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829A - Manufacturing mold for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and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old for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and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6829A KR20130136829A KR1020120060531A KR20120060531A KR20130136829A KR 20130136829 A KR20130136829 A KR 20130136829A KR 1020120060531 A KR1020120060531 A KR 1020120060531A KR 20120060531 A KR20120060531 A KR 20120060531A KR 20130136829 A KR20130136829 A KR 201301368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case
- mobile device
- mold
- front plate
- high frequenc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499 fusion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4 plastic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930 Pseudomyxoma Peritone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16—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제조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제조금형은 상형과 하형 사이에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 사이에 보강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보호케이스의 배면판 및 전면판과 그 연결부위를 고주파 융착하여 성형하도록 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제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는 오목성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형에는 상기 오목성형부에 대응되는 볼록성형부가 형성된 밴딩성형부에 의해 상기 겉지와 속지로 적층되어 있는 연결부위를 밴딩 처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제조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 및 속지 사이에 보강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금형의 상형과 하형에 의해 배면판 및 전면판과 그 연결부위가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겉지와 보강재 및 속지가 하형 위에 적층되되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속지와 겉지만 적층되어 상기 상형 및 하형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성형부 및 볼록성형부가 형성된 밴딩성형부에 의해 상기 전면판 및 배면판에 대해 외측으로 밴딩 성형되어 내측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밴딩연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고주파 융착 성형을 위한 상형 및 하형에 밴딩성형부가 구비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조 금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제조 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보호 케이스의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연결부위가 고주파 융착 가공 시 금형의 밴딩성형부에 의해 외측으로 밴딩 성형되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형성된 밴딩연결부에 의하여 전면판이 배면판에 대해 스스로 들리지 않아 별도의 체결편이 없이도 내측으로 수납되는 휴대기기와 함께 제품의 슬림한 미관을 유지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manufacturing mold for a mobile device and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uter surface made of a variety of fabrics capable of high-frequency fu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In the case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device for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back plate and the front plate of the protective case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reof are formed by high frequency fusion welding while reinforcing material is laminated between laminated inlays, the upper mold has a concave forming part. Wherein the lower mol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ortion formed in the convex form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forming portion is made to be banded to the connection portion laminat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lay,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old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k plate and a front plate by the upper and lower molds of the mold in the state of reinforcing material laminat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heets made of various fabrics capable of high frequency fusion welding. In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made of a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outer surface and the reinforcement and the inlay is laminated on the lower mold, but the upper and lower molds are laminated on the inlay and the outer surface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bending molded portion formed in the concave forming portion and the convex forming portion formed in the banding connection portion which is band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to give an elastic force inward.
Accordingly,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a mol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upper and lower bands for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and thus,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of the protective cas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die. Wh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high frequency fusion processing is banded to the outside by the bending molding portion of the mold has an elastic force to be elastically inward.
Therefore, the front plate is not lifted by the bending plate form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so that the product can be maintained with a slim aesthetics of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mobile device that is stored inward without a separate fastener. It becomes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고주파 융착 성형을 위한 상형 및 하형에 밴딩성형부가 구비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며, 이에 의해 제조된 보호 케이스는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연결부위를 상기 밴딩성형부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는 밴딩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면판이 배면판에 대해 스스로 들리지 않도록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upper and lower banding molded parts for a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device for storing a portabl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protection produced by The case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front plate is not lifted by itself against the back plate by forming a banding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s elastically inwardly by the bending molding portion.
근래 들어 휴대 전화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스마트폰이 출시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technology of mobile phones has developed more and more and smart phones have been released, a revolu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is taking place.
특히 스마트폰은 전화기능과 인터넷 기능까지 겸하고 있어 종래 핸드폰과 노트북, PDA, PMP 등의 고가의 휴대기기(H)를 통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매우 고가의 제품이다.In particular, the smart phone has the function of integrating expensive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s, PDAs, PMPs, etc., as it functions both as a telephone function and an Internet function.
