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632A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liability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liability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5632A KR20130135632A KR1020120059381A KR20120059381A KR20130135632A KR 20130135632 A KR20130135632 A KR 20130135632A KR 1020120059381 A KR1020120059381 A KR 1020120059381A KR 20120059381 A KR20120059381 A KR 20120059381A KR 20130135632 A KR20130135632 A KR 201301356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low resistance
- semiconductor layer
- conductive
- conductive lamin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32—Manufacture or treatment of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4—Bodies having reflecting means,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를 갖는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2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2 전극은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저저항 패턴을 구비한다.A light emitting dio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ductive laminate and a low resistance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onductive lamin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는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및 상기 n형 및 p형 반도체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구비하는 소자로서, 상기 n형 및 p형 반도체층들에 순방향 전계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활성층 내로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고, 상기 활성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면서 광을 방출한다.The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n-type and p-type semiconductor layers, wherein when a forward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n-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into the active layer, and electrons injected into the active layer recombine with holes to emit light.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상기 p형 반도체층에 각각 접속하는 전극들을 형성하는 물질들 중 일부는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자 신뢰성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Some of the materials forming the electrodes connect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may be oxidized in contact with oxygen in the air. In this case, deterioration of device reliability can be cau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전극 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발광다이오드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를 갖는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2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2 전극은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저저항 패턴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ductive laminate and a low resistance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onductive laminate.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발광다이오드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를 갖는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2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2 전극은 차례로 적층된 도전성 적층체와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저저항 패턴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가장 큰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has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ductive laminate and a low resistance pattern,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low resistance pattern has a width larger than the largest width of the conductive laminate.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구비하는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도전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저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구비한다. 상기 저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ode.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form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hav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forming a conductive laminate and forming a low resistance pattern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onductive laminate. Forming the low resistance pattern may be performed using an electroless plat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저항 패턴은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뿐 아니라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측벽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산화에 취약한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측벽이 산화되는 것을 적어도 일부 막을 수 있어 소자 신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면 상기 저저항 패턴을 한정된 영역에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resistance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s of the conductive laminate as well as the top of the conductive laminate.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sidewall of the conductive laminate including a material vulnerable to oxid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thereby improving device reliability. In addition, when the electroless plating method is used, the low resistance pattern can be formed only in a limited reg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나타낸 레이아웃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절단선 Ⅰ-Ⅰ′를 따라 공정 단계별로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공정 단계별로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layout showing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step by step along the cutting line II ′ of FIG. 1.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step by step along the cutting line II-II ′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위쪽, 상(부), 상면 등의 방향적인 표현은 아래쪽, 하(부), 하면 등의 의미로도 이해될 수 있다. 즉, 공간적인 방향의 표현은 상대적인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절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는 것처럼 한정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더불어서, 본 명세서에서 "제1" 또는 "제2"는 구성요소들에 어떠한 한정을 가하려는 것은 아니며, 다만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layer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or a third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rectional expressions of the upper side, the upper side, the upper side, and the like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lower, lower (lower), lower, and the like. That is, the expression of the spatial direction should be understood in a relative direction, an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definitively as an absolute direc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first" or "seco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elements, but merely as terms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나타낸 레이아웃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절단선 Ⅰ-Ⅰ′를 따라 공정 단계별로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공정 단계별로 취해진 단면도들이다.1 is a layout showing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step by step along the cutting line II ′ of FIG. 1.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step by step along the cutting line II-II ′ of FIG. 1.
