201209899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12 SG SG2013052998A patent/SG191916A1/en unknown
- 2012-01-17 CN CN201210014399.XA patent/CN10257786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17 TW TW101101736A patent/TWI586259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1-27 HK HK12112146.4A patent/HK1171334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40821A (en) * | 1983-02-02 | 1984-08-1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Plant culturing apparatus |
JPS61242526A (en) * | 1985-04-19 | 1986-10-28 | 木内 石 | Hydroponic apparatus |
KR20100061690A (en) * | 2007-08-21 | 2010-06-08 |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Planting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244626A (en) | 2012-11-16 |
CN102577861A (en) | 2012-07-18 |
TWI586259B (en) | 2017-06-11 |
SG191916A1 (en) | 2013-08-30 |
JP6057288B2 (en) | 2017-01-11 |
WO2012098993A1 (en) | 2012-07-26 |
JPWO2012098993A1 (en) | 2014-06-09 |
HK1171334A1 (en) | 2013-03-28 |
SG10201600184QA (en) | 2016-02-26 |
CN102577861B (en) | 2015-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37201A (en) | Planting device | |
KR101784225B1 (en) | Planting container | |
KR101531658B1 (en) | Planting container | |
KR20120095981A (en) | Food container | |
KR20100085960A (en) | Rain water underdrain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equipped with rain water underdrain system | |
WO2015108053A1 (en) | Planting unit and planter | |
KR101315287B1 (en) | Planting module and apparatus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having the same | |
CN102128114B (en) | Fuel pump module | |
KR101099542B1 (en) | Watering structure of flowerpots suitable for vertical lamination | |
CN103891540B (en) | Plant cultivating container | |
CN206895395U (en) | Gardens automatic irrigation system | |
JP5842416B2 (en) | Planting container | |
CN104436841A (en) | Water filtration circulating equipment in common car washing store and automatic car washing system | |
JP2009118770A (en) | Ground weight-reducing member for mat plant and rooftop greening method | |
JP4459865B2 (en) | Rainwater storage tank | |
CN217241627U (en) | Green belt | |
TWI523605B (en) | Planting container | |
CN217336588U (en) | Plant root water supply device and flower box | |
KR102681075B1 (en) | Wall type vegetation block | |
KR100985800B1 (en) | Retaining wall system for planting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
CN210580183U (en) | Prevent blockking up retaining three-dimensional greening plant box | |
CN105191650A (en) | Planting box body structure | |
CN115341507A (en) | Ecological bank protection water storage device of hydraulic engineering | |
KR102103793B1 (en) | Water distribution apparatus using floating type bell siphon and rain water storage tube with the same | |
JP2007315124A (en) | Water storage ta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