따라서 파손을 방지하고, 액정 표면이 긁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의 보호 케이스가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근에 출시된 보호케이스(1)는 합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봉제나 접착제 및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에 의해 제조되어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and to prevent scratches or contamination of the liquid crystal surface, many functional protective cases have been released. Among them, recently, the protective case (1) uses a synthetic resin fabric for sewing, adhesives, and tapes. It is manufactured by high frequency fusion without using and released in various colors and designs, and is favored by many smartphone users.
도 1 및 도 2는 고주파 융착 방식을 이용하는 제조 금형(10)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1 and 2 show an example of a
먼저, 종래의 고주파 융착 방식을 이용한 제조금형(10)은 상형(11)과 하형(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에는 보호케이스(1)의 외형 및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고주파 융착돌부(13)가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이러한 제조 금형(10)의 상형(11)과 하형(12) 사이에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를 구성하기 위한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으로 된 겉지(2)와, 상기 겉지(2)에 부착되는 속지(3) 그리고 겉지(2)와 속지(3) 사이에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형의 보강재(4)를 적층하여 함께 고주파 융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Between the upper mold 11 and the lower mold 12 of the manufacturing die 10, a
따라서, 종래의 보호케이스(1) 대부분은 통상 3겹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보호케이스(1)는 전면판(5)과 배면판(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7)로 이루어진다.Therefore, most of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1) is usually made of a three-ply structure, such a protective case (1) consists of a front plate (5) and a back plate (6) and the connecting portion (7) connecting them.
그리고, 종래의 보호케이스(1)는 두께가 두꺼운 겉지(2)와 속지(3)의 2겹의 구성이거나, 또는 그 사이에 보강재(4)를 넣고 서로 합지 한 3겹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nd,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1) is composed of two layers of thick outer surface (2) and inlay (3), or is made of a three-layer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inforcement (4) is put therebetween. .
또한, 그 가장자리는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접착된 후 그 외곽 라인을 커팅지그로 절단함으로써 휴대기기(H)의 외부 전체를 감싸는 패드 형태의 보호 케이스(1)를 완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dge is bonded by a high frequency fusion method and then cut the outer line with a cutting jig to complete the pad-shaped
이러한 보호케이스(1)의 겉지(2)와 속지(3)는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되는데, 보호케이스(1)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되어진다.The outer surface (2) and the inlay (3) of the protective case (1) is composed of a variety of fabric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protective case (1) is capable of high-frequency adhesion, such as synthetic leather, thermoplastic film, textiles and plastic foam sheet Fabrics that do not respond to high frequencies using a thermoplastic adhesive film that is selectively used among the fabrics or that respond to high frequencies are also used.
또한, 상기 보강재(4)는 대부분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플라스틱이나 두꺼운 종이 소재로 구성되어 고주파 접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겉지(2)와 속지(3)의 크기보다 조금 작은 고주파 접착 라인의 안쪽 크기로 설계되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4) is mostly made of a plastic or a thick paper material that does not respond to high frequency, so it is generally not high-frequency adhesion to the inner size of the high-frequency adhesive lin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uter (2) and inlay (3) It is common to design and construct.