도 1,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10)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10)은 사파이어(Al2O3), 실리콘 카바이드(SiC), 질화갈륨(GaN), 질화인듐갈륨(InGaN), 질화알루미늄갈륨(AlGaN), 질화알루미늄(AlN), 갈륨 산화물(Ga2O3), 또는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기판(10)은 사파이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의 상부면 내에 기판 패턴(10a)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 패턴(10a)은 상기 기판(10)의 상부면을 식각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1, 2A, and 3A, a
상기 기판(10) 상에 버퍼층(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1)은 상기 기판(10)이 후술하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서로 다른 격자상수를 갖는 경우에, 이들 사이의 격자부정합을 완화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층으로서, 언도프트 GaN(undoped GaN)층일 수 있다.A
상기 버퍼층(21)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은 질화물계 반도체층으로서, n형 도펀트가 도핑된 층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은 서로 다른 조성을 갖는 복수의 InxAlyGa1-x-yN(0≤x≤1, 0≤y≤1, x+y≤1)층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상에 활성층(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5)은 InxAlyGa1-x-yN(0≤x≤1, 0≤y≤1, 0≤x+y≤1)층일 수 있고,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또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multi-quantum well; MQW)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활성층(25)은 InGaN층 또는 AlGaN층의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또는 InGaN/GaN, AlGaN/(In)GaN, 또는 InAlGaN/(In)GaN의 다층구조인 다중 양자 우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활성층(25) 상에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 또한 질화물계 반도체층일 수 있고, p형 도펀트가 도핑된 층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은 InxAlyGa1-x-yN(0≤x≤1, 0≤y≤1, 0≤x+y≤1)층에 p형 도펀드로서 Mg 또는 Zn가 도핑된 층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은 서로 다른 조성을 갖는 복수의 InxAlyGa1-x-yN(0≤x≤1, 0≤y≤1, 0≤x+y≤1)층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first
상기 버퍼층(21),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상기 활성층(25),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은 발광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들은 금속 유기 화학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MBE),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HVPE) 등을 포함한 다양한 증착 또는 성장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발광 구조체 내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을 노출시키는 메사 식각 영역(MR, mesa etched region)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 상에 절연성 반사층(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 상에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을 덮는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은 광투과 도전막일 수 있다. 일 예로서, ITO(Indium Tin Oxide), Ni/Au, 또는 Cu/Au일 수 있다.A mesa etched region (MR) may be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to expose the first
상기 메사 식각 영역(MR) 내에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및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상에 오믹접촉층, 도전성 반사층, 베리어층, 및 저저항 씨드층을 형성한 후, 이를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과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상에 제1 도전성 적층체(CS1)와 제2 도전성 적층체(CS2)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CS1)는 차례로 적층된 제1 오믹접촉 패턴(41), 제1 반사 패턴(43), 제1 베리어 패턴(45), 및 제1 저저항 씨드 패턴(47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CS2)는 차례로 적층된 제2 오믹접촉 패턴(51), 제2 반사 패턴(53), 제2 베리어 패턴(55), 및 제2 저저항 씨드 패턴(57a)을 구비할 수 있다.An ohmic contact layer, a conductive reflection layer, a barrier layer, and a low resistance seed layer are formed on the first
도 1,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 상에 제1 및 제2 저저항 패턴들(47b, 57b)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사 식각 영역(MR) 내에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상에 제1 전극(40) 및 상기 제1 전극(40)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 배선(40e)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상에 제2 전극(50) 및 상기 제2 전극(50)으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 배선(50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0) 및 상기 제1 연장 배선(40e)은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CS1)와 상기 제1 저저항 패턴(47b)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50) 및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은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CS2)와 상기 제2 저저항 패턴(57b)를 구비할 수 있다.1, 2B, and 3B, first and second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상부뿐 아니라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측벽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산화에 취약한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측벽이 산화되는 것을 적어도 일부 막을 수 있어 소자 신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의 단면적이 커져 면저항이 감소되므로, 전류 스프레딩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 상부에서의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의 두께(Th1)를 1로 할 때,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측벽에서의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의 두께(Th2)는 약 0.3 내지 약 1.2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1의 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저저항 패턴(47b, 57b)의 폭은 상기 각 도전성 적층체(CS1, CS2)의 폭에 비해 클 수 있다.The
