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075A -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25075A KR20130125075A KR1020120048545A KR20120048545A KR20130125075A KR 20130125075 A KR20130125075 A KR 20130125075A KR 1020120048545 A KR1020120048545 A KR 1020120048545A KR 20120048545 A KR20120048545 A KR 20120048545A KR 20130125075 A KR20130125075 A KR 201301250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frame
- transmission direction
- prach
- preamble
- se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반 이중(half duplex)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반 이중(half duplex)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송신(Transmission, Tx)과 수신(Reception, Rx)을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되 타임 슬롯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송신 및 수신 타이밍은 TDD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결합하는 다중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 CA) 환경에서, 각 CC의 TDD 설정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반 이중(half duplex) 단말의 경우 동시에 송신 및 수신 작동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특정 타이밍에 복수의 CC에서 통신 방향이 상이한 경우, 반 이중 단말은 송신(상향링크) 및 수신(하향링크)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적어도 일부의 CC에서는 그 CC의 TDD 설정과는 다르게 통신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램덤 억세스 과정에서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 타이밍은 TDD 설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방향이 CC의 TDD 설정과는 다르게 결정되는 경우,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타이밍이 수신(하향링크) 타이밍으로 결정될 수 있어,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CA 환경인 TDD 시스템에서 반 이중 단말의 신뢰성 있는 랜덤 억세스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반 이중(half duplex)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으로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및 특정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상향링크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PRACH를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반 이중(half duplex) 단말로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하는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 및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및 특정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상향링크로 변경하는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 및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PRACH를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CA 환경인 TDD 시스템에서 반 이중 단말의 신뢰성 있는 랜덤 억세스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랜덤 억세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환경에서 각각의 CC의 TDD 설정이 서로 다르고 단말은 반 이중 단말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에서 PCell의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L-grant의 유무에 따라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PCell에서 RA windown 내에 뮤팅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환경인 TDD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반 이중 단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랜덤 억세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환경에서 각각의 CC의 TDD 설정이 서로 다르고 단말은 반 이중 단말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에서 PCell의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L-grant의 유무에 따라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PCell에서 RA windown 내에 뮤팅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환경인 TDD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반 이중 단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단말(10)과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RRH(Radio Resource Head)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LTE-Advanced)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0)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전에 수행되는 단말(10)의 초기 접속은 셀 검색 및 선택(Cell Search and Selection), 시스템 정보 수신(Receive System Information), 및 랜덤 억세스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의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셀 검색 및 선택 단계에서, 단말(10)은 1차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및 2차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를 이용하여 초기 동기화를 수행하고 셀 ID를 추출한다.
시스템 정보 수신 단계에서, 단말(10)은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수신하고, MIB를 수신한 후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을 수신하며, SIB1을 수신한 후 다른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s, SIBs)을 수신한다. 수신된 MIB 및 SIB를 통해 단말(10)은 시스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이 SIB2를 수신한 후, 단말(10)은 랜덤 억세스 채널을 구성한다.
도 2는 랜덤 억세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가로축은 시간(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단말(10)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통해 랜덤 억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기지국(20)으로 전송한다(S110).
프리앰블 포맷은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표 1에서 TCP는 프리앰블에서 cyclic prefix(CP)의 길이(시간)를 나타내고 TSEQ는 sequence part의 길이(시간)를 나타낸다. 프리앰블 포맷 0은 1 ms(1 서브프레임) 동안 송신되고, 프리앰블 포맷 1 및 2는 2 ms(2 서브프레임) 동안 송신되며, 프리앰블 포맷 3은 3 ms(3 서브프레임) 동안 송신될 수 있다.
프리앰블 포맷 0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셀(~14km)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프리앰블 포맷 2는 프리앰블 포맷 0보다 큰 크기의 셀(~29km)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앰블 포맷 1은 프리앰블 포맷 2보다 큰 크기의 셀(~77km)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프리앰블 포맷 3은 프리앰블 포맷 1보다 큰 크기의 셀(~100km)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리앰블 포맷, PRACH 빈도(density), PRACH의 주파수 자원, 및 PRACH의 시간 자원(프리앰블이 전송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등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되고 0 내지 63의 값을 가질 수 있는 PRACH 설정(PRACH configuration)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이때, PRACH의 주파수 자원 및 시간 자원은 PRACH 구성 인덱스와 함께 0 내지 6의 값을 가질 수 있는 TDD 설정(TDD 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20)은 서브프레임 n에서 PDSCH를 통해 랜덤 억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단말(10)로 전송한다(S120). RAR 정보를 포함하는 PDSCH는 RA-RNTI(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지시된다.