이러한 구성의 종래 보호케이스(1)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휴대기기(H)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커버하는 전면판(5)과, 그 후면을 커버하는 배면판(6)으로 그 영역이 구분되고, 보강을 위해 전면판(5)과 배면판(6)에 상기 보강재(4)를 각각 추가 삽입하여 휴대기기(H) 스마트폰의 전면유리와 배면의 카메라 등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부위를 보강할 경우에도 상기 보강재(4)는 국부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또한, 상기 전면판(5)과 배면판(6)은 서로 연결부(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데, 이 연결부(7)는 전면판(5)을 열고 닫기 위해 유연해야 하므로 이 연결부(7)는 보강재(4)가 개재되지 않고 겉지(2)와 속지(3)가 단순 합지된 2겹의 구조로서 이루어진다.The front plate 5 and the rear plate 6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그런데, 종래의 보호케이스(1)의 연결부(7)는 상형(11)과 하형(12)의 성형면은 대부분 평면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연결부(7) 부위도 전면판(5)과 배면판(6) 처럼 평면형태를 이루도록 제조될 수밖에 없다.By the way, the
따라서, 고주파 융착이 되는 원단 중에서 유연성이 좋고 두께가 얇은 원단으로 보호케이스(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 두께가 두꺼운 원단이거나, 경도가 높은 원단으로 보호케이스(1)를 제조하는 하는 경우에는 특히, 연결부(7)가 매우 뻣뻣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protective case (1) with a flexible and thin thickness of the fabric is a high frequency fusion fabric, there is no big problem, but the protective case (1) to manufacture a thick or thick fabric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이에 따라, 휴대기기(H)를 배면판(6)에 구비된 점착테이프(T)에 부착하여 수납한 상태에서 전면판(5)을 접어 덮게 되면 뻣뻣하고 경도가 강한 연결부(7)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5)이 배면판(6)에 대해 들리게 되므로서 제품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when the front plate 5 is folded and covered with the mobile device H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T provided on the back plate 6, the stiff and
이와 같이 배면판(6)이 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대부분의 보호케이스(1)에는 배면판(6)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체결편(8)이 일체형 또는 별도로 부착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ifting the rear plate 6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conventional
그리고, 상기 전면판(5)의 일단부와 상기 체결편(8)의 단부에는 자석(M)등이 상기 겉지(2)와 속지(3) 사이 또는 심재(4)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5)과 체결편(8)이 서로 포개어지면서 자석(M)에 서로 부착되어 보호케이스(1)의 열림 및 닫힘을 제어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전면판(5)이 들리는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In addition, a magnet M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ront plate 5 and an end of the
하지만, 체결편(8)이 있는 보호케이스(1)는 휴대하고 다닐 때는 전면판(5)이 벌어지지 않는 역할을 하지만 휴대기기(H)를 사용하기 위해 전면판(5)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체결편(8)이 걸리적 거리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한 요인이 되었다.However, the
또한, 상기 체결편(8)은 전면판(5) 위로 자석(M) 및 자성체(9)에 의해 부착되어 보호케이스(1)의 열림/닫힘을 단속하게 되는데, 이때, 전면판(5)의 내측 일단 가장자리에 체결편(8)이 겹치면서 보호케이스(1)의 전체적인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형태가 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체결편(8)이 구비된 대부분의 종래의 보호케이스(1)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느낌을 주게됨으로써 슬림하고 심플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하는데 제한 적 요소가 되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어서 체결편(8)이 없는 형태의 슬림하고 다양한 휴대기기 보호케이스를 디자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Accordingly, most conventional
따라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에 체결편(8)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전면판(5)이 스스로 들리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H)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보호케이스(1)가 전체적으로 두껍지 않고 슬림한 형태의 보호케이스(1)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형태의 제조 금형(10)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front panel 5 can be lifted by itself without the faste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고주파 융착 성형을 위한 상형 및 하형에 밴딩성형부가 구비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조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in which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device for storing a portabl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provided with a band-forming portion in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for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 금형에 의하여 보호 케이스의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연결부위가 고주파 융착 성형 시 상기 밴딩성형부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탄성력이 부여된 곡면 형상의 밴딩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전면판이 배면판에 대해 스스로 들리지 않아 별도의 체결편이 없이도 내측으로 수납되는 휴대기기를 보호하도록 하면서 제품의 미관을 슬림하고 고급스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ved banding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of the protective case by the manufacturing mold as described above is elastically inward by the banding portion during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By forming a front plate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is stored inwards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to the back plate by themselves, while provid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made to maintain the aesthetics of the product slim and luxurious.
