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24353A -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353A
KR20130124353A KR1020137018143A KR20137018143A KR20130124353A KR 20130124353 A KR20130124353 A KR 20130124353A KR 1020137018143 A KR1020137018143 A KR 1020137018143A KR 20137018143 A KR20137018143 A KR 20137018143A KR 20130124353 A KR20130124353 A KR 20130124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ess
pair
terminal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179B1 (ko
Inventor
케이지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의 단자 압입 홀에 단자를 압입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며, 콘택트의 전기 접촉부는 하우징의 각 단자 정렬 그루브에 정렬된다.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는 각각 압입 고정부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는,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사이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 사이에 편평한 비변형부를 남기도록, 압입 고정부의 대향하는 측단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제공되어, 비변형부가 남아 있는 제2면의 제1영역이 압입 고정부의 길이 방향에서 제1영역에 연속적인 제2영역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CONTACT AND CONNECTOR WITH CONTACTS}
본 발명은 하우징의 단자 압입 홀에 후방에서 각각 콘택트가 압입되고, 콘택트의 선단측에 제공되는 전기 접촉부(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슬라이드하여 접촉하게 되는 부분)는 하우징의 앞 부분과 일체로 돌출된 박판 절연체의 표면상의 단자 정렬 그루브에 삽입 및 정렬되는,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의 예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설명된 HDMI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도 5는 특허문헌 1에 설명된 커넥터와 유사한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다. 커넥터(1)는 절연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하우징(2)과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의 두 단으로 정렬된 콘택트(10)를 포함한다.
각 콘택트(10)는 하우징(2)에 형성된 단자 압입 홀(3)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된다. 콘택트(10)의 선단측에 제공된 각 전기 접촉부(15)는 하우징(2)의 앞 부분과 일체로 돌출된 박판 절연체(4)의 상면 및 하면(표면) 상의 단자 정렬 그루브(5)에 삽입 및 정렬된다. 각 단자 압입 홀(3) 및 단자 정렬 그루브(5)는 일직선으로 서로 연통한다. 단자 압입 홀(3)은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고 단자 정렬 그루브(5)는 단면이 사각 그루브로 형성된다.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이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부분을 뒤집어서 나타내는 확대된 사시도이다. 각 콘택트(10)는 단면이 사각형인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콘택트(10)는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다. 상부 스테이지에 정렬된 콘텍트(10)와 하부 스테이지에 정렬된 콘텍트(10)는, 최후단에 회로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후족부(rear foot parts, 16)를 제외하고, 상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각 콘택트(10)는 단자 압입 홀(3)의 횡단면 크기보다 약간 작게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콘택트(10)는 선단부에서 하우징(2)의 절연체(4)의 단자 정렬 그루브(5)에 삽입 및 정렬되는 전기 접촉부(15)와, 전기 접촉부(15)의 후방에서 단자 압입 홀(3)에 고정되고 후방에서 압입되는 압입 고정부(11), 최후단의 후족부(16)를 포함한다.
압입 고정부(11)의 통상 폭부의 좌우 방향 두께(D1)는 단자 압입 홀(3)의 횡단면의 좌우 방향 두께보다 작다. 길이 방향에서 압입 고정부(11)의 뒷 부분(휘방)에, 단자 압입 홀(3)의 횡단면의 좌우 방향 두께보다 큰 두께(D2)를 갖는 광폭부(12)가 제공된다. 두께(D1)를 갖는 통상 폭 부와 두께(D2)를 갖는 광폭부(12) 사이의 전이부의 좌우면에 경사진 벽(13)이 제공되어, 단자 압입 홀(3)로 광폭부(12)의 압입을 가능하게 한다.
콘택트(10)가 하우징(2)에 부착되는 경우, 각 콘텍트(10)에서, 단자 정렬 그루브(5)의 내부 바닥면(5b)과 접촉하는 외측면을 하면(10b), 하면(10b)과 대향하는 외측면을 상면(10a), 좌우 외측면을 좌우측면(10c)으로 하고, 콘택트의 상면(10a)과 마주보는 단자 압입 홀(3)의 내벽이 상부벽(3a), 상부벽(3a)과 대향하고 콘택트(10)의 하면(10b)과 마주보는 단자 압입 홀(3)의 내벽이 하부벽(3b)이 된다. 이 경우, 단자 압입 홀(3)의 상부벽(3a)과 하부벽(3b)은 콘택트(10)가 정렬되는 좌우 방향에 직각인 수직 방향에 존재한다.