나아가,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 내에 포함된 반사 패턴들(43, 53)의 측벽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측벽 전체를 덮어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또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상에도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전극(50) 및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에 인가된 전압은 상기 제2 저저항 패턴(57b)을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전류 스프레딩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은 상기 활성층(25)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은 상기 제2 전극(50) 하부에서는 상기 제2 전극(50)의 폭 즉, 이에 구비된 상기 제2 저저항 패턴(57b)의 폭(W1)보다 더 큰 폭(W2)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은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의 폭 즉, 이에 구비된 상기 제2 저저항 패턴(57b)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연성 반사층(31)은 상기 활성층(25)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활성층(25)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2 전극(50) 또는 상기 제2 연장 배선(50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저저항 패턴(57b)에 흡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2 전극(50)과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질 수 있어,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은 상기 제2 전극(50) 수직 하부 영역 및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의 수직 하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은 그의 절연성으로 인해 상기 제2 전극(50) 및 상기 제2 연장 배선(50e)의 수직 아래 방향으로 전계를 차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류 크라우딩이 완화되고 전류 스프레딩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상기 절연성 반사층(31)은 서로 굴절률이 다른 한 쌍의 절연막들이 교호 적층된 막인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BR을 구성하는 절연막들 각각의 굴절률 및 광학두께는 상기 활성층(25)에서 방출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DBR을 구성하는 절연막들은 SiO2(n=1.4), Al2O3(n=1.6), SiNx(0.5<x<1.8, n=2.05 ~ 2.25), 및 TiO2(n=2.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한 쌍의 절연막들일 수 있다. The insulating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들(47a, 57a)을 씨드층으로 하고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들(47a, 57a)이 형성된 기판을 금속염 수용액 내에 배치하고, 상기 금속염 수용액 내의 금속이온을 환원시켜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들(47a, 57a) 상에 금속층 즉,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을 석출시킬 수 있다. Forming the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은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에 비해 반사율이 높은 층으로 Al, Al 합금, Ag, Ag 합금, 또는 이들의 복합층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은 가시광선 영역 및 자외선 영역에서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에 비해 반사율이 높은 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은 Al층일 수 있다.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은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에 비해 저항이 낮은 층으로, Au 또는 Au 합금층일 수 있다.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들(47a, 57a) 또한 Au 또는 Au 합금층일 수 있다.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이 귀금속인 Au 또는 Au합금층인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면 한정된 영역에만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을 형성할 수 있어 Au의 소모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정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The
상기 오믹접촉 패턴들(41, 51)은 그 하부의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및/또는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7)과의 오믹접촉을 위한 층으로, Cr, Cr 합금, Ti, Ti 합금, Rh, Rh 합금, W, W 합금, Pt, Pt합금, 또는 이들의 복합층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오믹접촉 패턴들(41, 51)은 Cr층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믹접촉 패턴들(41, 51)은 약 1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오믹접촉 패턴들(41, 51)은 약 1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믹접촉 패턴들(41, 51)은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을 하부층 상에 안정적으로 접착시키는 접착층(adhesion layer)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상기 배리어 패턴들(45, 55)은 상기 반사 패턴들(43, 53)과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 사이의 입자 이동(migration)에 따른 집괴(aggromeration) 또는 보이드 형성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의 반사특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패턴들(45, 55)은 상기 반사 패턴들(43, 53)에 비해 융점이 높은 고융점 금속막으로서, Ti, Ti 합금, W, W 합금, Cr, Cr 합금, Ni, Ni 합금, Mo, Mo 합금, Pt, Pt 합금, 또는 이들의 복합층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배리어 패턴(45)은 제1 하부 배리어 패턴(45a)과 제1 상부 배리어 패턴(45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리어 패턴(55)은 제2 하부 배리어 패턴(55a)과 제2 상부 배리어 패턴(55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리어 패턴들(45, 55)이 다중층인 경우에 인장(tension)에 의한 막 필링(peeling)이 억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배리어 패턴들(45a, 55a)은 Cr층이고, 상기 상부 배리어 패턴들(45b, 55b)은 Ni층일 수 있다.The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오믹접촉 패턴들(41, 51)과 상기 베리어 패턴들(45, 55)을 형성하는 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상기 제1 전극(40)과 상기 제2 전극(50)은 공정 편의상 동일한 층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In some cases,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조방법과 유사하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A, 2B, 3A, and 3B except as described below.