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24957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957A
KR20130124957A KR1020137015240A KR20137015240A KR20130124957A KR 20130124957 A KR20130124957 A KR 20130124957A KR 1020137015240 A KR1020137015240 A KR 1020137015240A KR 20137015240 A KR20137015240 A KR 20137015240A KR 20130124957 A KR20130124957 A KR 20130124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skin
liquid
surface side
contacting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595B1 (ko
Inventor
히로미 다치카와
다츠유키 야마구치
다카히로 가토
신스케 나가하라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824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115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82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2254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4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가지며, 배설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의 세로 방향과 폭방향의 각각의 방향으로,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홈형상의 오목부와, 그 오목부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저부의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오목부 흡수부로 구성되는 통액 구조가 배치되고, 그 통액 구조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하고, 또한 펄프 섬유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 흡수부보다 고평량인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액 구조의 오목부 흡수부는 저밀도이며, 상기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는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흡수성 물품.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팬츠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각 부재의 재료나 구조를 개량하여, 그 기능이나 착용감의 향상이 도모되어 왔다. 흡수체에 대해서도, 사용 상황이나 물품의 종류에 따른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체를 갖는 냅킨에 있어서, 흡수체의 이면 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가 점재하도록 배치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 압축부와 압축되어 있지 않은 비압축부는 완만하게 두께를 변화시켜 연속된 기복을 이루고, 비압축부로부터 압축부로 높아지는 밀도 구배가 형성된다. 이로써, 표면 시트로부터 흡수체로 유도된 액이 재빠르게 끌려들어가 액체의 충분한 흡수 유지량을 실현하면서, 액 복귀 방지성이나 누출 방지성을 양화(良化)할 수 있다. 또, 세로 방향으로 줄무늬상으로 연장되는 고밀도부와 저밀도부가 교대로 구획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이 흡수체에 의해, 액의 세로 방향으로의 액 확산이 촉진되어 액의 끌어들임성이 우수하고, 폭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도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53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689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흡수 성능을 더욱 높여 표면 시트에 대한 액 잔류나 액 복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잘 덩어리지지 않게 하고, 또한 체액의 배설이 단번에 많이 있었을 때에 재빠르게 대응 가능하고, 또한 장착자의 신체에 피트되어, 그 움직임에 잘 추종하는 유연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가지며,
배설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의 세로 방향과 폭방향 각각의 방향으로,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홈형상의 오목부와, 그 오목부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저부(底部)의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오목부 흡수부로 구성되는 통액(通液) 구조가 배치되고,
그 통액 구조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하고, 또한 펄프 섬유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 흡수부보다 고평량인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액 구조의 오목부 흡수부는 저밀도이며, 상기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는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흡수성 물품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에 대한 액 잔류나 액 복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잘 덩어리지지 않게 한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의 배설이 단번에 많이 있었을 때에 재빠르게 대응 가능하고, 또한 장착자의 신체에 피트되어, 그 움직임에 잘 추종하는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적절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 방향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II-II 선 단면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체만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흡수체를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B) 는 (A) 의 B-B 선 단면도이며, (C) 는 흡수체를 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체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제조시에 있어서의 프레스 롤 가공 전후의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 회전롤 표면의 집적용 오목부에 흡수체 전구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 방향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II-II 선 단면이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 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 방향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II-II 선 단면이다.
도 11 은, 도 9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를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 은, 참고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한 흡수체의 형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제 1 ∼ 제 3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 방향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II-II 선 단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체만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흡수체를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B) 는 (A) 의 B-B 선 단면도이며, (C) 는 흡수체를 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흡수체의 코어랩 시트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또 도 3 에 있어서, 흡수체의 형상의 이해를 위해 누출 방지홈은 생략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10) 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흡수체 (3) 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이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 (3) 의 세로 방향 좌우 양측의 외방에서는 사이드 시트 (4) 가 이면 시트 (2) 에 맞닿아 접합되어 있다. 그 이면 시트와 사이드 시트가 맞닿은 부분에서는 표면 시트 (1) 가 이면 시트 (2) 와 사이드 시트 (4) 로 끼워지고, 또한 그 폭방향 (X 방향) 내방향을 향하여 표면 시트 (1) 가 흡수체 (3) 보다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상기의 각 시트 부재가 흡수체 (3) 의 외방에서 흡수체 (3) 를 개재시키지 않고 히트 시일 등에 의해 접합되어 냅킨 (10) 의 외주연부(外周緣部) (6)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외주연부 (6) 는, 전체적인 신축성을 저해하지 않고, 한 번 흡수된 액이 새지 않을 정도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 (4) 의 자유단 (41) 에는 외주연부 (6) 로 향하는 포켓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액 등의 옆샘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 (10) 의 폭방향 좌우 양 측부에는, 사이드 시트 (4) 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윙부 (42) 가 생리용 냅킨 (10) 의 폭방향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부분을 쇼츠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말아넣어 생리용 냅킨 (10) 을 쇼츠에 고정시킨다.
생리용 냅킨 (10)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는 표면 시트 (1)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흡수체 (3) 에 걸쳐 압착한 누출 방지홈 (5)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2 참조). 누출 방지홈 (5)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흡수체 (3) 의 세로 방향 중앙 부분에 있어서, 경혈(經血) 등의 배설부 대응 영역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압착 부분이 배치되고, 그 좌우 각각의 압착 부분이 흡수체 (3) 의 전후단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흡수체 (3) 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만곡하고, 전단, 후단에서 일치하고 있다. 요컨대, 누출 방지홈 (5) 은, 평면에서 보아 생리용 냅킨 (10) 의 세로 방향의 양 측부에 있어서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2 개의 압착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무단 고리형으로 연속된 형상이다 (도 1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냅킨을 장착하여 사용할 때의 배설액의 옆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설부 대응 영역이란 경혈 혹은 대하 등의 배설을 직접 수용하는 부분 및 그 근방이며, 본 실시형태의 냅킨 (10) 에 있어서는 세로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 윙부 (42) 가 배치되는 위치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누출 방지홈 (5)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무단 고리형의 전단, 후단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어도 되고, 용도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1), 이면 시트 (2), 사이드 시트 (4), 및 흡수체 (3) 의 재료나 치수 등에 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 (1) 는, 배설된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하여, 흡수체에 전달하는 관점과, 감촉이 좋음의 관점에서 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한다. 또, 이면 시트 (2) 로서는, 통기성을 가진 투습성 필름을 단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흡수체 (3) 로서는 펄프 섬유 등과 고흡수성 폴리머를 종이 등의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이면 시트 (2)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는, 생리용 냅킨 (10) 을 착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 (도시 생략) 가 도포되어 있다. 그 점착제에 의해, 생리용 냅킨 (10) 이 사용자의 착의에 접착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10) 은, 그 표면 시트측을 착용자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향하고, 또한, 그 세로 방향을 하복부로부터 둔부에 걸쳐 배치하고, 그 폭방향을 좌우의 다리를 연결하는 라인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하여 착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인체에 접촉하는 측의 면을 피부 측면 내지 피부 맞닿음면 혹은 표면이라고 하고, 이것과 반대측의 면을 비피부면 내지 비피부 맞닿음면 혹은 이면이라고 한다. 이 2 개의 면에 있어서, 피부 측면에 가까운 쪽 내지 그 연장 방향을 피부면측, 피부 맞닿음면측 또는 표면측이라고 하고, 비피부면에 가까운 쪽 내지 그 연장 방향을 비피부면측, 비피부 맞닿음면측 또는 이면측이라고 한다. 장착시에 인체의 전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단부를 전단부로 하고, 후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고 그 단부를 후단부로 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의 표면 또는 이면의 법선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고 그 양을 두께라고 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에서 보아 복측부로부터 가랑이부를 걸쳐 배측부에 이르는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하고, 이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세로 방향은 전형적으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인체의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 (3) 는, 펄프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 적섬물(積纖物) 을 코어랩 시트로 피복한 것이다. 흡수체 (3) 는, 적어도 배설부 대응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 소재 (구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 가 조밀한 상태로 존재하는 고밀도 영역 (38) 과, 고밀도 영역 (38) 에 비해 흡수체 소재가 성긴 상태로 존재하는 저밀도 영역 (39) 을 가지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밀도 영역 (39) 이 평면 방향으로 연속하고, 고밀도 영역 (38) 이 저밀도 영역 (39) 에 둘러싸여 점재하는 해 (海)-도 (島) 구조의 배치로 되어 있다.
저밀도 영역 (39)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함몰하여 공극이 되는 오목부 (31) 와 그 피부 맞닿음면측의 저부에 있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31) 는, 도 3(B) 및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밀도 영역 (38) 에 대응하여,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세로 방향 및 폭방향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세로 방향 및 폭방향의 배치란, 흡수체 (3) 의 평면에서 보아 복수조의 오목부 (31) 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의 열이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의 열이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31) 의 열은, 연속적인 것이거나 단속적인 것이어도 된다. 오목부 흡수부 (34) 는, 도 3(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31) 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 (31) 와 오목부 흡수부 (34) 가, 흡수체 (3) 의 피부면측의 액을 재빠르게 두께 방향으로 끌어들여, 액 복귀시키지 않고 돌출 흡수부 (33) 에의 액 유지·고정을 효과적으로 촉구하는 통액 구조가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고밀도 영역 (38)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는, 오목부 (31) 에 둘러싸인 부분으로서 이면 시트 (2) 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 (33) 로서 구획되어 있다 (도 3(B) 및 (C) 참조). 돌출 흡수부 (33) 는, 펄프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배설액을 흡수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개의 돌출 흡수부 (33) 의 형상은,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대략 장방체 형상이다. 돌출 흡수부 (33) 의 배치는,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자연 상태에서 서로 소정의 간극 (s, r) (도 3(C) 참조) 을 갖도록 종횡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는, 다수의 돌출 흡수부 (33) 를 세로 방향 및 폭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어느 방향으로도 그 투영 이미지가 겹치는 배치이다. 이 오목부 흡수부 (34) 나 돌출 흡수부 (33) 를 포함하는 흡수체 (3) 전체는 이음매가 없는 일체 구조를 이루고 있다.
고밀도 영역 (39) 에 배치된 돌출 흡수부 (33) 는, 오목부 흡수부 (34) 보다 흡수체 소재의 밀도가 높게 되어 모관력이 높고, 오목부 흡수부 (34) 보다 두께가 있는 고평량의 부분이기 때문에 액의 흡수 유지량도 높다. 요컨대, 돌출 흡수부 (33) 는, 주로 액을 유지하여 고정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저밀도 영역 (38) 에 배치된 오목부 흡수부 (34) 는, 돌출 흡수부 (33) 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게 되어 있고, 또한 돌출 흡수부 (33) 보다 두께가 얇은 저평량의 부분이다. 그 때문에, 오목부 흡수부 (34) 는, 돌출 흡수부 (33) 보다 통액 저항이 낮아, 액의 압력 손실을 저해하지 않고 액을 재빠르게 흡수체 (3) 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3(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돌출 흡수부 (33) 가 배치되는 흡수체 (3) 의 고밀도 영역 (38) 에 비해, 오목부 (31) 및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는 흡수체의 저밀도 영역 (39) 의 평량은 낮고, 밀도도 낮게 되어 있다. 오목부 흡수부 (34) 가 액을 재빠르게 끌어들이고 (도 3(B) 화살표 a1), 이것에 인접하는 복수의 돌출 흡수부 (33) 가 그 모관력으로 액을 더욱 빼내어 (도 3(B) 화살표 c1), 그 액을 흡수체 (3) 의 피부면측보다 먼 위치에서 유지·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 흡수부 (34) 와 돌출 흡수부 (33) 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부분 (33a) 이 평면 방향으로 이어져,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있어서의 연속부 (35) 가 된다 (도 3(B) 참조). 연속부 (35) 는, 표면 시트 (1) 에 대해 평탄한 형상이다. 평탄한 연속부 (35) 가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이룸으로써, 표면 시트 (1) 와 흡수체 (3) 의 접촉이 양호하고, 표면 시트 (1) 를 통과한 액이 흡수체 (3) 로 유도되기 쉽다.