여기서는, 상부 스테이지 상의 콘택트(10)와 상부 스테이지 상의 단자 압입 홀(3)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하부 스테이지 상에서 콘택트(10)와 단자 압입 홀(3) 사이의 관계는 상부 스테이지의 경우에 대해 위/아래 방향만 반대이고, 상면(10a), 하면(10b), 상부벽(3a) 및 하부벽(3b)의 호칭은 상부 스테이지와 동일하다.
도 9a는 종래에 콘택트(10)가 하우징(2)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나타난 상태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콘택트(10)의 압입 고정부(11)의 상면(10a) 상에, 단자 압입 홀(3)의 상부벽(3a)을 압접(press-contact)하는 아치 형상의 만곡 볼록부(20)가, 콘택트(10)의 하면(10b) 상에 오목한 프레스부(21)를 형성하여 콘택트(10)의 길이 방향(앞-뒤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두 위치에 제공된다. 각 만곡 볼록부(20)는 콘택트(10)의 두께 방향에서 전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단자 압입 홀(3)의 하부벽(3b)에서 상부벽(3a)까지의 높이가 H3인 경우, 콘택트(10)의 하면(10b)에서 상면(10a)까지의 높이(H1)는 H1 < H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콘택트(10)의 하면(10b)에서 만곡 볼록부(20)의 정점까지의 높이(H2)는 H2 > H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콘택트(10)의 압입 고정부(11)가 후방에서 단자 압입 홀(3)로 압입되는 경우, 콘택트(10)의 만곡 볼록부(20)의 정점은 단자 압입 홀(3)의 상부벽(3a)과 압접한다. 따라서, 콘택트(10)의 하면(10b)은, 콘택트(10)의 하면(10b)이 압입 고정부(11)에서 전기 접촉부(15)의 선단(15a)에 도달할 때까지, 단자 압입 홀(3)의 하부벽(3b)과 단자 정렬 그루브(5)의 내부 바닥면(5b)과 밀착하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부착된 콘택트(10)가 수직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콘택트(10)의 압입 고정부(11)가 단자 압입 홀(3)에 압입되는 경우, 압입 고정부(11)의 광폭부(12)는 단자 압입 홀(3)의 좌우 방향 측벽과 압접된다. 따라서, 콘택트(10)가 좌우 방향, 즉 정렬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70179호
실제 콘택트(10)를 하우징의 단자 압입 홀(3)에 압입하는 경우, 이하의 현상이 야기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콘택트(10)의 만복 볼록부(20)가 압입에 의해 단자 압입 홀(3)의 상부벽(3a)과 압접되는 경우, 만곡 볼록부(20)는 단자 압입 홀(3)의 상부벽(3a)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약간 변형된다. 이 변형시의 힘에 의해, 지렛대 역할을 하는 오목한 프레스부(21)의 전단부(21a)에서 이 현상이 야기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10)의 선단측에서 전기 접촉부(15)가 단자 정렬 그루브(5)의 내부 바닥면(5b)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들어 올려짐이 발생하는 경우, 커넥터(1)가 어떠한 보호조치도 없이 상대 커넥터(50)와 결합하면, 콘택트의 전기 접촉부(15)의 선단(15a)은 상대 커넥터(50)의 단자(52)의 선단과 충돌할 것이고(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 참조), 따라서 단자(52)가 구부러지고, 커넥터의 결합이 실패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입 콘택트의 선단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확실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커넥터는 이하의 구성 (1) 내지 (3)에 나타나 있다.
