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645A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6645A KR20130136645A KR1020120060200A KR20120060200A KR20130136645A KR 20130136645 A KR20130136645 A KR 20130136645A KR 1020120060200 A KR1020120060200 A KR 1020120060200A KR 20120060200 A KR20120060200 A KR 20120060200A KR 20130136645 A KR20130136645 A KR 201301366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 radio broadcast
- radio
- value
- field strengt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04H60/12—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wherein another information is substituted for the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면, 상기 분석된 변경 패턴에 따라 상기 재생중인 라디오 방송을 보완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재생과 관련된 발명이다.
전자기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근래의 전자기기는 단순한 하나의 기능 대신에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리더, 문서 편집기 및 게임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최근의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에는 라디오 청취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라디오 청취 기능은 안테나를 통해 라디오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중인 라디오를 스트리밍 받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안테나를 이용한 라디오 청취 기능을 이용할 경우, 청취 중인 채널의 라디오 방송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낮아지게 되면, 청취중인 라디오 방송에서 잡음이 발생하게 되어 정상적인 라디오 청취가 힘들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라디오 청취 기능을 통해 음악을 출력중인 휴대단말기가 수신전계강도가 낮아지는 터널등을 통과할 경우, 음악 대신에 잡음만이 출력되게 된다.
특히, 높은 스피커 볼륨으로 라디오를 청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신전계강도가 낮아져 큰 볼륨의 잡음이 출력될 경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은 불쾌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라디오 청취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수신전계강도의 저하에 따라 잡음이 출력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발명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라디오 청취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수신전계강도의 저하에 따라 잡음이 출력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면, 상기 분석된 변경 패턴에 따라 상기 재생중인 라디오 방송을 보완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면, 상기 분석된 변경 패턴에 따라 상기 재생중인 라디오 방송을 보완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라디오 청취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수신전계강도의 저하에 따라 잡음이 출력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피처폰(feature phone), 태블릿(Tablet), windows 8, iOS, Android 및 Bada 등의 모바일 OS로 구동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windows 또는 Mac 환경에서 구동되는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전자기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부(23)는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포함한다. 한편, 무선 송수신부(23)의 안테나(ANT)는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와 공용으로 사용될 수 도 있으며,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위한 별도의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의 안테나는 이어폰과 같은 외장형 스피커(SPK)가 될 수 있다.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예를 들어, 사용자가 청취중인) 라디오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 또는 오디오 처리부(25)로 출력하며, 제어부(10)를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는 수신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을 제어부(10)로 출력하며, 이를 통해 제어부(10)는 해당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를 이용하여, 제어부(10)는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표시화면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라디오 방송의 청취 시에 청취하고자 하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0)는 휴대단말기가 라디오 주파수의 음영지역(일시적 또는 지소적인 음영지역)에 위치할 경우,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예를 들어, 동영상 또는 음악 파일 또는 사진 파일)을 적어도 하나 저장한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또는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를 대신하여(또는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가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때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면, 상기 분석된 변경 패턴에 따라 상기 재생중인 라디오 방송을 보완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GPS 모듈, Wi-Fi 모듈, 근접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및 제2예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 S203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변동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청취를 위한 메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한 후에 주파수 변경 바(310)를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를 통해 조절(예를 들어, 상하로 조절)하여, 자신이 청취하고자 하는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해당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청취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93.9 Mhz)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25)를 통해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선택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이 재생되는 동안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 값이 변동되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라디오 방송 신호의 수신전계강도의 값(단위는 dbm)은 -40과 -60 사이의 값(이 때, 이 값은 변동될 수 있다.)을 가지게 되며, -80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되면 정상적으로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80의 값부터 기준으로 방송 청취가 불가능하다고 가정할 경우, -40부터 -79까지의 수신전계강도 값을 가지는 주파수는 유효 주파수로 명명되며, -80 미만의 수신전계강도 값을 가지는 주파수는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명명된다.
