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723A -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28723A KR20130128723A KR1020120052656A KR20120052656A KR20130128723A KR 20130128723 A KR20130128723 A KR 20130128723A KR 1020120052656 A KR1020120052656 A KR 1020120052656A KR 20120052656 A KR20120052656 A KR 20120052656A KR 20130128723 A KR20130128723 A KR 201301287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mark
- input device
- mark surface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외관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외관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패드부의 외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의 내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의 마크 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마크 면을 구성하는 마크에 있어서 유효한 마크와 무효한 마크의 예를 각각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마크 판독이 용이하게 디자인한 마크 면을 도시한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마크 면의 각 마크 간 간격을 도시한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2 : 광학부 14 : 연결부
16 : 복원부 100 : 패드
100a : 마크 면 120 : 광원
122 : 센서 150 : 프로세서
Claims (17)
- 각 마크 별로 서로 상이한 코드를 갖는 마크들로 구성된 마크 면을 일면에 포함하거나 마크 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 방향으로 상기 패드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광원을 통해 광을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에 조사하며 사용자 힘이 가해지면 센서를 통해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의 소정의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여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광학부;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광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광학부가 고정되고, 상기 패드부에 사용자 힘이 가해져 상기 패드부의마크 면이 상기 광학부와는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부 상부에 사용자의 클릭 동작 수행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거나, 상기 패드부 자체가 사용자가 클릭 가능한 버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가 고정되고 상기 광학부에 사용자 힘이 가해져 상기 광학부가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과는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광학부의 상대적 위치를 원점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장치는 마우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장치는 상기 패드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버튼으로 구성된 볼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에서 하나의 마크를 구성하는 셀들에 있어서 각 행과 열 별로 모두 비워진 행이나 열이 없도록 코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의 마크들은 이진 값, 명도 값 및 컬러 값 중 하나를 이용하여 코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광 반사가 이루어진 패드 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마크와 해당 위치를 판독하여 상기 패드부의 현재 상대위치를 계산하고, 미리 정의된 원점으로부터 현재 상대위치까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입력크기와 속도 및 방향 벡터를 포함하는 입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전에 획득한 일련의 패드부의 상대위치와 상기 패드부의 현재 상대위치의 차이와, 두 위치 간의 이동에 소요된 시간으로부터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패드부의 상대위치 차이와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입력크기와 속도 및 방향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입력장치. - 방향 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에 있어서,
패드부의 패드가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힘이 가해지면, 사용자 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패드부의 마크 면과 광학부가 상대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마크 면의 소정의 마크에서 상기 광원으로터 수신된 광을 반사하는 단계;
상기 광학부의 센서가 상기 마크 면의 소정의 마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감지하여 이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를 통해 변환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입력 방향 및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광 반사가 이루어진 패드의 마크 위치를 판독하여 상기 패드부의 현재 상대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미리 정의된 원점으로부터 현재 패드부의 상대위치까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입력크기와 속도 및 방향 벡터를 포함하는 입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이전에 획득한 일련의 패드부의 상대위치와 상기 패드부의 현재 상대위치의 차이와, 두 위치 간의 이동에 소요된 시간으로부터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부의 상대위치 차이와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입력크기와 속도 및 방향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마크 면 눌림 시에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시작하는 단계; 및
마크 면 눌림이 해제되거나 마크 면이 원점으로 이동하면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656A KR101341577B1 (ko) | 2012-05-17 | 2012-05-17 |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CN201380037924.2A CN104508603A (zh) | 2012-05-17 | 2013-04-23 | 方向输入装置和利用方向输入装置操作用户界面的方法 |