RAR 정보는 랜덤 억세스 과정을 위한 상향링크 승인(UL-grant)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단말(10)은 그 정보에 의해 서브프레임 n+k1(k1≥6)에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S130). 전송 타이밍(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된 PDCCH 내의 상향링크 지연 필드(UL delay field)의 값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단말(10)이 서브프레임 n에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단말(10)이 서브프레임 n에서 RAR을 수신하였지만 단말(10)이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정보가 RAR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10)은 전술한 타이밍(서브프레임)에 새로운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TDD 시스템에서,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은 상향링크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이는 상술한 TDD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프리앰블은 상향링크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결합하는 다중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CC는 하나의 PCell(Primary 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Secondary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CC에 대한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프리앰블은 해당하는 CC를 통해 단말(10)로부터 기지국(20)으로 전송될 수 있고, RAR은 PCell을 통해 기지국(20)으로부터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CA 환경에서 기지국(20)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10)은 서로 다른 TDD 설정을 갖는 복수의 C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은 일부 CC에서는 상향링크로, 다른 CC에서는 하향링크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송신 및 수신 작동을 실행할 수 없는 반 이중(half duplex) 단말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통신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야 한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통신 중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되지 않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통신에 해당하는 CC는 뮤팅(muting)된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로 설정된 CC(PCell 또는 SCell)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뮤팅되는 경우, 또는 RAR을 수신하기로 설정된 PCell의 서브프레임이 뮤팅되는 경우, 상술한 랜덤 억세스 과정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환경에서 각각의 CC의 TDD 설정이 서로 다르고 단말은 반 이중 단말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S310).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정보는 CA에 대한 설정 정보, 각 CC에서 TDD 설정 정보, PRACH 설정 정보, 반 이중 단말에 대한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방향(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을 설정한다(S320).
복수의 CC에 대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이 서로 같게 설정된 경우, 원래 설정된 방향이 이용될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CC에 대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경우(충돌하는 경우), 단말은 이 중 하나의 방향을 선택한다.
일 예에서, PCell의 방향과 SCell의 방향이 충돌하는 경우, PCell의 방향이 선택되고, SCell은 뮤팅될 수 있다.
도 4는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에서 PCell의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 부호는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PCell은 TDD 설정 1로 구성되고 SCell은 TDD 설정 0으로 구성된다. PCell의 서브프레임 4는 하향링크로 설정된 반면에 SCell의 서브프레임 4는 상향링크로 설정되어 충돌이 발생하고,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9는 하향링크로 설정된 반면에 SCell의 서브프레임 9는 상향링크로 설정되어 충돌이 발생한다.
충돌이 발생할 때 PCell의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 서브프레임 4 및 9에서 단말은 PCell의 전송 방향인 하향링크로 작동하고, SCell의 서브프레임 4 및 9는 뮤팅된다.
다른 예에서, PCell의 방향과 SCell의 방향이 충돌하는 경우, 즉, 하나의 CC는 상향링크로 다른 CC는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이전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UL-grant가 존재할 때는 상향링크가 선택되고, UL-grant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하향링크가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충돌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L-grant의 유무에 따라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PCell은 TDD 설정 1로 구성되고 SCell은 TDD 설정 0으로 구성된다. PCell의 서브프레임 4는 하향링크로 설정된 반면에 SCell의 서브프레임 4는 상향링크로 설정되어 충돌이 발생하고, 또한 PCell의 서브프레임 9는 하향링크로 설정된 반면에 SCell의 서브프레임 9는 상향링크로 설정되어 충돌이 발생한다.
TDD 설정 0의 서브프레임 4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UL-grant는 서브프레임 0을 통해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9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UL-grant는 서브프레임 5를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0에서 UL-grant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서브프레임 4에서 PCell의 전송 방향인 하향링크가 선택되고, 즉, PCell은 활성화되고 SCell은 뮤팅된다. 한편, 서브프레임 5에서 UL-grant가 전송된 경우, 서브프레임 9에서 SCell의 전송 방향인 상향링크가 선택되고, 즉, SCell은 활성화되고 PCell은 뮤팅된다.