따라서, 수신전계강도 값의 변경 패턴을 확인하는 도중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80)이하로 변경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가 유효 주파수인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인지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5초)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 값이 어떻게 변경(또는 변동)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변경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메모리(30)에 저장하여 추후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0)는 추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수신전계강도 값의 변화를 확인하고, 시간에 대한 수신전계강도의 하락속도(예를 들어,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를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값을 -80을 가정하였고, 수신전계강도(단위는 dbm)가 -80이하의 값을 가지게 되면 라디오 방송의 재생(또는 청취)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주파수를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판단한다. 이 때, 주파수의 유효 여부를 결정하는 미리 설정된 값은 실시예의 변형에 의해 변경가능함은 당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S205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큰 값의 기울기로 하락하였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청취 방법은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하락하여 청취중인 주파수를 통한 라디오 방송 청취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수신전계강도가 하락하여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판단될 경우, 어떠한 패턴으로 하락하였는지 구분하고, 구분된 패턴에 따라 구별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큰 값의 기울기로 미리 설정된 값(-80)으로 변경되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작은 값의 기울기로 미리 설정된 값(-8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짧은 시간안에 급격하게 미리 설정된 값(-80)으로 변경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단말기가 기차 터널 또는 자동차 터널 등과 같은 일시적 음영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반면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예를 들어, 방송 청취중인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완만하게 작은 값으로 변동되어 미리 설정된 값(-80)으로 변경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단말기가 지하철 또는 지하 등과 같은 지속적 음영지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후술될 S206-S209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일시적 음영지역에 진입(또는 위치)하였을 경우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S210-S211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지속적 음영지역에 진입(또는 위치)하였을 경우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며, 각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6-S207 단계에서, 제어부(10)는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한 후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일시적 음영지역에 진입(또는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10)는 도 4의 (b)에서 3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을 통해, 사용자는 음영지역에서 발생되는 라디오 방송의 잡음으로 인한 불쾌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라디오를 들으면서 기차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에 터널로 진입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터널에 임시로 있는 동안에는 라디오 방송의 잡음 대신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면서, 도 3의 (b)에 330으로 도시된 예와 같이,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라디오 방송을 듣는 도중에,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고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S208-S209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의 값을 다시 한번 확인하여 유효 주파수인 것으로 확인되면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지하고, 일시 중지되었던 라디오 방송의 대응되는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일시 중지되었던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재개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206-S209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일시적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대응되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급격하게 수신전계강도가 하락하여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더라도, 잠시후에는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다시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한 후, 멀티미디어 파일 이전에 재생중이었던(일시 중지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에 대한 수신전계강도의 값을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확인 결과,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증가하여 해당 주파수가 유효 주파수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통해 해당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S206-S209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터널안에 휴대단말기가 있을 동안에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감상하고, 터널 밖에 휴대단말기가 있을 때는 자신이 선택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게 된다.
S210-S211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시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작은 값의 기울기로 하락한 것으로 변경패턴이 분석되면,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 Radio Data System)을 통해서,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의 대체 주파수(AF: Alternative Frequency)를 확인하여 대체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210-S211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위치할 경우에 대응되는 실시예이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수신전계강도가 하락하는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라디오 방송의 청취가 불가능하게 되고, 수신전계강도가 지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80)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즉, 일시 중지된) 주파수의 하락 패턴이 확인되면, 제어부(10)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 Radio Data System)을 통해 대체 주파수(AF: Alternative Frequency)를 확인한다. 여기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Radio Data System)은 라디오 방송(예를 들어, FM 라디오 방송)에 부가적인 data 신호를 함께 송출하는 시스템으로, 라디오 신호를 수신중인 주파수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주파수(AF: Alternative Frequency)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의 (a) 도시된 93.9 Mhz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라디오 방송이 재생중인 상태에서 93.9 Mhz의 주파수 하락 패턴이 도 4의 (b)에 도시된 것 예와 같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도 3의 (c)에 도시된 것 처럼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93.9 Mhz의 대체 주파수(예를 들어, 93.2 Mhz)를 확인하고, 대체 주파수로 자동 튜닝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대체 주파수(예를 들어, 93.2 Mhz)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라디오 방송 수신부(23a)를 통해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실시예의 변형을 통해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의 하락 패턴이 도 4의 (b)에 도시되 바와 같을 경우일지라도, 대체 주파수를 통한 라디오 방송의 재생 대신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4)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면, 상기 분석된 변경 패턴에 따라 상기 재생중인 라디오 방송을 보완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서비스의 제공 