(1) 하우징에 삽입되는 콘택트로서, 상기 콘택트는,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
길이 방향으로 전기 접촉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압입 고정부;
압입 고정부의 제1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에 상응하여, 압입 고정부의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만곡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는,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사이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 사이에 편평한 비변형부를 남기도록, 압입 고정부의 대향하는 측단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제공되어, 비변형부가 남아 있는 제2면의 제1영역이 압입 고정부의 길이 방향에서 제1영역에 연속적인 제2영역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구성(1)에 따른 콘택트는,
한 쌍의 제2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제2 만곡 볼록부가 제공되어, 한 쌍의 제2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한 쌍의 만곡 볼록부 및 한 쌍의 제2 만곡 볼록부가 압입 고정부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커넥터로서,
앞 측에 복수의 단자 정렬 그루브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박판 절연체와, 후 측에 각 단자 정렬 그루브에 일직선으로 연통하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된 단자 압입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구성 (1) 또는 (2)에 정의된 복수의 콘택트로서, 각 콘택트는 단자 압입 홀의 단면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콘택트가 하우징에 부착되는 경우, 단자 정렬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콘택트의 외측면이 하면이고, 하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이 상면이며, 콘택트의 상면과 마주보는 단자 압입 홀의 내벽이 상부벽이고, 콘택트의 하면과 마주보고 상부벽과 대향하는 단자 압입 홀의 내벽이 하부벽이며,
단자 압입 홀의 상부벽과 하부벽은 콘택트가 정렬된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고,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는 각 콘택트의 상면 상에 형성되고, 한 쌍의 만곡 볼록부는 각 콘택트의 하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콘택트 또는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따르면, 비변형부가 콘택트의 상면의 대향하는 횡단에 제공되는 한 쌍의 만곡 볼록부 사이에 존재하고, 비변형부의 하면이 길이 방향에서 하면과 연속되는 콘택트의 하면과 같은 높이로 되기 때문에, 비변형부의 하면이 길이 방향에서 하면에 연속적인 콘택트의 하면뿐만 아니라 단자 압입 홀의 하부벽과 연속적으로 밀접히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비변형부의 하면은 단자 압입 홀의 상부 벽에 유지될 수 있다. 요컨대, 비변형부가 존재하므로, 만곡 볼록부의 위/아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고, 따라서 만곡 볼록부 앞의 선단측에서 전기 접촉부가 단자 정렬 그루브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는 상대 커낵터의 단자와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입 콘택트의 선단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가 상대 커텍터와 확실히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부분을 뒤집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가 하우징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난 상태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종래의 커넥터의 외관을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6의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부분을 뒤집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는 종래에 콘택트가 하우징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난 상태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커넥터에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부분을 뒤집어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가 하우징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난 상태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커넥터의 외관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1)는 절연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하우징(2)과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의 2단으로 정렬된 콘택트(110)를 포함한다.
각 콘택트(110)는 하우징(2)에 형성된 단자 압입 홀(3)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된다. 콘택트(110)의 선단측에 제공된 각 전기 접촉부(115)는, 하우징(2)의 앞 부분과 일체로 돌출된 박판 절연체(4)의 상면 및 하면(표면) 상의 단자 정렬 그루브(5)에 삽입 및 정렬된다. 각 단자 압입 홀(3) 및 단자 정렬 그루브(5)는 일직선으로 서로 연통된다. 단자 압입 홀(3)은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고, 단자 정렬 그루브(5)는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콘택트(110)는 단면이 사각인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콘택트(110)는 상부 스테이지 및 하부 스테이지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된다. 상부 스테이지에 정렬된 콘택트(110)와 하부 스테이지에 정렬된 콘택트(110)는, 최후방에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기 위한 후족부(rear foot part, 116)를 제외하고, 상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각 콘택트(110)는 단자 압입 홀(3)의 단면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콘택트(110)는 선단측에서 하우징(2)의 절연체(4)의 단자 정렬 그루브(5)에 삽입 및 정렬되는 전기 접촉부(115), 전기 접촉부(15)의 후방에서 단자 압입 홀(3)에 고정되고 후방에서 압입되는 압입 고정부(111), 및 최후방의 후족부(16)를 포함한다.