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사 식각 영역(MR) 내에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 및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상에 오믹접촉층, 도전성 반사층, 베리어층, 및 저저항 씨드층을 형성한 후, 이를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과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상에 제1 도전성 적층체(CS1)와 제2 도전성 적층체(CS2)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CS1)는 차례로 적층된 제1 오믹접촉 패턴(41), 제1 반사 패턴(43), 제1 베리어 패턴(45), 및 제1 저저항 씨드 패턴(47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CS2)는 차례로 적층된 제2 오믹접촉 패턴(51), 제2 반사 패턴(53), 제2 베리어 패턴(55), 및 제2 저저항 씨드 패턴(57a)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ohmic contact layer, a conductive reflective layer, a barrier layer, and a low layer are formed on the first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23)과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35) 상에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상기 오믹접촉층, 상기 도전성 반사층, 상기 베리어층, 및 상기 저저항 씨드층을 차례로 적층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리프트 오프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하부면들은 상부면들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단면은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역사다리꼴일 수 있다.이 후,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 상에 제1 및 제2 저저항 패턴들(47b, 57b)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상부뿐 아니라 상기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측벽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적층체들(CS1, CS2)의 상부 측벽들에 비해 들어간 하부 측벽들 상에도 상기 저저항 패턴들(47b, 57b)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40, 50)의 폭들(W1)은 도 1,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들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성 반사막(31)의 폭(W2) 또한, 도 1,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광방출 영역이 커질 수 있어 광방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각 저저항 패턴(47b, 57b)의 폭은 상기 각 도전성 적층체(CS1, CS2)의 가장 큰 폭에 비해 클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minates CS1 and CS2 form a positive photoresist pattern on the firs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조방법과 유사하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A, 2B, 3A, and 3B except as described below.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극(40)에 있어서, 제1 반사 패턴(43)의 상부면(43_u)은 활성층의 상부면(25_u)과 같거나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상부면(43_u)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부면(27_u), 나아가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의 상부면(30_u)과 같거나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 전극(40) 중 많은 부분을 상기 제1 반사 패턴(43)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40)에서 상기 제1 저저항 패턴(47b)이 차지하는 비율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저저항 패턴(47b)을 형성하는 Au 또는 Au 합금의 사용량을 낮출 수 있어, 제조 비용 저감에도 유익할 수 있다.As such, by forming a large portion of the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저저항 패턴(47b)은 제1 도전성 적층체(CS1)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사 패턴(43)의 적어도 하부 측벽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활성층(25)에서 상기 제1 전극(40)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노출된 제1 반사 패턴(43)의 측벽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될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상기 활성층(25)에서 상기 제1 전극(40)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제1 저저항 패턴(47b)을 만날 확률이 줄어들어 상기 제1 저저항 패턴(47b)에 의한 광흡수 또한 감소될 수 있어 광방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50)은 상기 제1 전극(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is is possible.
10: 기판 10a : 기판 패턴
21: 버퍼층 23: 제1 도전형 반도체층
25: 활성층 27: 제2 도전형 반도체층
30: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 40, 50: 전극
41, 51: 오믹 접촉 패턴 43, 53: 반사 패턴
45, 55: 배리어 패턴 47a, 57a: 저저항 씨드 패턴
47b, 57b: 저저항 패턴 MR: 메사 식각 영역10:
21: buffer layer 23: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5: active layer 27: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30: current spreading
41, 51:
45, 55:
47b, 57b: low resistance pattern MR: mesa etching region
Claims (29)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전극은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ductive laminate and a low resistance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onductive laminate.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반사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성 반사층은 상기 제2 전극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큰 폭을 갖는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has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으로 연장된 연장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반사층은 상기 연장 배선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배선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큰 폭을 갖는 발광다이오드.3. The method of claim 2,
An extension wiring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on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extends between the extension wiring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has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extension wiring.