연속부 (35) 에 대해 도 3(A)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부 (35) 는 오목부 흡수부 (34) 로 이루어지는 저밀도 영역 (39) 과 돌출 흡수부 (33) 의 부분 (33a) 으로 이루어지는 고밀도 영역 (38) 으로 구획된다. 이 연속부 (35) 에 있어서, 저평량이고 또한 저밀도의 오목부 흡수부 (34) 로 이루어지는 저밀도 영역 (39) 이 액 유지량을 억제한 도액로 (導液路) 가 되고, 또한 그 저밀도 영역 (39) 이 흡수체 (3) 의 평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장되어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 (1) 로부터의 액을 넓은 범위에서 재빠르게 흡수체 (3)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다 (도 3(A) 화살표 b1).
오목부 흡수부 (34) 를 통과한 액은, 일방에서 복수의 돌출 흡수부 (33) 에 분산되어 빼내어져 유지·고정되고 (도 3(B) 화살표 c1), 타방에서 오목부 (31) 에 일단 받아들여진다 (도 3(B) 화살표 c2). 오목부 (31) 에 받아들여진 액은 돌출 흡수부 (33) 에서 흡수 유지된다. 물론 돌출 흡수부 (33) 의 부분 (33a) (연속부 (35) 의 부분) 에서도 액은 직접 흡수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경혈 등등의 고점성의 액이 한 번에 다량으로 배설되거나 반복하여 배설되거나 한 경우에, 한 번에 돌출 흡수부 (33) 에서 흡수 유지할 수 없어도, 오목부 흡수부 (34) 가 재빠르게 끌어들여 오목부 (31) 가 일시적으로 액을 유지하는 완충 기능을 달성한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오목부 (31) 가 연접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 3(C) 참조), 표면 시트 (1) 보다 먼 위치에서 액을 평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3(C) 화살표 d1), 넓은 범위에 점재하는 복수의 돌출 흡수부 (33) 에서 확실하게 흡수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C) 화살표 d2).
이와 같이 오목부 흡수부 (34) 와 오목부 (31) 로 이루어지는 통액 구조에 의해, 액이 표면 시트 (1) 측으로부터 흡수체 (3) 내부에 재빠르게 받아들여져 돌출 흡수부 (33) 에서 확실하게 흡수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서의 액 잔류가 억제되고, 또한 흡수체 (3) 내부로부터 표면 시트 (1) 로의 액 복귀가 발생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0) 에 있어서, 장착 중에 이러한 두께 방향의 압력이 있어도, 경혈 등의 배설액이 표면 시트 (1) 측으로 액 복귀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전술한 고밀도 영역 (38) 이 저밀도 영역 (39) 중에 존재하도록 한 해-도 구조가 표면 시트나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액을 남기지 않고, 재빠르게 두께 방향으로 끌어들여 복수의 돌출 흡수부 (33) 에 유지·고정시키는 것이 하나의 요인이다. 이것에 더하여, 전술한 오목부 흡수부 (34) 와 오목부 (31) 로 이루어지는 통액 구조가, 액의 끌어들임과 이동을 촉구하여 액 복귀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 흡수부 (34) 가 액을 유지하지 않고 재빠르게 오목부 (31) 로 끌어들이는 것, 저밀도 영역인 오목부 흡수부 (34) 와 고밀도 영역 (38) 인 돌출 흡수부 (33) 가 이루는 연속적인 밀도 변화 (고액량을 고확산할 수 있는 구조 배치) 에 의해 적당한 확산성에 의한 오목부에 끌어들일 수 없는 액을 재빠르게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는 것, 오목부 (31) 에 일단 끌어들여진 액이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보다 비교적 먼 위치가 되는 것,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로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액을 재빠르게 이동시켜 돌출 흡수부 (33) 에 흡수 유지시키므로 오목부 (31) 자체의 저장량도 많아지지 않는 것 등의 복수의 작용에 의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오목부 흡수부 (34) 의 존재로 오목부 (31) 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됨과 함께, 이 압력으로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에서의 액의 이동이 촉구되는 것도 요인의 하나로 생각된다.
또한, 흡수체 (3) 는, 그 피부 맞닿음면으로부터 비피부 맞닿음면까지를 고밀도 영역 (38) 의 돌출 흡수부 (33) 로 지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두께 방향의 압력에 대한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고, 액 복귀 억제나 비틀림 방지에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흡수체 (3) 의 표면 시트 (1) 측에 액을 남기지 않고 오목부 (31) 에 재빠르게 끌어들임으로써, 두께 방향의 압력으로도 액의 표면 시트 (1) 측으로의 복귀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양호한 드라이감이 얻어진다. 또, 흡수체 (3) 의 비피부면측이 종횡의 오목부 (31) 에 의해 구획되는 요철 형상임으로써 그 부분에 있어서 세로 방향이나 폭방향의 가요성을 가지며, 생리용 냅킨 (10) 이 피부면의 기복에 피트되는 「신체 적합성」,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양호하게 추종하여, 피부에 대해 부분적인 간극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작 추종성」이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 흡수부 (33) 의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것 외에 적절히 용도나 기능에 따라 배열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형 배열 (상기 투영 이미지가 세로 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보아 대략 반피치 어긋남이 있는 배치) 이어도 된다. 또, 돌출 흡수부 (33) 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것 외에 적절히 용도나 기능에 따라 임의의 형상의 것이 채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오목부 흡수부 (34) 가 액의 유지량을 억제하여 액을 재빠르게 오목부 (31) 로 이동시키고, 오목부 (31) 가 배설액의 일시 저장의 기능을 가지고 표면 시트 (1) 측으로 액을 역복귀시키지 않기 위해, 저밀도 영역 (39) 으로서의 오목부 흡수부 (34) 의 흡수체의 구성 부재의 평균 밀도 (m1) 는, 0.02 ∼ 0.09 g/cm3 가 바람직하고, 0.03 ∼ 0.08 g/cm3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확실한 액의 유지·고정을 위해서, 고밀도 영역 (38) 으로서의 돌출 흡수부 (33) 의 흡수체의 구성 부재의 평균 밀도 (㎡) 는, 0.10 ∼ 0.25 g/cm3 가 바람직하고, 0.10 ∼ 0.20 g/cm3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 흡수부 (33) 는, 제조시의 압축에 의해 고밀도화되는 부분이지만, 가령 그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밀도가 형성되지 않아도, 전체적으로 오목부 흡수부 (34) 보다 밀도가 높아져 있으면 되고, 저밀도 영역 (39) 으로서의 오목부 흡수부 (34) 의 평균 밀도 (m1) 와 고밀도 영역 (38) 으로서의 돌출 흡수부 (33) 의 평균 밀도 (㎡) 의 비율 (m1/㎡) 은 0.80 이하가 바람직하고, 0.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비율 (m1/㎡) 에 대해,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저밀도 영역 (39) 에 있어서 액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고밀도 영역 (38) 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모관력에 의해, 고밀도 영역 (38) 이 효율적으로 액을 흡인·유지하는 흡수 기구가 발현된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오목부 흡수부 (34) 및 오목부 (31) 를 갖는 저밀도 영역 (39) (도 3(B) 참조) 의 흡수체의 구성 부재의 평균 평량 (w1) 은 10 ∼ 16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150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출 흡수부 (33) 를 갖는 고밀도 영역 (38) (도 3(B) 참조) 의 흡수체의 구성 부재의 평균 평량 (w2) 은 160 ∼ 40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350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양자의 흡수체의 구성 부재의 평균 평량비 (w1/w2) 는 0.01 ∼ 0.9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0.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오목부 (31) 의 깊이 (h2) 의 흡수체 (3) 의 두께 (돌출 흡수체 (33) 의 두께) (h1) 에 대한 비율 (%) (도 2 참조) 은 20 ∼ 98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7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 (31) 는, 흡수체 (3) 의 저부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함몰하여 공극이 되는 부분이다. 오목부 흡수부 (34) 는, 그 오목부 (31) 의 상부에 위치하는 흡수체 (3) 의 부분으로서, 벽면 저부 (31a, 31a) 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 (t, t) 으로 구획되는 흡수체 (3) 의 부분이다 (도 3(B) 참조). 돌출 흡수부 (33) 는, 두께 방향으로 늘어선 오목부 (31) 및 오목부 흡수부 (34) 의 영역 (39) 에 인접하고, 영역 (39) 에 둘러싸인 흡수체의 상부로부터 저부까지의 영역 (38) 의 부분이다 (도 2 및 도 3(B) 참조).
[고밀도 영역 (38) 및 저밀도 영역 (39) 의 평균 밀도의 측정 방법]
상기의 정의에 있어서 고밀도 영역 (38) 및 저밀도 영역 (39) 의 밀도란, 흡수체 (3) 의 구성 부재인 펄프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합한 밀도이다. 흡수체 (3) 를, 오목부 (31) 의 벽면 저부 (31a, 31a) 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 (t, t) 으로 절단하여, 고밀도 영역 (38) 의 돌출 흡수부 (33) 와 저밀도 영역 (39) 의 오목부 흡수부 (34) 로 하고, 이들을 각각 길이 50 ㎜, 폭 5 ㎜ 의 크기로 잘라내어 샘플을 조제한다. 이어서, 전자 천칭 (A&D 사 제조 전자 천칭 GR-300, 정밀도 : 소수점 이하 4 자리수) 을 사용하여 샘플의 질량을 측정한다. 정압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샘플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한 샘플의 질량을 샘플의 체적 (두께×길이×폭) 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의 부위의 전체 재료의 밀도를 산출한다. 또한, 저압식 두께계의 측정시 압력은 0.5 g/c㎡ 로 실시한다. 평균 밀도는, 샘플을 임의의 지점에서 10 개 조정하고, 그 평균으로 구해진다.
[고밀도 영역 (38) 및 저밀도 영역 (39) 의 평균 평량의 측정 방법]
고밀도 영역 (38) 의 평균 평량 (w2) 과 저밀도 영역 (39) 의 평균 평량 (w1) 의 측정 방법은, 측정하는 각각의 영역의 면적을 미리 측정하고, 그 측정 영역을 전술한 가상선 (t, t) 에서 커터로 절단하여 그 절단부의 질량을 측정한다. 측정한 질량을 면적으로 나누어, 각각의 밀도 영역의 평균 평량을 측정한다. 평균 평량은, 샘플을 임의의 지점에서 10 개 조정하여, 그 평균으로 구해진다.
[돌출 흡수부 (33) 와 오목부 흡수부 (34) (및 오목부 (31)) 의 두께의 측정]
먼저, 오목부 (31) 는 흡수체 (3) 의 저부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함몰하여 공극이 있는 부분으로 하고, 오목부 흡수부 (34) 는 오목부 (31) 의 상부에 위치하는 흡수체 (3) 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구분할 수 있다 (도 3(B)). 돌출 흡수부 (33) 는, 두께 방향으로 늘어선 오목부 (31) 및 오목부 흡수부 (34) 의 저밀도 영역 (39) 에 인접하여 둘러싸인 흡수체 (3) 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로부터 저부까지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B)). 이 돌출 흡수부 (33) 와 오목부 흡수부 (34) 및 오목부 (31) 의 경계는, 오목부 (31) 의 벽면 저부 (31a, 31a) 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 (t, t) 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도 3(B)).