압입 고정부(111)의 통상 폭 부의 좌우방향의 폭(D1)은 단자 압입 홀(3)의 단면의 좌우 폭 치수보다 작다. 길이 방향의 압입 고정부(111)의 후방부(뒤 측)에, 단자 압입 홀(3)의 단면의 좌우 폭 치수보다 큰 폭 D2를 갖는 광폭부(112)가 제공된다. 광폭부(112)가 단자 압입 홀(3)로 압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폭 D1을 갖는 통상 폭 부와 폭 D2를 갖는 광폭부(112) 사이의 전이부의 좌우면에 경사벽(113)이 제공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110)가 하우징(2)에 부착되는 경우, 각 콘택트(110)에서, 단자 정렬 그루브(5)의 내부 바닥면(5b)과 접촉하는 외측면이 하면(110b)이고, 하면(110b)과 대향하는 외측면이 상면(110a)이고, 좌우 외측면이 좌우측면(110c)이 되고, 콘택트의 상면(110a)과 마주보는 단자 압입 홀(3)의 내벽이 상부 벽(3a)이고, 콘택트(110)의 하면(110b)과 마주보고 상부 벽(3a)과 대향하는 단자 압입 홀(3)의 내벽이 하부 벽(3b)이 된다. 이 경우, 단자 압입 홀(3)의 상부 벽(3a)과 하부 벽(3b)은 콘택트(110)가 정렬되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상부 스테이지 상의 콘택트(110)와 상부 스테이지 상의 단자 압입 홀(3) 사이의 관계만 설명되었으나, 하부 스테이지 상의 콘택트(110)과 단자 압입 홀(3) 사이의 관계는 위/아래 방향만 상부 스테이지의 경우에 대해 반대가 되고, 상면(110a), 하면(110b), 상부 벽(3a) 및 하부 벽(3b)의 호칭은 상부 스테이지와 동일하다.
콘택트(110)의 압입 고정부(111)의 상면(110a) 상에, 단자 압입 홀(3)의 상부 벽(3a)을 압접하는 아치 형상의 만곡 볼록부(120)가, 콘택트(110)의 하면(110b)에 오목 프레스부(121)를 형성하여, 콘택트(110)의 길이 방향(앞뒤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두 위치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만곡 볼록부(120)는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콘택트(110)의 대향하는 측단의 상면에 형성되고(즉, 한 쌍의 (좌우) 만곡 볼록부(120)가 형성), 비변형부(125)는 대향하는 측단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만곡 볼록부(120, 120) 사이에 편평하게 남아있다. 비변형부(125)가 남아있는 상면(125a) 및 하면(125b)은 길이 방향에서 각각 상면(125a) 및 하면(125b)에 연속하는 콘택트(110)의 상면(110a) 및 하면(110b)과 높이가 동일하다.
이 경우, 단자 압입 홀(3)의 하부 벽(3b)에서 상부 벽(3a)까지의 높이가 H3이면, 콘택트(110)의 하면(110b)에서 상면(110a)까지의 높이 H1는 H1 < H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콘택트(110)의 하면(110b)에서 만곡 볼록부(120)의 정점까지의 높이 H2는 H2 > H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콘택트(110)의 압입 고정부(111)가 후방에서 단자 압입 홀(3)에 압입되는 경우, 콘택트(110)의 만곡 볼록부(120)의 정점은 단자 압입 홀(3)의 상부 벽(3a)과 압접한다. 따라서, 콘택트(110)의 하면(110b)은, 콘택트(110)의 하면(110b)이 압입 고정부(111)에서 전기 접촉부(115)의 선단(115a)에 도달할 때까지, 단자 압입 홀(3)의 하부 벽(3b)과 단자 정렬 그루브(5)의 내부 바닥면(5b)과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된 콘택트(110)가 수직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비변형부(125)가 콘택트(110)의 상면의 대향하는 측단에 제공되는 한 쌍의 만곡 볼록부(120, 120) 사이에 남아있기 때문에, 비변형부(125)의 하면(125b)은 길이 방향에서 하면(125b)에 연속하는 콘택트(110)의 하면(110b)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하여, 비변형부(125)의 하면(125b)은 길이 방향에서 하면(125b)에 연속적인 콘택트(110)의 하면(110b)뿐만 아니라 단자 압입 홀(3)의 하부 벽(3b)과 연속적으로 밀접히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변형부(125)의 하면(125b)은 단자 압입 홀(3)의 상부 벽(3a)을 유지할 수 있다.
