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35589A - 식품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589A
KR20130135589A KR1020120059299A KR20120059299A KR20130135589A KR 20130135589 A KR20130135589 A KR 20130135589A KR 1020120059299 A KR1020120059299 A KR 1020120059299A KR 20120059299 A KR20120059299 A KR 20120059299A KR 20130135589 A KR20130135589 A KR 20130135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hing water
unit
reaction tank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환
이성민
서대웅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589A/ko
Priority to PCT/KR2013/004756 priority patent/WO2013180484A1/en
Publication of KR2013013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5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5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B2/53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식품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가능한 반응조, 상기 반응조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반응조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식품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함으로써, 발열 현상 없이 자외선의 높은 살균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가능한 반응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자외선에 노출되는 식품의 표면적을 넓혀 식품의 살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 살균 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food}
본 발명은 식품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식품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량으로 식자재를 취급하는 단체 급식이나 대규모 요식 업체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업체들이 상기와 같이 대량으로 식자재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식품 등의 살균처리나 위생처리가 충분하지 못해 식중독 등의 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특히, 다수의 인원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대규모 업체에서 상기와 같은 식품의 위생으로 인한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그 피해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요구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차아염소산소다 또는 아염소산소다의 희석액을 식품에 분무하거나 침지시켜 식품을 살균하는 시스템이나 식품의 표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세균을 제거하는 살균 시스템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소다 또는 아염소산소다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살균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용액에 산을 가하거나, 아염소산소다 또는 아염소산소다의 농도를 높인다. 상기와 같이 특정 약품을 첨가하여 파아염소산이온 등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염소가스 등이 발생하거나, 살균 농도보다 높은 농도가 발생되어 사용중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살균 시스템의 경우, 마이크로파가 투과될 수 있는 용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식품의 모든 표면이 전자선에 노출되지 않아 살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의 높은 살균력으로 인하여 살균 효과는 향상되지만,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식품 내의 단백질을 비롯한 열에 약한 영양소가 변성 및 파괴되어 식품의 신선도나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높은 살균력을 가지면서도, 식품의 전 표면을 골고루 살균할 수 있고 식품의 변성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살균력을 가지는 식품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식품의 모든 표면을 골고루 살균할 수 있는 식품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식품의 변성 및 식감 저하가 일어나지 않은 식품 살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전가능한 반응조, 상기 반응조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반응조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식품 살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반응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세척수를 반응조 내로 주입하는 세척수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함으로써, 발열 현상 없이 자외선의 높은 살균력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의 변성이나 식감의 저하없이도 고효율로 식품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회전가능한 반응조를 이용함으로써, 살균되는 동안 식품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에 노출되는 식품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식품의 살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세척수주입부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음으로써, 식품의 살균과 동시에 식품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식품 살균 장치의 제1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식품 살균 장치의 제2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식품의 세척을 위한 구성이 추가된 식품 살균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위쪽, 상(부), 상면 등의 방향적인 표현은 그 기준에 따라 아래쪽, 하(부), 하면 등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즉, 공간적인 방향의 표현은 상대적인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절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 또는 생략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식품 살균 장치의 제1 및 제2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반응조(200), 회전구동부(300) 및 광원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부(300)는 상기 반응조(200)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2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반응조(200)는 식품을 수납하고, 상기 제공된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회전시킨다. 상기 반응조(200)에 수납된 식품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반응조(200) 내부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식품을 살균한다. 상기 반응조(200) 내의 식품은 회전에 의하여 모든 표면이 골고루 상기 광에 노출됨으로써 고효율로 살균 처리된다.
먼저, 상기 반응조(200)는 수납된 식품이 살균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 및 내부에 식품이 수납되는 수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210)에 수납된 식품은 외부에서 상기 반응조(200) 내부, 즉 수납부(210)로 조사되는 광에 의하여 살균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조(200)는 투광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상기 반응조(200)는 상기 수납부(210)에 수납된 식품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응조(2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데, 상기와 같이 반응조(200)가 회전함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식품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식품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수납부(210)로 조사되는 광에 노출되는 식품의 표면적이 넓어진다.