도 5의 예에서 이전 서브프레임에서 UL-grant가 전송된 경우에만 상향링크 방향의 통신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랜덤 억세스 과정 이전에는 UL-grant가 전송될 수 없으므로,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는 하향링크 방향의 통신이 선택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고, 충돌이 발생할 경우 서브프레임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의 예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의 경우 PCell은 하향링크, SCell은 상향링크 방향으로 예시되었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PCell은 상향링크, SCell은 하향링크 방향인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이 랜덤 억세스 과정을 수행하려 할 때, 단말은 프리앰블을 전송할 서브프레임들(PRACH가 설정될 서브프레임들)이 상향링크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프리앰블 포맷이 1, 2 또는 3인 경우 프리앰블은 2 또는 3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므로, 단말은 프리앰블을 전송할 모든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리앰블을 전송할 서브프레임은 PRACH 설정 정보 및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이 PRACH 설정 정보 및 TDD 설정 정보를 결정할 때, 기지국은 프리앰블을 전송할 서브프레임들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PRACH 설정 정보 및 TDD 설정 정보를 결정할 것이다. 그러나, PCell 및 SCell에서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충돌할 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반 이중 단말은 특정 CC의 상향링크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로 동작할 수 있다.
프리앰블 전송 서브프레임들(PRACH가 설정될 서브프레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향링크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즉,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S330에서 아니오), 단말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을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한다(S340).
도 6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n2 및 n3에서 PCell과 SCell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고, S320 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2 및 n3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된다. 이때, SCell에서 프리앰블 포맷은 1 또는 2이고 프리앰블 전송 서브프레임은 n1 및 n2로 결정된다. 서브프레임 n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프리앰블 전송이 가능하지만, 서브프레임 n2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프리앰블 전송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S340 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2의 방향은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된다.
도 7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n2 및 n3에서 PCell과 SCell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고, S320 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2 및 n3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된다. 이때, SCell에서 프리앰블 포맷은 3이고 프리앰블 전송 서브프레임은 n1 내지 n3로 결정된다. 서브프레임 n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프리앰블 전송이 가능하지만, 서브프레임 n2 및 n3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프리앰블 전송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S340 단계에서, 서브프레임 n2 및 n3의 방향은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된다.
S340 단계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할 모든 서브프레임의 방향은 상향링크로 변경된다. S350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RACH를 통해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기지국이 단말로 RAR을 전송하기 전에, RAR이 전송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프레임들(이하 'RA window'라 한다)이 하향링크로 설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60). 즉, RAR은 PCell을 통해 전송되므로, PCell의 RA window 내에 뮤팅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RAR을 수신할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즉, RA window 내에 뮤팅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S360에서 아니오), 단말은 서브프레임의 방향을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변경한다(S370). 즉, 단말은 RA window 내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방향을 PCell을 따르게 한다.
도 8은 PCell에서 RA windown 내에 뮤팅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RAR이 전송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프레임들(RA window)은 n1 내지 n5이고, 기지국으로부터의 RAR은 PCell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n1, n2, n4 또는 n5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중 일부 서브프레임의 방향은 상향링크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L-grant가 있는 경우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상향링크로 결정되고 UL-grant가 없는 경우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하향링크로 결정되는 경우(도 4 참조), 도 8의 예에서, SCell의 서브프레임 n4 및 n5에 대한 UL-grant가 이전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때, 서브프레임 n4 및 n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S360 단계에서, 단말은 RAR을 수신할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n4 및 n5가 하향링크로 설정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S370 단계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n4 및 n5의 방향을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한다. 즉, 단말은 서브프레임 n4 및 n5의 방향을 PCell을 따르도록 변경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향링크로 RAR을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수가 감소하지 않게 되고, RAR 전송이 차단된 확률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지국은 RA window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A-RNTI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PDS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를 통해 RAR을 전송한다(S380). RAR을 수신한 단말은 UL-SCH를 전송한다(S390).
도 9는 복수의 CC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CA 환경인 TDD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반 이중 단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900)은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910),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920), 및 송수신부(930)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910)는 각 CC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을 설정한다.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910)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 각 CC에서의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한다.