이와 같이 구분되는 오목부 흡수부 (34) 의 두께 (h3 = h1 - h2) 와 돌출 흡수부 (33) 의 두께 (h1) 의 측정은, 크기 37 ㎜ × 37 ㎜, 두께 3 ㎜ 의 아크릴 플레이트를 흡수체 (3) 상에 놓고, KEYENCE 사 제조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 (레이저 헤드 LK-G30, 변위계 LK-GD500 을 사용하여 돌출 흡수부 (33) 의 두께 (h1) 를 계측하고, 오목부 흡수부 (34) 의 두께 (h3) 를 흡수체의 도 2 상당의 단면을 KEYENCE 사 제조 마이크로 스코프 VHX­1000 을 사용함으로써 계측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생리용 냅킨 (10) 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도 4 및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흡수체 (3) 의 형상, 오목부 (31) 및 돌출 흡수부 (33) 수나 형상, 배치 등은 모식화하여 도시하고 있고, 반드시 도 1, 2 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도 4 는, 생리용 냅킨 (10) 의 흡수체 (3) 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흡수체의 제조 장치 (6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조 장치 (6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집적용 오목부 (9) (퇴적부) 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 (62) 과, 회전 드럼 (62) 의 외주면을 향하여, 섬유 재료 (S) 를 비산 상태로 공급하는 덕트 (63) 와, 덕트 (63) 에 섬유 재료 (S) 를 공급하는 섬유 재료 공급부 (64) 와, 집적용 오목부 (9) 에 넘치도록 퇴적시킨 과잉량의 섬유 재료를 긁어내는 스커핑 롤 (65) 과, 집적용 오목부 (9) 로부터 이형된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의 상하면을 코어랩 시트 (3b) 로 피복하는 피복 기구 (도시 생략) 와, 흡수체 전구체 (70) 를 코어랩 시트 (3b) 로 피복하여 얻어지는 흡수체 연속체를, 1 쌍의 프레스 롤 (66a, 66b) 사이에서 가압하여 압축하는 압축 장치 (66) 와, 압축 후의 흡수체 연속체를, 개개의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치수로 절단하여 가공 후의 흡수체 (3) 로 하는 절단 장치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 (62) 은 원통형을 이루고, 도 4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 드럼 (62) 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집적용 오목부 (9)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드럼 (62) 의 내측 (회전축측) 의 비회전 부분에는, 흡기 팬 (도시 생략) 이 접속되어 있고, 그 흡기 팬의 구동에 의해, 회전 드럼 내측의 구획된 공간 B 및 E 가 부압으로 유지된다. 개개의 집적용 오목부 (9) 의 저면부는, 메시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고, 다수의 세공을 가지고 있다. 개개의 집적용 오목부 (9) 가, 부압으로 유지된 공간 B, E 상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 각 집적용 오목부 (9) 의 저면부의 세공이 흡인공으로서 기능한다.
덕트 (63) 는, 회전 드럼 (62) 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는 취출 (吹出) 단부 (63a) 와, 섬유 재료 공급 장치 (64) 에 접속된 취입 (吹入) 단부 (63b) 를 가지고 있고, 공간 B 상에 위치하는 집적용 오목부 (9) 의 저면부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덕트 (63) 내에, 회전 드럼 (62) 의 외주면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류가 발생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섬유 재료 공급부 (64) 는 해섬기 (64e) 를 구비하고 있고, 펄프 시트 등의 시트상의 원료 (S') 를, 원료 공급용의 닙롤러 (64d) 에 의해 해섬기 (64e) 에 도입하고, 해섬된 섬유 재료 (S) 를 덕트 (63) 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커핑 롤 (65) 은 주위에 브러쉬를 가지고 있고, 그 브러쉬에 의해, 집적용 오목부 (62) 내로부터 넘친 섬유 재료 (S) 를 긁어낸다. 스커핑 롤 (65) 로 긁어내지지 않고 집적용 오목부 (9) 내에 남은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는, 회전 드럼 (62) 의 하방에 있어서 집적용 오목부 (9) 로부터 이형된다. 집적용 오목부 (9) 로부터의 이형은, 회전 드럼 (62) 내의 구획된 공간 D 를 도시되지 않은 가압 수단에 의해 양압으로 유지하고, 집적용 오목부 (9) 의 저면부의 세공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게 함과 함께, 배큐엄 컨베이어 (67) 측으로부터 흡인함으로써 실시한다. 상기 피복 기구는, 배큐엄 컨베이어 (67) 상에, 코어랩 시트 (3b) 를 공급하는 공지된 반송 기구와, 코어랩 시트 상에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가 재치된 후에, 그 코어랩 시트의 양 측부를, 그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상에 되접고, 그 되접기에 의해,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의 상하 양면을 코어랩 시트 (3b) 로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있어서 되접기 공정의 자세한 것은 생략되어 있고, 되접은 코어랩 시트 (3b) 의 상태도 2 개의 선으로서 단순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흡수체의 제조 장치 (60) 를 이용하여, 상기 서술한 흡수체 (3) 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회전 드럼 (62) 및 스커핑 롤 (65) 을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가압 수단을 작동시켜, 공간 B 및 E 를 부압으로 하고, 공간 D 를 양압으로 한다. 또, 배큐엄 컨베이어 (67), 압축 장치 (66) 및 상기 절단 장치를 작동시킨다. 흡기 팬의 작동에 의해, 공간 B 상에 위치하는 집적용 오목부 (9) 의 저면부에 흡인력이 생김과 함께, 덕트 (63) 내에, 회전 드럼 (62) 의 외주면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류가 생긴다. 그리고, 섬유 재료 공급 장치 (64) 를 작동시켜, 덕트 (63) 내에 섬유 재료 (S) (펄프 섬유 (41) 및 고흡수성 폴리머 (42)) 를 공급하면, 그 섬유 재료 (S) 는 비산 상태가 되어, 덕트 (63) 내를 흐르는 공기류에 실려, 회전 드럼 (62) 의 외주면을 향하여 공급된다.
개개의 집적용 오목부 (9) 가, 부압으로 유지된 공간 B 상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 덕트 (63) 로부터 공급되는 섬유 재료 (S) 가 각 집적용 오목부 (9) 에 흡인되어 퇴적된다. 각 집적용 오목부 (9) 에는, 약간 과잉량의 섬유 재료를 퇴적시켜, 집적용 오목부 (9) 내로부터 넘치는 섬유 재료가 스커핑 롤 (65) 로 긁어내진다. 스커핑 롤 (65) 로 긁어내지지 않고 집적용 오목부 (9) 내에 남은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는, 배큐엄 컨베이어 (67) 상에 공급된 코어랩 시트 (3b) 상에 이형된다.
이 흡수체 전구체 (70) 의 형성에 대해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에서는, 흡수체 형상의 기복의 이해를 위해, 집적용 오목부 (9) 전체가 아니고, 돌기부 (51) 가 2 개 배치되는 부분을 잘라내어 예시한다.
도 5(a) 에 나타내는 집적용 오목부 (9) 내부에는, 도 5(a) 의 돌기부 (51) 를 가려내어 펄프 섬유 (41) 와 고흡수성 폴리머 (42) 의 혼합물인 섬유 재료 (S) 가 적섬되어 서서히 퇴적되면, 도 5(b) 와 같이 돌기부 (51) 의 높이를 초과하여 적섬되어, 도 5(c) 흡수체 전구체 (70) 가 된다. 돌기부 (51) 상에 퇴적된 부분 (74) 이 흡수체 (3) 의 오목부 흡수부 (34) 가 되고, 돌기부 (51) 가 있던 부분 (71) 이 흡수체 (3) 의 오목부 (31) 가 된다. 상기 돌기간의 집적용 오목부에 퇴적된 부분 (73) 이 압축되기 전의 돌출 흡수부 (33') 가 된다. 그리고, 돌기부 (51) 보다 높게 적섬된 부분 (75) 이 흡수체 (3) 의 연속부 (35) 가 된다.
코어랩 시트 (3b) 상의 퇴적체 (흡수체 전구체) (70) 는, 되접어 꺾인 코어랩 시트 (3b) 의 양 측부에 의해 피복된 후, 압축 장치 (66) 에 도입되어 1 쌍의 프레스 롤 (66a, 66b) 사이에서 가압된다. 이로써, 돌출 흡수부 (33') 가 압축되어 고밀도 영역의 돌출 흡수부 (33) 로서 성형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절단 수단으로 절단되어, 개개의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치수의 흡수체 (3) 가 된다. 또한, 상기의 가압 방법은 프레스 롤 (66) 외에, 평면상의 프레스기로 압축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압축 수단에 상관없이, 가압하는 조건은 0.5 ∼ 5 kgf/c㎡ 가 바람직하고, 1 ∼ 4 kgf/c㎡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수체 (3) 는 일체 성형되고, 집적용 오목부 내의 돌기부 (51) 의 형상과 배치에 아울러 요철이 형성된다. 오목부 흡수부 (34) 는, 그 두께의 얇기 때문에 평량이 돌출 흡수부 (33) 보다 낮고, 엠보스 등의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오목부 흡수부 (34) 는 통액 저항이 낮아, 액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이 재빠르게 이루어지기 쉽다. 또 이와 같이 일체 형성된 흡수체 (3) 는, 엠보스 등의 압착에 의해 단단해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감촉이 좋아진다. 이 흡수체 (3) 를 갖는 냅킨 (10) 을 장착하면, 표면 시트 (1) 를 통하여 단단하게 닿는 부분이 없어 흡수체 (3) 의 부드러움을 실감할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 (31) 의 부분에서 가요성을 가지므로 몸에 피트되어 양호한 장착감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 (3) 내부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균일하게 존재하지만, 액 복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그 고흡수성 폴리머는, 오목부 흡수부 (34) 를 포함하는 연속부 (35) 보다 돌출 흡수부 (33) 에 많이 편의(偏倚)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 흡수부 (34) 를 포함하는 연속부 (35) 보다 돌출 흡수부 (33) 에 있어서 그 비피부면측에 많이 편의하여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 (31) 의 비피부면측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배치하는 것도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 (3) 에 있어서,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가 누출 방지홈 (5) 의 폭방향 외방의 부분에까지 미쳐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치에 의해, 옆샘을 일으키기 쉬운 흡수체 (3) 양 측부에도 가요성을 부여하고, 착용자의 다리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변형하여, 가랑이에 피트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몸의 움직임에도 추종하여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돌출 흡수부 (33) 및 오목부 (31) 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의 용도에 따라서도 다소 상이하지만, 돌출 흡수부 (33) 의 세로 방향 길이 (k1) (도 3(C) 참조) 는 5 ∼ 40 ㎜ 가 바람직하고, 10 ∼ 2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폭방향 길이 (k2) 는 3 ∼ 40 ㎜ 가 바람직하고, 5 ∼ 1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 (31) 의 세로 방향 길이 (s) 는 1 ∼ 5 ㎜ 가 바람직하고, 1 ∼ 3 ㎜ 가 보다 바람직하다. 폭방향 길이 (r) 는 1 ∼ 5 ㎜ 가 바람직하고, 1 ∼ 3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에 대해, 도 6 ∼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제 2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 방향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II-II 선 단면이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본 제 2 실시형태는 독립적이고 또한 배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하위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 2 실시형태를 위치 부여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명과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명은 동일 또는 대응하는 특별한 기술적 특징에 기초하여 단일의 발명 개념을 형성하여 연관되어 있는 기술적 관계에 있다. 동일한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단, 치수나 상세한 위치 관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른다.).