상기 절연성 반사층은 DBR인 발광다이오드.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is a light emitting diode DBR.
상기 도전성 적층체 상부에서의 상기 저저항 패턴의 두께를 1로 할 때, 상기 도전성 적층체 측벽에서의 상기 저저항 패턴의 두께는 0.3 내지 1.2인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thickness of the low resistance pattern on the conductive laminate is set to 1, the thickness of the low resistance pattern on the sidewall of the conductive laminate is 0.3 to 1.2.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laminate is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ow resistance seed pattern.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과 상기 저저항 패턴은 동일 물질인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w resistance seed pattern and the low resistance pattern is a light emitting dio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과 상기 저저항 패턴은 Au 또는 Au합금층인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 resistance seed pattern and the low resistance pattern is a light emitting diode of Au or Au alloy layer.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저저항 씨드 패턴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 패턴을 더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ductive laminate further comprises a reflective pattern positioned below the low resistance seed pattern.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반사 패턴 하부에 위치하는 오믹콘택 패턴을 더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ductive laminate further comprises an ohmic contact pattern positioned below the reflective pattern.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반사 패턴과 상기 저저항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베리어 패턴 을 더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conductive laminate further comprises a barrier pattern positioned between the reflective pattern and the low resistance pattern.
상기 발광 구조체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메사 식각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메사 식각 영역 내에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1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제1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2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제2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1 반사 패턴과 제1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2 반사 패턴과 제2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고,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부면과 같거나 높은 레벨을 갖는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es a mesa etching region expos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exposed in the mesa etching region, and has a first low resistance formed on a top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and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With a pattern,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includes a second conductive laminate and a second low resistance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second conductive laminate;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has a first reflective pattern and a first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The second conductive laminate has a second reflective pattern and a second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equentially stacke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has a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Light emitting diode.
상기 발광 구조체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전류 스프레딩 도전막의 상부면과 같거나 높은 레벨을 갖는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12,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current spreading conductive film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has the same level as or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rent spreading conductive film.
상기 제1 저저항 패턴은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적어도 하부 측벽 상에는 위치하지 않는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The first low resistance pattern is not disposed on at least a lower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그의 상부면의 폭이 그의 하부면의 폭에 비해 큰 발광다이오드.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uctive laminate has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arger upper surface than a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전극은 차례로 적층된 도전성 적층체와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저저항 패턴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가장 큰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발광다이오드.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ductive laminate and a low resistance pattern,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low resistance pattern has a width larger than the largest width of the conductive laminate.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반사층; 및
상기 절연성 반사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으로 연장된 전류 스프레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반사층의 폭은 상기 저저항 패턴의 폭에 비해 큰 발광다이오드.17. The method of claim 16,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current spread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extending onto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width of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 resistance pattern.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오믹 콘택 패턴, 반사 패턴, 베리어 패턴 및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ductive laminate is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n ohmic contact pattern, a reflection pattern, a barrier pattern and a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상기 발광 구조체는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메사 식각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메사 식각 영역 내에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1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제1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2 도전성 적층체와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형성된 제2 저저항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1 반사 패턴과 제1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2 반사 패턴과 제2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부면과 같거나 높은 레벨을 갖는 발광다이오드.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es a mesa etching region expos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exposed in the mesa etching region, and has a first low resistance formed on a top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and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With a pattern,
The secon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on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includes a second conductive laminate and a second low resistance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second conductive laminate;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has a first reflective pattern and a first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The second conductive laminate has a second reflective pattern and a second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has the same level as or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저저항 패턴은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적어도 하부 측벽 상에는 위치하지 않는 발광다이오드.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low resistance pattern is not disposed on at least a lower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그의 상부면의 폭이 그의 하부면의 폭에 비해 큰 발광다이오드.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ductive laminate has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arger upper surface than a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전극을 형성하고;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도전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저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Provid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irs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orming of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forming a conductive laminate and forming a low resistance pattern on an upper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onductive laminate.