상기 회전가능한 반응조(200)는 회전측(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C)은 개방된 일면과 상기 개방된 일면(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에 대향하는 밀폐된 타면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도 3에는 상기 회전축(C)이 중력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회전축(C)의 형성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력 방향에 대하여 -90도 내지 90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C)가 중력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C)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90도 또는 90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상기 회전축(C)의 배치 방향에 따라 도 1 및 도 2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응조(200)는 내부에 충격완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완충부(500)는 상기 반응조(200)와 식품이 함께 회전하는 동안 양자 간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충격완충부(500)는 상기 반응조(20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반응조(200)와 수납부(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완충부(500)는 물리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완충부(500)는 수납부(210) 내의 식품이 외부에서 조사된 광에 의하여 살균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동부(300)는 상기 반응조(2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동력부(310) 및 동력전달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3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동력부(310)는 일반적으로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동력부(310)는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적절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동력부(310)는 상기 반응조(200)의 개방된 일면(개구부가 형성된 일면)에 대향하는 밀폐된 타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20)는 상기 동력부(31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반응조(20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반응조(200)의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밀폐된 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부(320)는 상기 반응조(200)의 회전축(C) 상에서 상기 반응조(2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부(320)는 기어, 마찰차, 폴리와 벨트, 체인과 스프로킷, 캠, 링크 로프 등과 같은 공지의 동력전달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반응조(2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조(200) 내부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원부(400)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반응조(200)의 수납부(210)에 수납된 식품을 살균한다. 상기 광원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200 ㎚ 내지 400 ㎚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근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심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400)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모듈의 형태일 수 있고,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400)를 구성하는 모듈은 유사한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단일 파장 또는 서로 다른 복수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모듈은 서로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단일 방향 또는 다중 방향에서 보다 많은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반응조(200) 내부를 향한 광의 조사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상기 반응조(200) 외부에 존재하는 광원부(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프레임(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600)은 상기 반응조(200)와 동일한 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600)은 상기 반응조(200)와 동일한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반응조(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반응조(200)와 내부프레임(600)의 이격에 의하여, 상기 반응조(200)의 외주면과 상기 내부프레임(600)의 내주면 사이에는 공간부(610)가 형성된다.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공간부(610)에서, 상기 내부프레임(60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프레임(100)에 의하여 지지된 내부프레임(600) 상에 고정된 광원부(400)는 상기 반응조(200)와 이격 배치되는 바, 상기 반응조(20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덮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700)는 외부덮개(710) 및 반응조덮개(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덮개(710)는 외부프레임(1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수단으로서, 일측의 모서리가 상기 외부프레임(100)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부착된 채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외부덮개(710)의 반응조(200)에 대향하는 일면에는 반응조덮개(7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조덮개(730)는 반응조(200)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반응조(200)와 식품이 함께 회전하는 동안 양자 간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700)에는 외부덮개(710)와 상기 반응조덮개(730) 사이에 내부덮개(720)가 추가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회전에 의하여 노출되는 식품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고, 식품이 회전하는 동안 시키면서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식품을 효율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식품의 세척을 위한 구성이 추가된 식품 살균 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식품 살균 장치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식품 살균 장치에 식품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식품의 살균과 동시에 식품의 세척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식품 살균 장치에 세척수주입부(8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수납부(210) 내로 주입시키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세척수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수납부(210) 내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수주입부(800)의 노즐일 수 있다. 상기 세척수는 식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유체로서, 정수, 식염수, 전기분해수 등 일 수 있다.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상기 반응조(200)의 수납부(210)로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는 위치에 적절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상기 세척수주입부(800)가 상기 덮개부(700)에서 반응조(20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상기 세척수주입부(8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반응조(200)에 별도로 형성된 세척수주입로(미도시)를 통해 수납부(210) 내부로 세척수를 주입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상기 반응조(2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다. 즉, 세척수가 주입되지 않은 반응조(200)에 식품을 수납하고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시키면서 광을 조사하여, 수납된 식품의 살균처리와 동시에 또는 살균처리의 완료된 후에 상기 세척수를 주입하여 상기 식품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상기 반응조(200)에 식품을 수납하고 식품이 수납된 방응조에 세척수를 주입하여 상기 식품이 세척수에 담지되게 한 다음, 상기 반응조(200)를 회전시키면서 광을 조사하여 살균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상기 반응조(200)에 수납된 식품의 살균처리 전에 상기 세척수를 주입할 수도 있고, 상기 살균처리와 동시 또는 완료 후에 상기 세척수를 주입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를 통해 상기 수납부(210) 내부로 주입된 세척수는 상기 반응조(200)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에 수납된 식품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식품과 세척수가 함께 회전할 때 발생하는 식품과 세척수 간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식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에 의하여 세척수에 노출되는 식품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보다 효율적인 식품의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는 직수와 같은 외부 세척수원(미도시)에 직접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수도원에서 유래한 물이 아닌 식염수, 이온수 또는 전기분해수 등과 같은 기능성 유체를 세척수로 이용하여 식품을 세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외부의 세척수원(미도시)이 아닌 내부의 세척수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부의 세척수원으로서,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세척수저장부(900) 및 세척수펌프(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저장부(900) 및 세척수펌프(1000)는 외부프레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수로서 전기분해수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저장부(90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된다. 