제 2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2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10) 의 구성 부재 중 표면 시트만이 상이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를 부호 21 로서 나타낸다. 표면 시트 (21) 는, 피부 맞닿음면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규칙적으로 돌출한 부분을 다수 가지며, 그 돌출부는 피부 맞닿음면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 8 참조). 표면 시트 (21) 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21)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상층 (11), 하층 (12) 의 2 층의 섬유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층 (11), 하층 (12) 은, 다수의 엠보스부 (15) 에 있어서의 엠보스에 의한 압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층 (11) 및 하층 (12) 은 평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엠보스가 형성되고, 엠보스부 (15) 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되어 다수의 계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계곡부간의 비엠보스부, 즉 엠보스부 (15) 에 둘러싸인 영역은, 돌기부 (14) 를 형성하고 있다. 상층 (11) 의 돌기부 (14a) 는 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되고, 하층 (12) 의 돌기부 (14b) 는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되어 있다. 그 돌기부 (14a) 및 (14b) 는 상기 서술한 엠보스부 (15) 와 동일하게 평면에서 보아 상층 (11) 및 하층 (12) 의 동일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상층 (11) 및 하층 (12) 에는, 그 전 영역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 (21) 전체로서도, 그 전 영역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층 (11) 및 하층 (12) 의 계곡부가 되는 엠보스부 (15) 는, 표면 시트 (21) 의 섬유가 압밀화된 부분이며, 표면 시트 (21) 의 돌기부 (14) 보다 섬유 밀도가 높고 모관력이 높게 되어 있다. 이로써, 표면 시트 (21) 로부터 흡수체 (3) 로 배설액을 효과적으로 재빠르게 투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6849호의 명세서의 단락 [0007] ∼ [0045] 에 기재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엠보스부 (15) 는, 2 개의 장축을 교차시킨 대략 십자 형상이다 (도 6 참조). 최단 거리에 있는 인접하는 2 개의 엠보스부 (15, 15) 가, 그 장축 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면 시트 (21) 에는 다방향을 향하여 엠보스부 (15) 와 돌기부 (14) 사이에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되고, 표면 시트 (21) 의 액의 확산 및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 엠보스부 (15) 의 형상이나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것 이외에도, 원형이나 사각형의 엠보스가 임의로 점재하도록 해도 되고,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를 가지고 액의 확산과 두께 방향으로의 재빠른 투과가 실현되는 형상이나 배치를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생리용 냅킨 (20) 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구획된 흡수체 (3) 와 표면 시트 (21) 의 동적 작용의 특징을 도 8 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여, 이면 시트 (2) 및 사이드 시트 (4) 는 나타내지 않고, 표면 시트 (21) 의 형상에 대해서는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반드시 도시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지 않아도 된다.
표면 시트 (2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밀도의 구배를 이용한 모관력에 의해, 배설된 액의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이동성이 높아 신체로부터 배설된 액을 재빠르게 흡수체 (3) 로 이행할 수 있다. 또, 상층 (11) 의 돌기부 (14a) 와 하층 (12) 의 돌기부 (14b) 가 두께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8 참조), 액이 평면적으로 1 지점에 모이도록 이동하기 쉽고, 적은 액량이어도 흡수체 (3) 로 유도되게 되어 효과적으로 흡수체 (3) 측으로 투과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상층 (11) 및 하층 (12) 에서 섬유 밀도가 상이하고, 하층의 섬유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하층측에 액이 머물기 쉬워지지만, 액이 집중되는 구조로 됨으로써, 표면 시트의 차폐성, 저액 복귀성에 의한 드라이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흡수체 (3)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복수의 오목부 (31) 를 가지고,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는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흡수부 (34) 는 다른 흡수체 부분보다 통액 저항이 낮고 이 부분을 챔버로 하여 배설된 액 (a1) 은, 재빠르게 흡수체 (3) 의 두께 방향을 향해 흡수된다. 그리고 흡수체 (3) 의 두께 방향으로 이행해 온 액은, 그 일부가 주변의 돌출 흡수부 (33, 33) 로 향하는 이행액 (a2) 이 되고, 다른 일부가 오목부 (31) 에 받아들여지는 저장액 (a3) 이 된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 (21) 로부터 투과되는 액이 오목부 흡수부 (34) 에서 끌려들어가, a2 나 a3 으로 분산됨으로써, 흡수체의 표면측에서의 유지량이 감소하여 통액 저항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이로써 표면 시트 (21) 로의 액 복귀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 (20) 은,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높은 투과성을 가진 표면 시트 (21) 의 성능을, 오목부 (31) 를 가진 흡수체 (3) 의 높은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에 의해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받아들인 수분의 피부로의 액 복귀를 억제하여, 바람직한 드라이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냅킨 (20) 에 있어서, 표면 시트 (21) 는 액을 집중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 (21) 에 있어서의 액 잔류량을 저감 (드라이감 향상) 할 수 있고, 흡수체 (3) 와 직접 접하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액 복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표면 시트 (21) 에 있어서, 흡수체 (3) 의 저밀도 영역 (39) 과 고밀도 영역 (38) 이 피부 맞닿음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전술한 효과 중에서도 저밀도 영역 (39) 의 오목부 흡수부 (34) 와 고밀도 영역 (38) 의 돌출 흡수부 (33) 가 이루는 연속적인 밀도 변화에서 오는 적당한 확산성의 발현에 의해, 보다 표면 시트 (21) 에 있어서의 드라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흡수체 (3) 에 있어서의 상기 연속적인 밀도 변화는 고밀도 영역 (38) 의 주위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과도한 확산성은 발현되지 않아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표면 시트 (21) 의 재료 및 그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하기에 기술한다.
표면 시트 (21) 는, 예를 들어, 비열수축성 섬유 재료 또는 하층의 섬유보다 열수축 온도가 높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상층 (11), 상층의 섬유보다 열수축 온도가 높은 수축 전의 열수축성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층 (12) 으로 구성된다.
이 상층 (11) 및 하층 (12) 을, 열 등의 엠보스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융착시킨 후, 열을 가하여, 하층 (12) 을 수평 방향으로 열수축시킨다. 그러면, 상층 (11), 하층 (12) 이 엠보스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층 (12) 은 수축하면, 상층 (11) 은 엠보스에 의해 하층 (12) 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끌려서 줄어들려고 한다. 그러나, 상층 (11) 은, 열수축이 일어나지 않거나 하층 (12) 보다는 열수축이 작기 때문에, 변형이 생기고, 이 변형은 상층 (11) 에 볼록한 융기가 되어 나타난다. 이것과 함께, 하층 (12) 측에도 상층 (11) 의 변형 전달하는 점에서 하층 (12) 에도 볼록한 융기가 되어 나타난다. 상세히 서술하면, 열 엠보스에 의한 열융착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소정 형상을 갖는 엠보스 핀이 소정 패턴으로 배치 형성된 엠보스면 (엠보스 롤의 둘레면 등) 을, 상층 (11), 하층 (12) 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층 (11) 및 하층 (12) 측에 압접시키고, 각 핀에 열압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층 (11), 하층 (12) 의 구성 섬유를 용융시켜 실시된다. 상층 (11) 및 하층 (12) 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 (14) 는, 엠보스부를 덮도록 내뻗은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하층 (12) 의 열수축은, 예를 들어, 하층 (12) 을 열수축성 섬유로 구성하거나 또는 하층 (12) 중에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시켜 두고, 상층 (11) 과 하층 (12) 을 열융착시킴과 동시에 또는 양자를 열융착시킨 후에, 중층 (12) 을 가열 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하층 (12) 을 수평 방향으로 열수축시킴으로써, 상층 (11) 및 하층 (12) 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융기 형성성이 높아지고, 보다 부피가 크고 감촉이 좋은 표면 시트 (21) 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 층의 섬유층을 적층하여 표면 시트 (21) 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 (21) 의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그 2 층의 섬유층 사이에는 계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11) 및 하층 (12) 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나 부피가 큰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란, 부직포화되기 전 상태의 섬유 집합체를 말한다. 요컨대,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카드 웨브에 가해지는 후 처리, 예를 들어 에어스루법이나 캘린더법에 의한 가열융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섬유끼리가 매우 느슨하게 얽혀 있는 상태의 섬유 집합체를 말한다.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를 상층 (11) 및 하층 (12) 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층 (11) 과 하층 (12) 을 접합시키는 동시에 또는 접합시킨 후, 상층 (11) 및 하층 (12) 중의 섬유끼리를 열융착시킨다. 또, 부피가 큰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레진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는 상층 (11) 의 구성 섬유는, 실질적으로 열수축성을 갖지 않는 것이나, 또는 하층 (12) 의 구성 섬유의 열수축 온도 이하에서 열수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11) 의 평량은, 충분한 밀도 구배를 형성하는 관점 및 표면 시트 (21) 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g/㎡ 이다.
하층 (12) 으로서는,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나 열수축성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층 (12) 의 구성 섬유로서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또한, 열수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한 섬유의 예로서는, 잠재 권축성 섬유를 들 수 있다. 하층 (12) 중의 잠재 권축성 섬유의 함유 비율은 40 ∼ 10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가열되기 전에 있어서는, 종래의 부직포용의 섬유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소정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나선상의 권축이 발현하여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 섬유이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예를 들어, 수축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를 성분으로 하는 편심 코어-시스형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다. 그 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6325호나 특허공보 제2759331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층 (12) 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시켜 두고, 상층 (11) 및 하층 (12) 의 열융착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가열에 의해 그 섬유의 권축을 발현시켜 수축시킬 수 있다. 중층 (12) 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0 ∼ 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g/㎡ 이다.
이들의 상층 (11) 및 하층 (12) 으로 구성되는 표면 시트 (21) 는,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20 ∼ 1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80 g/㎡ 이다. 표면 시트 (21) 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시트 (1) 는 두께가 크고 부피가 큰 것으로 되어 있다.
표면 시트 (21) 는, 상기 서술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21) 는, 3 층 구조의 섬유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중층 (13) 을 열수축성을 갖는 섬유로 구성하고, 상층 (11) 및 하층 (12) 을 열수축성을 갖지 않는 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의 투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층 (11) 의 평량이 하층 (12) 의 평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제 2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또 다른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 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은, 제 2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21) 와 함께 흡수체 (3) 를 사용하고, 오목부 흡수부 (34) 및 오목부 (31) 의 영역 B 보다 돌출 흡수부 (38) 의 영역 A 가 고평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본 제 3 실시형태는 독립적이고 또한 배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하위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 3 실시형태를 위치 부여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명과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명은 동일 또는 대응하는 특별한 기술적 특징에 기초하여 단일의 발명 개념을 형성하여 연관되어 있는 기술적 관계에 있다. 동일한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단, 치수나 상세한 위치 관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른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 방향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II-II 선 단면이다. 도 11 은, 도 9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를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흡수체 이외의 부재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여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흡수체의 코어랩 시트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30) 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흡수체 (3) 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이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 (3) 의 길이 방향 좌우 양측의 외방에서는 사이드 시트 (4) 가 이면 시트 (2) 에 맞닿아 접합되어 있다. 그 이면 시트와 사이드 시트가 맞닿은 부분에서는 표면 시트 (21) 가 이면 시트 (2) 와 사이드 시트 (4) 로 끼워지고, 또한 그 폭방향 (X 방향) 내방향을 향하여 표면 시트 (21) 가 흡수체 (3) 보다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상기의 각 시트 부재가 흡수체 (3) 의 외방에서 흡수체 (3) 를 개재시키지 않고 히트 시일 등에 의해 접합되어, 냅킨 (30) 의 외주연부 (6)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외주연부 (6) 는, 전체적인 신축성을 저해하지 않고, 한 번 흡수한 액이 새지 않을 정도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 (4) 의 자유단 (41) 에는 외주연부 (6) 로 향하는 포켓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액 등의 옆샘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 (30) 의 폭방향 좌우 양 측부에는, 사이드 시트 (4) 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윙부 (42) 가 생리용 냅킨 (30) 의 폭방향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부분을 쇼츠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말아넣어 생리용 냅킨 (30) 을 쇼츠에 고정시킨다.