각 CC에 대해 전송 방향이 달라서 충돌하는 서브프레임(충돌 서브프레임)의 경우, 즉 일부 CC에 대해서는 상향링크로 다른 CC에 대해서는 하향링크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경우,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910)는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방향을 결정한다. 일 예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방향은 PCell의 TDD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방향은, UL-grant를 통해 상향링크가 예정된 경우에는 상향링크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향링크로 결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920)는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프리앰블 전송 시에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910)에서 설정된 전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920)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 PRACH 설정 정보 및 각 CC에서의 TDD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이 전송될(PRACH가 설정될)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프리앰블이 전송될 서브프레임 중에 충돌 서브프레임이 포함되고, 충돌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920)는 충돌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RAR을 수신할 수 있는 RA window 내에 충돌 서브프레임이 포함되고, 충돌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920)는 충돌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다르게 말하자면, 충돌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PCell의 설정을 따르도록 변경한다.
송수신부(930)는 기지국으로부터 PRACH 설정 정보, TDD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들을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송수신부(930)는 설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해당하는 CC를 통해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고, 설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PCell을 통해 RAR을 수신할 수 있으며, 지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UL-S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반 이중(half duplex)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으로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및 특정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상향링크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PRACH를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는 S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는, PCell에서의 전송 방향과 SCell에서의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방향을 PCell에 따른 전송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요소 반송파에서의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방향을 UL-grant가 있는 경우에는 상향링크로, UL-grant가 없는 경우에는 하향링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PCell에 따른 전송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반 이중(half duplex) 단말로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설정하는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 및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및 특정 요소 반송파에 대한 TDD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상향링크로 변경하는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 및
상기 PRACH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PRACH를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는 S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는, PCell에서의 전송 방향과 SCell에서의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방향을 PCell에 따른 전송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방향 설정부는, 복수의 요소 반송파에서의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방향을 UL-grant가 있는 경우에는 상향링크로, UL-grant가 없는 경우에는 하향링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방향 변경부는,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을 PCell에 따른 전송 방향으로 변경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이중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8545A KR20130125075A (ko) | 2012-05-08 | 2012-05-08 |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PCT/KR2013/003616 WO2013168916A1 (ko) | 2012-05-08 | 2013-04-26 |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8545A KR20130125075A (ko) | 2012-05-08 | 2012-05-08 |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5075A true KR20130125075A (ko) | 2013-11-18 |
Family
ID=4955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8545A KR20130125075A (ko) | 2012-05-08 | 2012-05-08 |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25075A (ko) |
WO (1) | WO20131689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9197B2 (en) * | 2017-04-27 | 2019-09-17 | Qualcomm Incorporated | Sharing of long-term evolution (LTE) uplink spectrum |
CN107223362A (zh) * | 2017-04-28 | 2017-09-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数据传输方法及装置 |
CN116803180A (zh) * | 2021-05-18 | 2023-09-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半双工的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641A (ko) * | 1997-06-20 | 1999-01-15 | 송재인 | 비동기 반이중방식 데이타통신장치의 송수신경로 루핑테스트 방법 |
EP1520376B1 (en) * | 2002-06-27 | 2009-06-24 | Nokia Corporation |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alf-duplex transmission |
JP2007505583A (ja) * | 2003-05-28 | 2007-03-08 | アイピーワイヤレ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tdd処理のための方法、基地局及びモバイルステーション |
KR101519345B1 (ko) * | 2008-01-01 | 2015-05-21 | 주식회사 팬택 | 랜덤 액세스 요청 송수신 및 랜덤 액세스 응답 송수신 방법 |
US8879461B2 (en) * | 2008-12-01 | 2014-11-04 | Qualcomm Incorporated |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
-
2012
- 2012-05-08 KR KR1020120048545A patent/KR201301250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
- 2013-04-26 WO PCT/KR2013/003616 patent/WO201316891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68916A1 (ko) | 2013-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10729B2 (en) |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 | |
US1208917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synchronizing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KR10181012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 |
US10349449B2 (en) |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 |
US9642161B2 (en) | Cross-scheduling for random access response | |
EP3216300B1 (en)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improved random access transmissions | |
CN102271418B (zh) | 一种随机接入的方法及装置 | |
US2014009285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14008621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 |
KR2016013236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 내 단말에 임시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40005310A (ko) | 반송파 결합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 |
CN102325382A (zh) | 随机接入方法和设备 | |
CN106797624B (zh) | 用于适应性地启用使用先听后说基于负载的设备协议的节点的同步的技术 | |
US10244490B2 (en) |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to request resources for a buffer status report | |
KR101934160B1 (ko) | Mtc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130125075A (ko) |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 |
US20230379974A1 (en) | Communication system | |
KR10191121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 |
KR2012013228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 |
KR2012013228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