요컨대, 비변형부(125)의 존재로 인해, 만곡 볼록부(120)의 위/아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어, 만곡 볼록부(120) 앞의 선단측에서 전기 접촉부(115)가 단자 정렬 그루브(5)의 내부 바닥면(5b)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되어 있는 4개의 만곡 볼록부(120)의 정점이 단자 압입 홀(3)의 상부 벽(3a)과 압접하기 때문에, 컨택트(110)를 단자 압입 홀(3)의 하부 벽(3b) 상에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다.
더욱이, 콘택트(110)의 압입 고정부(111)가 단자 압입 홀(3)에 압입되는 경우, 압입 고정부(111)의 광폭부(112)는 단자 압입 홀(3)의 좌우 방향 측벽과 압접된다. 따라서, 콘택트(110)가 좌우 방향, 즉 정렬 방향에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형 및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의 재료, 형상, 크기, 수, 배치 위치 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얻어지는 한 임의적이다.
본 출원은 2011년 1월 1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003165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2: 하우징
3: 단자 압입 홀
3a: 상부 벽
3b: 하부 벽
4: 절연체
5: 단자 정렬 그루브
5b: 내부 바닥면
101: 커넥터
110: 콘택트
110a: 상면
110b: 하면
111: 압입 고정부
115: 전기 접촉부
120: 만곡 볼록부
121: 오목 프레스부
125: 비변형부
125b: 하면

Claims (3)

  1. 하우징에 삽입되는 콘택트로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접촉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기 접촉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압입 고정부;
    상기 압입 고정부의 제1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및
    상기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에 상응하여, 상기 압입 고정부의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만곡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는,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사이 및 한 쌍의 만곡 볼록부 사이에 편평한 비변형부를 남기도록, 상기 압입 고정부의 대향하는 측단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제공되어, 상기 비변형부가 남아 있는 제2면의 제1영역이 압입 고정부의 길이 방향에서 제1영역에 연속적인 제2영역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텍트에는,
    한 쌍의 제2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제2 만곡 볼록부가 제공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오목 프레스부 및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 상기 한 쌍의 만곡 볼록부 및 한 쌍의 제2 만곡 볼록부가 상기 압입 고정부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3. 하우징으로, 앞 측에 복수의 단자 정렬 그루브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박판 절연체와, 뒷 측에 각 단자 정렬 그루브와 일직선으로 연통하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된 단자 압입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복수의 콘택트로서, 각 콘택트는 상기 단자 압입 홀의 단면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단자 정렬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상기 콘택트의 외측면이 하면이고,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이 상면이며, 상기 콘택트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단자 압입 홀의 내벽이 상부벽이고, 상기 콘택트의 하면과 마주보고 상기 상부벽과 대향하는 상기 단자 압입 홀의 내벽이 하부벽이고,
    상기 단자 압입 홀의 상부벽과 하부벽은 상기 콘택트가 정렬된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존재하고,
    한 쌍의 오목 프레스부는 각 콘택트의 상면 상에 형성되고, 한 쌍의 만곡 볼록부는 각 콘택트의 하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18143A 2011-01-11 2012-01-11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486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3165 2011-01-11
JP2011003165A JP5707138B2 (ja) 2011-01-11 2011-01-11 コネクタ
PCT/JP2012/051008 WO2012096409A1 (en) 2011-01-11 2012-01-11 Contact and connector with conta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353A true KR20130124353A (ko) 2013-11-13
KR101486179B1 KR101486179B1 (ko) 2015-01-23

Family

ID=4559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1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6179B1 (ko) 2011-01-11 2012-01-11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02454B2 (ko)
EP (1) EP2664035A1 (ko)
JP (1) JP5707138B2 (ko)
KR (1) KR101486179B1 (ko)
CN (1) CN103329361B (ko)
TW (1) TWI514685B (ko)
WO (1) WO20120964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628A (ko) * 2017-03-29 2018-10-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프레스-끼워맞춤 접촉 핀들을 위한 지지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6407A1 (en) * 2014-01-31 2015-08-06 Fci Asia Pte. Ltd Electrical terminals
JP6339831B2 (ja) * 2014-03-19 2018-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保持構造
JP2016018595A (ja) * 2014-07-04 2016-02-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6024857A (ja) * 2014-07-16 2016-0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496651B2 (en) * 2015-03-03 2016-11-1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DMI connector
JP6550890B2 (ja) * 2015-04-22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17004859A (ja) * 2015-06-12 2017-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9595782B2 (en) 2015-08-05 2017-03-14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in with angled retention member