생리용 냅킨 (30)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는 표면 시트 (21)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흡수체 (3) 에 걸쳐 압착한 누출 방지홈 (5) 이 형성되어 있다. 누출 방지홈 (5)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흡수체 (3) 의 세로 방향 중앙 부분에 있어서, 경혈 등의 배설부 대응 영역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압착 부분이 배치되고, 그 좌우 각각의 압착 부분이 흡수체 (3) 의 전후단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흡수체 (3) 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만곡하여, 전단, 후단이 일치하고 있다. 요컨대, 누출 방지홈 (5) 은 평면에서 보아 생리용 냅킨 (30) 의 길이 방향의 양 측부에 있어서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2 개의 압착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무단 고리형으로 연속된 형상이다 (도 9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냅킨을 장착하여 사용할 때의 배설액의 옆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설부 대항 영역이란 경혈 혹은 대하 등의 배설을 직접 받는 부분 및 그 근방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누출 방지홈 (5)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무단 고리형의 전단, 후단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어도 되고, 용도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21), 이면 시트 (2), 사이드 시트 (4), 및 흡수체 (3) 의 재료나 치수 등에 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 (21) 는, 배설된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하여, 흡수체에 전달하는 관점과, 감촉이 좋은 관점에서 피부 맞닿음면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섬유에 의한 돌기부를 가진 액 투과성의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이면 시트 (2) 로서는, 통기성을 가진 투습성 필름을 단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흡수체 (3) 로서는 펄프 섬유 등과 흡수성 폴리머를 종이 등의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이면 시트 (2)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는, 생리용 냅킨 (30) 을 착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 (도시 생략) 가 도포되어 있다. 그 점착제에 의해, 생리용 냅킨 (30) 이 사용자의 착의에 접착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30) 은, 그 표면 시트측을 착용자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향하고, 또한, 그 세로 방향을 하복부로부터 둔부에 걸쳐 배치하고, 그 폭방향을 좌우의 다리를 연결하는 라인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하여 착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인체에 접촉하는 측의 면을 피부 측면 내지 피부 맞닿음면 혹은 표면이라고 하고, 이것과 반대측의 면을 비피부면 내지 비피부 맞닿음면 혹은 이면이라고 한다. 이 2 개의 면에 있어서, 피부 측면에 가까운 쪽 내지 그 연장 방향을 피부면측, 피부 맞닿음면측 또는 표면측이라고 하고, 비피부면에 가까운 쪽 내지 그 연장 방향을 비피부면측, 비피부 맞닿음면측 또는 이면측이라고 한다. 장착시에 인체의 전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단부를 전단부로 하고, 후측에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고 그 단부를 후단부로 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의 표면 또는 이면의 법선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고 그 양을 두께라고 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에서 보아 복측부로부터 가랑이부를 걸쳐 배측부에 이르는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하고, 이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세로 방향은 전형적으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인체의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21)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상층 (11), 하층 (12) 의 2 층의 섬유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층 (11), 하층 (12) 은, 다수의 엠보스부 (15) 에 있어서의 엠보스에 의한 압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층 (11) 및 하층 (12) 은 평면에서 보아 동일한 위치에 엠보스가 형성되고, 엠보스부 (15) 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되어 다수의 계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계곡부간의 비엠보스부, 즉 엠보스부 (15) 에 둘러싸인 영역은 돌기부 (14) 를 형성하고 있다. 상층 (11) 의 돌기부 (14a) 는 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하고, 하층 (12) 의 돌기부 (14b) 는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하고 있다. 그 돌기부 (14a) 및 (14b) 는 상기 서술한 엠보스부 (15) 와 동일하게 평면에서 보아 상층 (11) 및 하층 (12) 의 동일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상층 (11) 및 하층 (12) 에는, 그 전 영역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 (21) 전체로서도, 그 전 영역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층 (11) 및 하층 (12) 의 계곡부가 되는 엠보스부 (15) 는, 표면 시트 (21) 의 섬유가 압밀화된 부분이며, 표면 시트 (21) 의 돌기부 (14) 보다 섬유 밀도가 높고 모관력이 높게 되어 있다. 이로써, 표면 시트 (21) 로부터 흡수체 (3) 로 배설액을 효과적으로 재빠르게 투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6849호의 명세서의 단락 [0007]∼ [0045]에 기재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엠보스부 (15) 는, 2 개의 장축을 교차시킨 대략 십자 형상이다. 최단 거리에 있는 인접하는 2 개의 엠보스부 (15, 15) 가, 그 장축 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면 시트 (21) 에는 다방향을 향하여 엠보스부 (15) 와 돌기부 (14) 사이에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되고, 표면 시트 (21) 의 액의 확산 및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 엠보스부 (15) 의 형상이나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것 이외에도, 원형이나 사각형의 엠보스가 임의로 점재하도록 해도 되고,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를 가지고 액의 확산과 두께 방향으로의 재빠른 투과가 실현되는 형상이나 배치를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 (3) 는, 펄프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의 혼합 적섬물을 코어랩 시트로 피복한 것이다. 흡수체 (3) 에는, 적어도 배설부 대응 영역에 있어서, 그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31) 가 복수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31) 는, 흡수체 (3) 의 세로 방향 및 폭방향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세로 방향 및 폭방향의 배치란, 흡수체 (3) 의 평면에서 보아 복수조의 오목부 (31) 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의 열이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의 열이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오목부 (31) 의 열은 연속적인 것이거나 단속적인 것이어도 된다. 이 오목부 (31) 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저부에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종횡으로 복수조 배치되는 오목부 (31) 와 이것에 대응하는 오목부 흡수부 (34) 가 두께 방향으로 연계하여 흡수체 (3) 의 통액 구조가 된다. 이 오목부 (31) 끼리에 끼워진 흡수체 (3) 의 부분은, 이면 시트 (2) 측으로 돌출한 복수의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 (33) 로서 구획되어 있다. 돌출 흡수부 (33) 는, 펄프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배설액을 흡수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개의 돌출 흡수부 (33) 의 형상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대략 장방체 형상이다. 돌출 흡수부 (33) 의 배치는,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자연 상태에서 서로 소정의 간극 (s, r) (도 11 참조) 을 갖도록 종횡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는, 다수의 돌출 흡수부 (33) 를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투영했을 때에 어느 방향으로도 그 투영 이미지가 겹치는 배치이다. 전술한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에 의해, 표면 시트 (21) 보다 먼 위치인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에 있어서 경혈 등의 액을 각 돌출 흡수부 (33) 로 이동시켜 신속히 흡수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 (31) 의 피부면측에는, 흡수체 (3) 의 일부로서 돌출 흡수부 (33) 보다 두께가 얇은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흡수부 (34) 와 돌출 흡수부 (33) 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부분 (상부) (33a) 이 평면 방향으로 이어져,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있어서의 연속부 (35) 가 된다. 연속부 (35) 는 표면 시트 (21) 에 대해 평탄한 형상이다. 이 오목부 흡수부 (34) 나 돌출 흡수부 (33) 를 포함하는 흡수체 (3) 전체는 이음매가 없는 일체 구조이다. 특히 배설부 대응 영역에 있어서 누출 방지홈 (5) 의 압착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밀도가 실질적으로 대략 균일하다. 이 실질적으로 밀도가 대략 균일하다라는 것은, 흡수체 (3) 의 성형시에 엠보스에 의한 압축 등 극단적으로 밀도가 높아진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제조 상의 밀도의 미세한 변화나, 낱개 포장에 의한 접기 등의 제품 출하시의 부재의 치우침에 의한 다소의 밀도 변화가 있는 경우도 허용하는 의미이다. 또, 돌출 흡수부 (33) 가 배치되는 흡수체 (3) 의 영역 A (도 10) 에 비해, 오목부 (31) 및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는 흡수체의 영역 B (도 10) 의 평량은 작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 (3) 는, 연속부 (35) 를 갖는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이 평탄한 형상임으로써, 표면 시트 (21) 와 흡수체 (3) 의 접촉이 양호하고, 표면 시트 (21) 를 통과한 액이 흡수체 (3) 에 넓은 범위로 유도되기 쉽다.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 (33) 와 오목부 흡수부 (34) 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 흡수부 (34) 와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 (33) 의 상부 (33a) 가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면상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흡수부 (34) 와 블록 흡수부 (33) 의 경계 영역에서는, 종래의 압축 홈 등에서 볼 수 있는 극단적인 밀도차는 없고 대략 균일한 밀도이며, 펄프 섬유 등 대략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피부 맞닿음면측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면상이며, 경계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의 통액 구조에 있어서, 오목부 흡수부 (34) 에서는 밀도가 높아지지 않고, 두께가 얇은 점에서 평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액의 통액 저항이 낮다. 이로써 오목부 흡수부 (34) 는, 액 유지량을 억제한 도액로가 되어, 표면 시트 (21) 로부터의 액을 재빠르게 흡수체 (3)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다. 오목부 흡수부 (34) 를 통과한 액은, 일방에서 경계 영역 없고 밀도가 대략 균일한 연속부 (35) 에 있어서 돌출 흡수부 (33) 의 상부 (33a) 로 이행하기 쉽고, 복수의 돌출 흡수부 (33) 에서 재빠르게 받아들여져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지된다. 타방에서, 오목부 흡수부 (34) 에 있는 액은, 공간부인 오목부 (31) 에도 일단 받아들여진다. 오목부 (31) 에 받아들여진 액은 돌출 흡수부 (33) 의 하부 부근에서 흡수 유지된다. 물론 돌출 흡수부 (33) 의 부분 (33a) (연속부 (35) 의 부분) 에서도 액은 직접 흡수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경혈 등등의 고점성의 액이 한 번에 다량으로 배설되거나 반복하여 배설되거나 한 경우에, 한 번에 돌출 흡수부 (33) 에서 흡수 유지할 수 없어도, 오목부 흡수부 (34) 가 재빠르게 끌어들여 오목부 (31) 가 일시적으로 액을 유지하는 완충 기능을 달성한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오목부 (31) 가 연접되어 있는 것에 의해, 표면 시트 (21) 보다 먼 위치에서 액을 이동시켜 각 돌출 흡수부 (33) 에서 확실하게 흡수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 흡수부 (34) 와 오목부 (31) 로 이루어지는 통액 구조에 의해, 액이 표면 시트 (21) 측으로부터 흡수체 (3) 내부에 재빠르게 받아들여져 돌출 흡수부 (33) 에서 확실하게 흡수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서의 액 잔류가 억제되고, 또한 흡수체 (3) 내부에서 표면 시트 (21) 로의 액 복귀가 생기기 어렵다.
또, 오목부 흡수부 (34) 와 오목부 (31) 로 이루어지는 통액 구조에 의해, 냅킨 (30) 의 장착시에 이러한 두께 방향의 압력이 있어도, 경혈 등의 배설액이 표면 시트 (21) 측으로 액 복귀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오목부 흡수부 (34) 가 액을 유지하지 않고 재빠르게 오목부 (31) 에 끌어들이는 것, 오목부 (31) 에 일단 끌어들여진 액이 흡수체 (3) 의 피부 맞닿음면측보다 비교적 먼 위치가 되는 것,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로 흡수체 (3)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액을 재빠르게 이동시켜 돌출 흡수부 (33) 에 흡수 유지시키므로 오목부 (31) 자체의 저장량도 많아지지 않는 것 등의 복수의 작용에 의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오목부 흡수부 (34) 의 존재로 오목부 (31) 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됨과 함께, 이 압력으로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에서의 액의 이동이 촉구되는 것도 요인의 하나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흡수체 (3) 의 표면 시트 (21) 측에 액을 남기지 않고 오목부 (31) 에 재빠르게 끌어들임으로써, 두께 방향의 압력으로도 액의 표면 시트 (21) 측으로의 복귀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양호한 드라이감이 얻어진다. 또, 흡수체 (3) 의 비피부면측이 종횡의 오목부 (31) 에 의해 구획되는 요철 형상임으로써 그 부분에 있어서 가요성을 가지고, 생리용 냅킨 (30) 이 피부면의 기복에 피트되는 「신체 적합성」,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양호하게 추종하여, 피부에 대해 부분적인 간극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작 추종성」이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 흡수부 (33) 의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것 외에 적절히 용도나 기능에 따라 배열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형 배열 (상기 투영 이미지가 길이 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보아 대략 반피치 어긋남이 있는 배치) 이어도 된다. 또, 돌출 흡수부 (33) 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것 외에 적절히 용도나 기능에 따라 임의의 형상의 것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수체의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엠보스를 부여하여, 일반적인 누출 방지홈을 형성해도 된다.