과정은,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시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큰 값의 기울기로 하락한 것으로 상기 변경패턴이 분석되면,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한 후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을 확인하여 유효 주파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지하는 과정과,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대응되는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재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서비스의 제공 과정은,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시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작은 값의 기울기로 하락한 것으로 상기 변경패턴이 분석되면,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한 후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 Radio Data System)을 통해서,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를 대체하는 대체 주파수(AF: Alternative Frequency)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대체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의 변경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면, 상기 분석된 변경 패턴에 따라 상기 재생중인 라디오 방송을 보완하는 보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완 서비스의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시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큰 값의 기울기로 하락한 것으로 상기 변경패턴이 분석되면,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한 후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값을 확인하여 유효 주파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중지하고,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대응되는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완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수신전계강도가 변경되어 상기 선택된 주파수가 유효하지 않은 주파수로 확인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값이 시간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울기보다 작은 값의 기울기로 하락한 것으로 상기 변경패턴이 분석되면,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방송의 재생을 일시 중지한 후에,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DS: Radio Data System)으로부터 상기 일시 중지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를 대체하는 대체 주파수(AF: Alternative Frequency)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대체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청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0200A KR20130136645A (ko) | 2012-06-05 | 2012-06-05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및 장치 |
US13/910,378 US9008599B2 (en) | 2012-06-05 | 2013-06-05 |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radio in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0200A KR20130136645A (ko) | 2012-06-05 | 2012-06-05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6645A true KR20130136645A (ko) | 2013-12-13 |
Family
ID=4967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0200A KR20130136645A (ko) | 2012-06-05 | 2012-06-05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008599B2 (ko) |
KR (1) | KR2013013664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18006A1 (en) * | 2012-07-12 | 2014-01-1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Broadcast content for vehicle audio systems |
TWI609591B (zh) * | 2015-08-13 | 2017-12-21 |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 資料傳輸品質管控系統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89207B1 (en) * | 1996-03-06 | 2001-09-11 | Rosetta Laboratories Pty. Ltd. | Computerized radio receiver |
US6330450B1 (en) * | 1999-01-25 | 2001-12-11 | Ericsson, Inc. | Detecting and minimizing the effects of transmitter noise on signal strength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20020064124A (ko) | 2001-02-01 | 2002-08-07 | 주식회사 티비알 | 라디오 안테나 구동 장치의 발생 노이즈 저감 방법 |
US7660278B2 (en) * | 2005-07-22 | 2010-02-09 | Intel Corporatio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oaming support system |
KR101585246B1 (ko) | 2009-07-03 | 2016-0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에서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
KR20110052294A (ko) | 2009-11-12 | 2011-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라디오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06-05 KR KR1020120060200A patent/KR201301366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
- 2013-06-05 US US13/910,378 patent/US90085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324063A1 (en) | 2013-12-05 |
US9008599B2 (en) | 2015-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42772B (zh) | 向具有rds能力的fm无线电接收机以低功率fm传输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 |
US6804510B1 (en) | Selection of alternate sources for audio broadcast signals responsive to embedded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
US8781525B2 (en) | Electronic apparatus, recep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9065574B2 (en) | Frequency tracking for a FMR transmitter | |
KR101800889B1 (ko) |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 |
EP1696576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having digital broadcast reception with bit error rate detection to control stopping of transmission in the terminal. | |
CN1946011B (zh) | 在弱电场区域中提供广播服务的广播系统和方法 | |
US877486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low-power FM transmission of audio data to RDS capable FM radio receiver | |
JP2010518388A (ja) | ナビゲーションプロンプトを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04320541A (zh) | 一种智能播放方法、系统及终端 | |
KR101105771B1 (ko) |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30136645A (ko) |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방송 청취 방법 및 장치 | |
KR100901124B1 (ko)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전계 판단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
CN112669859A (zh) | 一种通信模式控制方法及装置 | |
JP2014072678A (ja) | 受信装置、及び、受信制御方法 | |
KR20060106299A (ko) |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51033B1 (ko) | 디지털 아날로그 방송의 전환 방법 및 전환 장치 | |
US9660747B2 (en) | Media signal broadcasting method, media signal broadcasting system, host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 |
US20110282470A1 (en) | Using radio frequency tuning to control a portable audio device | |
JP2007208384A (ja) | デジタル放送受信端末 | |
US881190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signal interference-avoiding data transmission | |
KR101500345B1 (ko) | 음소거 기능 제어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시스템 | |
JP5728369B2 (ja) | 携帯端末およびチャンネル設定プログラム | |
JP2007036583A (ja) | 情報送信装置、受信機および周波数特定方法 | |
KR20070010621A (ko) | 라디오 잡음의 출력을 차단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수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