USD851044S1 (en) 2016-09-30 2019-06-11 Samtec,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N107331995A (zh) * 2017-03-31 2017-11-07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小间距高速正交背板连接器
JP6463446B1 (ja) * 2017-11-16 2019-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197996B2 (ja) * 2018-04-26 2022-12-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238675B2 (ja) * 2019-07-31 2023-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および基板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6265A (en) * 1973-02-16 1976-11-24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JPS608379Y2 (ja) * 1980-04-07 1985-03-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圧入型接触子
JPS58182379U (ja) * 1982-05-31 1983-12-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雄接触子の係止構造
US5403215A (en) * 1993-12-21 1995-04-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retention
JPH0742006U (ja) * 1993-12-29 1995-07-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ピンコネクタ
TW338561U (en) * 1997-02-25 1998-08-11 Hon Hai Prec Ind Co Ltd A connector with replaceable leads
JP3327385B2 (ja) * 1997-05-16 2002-09-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基板実装型コネクタ
US5897401A (en) * 1997-07-01 1999-04-27 Solid State Stamping, Inc. Serrated starred pin
US6042429A (en) * 1997-08-18 2000-03-28 Autosplice Systems Inc. Continuous press-fit knurl pin
US6261132B1 (en) * 2000-12-29 2001-07-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eader connector for future bus
JP4069817B2 (ja) * 2003-07-10 200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M254801U (en) * 2004-04-16 2005-01-01 Pinrex Technology Corp Improved terminal material infeed conveyor structure
TWM287523U (en) * 2005-06-29 2006-02-11 Chm Technology Corportion Terminal pin
US7083478B1 (en) * 2005-08-25 2006-08-01 Yazaki Corporation Terminal holding structure of board mounted-type connector
JP4127705B2 (ja) * 2005-10-07 2008-07-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8270179A (ja) * 2007-03-22 2008-11-0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Hdmi規格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M382605U (en) * 2009-03-13 2010-06-11 Chou-Hsien Tsai Two-row continuous terminal structure with staggered arrangement
JP2011003165A (ja) 2009-06-22 2011-01-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警報器
TWM396511U (en) * 2010-07-20 2011-01-11 Sun Light Electronic Technologies Inc Electric adapter
JP5494381B2 (ja) * 2010-09-14 2014-05-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628A (ko) * 2017-03-29 2018-10-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프레스-끼워맞춤 접촉 핀들을 위한 지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07138B2 (ja) 2015-04-22
CN103329361B (zh) 2015-11-25
EP2664035A1 (en) 2013-11-20
US8702454B2 (en) 2014-04-22
WO2012096409A1 (en) 2012-07-19
TWI514685B (zh) 2015-12-21
JP2012146454A (ja) 2012-08-02
CN103329361A (zh) 2013-09-25
KR101486179B1 (ko) 2015-01-23
US20130267122A1 (en) 2013-10-10
TW201230511A (en)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353A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9397423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219325B2 (en)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connector terminal with buffer portion
US9300064B2 (en) Connector
US9391398B2 (en) Connector assembly
CN102157858B (zh) 电连接器
CN105449408B (zh) 连接器端子
US9577371B2 (en) Connector with retaining portion having reinforcing portion
US20120122350A1 (en) Board-to-board-type connector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US10770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US876447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enhanced metal locking features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CN107658591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CN107799932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2016146255A (ja) ソケット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CN104253337A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KR20160140543A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JP5203029B2 (ja) 電気コネクタ
JP4220400B2 (ja) コネクタ
JP2017147171A (ja) コネクタ
JP2016162605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8181468A (ja) コネクタ
JP201811682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