흡수체 (3) 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펄프 섬유, 또는 펄프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소재를 공기 중에 비산시켜, 그것들을 적섬 드럼 등의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 (51) 를 갖는 형 (50) (도 5 참조) 의 집적부에 흡인하여 퇴적시키는 적섬기나 혼합 적섬기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시 생략).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5(a) 의 돌기부 (51) 를 가려내어 펄프 섬유 (61) 와 흡수성 폴리머 (62) 의 혼합물이 적섬되고, 서서히 퇴적되면, 도 5(b) 와 같이 돌기부 (51) 의 높이를 초과하여 적섬되어, 도 5(c) 흡수체 전구체 (70) 가 된다. 돌기부 (51) 상에 퇴적된 부분 (74) 이 흡수체 (3) 의 오목부 흡수부 (34) 가 되고, 돌기분 (51) 이 있던 부분 (71) 이 흡수체 (3) 의 오목부 (31) 가 된다. 상기 돌기간의 집적용 오목부에 퇴적된 부분 (73) 이 흡수체 (3) 의 돌출 흡수부 (33) 가 된다. 그리고, 돌기부 (51) 보다 높게 적섬된 부분 (75) 이 흡수체 (3) 의 연속부 (35) 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펄프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의 혼합 적섬체를 티슈 페이퍼 등의 종이나 각종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덮어 흡수체 (3) 로 한다.
이와 같이 일체 성형된 흡수체 (3) 의 오목부 흡수부 (34) 나 돌출 흡수부 (33) 는, 압착 등을 가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섬유 밀도가 높아지지 않고 흡수체 (3) 로서 대략 균일한 밀도를 갖는다. 또, 오목부 흡수부 (34) 는, 그 두께의 얇기 때문에 평량이 돌출 흡수부 (33) 보다 낮다. 엠보스 등의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오목부 흡수부 (34) 는 통액 저항이 낮고, 액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행이 재빠르게 이루어지기 쉽다. 또 이와 같이 일체 형성된 흡수체 (3) 는, 엠보스 등의 압착에 의해 단단해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감촉이 좋아진다. 이 흡수체 (3) 를 갖는 냅킨 (30) 을 장착하면, 표면 시트 (21) 를 통하여 단단하게 닿는 부분이 없어 흡수체 (3) 의 부드러움을 실감할 수 있고, 게다가 오목부 (31) 의 부분에서 가요성을 가지므로 몸에 피트되어 양호한 장착감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오목부 흡수부 (34) 가 액의 유지량을 억제하여 액을 재빠르게 오목부 (31) 에 이동시키고, 오목부 (31) 가 배설액의 일시 저장의 기능을 가지고 표면 시트 (21) 측으로 액을 역복귀시키지 않기 위해, 오목부 (31) 의 깊이 (h2) 의 흡수체 (3) 의 두께 (돌출 흡수부 (31) 의 두께) (h1) 에 대한 비율 (%) (도 10 참조) 은 40 ∼ 98 %, 특히 30 % ∼ 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 6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표면 시트에의 액 잔류나 액 복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표면 시트로부터 받아들인 액을 너무 확산시키지 않고 돌출 흡수부 (33) 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서, 오목부 흡수부 (34) 및 오목부 (31) 를 갖는 영역 B (도 10 참조) 의 구성 재료 평량 (w1) 은, 30 ∼ 16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50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출 흡수부 (33) 를 갖는 영역 A (도 10 참조) 의 평량 (w2) 은 180 ∼ 40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300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양자의 평량비 (w1/w2) 는 0.1 ∼ 0.8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0.6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 (31) 는, 흡수체 (3) 의 저부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함몰하여 공극이 되는 부분이다. 오목부 흡수부 (34) 는, 그 오목부 (31) 의 상부에 위치하는 흡수체 (3) 의 부분으로서, 벽면 저부 (31a, 31a) 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 (s, s) 으로 구획되는 흡수체 (3) 의 부분이다 (도 12 참조). 돌출 흡수부 (33) 는, 두께 방향으로 늘어선 오목부 (31) 및 오목부 흡수부 (34) 의 영역 B 에 인접하고, 영역 B 에 둘러싸인 흡수체의 상부로부터 저부까지의 영역 A 의 부분이다 (도 10 및 도 12 참조).
이와 같이 정의되는 오목부 흡수부 (34) 의 두께 (h3) 와 돌출 흡수부 (33) 의 두께 (h1) 의 측정은, 크기 37 ㎜ × 37 ㎜, 두께 3 ㎜ 의 아크릴 플레이트를 흡수성 코어 (10) 상에 놓고, KEYENCE 사 제조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 (레이저 헤드 LK-G30, 변위계 LK-GD500) 를 사용하여 상부 (33a) 를 포함하는 돌출 흡수부 (33) 의 두께 (h1) 를 계측하고, 오목부 흡수부 (34) 의 두께 (h3) 를 흡수체의 도 10 상당의 단면을 KEYENCE 사 제조 마이크로 스코프 VHX-1000 을 사용함으로써 계측했다.
또 오목부 흡수부 (34) 의 평량 (w1) 과 돌출 흡수부 (33) 의 평량 (w2) 의 측정 방법은, FEATHER 사 제조 면도칼 (패더 면도칼 S 편날) 을 눌러대고, 오목부의 오목부 흡수부 (34) 를 잘라 중량 계측하여 자른 부분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산출하고, 동일하게 상부 (33a) 를 포함하는 돌출 흡수부 (33) 를 잘라 중량 계측하여 자른 부분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평량을 산출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 (3) 내부의 흡수성 폴리머는 균일하게 존재하지만, 액 복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그 흡수성 폴리머는, 오목부 흡수부 (34) 를 포함하는 연속부 (35) 보다 하방의 돌출 흡수부 (33) 의 부분에 많이 편의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 흡수부 (34) 를 포함하는 연속부 (35) 에 배치되지 않고 돌출 흡수부 (33) 에 있어서 그 비피부면측에 많이 편의하여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 (31) 의 비피부면측에 흡수성 폴리머를 배치하는 것도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 (3) 에 있어서, 오목부 (31) 를 갖는 통액 구조가 누출 방지홈 (5) 의 폭방향 외방의 부분에까지 미쳐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치에 의해, 제품의 폭방향을 축으로 한 제품 굽힘 강성이 저감되어 고간(股間)으로부터 둔부에 걸친 착용자의 신체의 커브에 맞추어 변형되기 쉬워짐과 함께, 옆샘을 일으키기 쉬운 흡수체 (3) 양 측부에도 가요성을 부여하여, 착용자의 가랑이에 피트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몸의 움직임에도 추종하여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30) 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구획된 흡수체 (3) 와 표면 시트 (21) 의 동적 작용의 특징을 도 12 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소정 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여, 이면 시트 (2) 및 사이드 시트 (4) 는 나타내지 않았고, 표면 시트 (21) 의 형상에 대해서는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반드시 도시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2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밀도의 구배를 이용한 모관력에 의해, 배설된 액의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이동성이 높아 신체로부터 배설된 액을 재빠르게 흡수체 (3) 로 이행할 수 있다. 또, 상층 (11) 의 돌기부 (14a) 와 하층 (12) 의 돌기부 (14b) 가 두께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12 참조), 액이 평면적으로 1 지점에 모이도록 이동하기 쉽고, 적은 액량이어도 흡수체 (3) 로 유도되게 되어 효과적으로 흡수체 (3) 측으로 투과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상층 (11) 및 하층 (12) 에서 섬유 밀도가 상이하고, 하층의 섬유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하층측에 액이 머물기 쉬워지지만, 액이 집중하는 구조가 됨으로써, 표면 시트의 차폐성, 저액 복귀성에 의한 드라이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흡수체 (3)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복수의 오목부 (31) 를 가지며,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는 오목부 흡수부 (34) 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 흡수부 (34) 는 다른 흡수체 부분보다 통액 저항이 낮아 이 부분을 챔버로 하여 배설된 액 (a1) 은, 재빠르게 흡수체 (3) 의 두께 방향을 향하여 흡수된다. 그리고 흡수체 (3) 의 두께 방향으로 이행해 온 액은, 그 일부가 주변의 돌출 흡수부 (33, 33) 로 향하는 이행액 (a2) 이 되고, 다른 일부가 오목부 (31) 에 받아들여지는 저장액 (a3) 이 된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 (21) 로부터 투과되는 액이 오목부 흡수부 (34) 에서 끌어들여지고, a2 나 a3 으로 분산됨으로써, 흡수체의 표면측에서의 유지량이 감소하여 통액 저항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이로써 표면 시트 (21) 로의 액 복귀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 (30) 은,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높은 투과성을 가진 표면 시트 (21) 의 성능을, 오목부 (31) 를 가진 흡수체 (3) 의 높은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에 의해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받아들인 수분의 피부로의 액 복귀를 억제하여, 바람직한 드라이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돌출 흡수부 (33) 및 오목부 (31) 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의 용도에 따라서도 다소 상이하지만, 돌출 흡수부 (33) 의 길이 방향 길이 (k1) (도 11 참조) 는, 오목부를 기축으로 흡수체가 서서히 피부 맞닿음면으로 향하여 만곡하고,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는 것을 촉구한다는 관점에서 10 ∼ 30 ㎜ 가 바람직하고, 15 ∼ 2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폭방향 길이 (k2) 는, 오목부가 착용 중에 흡수체에 가해지는 폭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을 완화하는 관점에서 5 ∼ 20 ㎜ 가 바람직하고, 7 ∼ 1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 (31) 의 길이 방향 길이 (s) 는 1 ∼ 5 ㎜ 가 바람직하고, 1 ∼ 3 ㎜ 가 보다 바람직하다. 폭방향 길이 (r) 는 1 ∼ 5 ㎜ 가 바람직하고, 1 ∼ 3 ㎜ 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21) 의 재료 및 그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하기에 기술한다.
표면 시트 (21) 는, 예를 들어, 비열수축성 섬유 재료 또는 하층의 섬유보다 열수축 온도가 높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상층 (11), 상층의 섬유보다 열수축 온도가 높은 수축 전의 열수축성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층 (12) 으로 구성된다.