본 발명 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not mention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형과 하형 사이에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와, 상기 겉지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 사이에 보강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보호케이스의 배면판 및 전면판과 그 연결부위를 고주파 융착하여 성형하도록 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제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는 오목성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형에는 상기 오목성형부에 대응되는 볼록성형부가 형성된 밴딩성형부에 의해 상기 겉지와 속지로 적층되어 있는 연결부위를 밴딩 처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variety of fabrics capable of high frequency fu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back plate and the front plate of the protective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is laminated between the outer and the inlay laminated to each other And a mold for forming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device, wherein the upper part is formed with a concave forming part, and the lower mold is formed with a convex form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form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banded to the connection parts stacked in the outer and inlay.
상기 오목성형부와 볼록성형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밴딩성형부에 의해 얇아진 연결부위의 변형된 두께를 가압하여 고주파 융착할 수 있도록 고주파 융착 성형 전의 상기 겉지 및 속지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의 금형 공차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gap betwe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maintains a mold tolerance of a gap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er and inlays before the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so as to press the deformed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thinned by the banding portion to make high frequency fusion. To be done.
또한, 상기 오목성형부와 볼록성형부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곡면 R 값의 원주 길이는 휴대기기의 측면을 감싸기 위한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연결부위 폭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urved surface R value is composed of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오목성형부와 볼록성형부는 코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과 하형에 대해 분리되게 조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e to be assembled separately for the upper and lower molds.
한편,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제조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 및 속지 사이에 보강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금형의 상형과 하형에 의해 배면판 및 전면판과 그 연결부위가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겉지와 보강재 및 속지가 하형 위에 적층되되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속지와 겉지만 적층되어 상기 상형 및 하형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성형부 및 볼록성형부가 형성된 밴딩성형부에 의해 상기 전면판 및 배면판에 대해 외측으로 밴딩 성형되어 내측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밴딩연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old for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ck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by the upper and lower molds in the stat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laminated between the outer and inlay made of various fabrics capable of high frequency fusion welding In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the front plate and its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high-frequency fusion molding, wherein the outer surface,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inlay are laminated on the lower mold, but the inlay and the outer surface are lamina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And a banding connection part which is formed by bending the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by the bending molding part formed with the concave forming part and the convex forming part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mold, thereby giving elastic force inwardly.
상기 밴딩연결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오목성형부와 볼록성형부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딩연결부의 곡면 R값의 원주길이는 상기 휴대기기의 측면을 여유 있게 감싸는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연결부위 폭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The bending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outward by the concave forming portion and the convex forming portion made of a curved surface,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urved surface R value of the bending connecting portion is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to allow the side of the mobile device to be relaxed It has a length equal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rebetween.
또한, 상기 전면판 및 배면판에는 휴대기기(H)의 음성 스피커 , 카메라, 음향스피커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공홀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s formed by the perforation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peaker, the camera, the sound speaker of the mobile device (H).
따라서, 상기 휴대기기의 외관에 구비된 음성 및 음향 스피커, 카메라가 보호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voice and sound speakers and the camera provided in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그리고, 상기 속지와 겉지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재와 함께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한 일체형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핫멜트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hot melt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ay and the outer surface to form an integral adhesive by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고주파 융착 성형을 위한 상형 및 하형에 밴딩성형부가 구비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조 금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제조 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보호 케이스의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의 연결부위가 고주파 융착 가공 시 금형의 밴딩성형부에 의해 외측으로 밴딩 성형되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ol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banding portion in the upper and lower molds for the high-frequency fusion molding of the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back plate has an elastic force so that it is banded outwardly by the banding molding part of the mold during the high frequency fusion welding process and elasticity inwardly.