상기 저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무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2,
Forming the low resistance pattern is performed using an electroless plating method.
상기 저저항 패턴은 Au 또는 Au 합금층인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low resistance pattern is a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ing method of Au or Au alloy layer.
상기 도전성 적층체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절연성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성 반사층은 상기 제2 전극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2,
Before forming the conductive laminate, further comprising forming an insulating reflective layer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insulating reflective layer is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오믹 콘택 패턴, 반사 패턴, 베리어 패턴 및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ductive laminate is a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n ohmic contact pattern, a reflection pattern, a barrier pattern and a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상기 발광 구조체 내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메사 식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메사 식각 영역 내에 노출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성 적층체와 제2 도전성 적층체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제1 저저항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의 상부면 및 측벽 상에 제2 저저항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되,상기 제1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1 반사 패턴과 제1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전성 적층체는 차례로 적층된 제2 반사 패턴과 제2 저저항 씨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상부면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부면과 같거나 높은 레벨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2,
Forming a mesa etching region exposing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i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 first conductive laminate and a second conductive laminate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exposed in the mesa etching region,
Forming a first low resistance pattern on the top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to form the first electrode, and forming a second low resistance pattern on the top surface and the sidewalls of the second conductive laminate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conductive laminate has a first reflective pattern and a first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The second conductive laminate has a second reflective pattern and a second low resistance seed pattern stacked in seque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has a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1 저저항 패턴은 상기 제1 반사 패턴의 적어도 하부 측벽 상에는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28. The method of claim 27,
And forming the first low resistance pattern such that the first low resistance pattern is not positioned on at least a lower sidewall of the first reflective pattern.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그의 하부면이 그의 상부면에 비해 좁게 형성하는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ductive laminate is a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formed narrower than the upper surface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381A KR20130135632A (en) | 2012-06-01 | 2012-06-01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liability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PCT/KR2013/004082 WO2013169032A1 (en) | 2012-05-09 | 2013-05-09 | Light-emitting diodes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381A KR20130135632A (en) | 2012-06-01 | 2012-06-01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liability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5632A true KR20130135632A (en) | 2013-12-11 |
Family
ID=4998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9381A Ceased KR20130135632A (en) | 2012-05-09 | 2012-06-01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liability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563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02343A1 (en) * | 2013-12-30 | 2015-07-09 | 일진엘이디(주)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2012
- 2012-06-01 KR KR1020120059381A patent/KR2013013563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02343A1 (en) * | 2013-12-30 | 2015-07-09 | 일진엘이디(주)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8132B1 (en)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 |
US9142729B2 (en) | Light emitting element | |
CN102456799B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541261B2 (en) |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JP5494005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JP5381853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CN100364119C (en) | Nitride-based compou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05050748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9293657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US20140183590A1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3675310B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 |
KR20140121608A (en) | Reflective Electrode of LED, LED Chip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ose | |
KR20140028803A (en)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flecting dielectric layer for flip bonding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1981119B1 (en) | Ultraviolet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
KR101154511B1 (en) |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165253B1 (en) | Light emitting diode | |
KR20130135632A (en)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reliability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5865870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JP6686913B2 (en) | Light emitting element | |
JP5381822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6747308B2 (en) | Light emitting element | |
KR20130125609A (en) |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 |
KR101910565B1 (en) |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 |
KR20120040125A (en) |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