이 상층 (11) 및 하층 (12) 을, 열 등의 엠보스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융착시킨 후, 열을 가하여, 하층 (12) 을 수평 방향으로 열수축시킨다. 그러면, 상층 (11), 하층 (12) 이 엠보스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층 (12) 은 수축하면, 상층 (11) 은 엠보스에 의해 하층 (12) 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끌려서 줄어들려고 한다. 그러나, 상층 (11) 은, 열수축이 일어나지 않거나 하층 (12) 보다는 열수축이 작기 때문에 변형이 생기고, 이 변형은 상층 (11) 에 볼록한 융기가 되어 나타난다. 이와 함께, 하층 (12) 측에도 상층 (11) 의 변형 전달하는 점에서 하층 (12) 에도 볼록한 융기가 되어 나타난다. 상세히 서술하면, 열 엠보스에 의한 열융착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소정 형상을 갖는 엠보스 핀이 소정 패턴으로 배치 형성된 엠보스면 (엠보스 롤의 둘레면 등) 을 상층 (11), 하층 (12) 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층 (11) 및 하층 (12) 측에 압접시키고, 각 핀에 열압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층 (11), 하층 (12) 의 구성 섬유를 용융시켜 실시된다. 상층 (11) 및 하층 (12) 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 (14) 는 엠보스부를 덮도록 내뻗은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하층 (12) 의 열수축은, 예를 들어, 하층 (12) 을 열수축성 섬유로 구성하거나 또는 하층 (12) 중에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시켜 두고, 상층 (11) 과 하층 (12) 을 열융착시키는 동시에 또는 양자를 열융착시킨 후에, 중층 (12) 을 가열 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이와 같이, 하층 (12) 을 수평 방향으로 열수축시킴으로써, 상층 (11) 및 하층 (12) 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융기 형성성이 높아져, 보다 부피가 크고 감촉이 좋은 표면 시트 (21) 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 층의 섬유층을 적층하여 표면 시트 (21) 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 (21) 의 두께 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그 2 층의 섬유층 사이에는 계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11) 및 하층 (12) 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나 부피가 큰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란, 부직포화되기 전 상태의 섬유 집합체를 말한다. 요컨대,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카드 웨브에 가해지는 후 처리, 예를 들어 에어스루법이나 캘린더법에 의한 가열융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섬유끼리가 매우 느슨하게 얽혀 있는 상태의 섬유 집합체를 말한다.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를 상층 (11) 및 하층 (12) 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층 (11) 과 하층 (12) 을 접합시키는 동시에 또는 접합시킨 후, 상층 (11) 및 하층 (12) 중의 섬유끼리를 열융착시킨다. 또, 부피가 큰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레진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는 상층 (11) 의 구성 섬유는, 실질적으로 열수축성을 갖지 않는 것이나, 또는 하층 (12) 의 구성 섬유의 열수축 온도 이하에서 열수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11) 의 평량은, 충분한 밀도 구배를 형성하는 관점 및 표면 시트 (21) 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g/㎡ 이다.
하층 (12) 으로서는,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나 열수축성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층 (12) 의 구성 섬유로서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또한, 열수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한 섬유의 예로서는, 잠재 권축성 섬유를 들 수 있다. 하층 (12) 중의 잠재 권축성 섬유의 함유 비율은 40 ∼ 10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가열되기 전에 있어서는, 종래의 부직포용의 섬유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소정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나선상의 권축이 발현하여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 섬유이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예를 들어, 수축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를 성분으로 하는 편심 코어-시스형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다. 그 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6325호나 특허공보 제2759331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층 (12) 은,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시켜 두고, 상층 (11) 및 하층 (12) 의 열융착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가열에 의해 그 섬유의 권축을 발현시켜 수축시킬 수 있다. 중층 (12) 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0 ∼ 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g/㎡ 이다.
이들 상층 (11) 및 하층 (12) 으로 구성되는 표면 시트 (21) 는,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20 ∼ 1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80 g/㎡ 이다. 표면 시트 (21) 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시트 (1) 는 두께가 크고 부피가 큰 것으로 되어 있다.
표면 시트 (21) 는, 상기 서술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21) 는, 3 층 구조의 섬유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중층 (13) 을 열수축성을 갖는 섬유로 구성하고, 상층 (11) 및 하층 (12) 을 열수축성을 갖지 않는 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의 투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층 (11) 의 평량이 하층 (12) 의 평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 (10, 20 및 30) 을 구성하는 부재의 형성 소재에 대해 설명한다.
표면 시트 (1), 이면 시트 (2), 흡수체 (3), 사이드 시트 (4) 의 형성 재료로서는, 이 종류의 물품에 채용되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1) 로서는, 각종 부직포 (예를 들어,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판본드 부직포 등) 가 중첩된 구성이나, 부직포와 필름의 라미네이트로 이루어져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합 시트 등이 사용된다. 또, 표면 시트로서 상층·중층·하층의 3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층 및 하층을 돌출부와 엠보스에 의한 압밀화시킨 부분과의 기복이 있는 형상으로서 평탄한 중층에 접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사이드 시트 (4) 는 발수성의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카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스판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히트롤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등 중에서 발수성인 것, 또는 발수 처리한 여러 가지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스판본드 부직포, 스판본드-멜트블론 (SM) 부직포, 스판본드-멜트블론-스판본드 (SMS)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흡수체 (3) 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섬유 재료, 다공질체, 그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목재 펄프, 코튼, 마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섬유, 이들 수지를 2 종 이상 함유하는 복합 섬유, 아세테이트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그 섬유는 열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열수축 섬유여도 된다. 예를 들어, 열에 의해 섬도는 커지지만 섬유 길이는 짧아지는 것이나, 열에 의해 섬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형상이 코일상으로 변화함으로써 외관의 섬유가 점유하는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어도 된다. 다공질체로서는, 스펀지, 부직포, 고흡수성 폴리머의 응집물 (고흡수성 폴리머와 섬유가 응집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2) 는, 투습성 필름 단독, 비투습성 필름 단독, 또는 필름과 부직포의 첩합(貼合), 발수성의 부직포 (SMS 나 SMMS 등) 를 사용할 수 있다. 어긋남 방지 점착제와의 매칭 등에서, 투습 필름이나 비투습 필름 단독을 누출 방지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습 필름재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와, 이것과 상용성이 없는 무기 필러를 용융 혼련하여 압출한 필름을 소정 치수로 연신하여 미세공을 뚫은 필름, 또는, 본질적으로 수분의 상용성이 높고, 침투막과 같이 수증기 배출 가능한 무공성의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습도 배출의 성능을 충분히 발현하고, 또한, 수분의 번져나옴이 없는 누출 방지층을 구현화하려면, 투습도는 0.7 ∼ 3.0 g/100 c㎡hr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2.5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뜻한 감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1.5 ∼ 2.5 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필름의 파열 등의 트러블 없이 사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필름 평량은 18 ∼ 7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60 g/㎡ 이다. 또 바람직한 무기 필러 배합량은, 필름 전체의 질량에 대한 필러의 질량% 로서 30 ∼ 6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60 질량% 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구성의 흡수체를 가짐으로써, 흡수체의 오목부 흡수부와 돌출 흡수부의 피부 맞닿음면측 부분을 통하여 흡수되고, 면상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재빠르게 끌어들여져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에 액이 흡수 유지 (고정화) 된다. 흡수체의 종횡으로 배치되는 통액 구조에서는 오목부 (함몰부)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오목부 흡수부가 있음으로써, 오목부 흡수부에서는 액의 유지보다 이행이 촉구되어 액이 재빠르게 다수의 돌출 흡수부에서 흡수 유지되기 쉽다. 상기 오목부에서는, 오목부 흡수부를 통과하는 액의 일시 유지가 가능하고 표면 시트측에서의 액 잔류를 억제한다. 오목부에서 유지된 액은 돌출 흡수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흡수 유지되므로 액 복귀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통액 구조를 통하여 분산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 각각에서 액이 확실하게 흡수 유지될 수 있다. 또 더하여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표면 시트의 이면측의 돌기부가 흡수체로의 액 전달을 순조롭게 하는 동시에, 한 번 흡수체로 이행한 액이 피부측으로 돌아가는 웨트 백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규칙적인 돌기부를 갖는 표면 시트와 오목부 및 오목부 흡수부로 이루어지는 통액 구조를 갖는 흡수체의 조합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의 액 투과성이 우수하여 액의 확실한 흡수 유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체의 고밀도 영역 (38) 및 저밀도 영역 (39) 의 구조, 그리고 오목부 (31) 및 오목부 흡수부 (34) 로 이루어지는 통액 구조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세로 방향 전체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설부 대응 영역에만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 종류의 생리용 냅킨, 예를 들어 실금 패드, 실금 라이너 등에 본 발명을 적응할 수 있다. 또, 경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 뇨, 대하, 연변(軟便) 등에 대해서도 효과적이다. 또, 표면 시트 (1) 및 (21), 흡수체 (3), 이면 시트 (2) 및 사이드 시트 (4) 외에도 용도나 기능에 맞추어 적절히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표면 시트 (1) 및 (21), 흡수체 (3) 및 이면 시트 (2) 의 재료, 제법에 있어서의 조건이나, 제품의 치수 제언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생리용 냅킨 등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섬기의 적섬 드럼의 둘레면 상에 형성된 종횡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돌기부를 갖는 집적부에, 펄프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흡인 퇴적시키고, 흡수체 총 펄프 평량 200 g/㎡, 흡수체 총 고흡수성 폴리머 평량 52 g/㎡ 인 펄프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적섬체를 얻었다 (도 5(c)) (총 펄프 평량, 총 고흡수성 폴리머 평량은 요철부 전체를 포함한 평량이다). 이 적섬체를 코어랩 시트로 피복하고, 1 쌍의 프레스 롤 사이에 통과시켜, 3.0 kgf/c㎡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얻은 흡수체를 실시예 1 의 샘플 1 로 했다. 이 샘플 1 에 있어서의, 고밀도 영역 (38) 으로서의 돌출 흡수부 (33) 의 평균 밀도 (m2) 는 0.12 g/㎤ 이며, 저밀도 영역 (39) 으로서의 오목부 흡수부 (34) 의 평균 밀도 (m1) 는 0.08 g/㎤ 였다. 고밀도 영역 (38) 의 평균 평량 (w2) 은 240 g/㎡ 이며, 저밀도 영역 (39) 의 평균 평량 (w1) 은 100 g/㎡ 였다. 또, 오목부 흡수부 (34) 의 두께 (h3) 는 1.2 ㎜ 이며, 돌출 흡수부 (33) 의 두께 (h1) 는 2.0 ㎜ 였다. 돌출 흡수부 (33) 의 세로 방향 길이 (k1) 는 20 ㎜ 이며 폭방향 길이 (k2) 는 10 ㎜ 이며, 오목부 (31) 의 세로 방향 길이 (s) 는 2.0 ㎜ 이며 폭방향 길이 (r) 는 1.0 ㎜ 였다.
카오 주식회사의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 (상품명 「로리에에프 많은 낮 ∼ 보통인 날용」) 으로부터 흡수체를 제거하고, 제거한 흡수체의 위치에 상기 서술한 흡수체의 샘플 (1) 을 배치하고, 다른 것을 복원하여, 평가용의 생리용 냅킨을 얻었다. 상기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의 표면 시트는, 하기 구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부직포 : 상하의 섬유층을 갖는 2 층 구조의 적층 부직포, 상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폴리에틸렌을 시스로 하는 심 초 (芯) 형 복합 섬유 100 % 로 이루어지고, 하층은, 잠재 나선상 권축성 섬유 (야마토 방적 주식회사 제조의 NBF-L(V) 섬유, 폴리에틸렌을 코어, 폴리프로필렌을 시스로 하여, 가열에 의해 나선상의 권축을 발현하는 코어-시스형의 복합 섬유이다) 100 % 로 이루어진다. 상하층의 중량비 (상층/하층) 는 50/50 이다. 상하층간은, 산점(散点)상으로 배치된 도트상의 엠보스부로 접합되어 있고, 하층의 잠재 권축성 섬유는, 가열에 의해 수축을 발현한 상태에 있다.
[비교예 1]
카오 주식회사의 상기의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을,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으로서 사용했다. 이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 (샘플 2) 에는, 직경 2 ㎜ 의 원형의 엠보스부가 전 영역에 걸쳐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엠보스부의 중심점간의 피치는 7 ㎜ 이다. 평량 (겉보기 중량) 은 250 g/㎡ 였다.
또한 참고예 및 비교예 2 ∼ 4 로서, 도 13(a) ∼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흡수체의 샘플 3 ∼ 6 을 상기의 시판되는 생리용 냅킨에 적용한 것으로 평가했다.