이로 인해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형성된 밴딩연결부에 의하여 전면판이 배면판에 대해 스스로 들리지 않아 별도의 체결편이 없이도 내측으로 수납되는 휴대기기와 함께 제품의 슬림한 미관을 유지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the front panel is not lifted by the banding connection part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so that the product can be maintained with a slim aesthetic of the product together with a mobile device that is stored inside without a separate fastener. It becomes possible.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제조 금형 및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도,
도 2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문제점을 나타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금형 및 보호케이스의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금형 및 보호케이스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금형의 상,하형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해 제조된 상태의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 측단면도.The drawings described below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and a manufacturing mold and a protective case for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showing a problem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ufacturing mold and the protective case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mold and a protective case laminated state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of the manufacturing mold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case of the state produced by the mol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례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수납되는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 즉, 가로 방향으로 개폐되는 보호케이스를 제조하는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호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휴대기기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 제조 금형 및 보호케이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First of all, as an example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 die design form in which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s stored, that is, a mol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otective case manufactured thereb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protection case manufacturing molds and protection cases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portable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금형 및 보호케이스의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금형 및 보호케이스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제조 금형의 상형 및 하형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ufacturing case and the protective case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laminated state of the manufacturing mold and protective case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parated view,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of the manufacturing mold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20)의 제조 금형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manufacturing mold of the
기본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 제조 금형(100)은 상형(110)과 하형(120)으로 이루어진다.As a basic configuration, the protective
상기 상형(110)과 하형(120) 사이에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21)와, 상기 겉지(21)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22) 사이에 보강재(23)를 적층한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 성형이 이루어진다.Between the
이를 위해 상형(110)과 하형(120)의 표면에는 보호케이스(20)의 배면판(40)과 연결부 및 전면판(30)을 성형하기 위해 그 외형에 대응되는 융착돌부(16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타공홀(60)을 성형하기 위한 타공홀 융착돌부(17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To this end, to form the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H) 보호케이스(20) 제조 금형(100)은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보호케이스(20)의 연결부를 밴딩 처리하기 위한 밴딩성형부(1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즉, 밴딩성형부(150)는 상기 상형(110)에 오목성형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형(120)에는 상기 오목성형부(130)에 대응되어 수용되는 볼록성형부(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That is, the bending
따라서, 상형(110)과 하형(120) 사이에서 상기 겉지(21)와 속지(22)로 적층되는 연결 부위를 상기와 같은 밴딩성형부(150)에 의해 고주파 융착시 밴딩 처리함으로써 후술된 보호케이스(20)의 밴딩연결부(5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refore, the protective case described below by banding at the time of high frequency fusion by the banding molded
또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한 보호케이스 제조 금형(100)은 상기 오목성형부(130)와 볼록성형부(140) 사이의 간격이 고주파 융착 성형 전의 상기 겉지(21) 및 속지(22)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의 금형(100) 공차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이는 속지(22)와 겉지(21)로 적층된 구조의 밴딩연결부(50)가 상형(110)과 하형(120)의 밴딩성형부(150)에 의해 고주파 융착 성형되는 과정에서 늘어나 얇아진 상태의 변형된 두께에 대응하여 가압해 줌으로써 고주파 융착 가공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밴딩 처리된 이후 밴딩성형부(150)의 겉지(21)와 속지(22)가 완전하게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일체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보호케이스 제조 금형(100)은 상기 오목성형부(130)와 볼록성형부(140)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곡면 R 값의 원주 길이는 상기 연결부가 휴대기기(H)의 측면을 감싸기 위한 폭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즉, 보호케이스(20)는 휴대기기(H)의 외곽 사이즈와 측면 두께에 따라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디자인 설계되어야 하는데, 휴대기기(H) 디자인에 따른 측면 두께 에 대응하여 특히, 연결부위의 길이가 조금씩 차이가 있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금형(100)의 밴딩성형부(150)의 곡면 R값은 보호케이스(20)의 밴딩연결부(50) 길이에 비례하여 곡면 R 값의 원주 길이를 환산한 길이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urved surface R value of the bending molded
한편, 상기 오목성형부(130)와 볼록성형부(140)는 코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110)과 하형(120)에 대해 분리되게 조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cave forming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면판(30)과 배면판(40)의 외형 사이즈는 유사하고 측면 두께가 약간의 차이가 있는 서로 다른 휴대기기(H)를 하나의 보호케이스(20)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제조 금형 구성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external sizes of the
즉, 휴대기기(H)의 측면 두께의 차이는 제조사 마다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그 정도를 감안하여 밴딩성형부(150)의 오목성형부(130)와 볼록성형부(140)를 별도로 각각 제작하고 여러 제조사의 휴대기기(H)의 두께에 맞는 밴딩성형부(150)를 교체하는 형태로 밴딩연결부(50)를 밴딩가공함으로써 고주파 융착을 위한 금형(100)의 제작비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obile device (H) does not vary greatly for each manufacturer,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the concave forming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금형(100)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해 제조된 상태의 보호케이스(20)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즉,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20)는 기본 구성으로서,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20)와, 상기 겉지(20)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22)로 구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H)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전면판(30)과 소정 폭을 유지하여 연결되어 있는 배면판(40)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겉지(21) 및 속지(22) 사이에는 보강재(23)를 적층 한 후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금형(100)의 상형(110)과 하형(120) 사이에서 고주파 융착 처리함으로써 배면판(40)과 연결부위를 갖는 전면판(30)으로 구성된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20)를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reinforcing
상기 겉지(21)와 속지(22)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21) and the cover (22)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high frequency welding.