PCT/KR2013/003458 WO2013172560A1 (ko) | 2012-05-17 | 2013-04-23 |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US14/401,620 US20150103052A1 (en) | 2012-05-17 | 2013-04-23 | Directio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656A KR101341577B1 (ko) | 2012-05-17 | 2012-05-17 |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723A true KR20130128723A (ko) | 2013-11-27 |
KR101341577B1 KR101341577B1 (ko) | 2013-12-13 |
Family
ID=4958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2656A Active KR101341577B1 (ko) | 2012-05-17 | 2012-05-17 |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03052A1 (ko) |
KR (1) | KR101341577B1 (ko) |
CN (1) | CN104508603A (ko) |
WO (1) | WO20131725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75672B2 (ja) * | 2014-01-21 | 2018-08-2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
US10444040B2 (en) * | 2015-09-25 | 2019-10-15 | Apple Inc. | Crown with three-dimensional input |
CN107102750B (zh) * | 2017-04-23 | 2019-07-26 | 吉林大学 | 一种基于笔式交互系统的虚拟三维空间中目标的选择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9870A (ja) * | 1989-10-31 | 1991-11-07 | Kuraray Co Ltd | 光学読取り装置用のパッド |
NO300943B1 (no) * | 1995-04-03 | 1997-08-18 | Steinar Pedersen | Redskap for posisjonering og kontroll av objekter i to eller tre dimensjoner |
US6686579B2 (en) * | 2000-04-22 | 2004-02-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igital pen using speckle tracking |
IL151213A0 (en) * | 2000-12-15 | 2003-04-10 | Finger System Inc | Pen type optical mous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100650623B1 (ko) * | 2004-03-12 | 2006-12-06 | (주)모비솔 | 스위치 기능을 갖는 광학식 포인팅 장치 |
TWI221186B (en) * | 2003-09-19 | 2004-09-21 | Primax Electronics Ltd | Optical detector for detecting relative shift |
KR100734246B1 (ko) * | 2003-10-02 | 2007-07-02 | (주)모비솔 | 반사거울을 이용한 광학식 포인팅 장치 |
KR100547090B1 (ko) * | 2004-01-12 | 2006-01-31 | 와우테크 주식회사 | 펜형 광마우스 |
KR100551213B1 (ko) * | 2004-05-27 | 2006-02-14 | 와우테크 주식회사 | 광학 펜 마우스 |
KR20060032251A (ko) * | 2004-10-11 | 2006-04-17 | 김진일 | 휴대형 소형 단말기용 광마우스 |
KR20060032461A (ko) * | 2004-10-12 | 2006-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광마우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
TW200807287A (en) * | 2006-07-21 | 2008-02-01 | Kye Systems Corp | Optical operation input device |
CN101149648A (zh) * | 2006-09-21 | 2008-03-26 | 郑东兴 | 鼠标 |
KR20080058219A (ko) * | 2006-12-21 | 2008-06-25 | 이문기 |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마우스 |
CN201556171U (zh) * | 2009-06-19 | 2010-08-18 |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 鼠标滚轮装置 |
KR101116998B1 (ko) * | 2009-11-24 | 2012-03-16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스위치 장치 |
CN202177873U (zh) * | 2011-06-28 | 2012-03-28 | 刘笃林 | 一种空中鼠标 |
-
2012
- 2012-05-17 KR KR1020120052656A patent/KR101341577B1/ko active Active
-
2013
- 2013-04-23 CN CN201380037924.2A patent/CN104508603A/zh active Pending
- 2013-04-23 WO PCT/KR2013/003458 patent/WO201317256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23 US US14/401,620 patent/US20150103052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508603A (zh) | 2015-04-08 |
US20150103052A1 (en) | 2015-04-16 |
WO2013172560A1 (ko) | 2013-11-21 |
KR101341577B1 (ko) | 2013-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3053B2 (en) | Input device | |
US9857892B2 (en) | Optical sensing mechanisms for input devices | |
US7295329B2 (en) | Position detection system | |
US11442559B2 (en) | Dual-mode optical input device | |
JP5166713B2 (ja) | レーザスペックルを使用する位置検出システム | |
US20200012354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 |
CN103744542B (zh) | 混合式指向装置 | |
JP2006202291A (ja) | 光学スライドパッド | |
KR101341577B1 (ko) | 방향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 | |
US7825898B2 (en) | Inertial sensing input apparatus | |
JP6209563B2 (ja) | カーソル制御装置及び方法 | |
TWM451589U (zh) | 光學感測式輸入裝置 | |
KR101460028B1 (ko) | 비접촉 조작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 | |
KR101095923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 | |
CN2660590Y (zh) | 指针输入装置 | |
CN102043482B (zh) | 多光学组件的执行方法及其笔型光学输入装置 | |
CN200953138Y (zh) | 可按压的触控模块及触控输入装置 | |
EP1775656A1 (en) | Inertial sensing input apparatus | |
JP2006522981A (ja)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 |
CN106325576B (zh) | 光标控制装置与方法 | |
KR100911801B1 (ko) | 마우스 장치 | |
CN201540536U (zh) | 电脑输入装置 | |
TW200534153A (en) | Poi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