[참고예]
적섬기의 적섬 드럼의 둘레면 상에 형성된 종횡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돌기부를 갖는 집적부에, 펄프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흡인 퇴적시키고, 돌출 흡수부의 평량 240 g/㎡, 오목부 흡수부 115 g/㎡ 의 펄프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의 적섬체를 얻었다 (도 13(a)). 이 적섬체를 코어랩 시트로 피복하여 얻은 흡수체를 실시예 1 의 샘플 (샘플 3) 로 했다. 펄프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돌기부는 20 ㎜ (길이 방향) × 10 ㎜ (폭방향) 의 크기인 것을 사용했다.
[비교예 2]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 (h2) 를 흡수체 두께 (돌출 흡수부 두께) 의 30 % 로 하고, 돌출 흡수부의 평량을 240 g/㎡ 로 하고, 오목부 흡수부의 평량을 160 g/㎡ 로 한 것 이외에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고, 비교예 1 의 샘플 (샘플 4) 로 했다 (도 13(b) 참조).
[비교예 3]
흡수체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흡수체의 전체의 평량을 200 g/㎡ 로 한 것 이외에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고, 비교예 2 의 샘플 (샘플 5) 로 했다 (도 13(c) 참조).
[비교예 4]
비교예 2 의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핀 엠보스로 압착하여, 그 피부 맞닿음면측에 고압착부 (35) 를 형성했다. 그 이외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체를 얻고, 비교예 3 의 샘플 (샘플 6) 로 했다 (도 13(d) 참조).
[성능 평가]
<1> 상기 실시예, 비교예 1 ∼ 4 및 참고예에 대해,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그 생리용 냅킨에 혈액 3 g 을 3 분 간격으로 3 회 주입하고, 25 ℃ 의 환경하에서 평가를 실시했다. 표층액 복귀 평가에 대해서는, 마혈(馬血) 주입량은 누계 6 g 흡수시로 하고, 액의 확산 면적은 마혈 9 g 흡수 후의 면적으로 하여 실시했다. 또한, 냅킨에 주입하는 혈액으로서는 말의 혈액을 사용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 닛폰 바이오 테스트 연구소 제조의 마 (馬) 탈섬유 혈액을 사용했다. 이 마탈섬유 혈액의 점성은, 토오키 산업 (주) 제조의 (B 형) 점도계 TVB-10M 에 의한 측정 (측정 온도 25 ℃, 로터 L 어댑터) 에서 15 mPa·S 미만이었다. 사용한 마혈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모두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2> 표층액 복귀량의 측정 방법
액 주입부의 개공 직경 10 ㎜ 의 액 주입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마혈 3 g 을 주입한다. 액 주입으로부터 1 분 후에 중량 측정이 완료된 티슈를 냅킨 표면에 놓고, 추가로 그 위로부터 125 g 의 금속 플레이트를 놓고, 5 초간 가압 (압력 4.5 g/c㎡) 하여, 티슈에 흡수된 액량을 측정한다. 또한 주입 플레이트의 냅킨 접촉면에 부착된 액량도 측정하여, 양자의 합계치를 마혈 3 g 주입시의 표층액 복귀량으로 했다. 1 회째의 주입으로부터 3 분 후에, 재차 마혈 3 g 을 주입하고, 주입 1 분 후에 상기 동일 조작을 반복하여, 누계 마혈 6 g 주입시의 표층액 복귀량으로 했다. 재차 마혈 3 g 을 주입하고, 주입 1 분 후에 상기 동일 조작을 반복하여, 누계 마혈 9 g 주입시의 표층액 복귀량으로 했다.
<3> 액 확산 면적의 측정 방법
표층액 복귀 평가에 제공된 냅킨 (마혈 6 g 주입 후) 의 흡수체의 표층 (표면 시트측) 에서의 액 확산 면적을 화상 해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액 확산 면적으로 했다.
상기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생리용 냅킨을 수평으로 놓고, 저부에 직경 1 cm 의 주입구가 있는 원통이 부착된 아크릴판을 겹치고, 주입구로부터 탈섬유 마혈 (닛폰 바이오 테스트 (주) 제조) 3 g 을 주입하고, 주입 후 1 분간 그 상태를 유지했다. 다음으로, 원통이 부착된 아크릴판을 제거하고, 표면 시트의 표면 상에 세로 6 cm × 가로 9.5 cm 로 평량 13 g/㎡ 의 흡수지 (시판되는 티슈 페이퍼) 를 16 매 겹쳐서 올려놓았다. 또한 그 위에 압력이 4.0 × 102 Pa 가 되도록 추를 올려놓아 5 초간 가압했다. 가압 후, 흡수지를 꺼내어, 가압 전후의 종이의 무게를 측정하고, 종이에 흡수된 탈섬유 마혈의 중량을 측정하여 표면액 잔류량으로 했다.
상기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실시예의 흡수체는, 액 확산 면적이 억제되어 액 복귀가 적고, 피부로의 웨트 백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 분명하다.
〔유연성〕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을 쇼츠에 고정시켜, 여성의 인체 모델에 장착했다. 인체 모델의 서혜부 (鼠蹊部) 에 압력 센서 (PPS 사 (Pressure Profile System 사) 제조의 「압력 센서 소자」) 를 삽입하고, 여성의 인체 모델의 다리를 내측으로 굽혔을 때에 25 ㎜ × 25 ㎜ 의 압력 검출 범위 내에서 검지된 압력의 최대치를 구했다.
결과는, 실시예 1 의 생리용 냅킨의 모델 서혜부에 가해지는 최대 압력은 0.7 kPa,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의 모델 서혜부에 가해지는 최대 압력은 1.4 kPa 였다.
이 결과로부터,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에 비해, 실시예 1 의 생리용 냅킨은 장착시에 다리를 붙이는 동작을 실시했을 때에 착용자의 서혜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고, 생리용 냅킨 장착에 의해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이 적어,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틀림 방지성〕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을 쇼츠에 고정시켜, 인체의 동적 모델에 장착했다. 동적 모델에게 30 분간 보행 운동을 시킨 후의 생리용 냅킨의 폭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관찰한 결과,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는, 단면이 M 자상으로 굴곡되어 있던 것에 대해, 실시예의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비교적 평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비교예와 같은 폭방향 중앙의 움패임이 거의 없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의 생리용 냅킨이, 비교예의 생리용 냅킨에 비교하여, 비틀림 방지성이 높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피트성의 점에 있어서도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을 그 실시양태와 함께 설명했지만, 우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우리의 발명을 설명의 어느 세부에 있어서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위반되지 않고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원은, 2010 년 12 월 17 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282455, 및 2010 년 12 월 17 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282456 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은 여기에 참조하여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서 받아들인다.
1 : 표면 시트
2 : 이면 시트
3 : 흡수체
31 : 오목부
33 : 돌출 흡수부
34 : 오목부 흡수부
4 : 사이드 시트
5 : 누출 방지홈
10 : 생리용 냅킨

Claims (7)

  1.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을 가지며, 배설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의 세로 방향과 폭방향의 각각의 방향으로,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팬 홈형상의 오목부와, 그 오목부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저부의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오목부 흡수부로 구성되는 통액 구조가 배치되고, 그 통액 구조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돌출하고, 또한 펄프 섬유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 흡수부보다 고평량인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액 구조의 오목부 흡수부는 저밀도이며, 상기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는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흡수부의 구성 부재의 평균 밀도는 0.02 ∼ 0.09 g/㎤ 이며, 상기 돌출 흡수부의 구성 부재의 평균 밀도는 0.10 ∼ 0.25 g/㎤ 인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홈형상 오목부의 두께 방향의 깊이는 상기 블록상의 돌출 흡수부의 두께의 40 % ∼ 98 % 인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피부 맞닿음면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규칙적으로 돌출한 부분을 다수 가지며, 그 돌기부는, 피부 맞닿음면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그 흡수성 폴리머가 상기 돌출 흡수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흡수부에도 고흡수성 폴리머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생리용 냅킨인 흡수성 물품.
KR1020137015240A 2010-12-17 2011-08-30 흡수성 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87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2456A JP5711523B2 (ja) 2010-12-17 2010-12-17 吸収性物品
JP2010282455A JP5782254B2 (ja) 2010-12-17 2010-12-17 吸収性物品
JPJP-P-2010-282455 2010-12-17
JPJP-P-2010-282456 2010-12-17
PCT/JP2011/069662 WO2012081282A1 (ja) 2010-12-17 2011-08-3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957A true KR20130124957A (ko) 2013-11-15
KR101876595B1 KR101876595B1 (ko) 2018-07-09

Family

ID=4624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2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6595B1 (ko) 2010-12-17 2011-08-3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76595B1 (ko)
CN (1) CN103260564B (ko)
RU (1) RU2568863C2 (ko)
WO (1) WO2012081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5770B2 (ja) * 2013-09-30 2017-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57297B2 (ja) * 2013-12-11 2018-01-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4161624B (zh) * 2014-07-16 2016-08-17 浙江华丽达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无木浆格子状环保纸尿裤及其制造工艺
JP6181027B2 (ja) * 2014-10-30 2017-08-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38864B2 (ja) * 2015-06-30 2017-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2268578B2 (en) * 2018-03-29 2025-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udate management layer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CN110179594A (zh) * 2019-05-31 2019-08-30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吸收型芯体结构
CN116370204A (zh) * 2019-11-26 2023-07-0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3234B1 (en) * 1999-08-16 2003-01-07 Johnson & Johnson Inc. Thin sanitary napkin having a flexibility selected to provide a good comfort potential while reducing bunching
SE517119C2 (sv) * 2000-04-13 2002-04-16 Sca Hygiene Prod Ab Dambinda med absorptionskroppen som sträcker sig kontinuerligt avsmalnande bakåt
JP3946095B2 (ja) * 2002-06-28 2007-07-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E0303067D0 (sv) * 2003-11-20 2003-11-2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såsom bindor, trosskydd, inkontinenesskydd för lätt inkontinens, etc
JP4173844B2 (ja) * 2004-08-19 2008-10-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80736B2 (ja) * 2004-11-18 2010-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液性芯材成型ドラム
JP4526490B2 (ja) * 2005-01-24 2010-08-18 花王株式会社 吸収体
JP2007167193A (ja) * 2005-12-20 2007-07-05 Kao Corp 吸収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114081B2 (ja) * 2007-03-26 2013-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097423B2 (ja) * 2007-03-26 2012-1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199646B2 (ja) * 2007-11-16 2013-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0136899A (ja) * 2008-12-11 2010-06-24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
JP5401177B2 (ja) * 2009-06-04 2014-0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32958A (ru) 2015-01-27
KR101876595B1 (ko) 2018-07-09
CN103260564B (zh) 2015-06-17
WO2012081282A1 (ja) 2012-06-21
CN103260564A (zh) 2013-08-21
RU2568863C2 (ru) 201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1926B2 (ja) 吸収性物品
CN107635521B (zh) 吸收性物品
KR101389693B1 (ko) 흡수성 물품
JP6257297B2 (ja) 吸収性物品
KR20130124957A (ko) 흡수성 물품
TWI513453B (zh) Absorbent items
KR102003105B1 (ko) 흡수성 물품
JP5792997B2 (ja) 吸収性物品
TWI230601B (en) Absorptive composite sheet and absorptive article using this sheet
CN101151005A (zh) 吸收性物品及其正面薄片
JP5546441B2 (ja) 吸収性物品
JP6355808B2 (ja) 吸収性物品
JP5795493B2 (ja) 吸収性物品
JP5792998B2 (ja) 吸収性物品
JP6360295B2 (ja) 不織布
JP2012120584A (ja) 吸収性物品
JP6338850B2 (ja) 吸収性物品
JP2011255116A (ja) 吸収性物品
CN101291644B (zh) 吸收性物品
JP2015112340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5581192B2 (ja) 吸収性物品
JP5782254B2 (ja) 吸収性物品
JP3874693B2 (ja) 吸収性物品
JP6646441B2 (ja) 吸収性物品
JP5711523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