예를 들어, 보호케이스(2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 등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핫멜트(hot melt)와 같은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For example, a thermoplastic adhesive such as hot melt, which is selectively used among materials capable of high frequency fusion such as synthetic leather, thermoplastic film, textiles, and plastic foam sheet, or reacts to high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sign form of the
상기 핫멜트는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것으로 열가소성수지는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하면 바로 고화되기 때문에 접착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Since the hot melt is melted by heating, the thermoplastic resin is solidified upon cooling after melting and heating, and thus is used for adhesive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20)에서는 상기 속지(22)와 겉지(21)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재(23)와 함께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한 일체형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핫멜트층(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refore,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케이스(20)는 종래의 경우 전면판(30)과 배면판(40)의 연결부위가 직선형태로 고주파 융착 성형이 됨으로써 고주파 융착 성형 이후 휴대기기(H)를 장착하여 사용시 연결 부위가 뻣뻣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향 탄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 융착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 금형(100)의 상형(110)과 하형(120)에 구비된 밴딩성형부(150)에 의해 곡면 처리되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20)의 연결부위에는 밴딩연결부(50)가 형성되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즉, 이에 의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20)는 상기 겉지(21)와 보강재(23) 및 속지(22)가 하형(120) 위에 적층되되, 상기 전면판(30)과 배면판(4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속지(22)와 겉지(21)만 적층되고 그 사이에 상기 핫멜트층(24)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금형(100)의 상형(110) 및 하형(1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오목성형부(130) 및 볼록성형부(140)로 이루어진 밴딩성형부(150)에 의하여 고주파 융착 가공이 되는 과정에서 상형(110)과 하형(120)이 합쳐지면서 보호케이스(20)의 상기 전면판(30) 및 배면판(40)에 대해 연결부위가 외측으로 밴딩 되면서 고주파 융착 성형되는 것이다.In addition, high frequency fusion welding is performed by the bending
따라서, 밴딩 성형 처리된 밴딩연결부(50)는 외측으로 곡면 처리되는 가공 과정을 거친 후에 내측으로 탄성력이 부여됨에 따라 성형 직후 도 6과 같은 상태로 제조된다.Therefore, the bending molding
이때, 상기한 핫멜트는 고주파 융착에 의한 열처리 후 냉각 과정을 거치면 곧바로 경화되므로서, 겉지(21)와 속지(22)의 원단 자체가 밴딩 처리된 후 탄성력과 함께 겉지(21)와 속지(22) 사이에서 경화된 핫멜트층(24)에 의하여 밴딩연결부(50)는 탄성력이 증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t melt is hardened immediately after the cooling process after the heat treatment by high frequency fusion, the
따라서, 이러한 보호케이스(20)의 배면판(40)에 휴대기기(H)를 점착테이프(T) 등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전면판(30)을 살짝 놓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30)이 종래와 같이 들리지 않고 밴딩연결부(50)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어 휴대기기(H)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덮게 되고, 외력에 의해 열지 않는 한 스스로 들려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20)에 의하면 상기 밴딩연결부(50)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오목성형부(130)와 볼록성형부(140)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상, 예를 들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이러한 밴딩연결부(50)의 곡면 R값의 원주 길이는 상기 휴대기기(H)의 측면을 여유 있게 감싸는 폭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urved surface R value of the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보호케이스(20)는 