그러나, 상기 세척수로서 전기분해수가 아닌 다른 종류의 유체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상기 세척수저장부(900)는 식염수, 이온수 또는 전기분해수 등과 같은 기능성 유체를 저장하는 수단이고, 상기 세척수펌프(1000)는 상기 세척수저장부(90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취출하여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로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세척수저장부(900) 및 세척수펌프(1000)는 세척수유동관(1100)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세척수주입부(800)에 직렬연결된다. 즉, 상기 세척수저장부(900)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펌프(1000)에 의해 취출되고, 세척수유동관(1100)을 거쳐 상기 세척수주입부(800)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수저장부(900)는 세척수의 살균을 위하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200)는 200 ㎚ 내지 400 ㎚ 파장대역의 광을 발광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200)는 살균력이 뛰어난 200 ㎚ 내지 300 ㎚ 파장대역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200)가 상기 세척수저장부(900)의 내부에서 세척수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200)는 개별적으로 자체 방수된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살균 장치가 식품 세척을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방수구(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구(1300)는 식품의 세척과 동시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반응조(200)에서 회전축(C)과 평행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C)과 평행한 측면에 방수구(1300)가 형성되는 경우, 세척수는 식품의 살균 및 세척과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식품의 살균과 세척을 위하여 반응조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세척수가 방출구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상기 방수구(13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구(1300)는 상기 반응조(200)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식품의 살균과 세척이 완료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식품의 살균과 세척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하여 노출되는 식품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바, 식품을 효율적으로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작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식품 살균 장치의 살균 또는 세척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광원부(400)와 상기 세척수주입부(8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온/오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살균 또는 세척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하거나, 살균과 세척을 모두 수행하도록 상기 식품 살균 장치를 제어한다. 즉, 살균만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광원부(400)에만 전류를 인가하고, 세척만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세척수주입부(800)에만 전류를 인가한다. 또한, 살균 및 세척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광원부(400) 및 상기 세척수주입부(800) 모두에 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식품 살균 장치는 상기 작동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표시부는 상기 작동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살균 또는 세척 중 어느 것인지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작동표시부는 실시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식품 살균 장치는 식품의 살균과 세척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식품 살균 장치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Figure pat00001

Claims (14)

  1. 회전가능한 반응조;
    상기 반응조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반응조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식품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200 ㎚ 내지 400 ㎚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투광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충격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부는 투광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내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반응조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반응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세척수를 반응조 내로 주입하는 세척수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저장부; 및
    상기 세척수저장부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주입부로 취출하는 세척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저장부는 200 ㎚ 내지 400 ㎚ 파장대역의 광을 발광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는 방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는 정수, 식염수 또는 전기분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장치.
KR1020120059299A 2012-06-01 2012-06-01 식품 살균 장치 Ceased KR20130135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99A KR20130135589A (ko) 2012-06-01 2012-06-01 식품 살균 장치
PCT/KR2013/004756 WO2013180484A1 (en) 2012-06-01 2013-05-30 Apparatus for sterilizing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99A KR20130135589A (ko) 2012-06-01 2012-06-01 식품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89A true KR20130135589A (ko) 2013-12-11

Family

ID=4967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299A Ceased KR20130135589A (ko) 2012-06-01 2012-06-01 식품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35589A (ko)
WO (1) WO20131804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037A (ko) 2019-04-23 2020-11-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플라즈마 기반의 신규한 식품의 살균 방법
KR20220095427A (ko) 2020-12-30 2022-07-0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플라즈마 및 초음파 기반의 신규한 식품의 살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19894D0 (en) * 1997-09-18 1997-11-19 Newman Paul B D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food
US6006659A (en) * 1998-10-13 1999-12-28 Rosenthal; Richard A. Personal pasteurization system
JP2000270819A (ja) * 1999-03-24 2000-10-03 Matsushita Refrig Co Ltd 洗浄機
US20020168287A1 (en) * 2001-03-27 2002-11-14 Richard Eckhardt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sterilizing irregularly-shaped objects
ITVI20070010A1 (it) * 2007-01-11 2008-07-12 Giorgia S R L Elettrodomestico per la sanificazione di alimenti
US20090098259A1 (en) * 2007-10-12 2009-04-16 Mcellen John J Sanitizing salad spinner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037A (ko) 2019-04-23 2020-11-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플라즈마 기반의 신규한 식품의 살균 방법
KR20220095427A (ko) 2020-12-30 2022-07-0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플라즈마 및 초음파 기반의 신규한 식품의 살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484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82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ffecting a chemical or mechanical property of a target site
JP6055513B2 (ja) 紫外線殺菌方法
CN101548790B (zh) 一种用紫外线杀菌消毒的果蔬清洗机
US20120294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terilization of packaging means
JP2000511497A (ja) パッケージ及びその内容物のパルス光滅菌におけるパラメータ制御
AU2005211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sterilization using UV light source
CN114291453B (zh) 一种医疗废物自清洁灭菌桶
JP4551797B2 (ja) 電磁波照射装置
KR20130135589A (ko) 식품 살균 장치
JP2013094690A (ja) 浄水器
KR2015013301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50022A (ko) 냉장고용 신선도 유지 장치
WO2018026008A1 (ja) 紫外線殺菌方法及び紫外線殺菌装置
CN201648777U (zh) 洗衣机紫外线杀菌消毒装置
CN112656967A (zh) 便携式智能消毒盒
CN209136313U (zh) 具有紫外杀菌功能的保温瓶
JP2014014798A (ja) 除菌浄化装置
CN212041746U (zh) 一种基于野战条件下移动式消毒供应处理站
JP6405348B2 (ja) 紫外線殺菌方法
KR101112098B1 (ko) 의료기기용 세척기
KR101269386B1 (ko) Led-uv 램프와 광촉매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JP4673980B2 (ja) 紫外線処理装置
KR20200099095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용기
JP2001017144A (ja) 洗浄機
CN106667777A (zh) 奶瓶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