휴대기기(H)의 외곽 사이즈와 측면 두께에 따라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디자인 설계되어야 하는데, 휴대기기(H)의 디자인에 대응하여 특히 연결부위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금형(100)의 밴딩성형부(150)의 곡면 R값에 의해 밴딩 가공되는 보호케이스(20)의 밴딩연결부(50)는 그 길이에 비례하여 곡면 R 값의 원주 길이를 환산한 길이로 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에 의하면 외형 사이즈는 유사하고 측면 두께가 약간의 차이가 있는 서로 다른 휴대기기(H)를 하나의 보호케이스(20)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different mobile device (H) having a similar appearance and a slight difference in the side thickness can be used in one
즉, 휴대기기(H)의 측면 두께의 차이는 제조사마다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여러 제조사의 휴대기기(H)의 두께에 맞는 형태로 밴딩연결부(50)가 밴딩 가공됨으로써 동일한 화면 사이즈를 갖는 여러 제조사의 휴대기기(H)를 보호케이스(20)에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 사용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obile device (H) does not vary greatly from manufacturer to manufacturer, the
또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20)의 상기 전면판(30) 및 배면판(40)에는 휴대기기(H)의 음성스피커, 카메라, 음향스피커 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공홀(60)이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20)를 고주파 융착 성형을 위한 상형(110) 및 하형(120)에 밴딩성형부(150)가 구비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조 금형(100)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제조 금형(100)에 의하여 제조된 보호 케이스의 전면판(30)과 배면판(40) 사이의 연결부위가 고주파 융착 가공 시 금형(100)의 밴딩성형부(150)에 의해 외측으로 밴딩 성형되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case of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provided with a bending
이로 인해 전면판(30)과 배면판(40) 사이에 형성된 밴딩연결부(50)에 의하여 전면판(30)이 배면판(40)에 대해 스스로 들리지 않아 종래와 같이 별도의 체결편이 없이도 내측으로 수납되는 휴대기기(H)와 함께 제품의 슬림한 미관을 유지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Due to this,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otherwis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 보호케이스 21 : 겉지
22 : 속지 23 : 보강재
24 : 핫멜트층 30 : 전면판
40 : 배면판 50 : 밴딩연결부
60 : 타공홀 100 : 금형
110 : 상형 120 : 하형
130 : 오목성형부 140 : 볼록성형부
150: 밴딩성형부 160 : 융착돌부
170 : 타공홀 융착돌부 H : 휴대기기
M : 자석 T : 점착테이프20: protective case 21: cover
22: Inlay 23: Stiffener
24: hot melt layer 30: front panel
40: back plate 50: banding connection
60: perforation hole 100: mold
110: Upper mold 120: Lower mold
130: concave molding 140: convex molding
150: bending molding portion 160: fusion protrusion
170: perforated hole fusion protrusion H: mobile device
M: Magnet T: Adhesive Tape
Claims (8)
상기 상형(110)에는 오목성형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형(120)에는 상기 오목성형부(130)에 대응되는 볼록성형부(140)가 형성된 밴딩성형부(150)에 의해 상기 겉지(21)와 속지(22)로 적층되어 있는 연결부위를 밴딩 처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제조금형.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of the back plate and front plate of the protective case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laminated between the outer face and the outer face made of various fabrics capable of high frequency fusion process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In the case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The upper mold 110 is formed with a concave forming part 130, and the lower mold 120 is formed by a bending molding part 150 having a convex forming part 140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forming part 130. (21) and the inlay (22) of the protective case manufacturing mold for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made to be banded.
상기 겉지(21)와 보강재(23) 및 속지(22)가 하형(120) 위에 적층되되 상기 전면판(30)과 배면판(40)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속지(22)와 겉지(21)만 적층되어 상기 상형(110) 및 하형(120)에 각각 형성되는 오목성형부(130) 및 볼록성형부(140)가 형성된 밴딩성형부(150)에 의해 상기 전면판(30) 및 배면판(40)에 대해 외측으로 밴딩성형되어 내측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밴딩연결부(5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In the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in which the back plate, the front plate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formed by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by reinforcing materials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heets of various fabrics capable of high frequency welding,
The outer surface 21, the reinforcement 23 and the inlay 22 are laminated on the lower mold 120, but the inlay 22 and the outer surface 21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plate 30 and the back plate 40. Only the front plate 30 and the back plate 40 are formed by the bending molding unit 150 having the concave forming unit 130 and the convex forming unit 140 formed on the upper mold 110 and the lower mold 120, respectively.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formed by bending to the outside with a bending connection part 50 formed with an elastic force inside.
6.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hot melt layer (2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ay (22) and the outer surface (21)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23) to form an integral bond by high frequency fusion molding. Protective case for th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0531A KR101368626B1 (en) | 2012-06-05 | 2012-06-05 | Manufacturing mold for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and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0531A KR101368626B1 (en) | 2012-06-05 | 2012-06-05 | Manufacturing mold for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and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6829A true KR20130136829A (en) | 2013-12-13 |
KR101368626B1 KR101368626B1 (en) | 2014-03-07 |
Family
ID=4998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05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8626B1 (en) | 2012-06-05 | 2012-06-05 | Manufacturing mold for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and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862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2416B1 (en) * | 2014-03-24 | 2015-04-15 | 피엔케이산업 주식회사 | mobile phone leather case using elastic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9572068A (en) * | 2018-12-29 | 2019-04-05 | 苏州工业园区明扬彩色包装印刷有限公司 | A kind of positioning device for high-cycle weld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839B1 (en) * | 2014-08-11 | 2021-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cover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6071B1 (en) | 2009-09-15 | 2010-01-12 |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appliance |
KR101201348B1 (en) * | 2012-01-27 | 2012-11-14 | 전대식 | Protection flim case for smart mobile device |
-
2012
- 2012-06-05 KR KR1020120060531A patent/KR1013686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2416B1 (en) * | 2014-03-24 | 2015-04-15 | 피엔케이산업 주식회사 | mobile phone leather case using elastic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9572068A (en) * | 2018-12-29 | 2019-04-05 | 苏州工业园区明扬彩色包装印刷有限公司 | A kind of positioning device for high-cycle welding |
CN109572068B (en) * | 2018-12-29 | 2024-05-31 | 苏州工业园区明扬彩色包装印刷有限公司 | Positioning device for high-frequency we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8626B1 (en) | 2014-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43669B2 (en) | Accessory unit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 |
CN107006985B (en) | Sheaths for electronic equipment | |
EP2823370B1 (en) | Accessory unit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 |
US20120302297A1 (en) |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1397925B1 (en) | Sandwich junction structure with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 |
EP2664433B1 (en) | Formable inserts and related methods | |
JP2012010341A (en) | Case body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368626B1 (en) | Manufacturing mold for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and portable device protection case using the same | |
KR101252648B1 (en) | A cell phone case | |
KR101348712B1 (en) |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 |
KR200473279Y1 (en) |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 |
KR10155302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case and Waterproof case by the method | |
US20220382332A1 (en) |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40137491A (en) | Method and product of Mobile device Case | |
KR20140004557U (en) |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 |
KR101296346B1 (en) |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 |
KR20150045729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manufacturing by method thereof | |
KR20150012975A (en)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 |
TW201325993A (en) |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JP4810227B2 (en) | Method for insert molding a cabinet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binet covered with a cloth cover | |
KR10151397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view cover for a lcd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view cover manufactured thereby | |
KR101474982B1 (en) | Method and Product of Mobile device Case with View Window | |
KR101628536B1 (en) | Protective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393145B1 (en) | Smart phone protection case | |
KR20000030233A (en) | Inner sheer of alb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