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23695A -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 Google Patents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695A
KR20130123695A KR1020120047017A KR20120047017A KR20130123695A KR 20130123695 A KR20130123695 A KR 20130123695A KR 1020120047017 A KR1020120047017 A KR 1020120047017A KR 20120047017 A KR20120047017 A KR 20120047017A KR 20130123695 A KR20130123695 A KR 2013012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air
mail delivery
mail
delivery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filed Critical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Priority to KR102012004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695A/ko
Publication of KR2013012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69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상자를 이루는 각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우편물 배송 상자 내부의 여유공간을 채우도록 팽창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공기실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우편물 배송 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완충재 없이 우편물 배송 상자만으로도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우편물 상자를 이용하기가 편리해지고, 일반인도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부담없이 우편물로 발송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packet box for preventing damage of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을 파손없이 보호할 수 있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편물 배송 과정에서 내용물을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적합한 우편물 배송 상자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을 담아 배송할 때 사용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는 대개 마분지로 두껍게 만든 상자 형태를 가진다. 단단한 물건이나 책과 같은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몸체가 연약하거나 깨지기 쉬운 물건은 일반 우편물과 같이 취급될 경우 배송 과정에서 파손되기 쉽다.
이런 경우, 본인 책임하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을 하여야 하는데, 일부 물건의 포장에서는 파손 방지를 위해 완충용 종이 리브나 스트로폼 구조물, 다수의 작은 공기실을 가지는 비닐 포장재 등 정형화된 완충포장을 갖춘 원래의 상품 박스 자체를 우편물 배송 상자로 하거나, 이 상품 박스 자체를 별도의 우편물 배송 상자에 넣어 보내기도 하고, 원래의 완충포장이 없는 경우에는 개인이 내부에 임의로 종이뭉치 등의 완충물을 넣어 파손방지 포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포장 경험이 별로 없는 개인이 포장을 하는 경우, 적절하게 완충재를 사용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우편물 배송 중에 물품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런 파손은 단순히 그 우편물의 파손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이로 인하여 다른 우편물을 훼손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고, 배송과 관련된 파손의 책임 소재를 가리는 분쟁이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편물 배송 상자를 이용한 우편물 배송의 이용도를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물 파손우려가 있는 우편물 배송 상의 문제점을 경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완충재 없이 우편물 배송 상자만으로도 내용물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일반인도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부담없이 우편물로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우편물 배송 상자는 상자를 이루는 각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우편물 배송 상자 내부의 여유공간을 채우도록 팽창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공기실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우편물 배송 상자는 통상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만드시 직육면체 상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다면체 상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실은 물놀이 튜브와 같은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의 양에 따라 표면 면적이 늘어날 수 있는 신축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기실은 상자를 이루는 판재층의 내면에 별도의 팽창층을 결합시켜 형성하되 주변부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접착제로 접착시키거나 열융착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실에 공기를 넣기 위한 공기주입구는 상자 내측에도 설치될 수 있지만 포장 후에도 공기를 더 불어넣을 수 있도록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통상 공기실은 복수개 형성되고, 공기실 가운데 적어도 두 개는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실이 상자를 이루는 면에 설치될 때 하나의 면에 하나의 공기실을 가지거나, 구분된 복수의 공기실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실이 둘 이상 형성될 때 이들 공기실은 서로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통로를 가지는 것이거나, 독립된 공기실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상자 자체에 내부측으로 부풀어오르는 공기실을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별도의 완충재 없이 우편물 배송 상자만으로도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우편물 상자를 이용하기가 편리해지고, 따라서 일반인도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부담없이 우편물로 발송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우편물 배송 상자의 개봉상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우편물 배송 상자의 전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우편물 배송 상자의 일 수직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우편물 배송 상자의 일 수평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우편물 배송 상자의 포장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공기를 불어넣기 전의 우편물 배송 상자는 흔히 이사용 박스라고 하는 통상의 직육면체 포장 상자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다. 4개의 측면 벽체(11, 12, 13, 14)가 전후좌우 4면을 가리고, 상하면 각각은 상자 내부에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단일 벽체가 아닌 분할된 2개의 상,하면 벽체(17a, 17b)(18a, 18b)로 이루어진다. 이들 상하면 벽체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측면 벽체(11, 13)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 뒤에 상자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에서 절곡되어 이 절곡부를 통해 측면 벽체(11, 13)와 구분된다.
이런 우편물 배송 상자는 도2와 같은 펼쳐진 전개도 상태의 배송 상자에서 각 측면을 구분하는 상자 모서리부에서 굽히고, 서로 닿는 부분은 융착이나 접착을 통해 혹은 리벳이나 호치키스와 같은 물리적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시켜 만들어진다.
가령, 각 모서리부를 절곡할 때 접착면(15)은 한 측면 벽체(11)의 내측에 겹쳐진 상태로 이 측면 벽체(11)의 내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각 측면 벽체(11, 12, 13, 14)가 직육면체 상자의 전, 후, 좌, 우의 4 측면을 이루도록 한다. 4 측면 벽체 가운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 벽체(11, 13)에는 상, 하로 상하면 벽체(17a, 17b)(18a, 18b)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된 부분이 절곡되면 상측의 두 상면 벽체(17a, 17b)는 함께 우편물 배송 상자의 상면을, 하측의 두 하면 벽체(18a, 18b)는 함께 우편물 배송 상자의 하면을 이루게 된다.
우편물 배송 상자를 이루는 각 측면은 겹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의 수직 단면도에서 나타나듯이 외측에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판재층이 내측에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탄력과 신축성이 있는 팽창층(111, 131, 171a, 171b, 181a, 181b)이 겹쳐서 겹층을 이룬다. 판재층과 팽창층은 상자 모서리를 이루는 주변부에서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서로 접착이나 융착을 통해 밀착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에서는 이격되어 두 층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면 이들 두 층이 공기실의 벽체를 이루면서 팽창층(111, 131, 171a, 171b, 181a, 181b)이 판재층으로부터 떨어져 상자 내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서 보듯이 입접한 측면 사이에는 각 측면에 형성된 공기실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판재층과 팽창층이 밀착되지 않은 부분인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공기주입구(31)만을 입으로 불어 공기를 넣거나, 에어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여도 모든 측면의 내측에서 공기실들이 부풀어 오르게 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지만 하나의 측면에도 여러 개의 공기실을 형성할 수 있고, 이들 공기실은 번갈아 가면서 연결될 수 있다.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공기실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계통 공기실로 볼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공기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계통 공기실을 이루게 되고, 각 계통 공기실에 하나의 공기 주입구를 설치하면 공기 주입구는 두 곳으로 나뉘어져 설치하게 된다.
이런 경우, 하나의 계통의 공기실에 기밀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 계통 공기실이 팽창 상태를 유지하면 내부의 물건을 탄성적으로 안착시키고 보호할 수 있으므로 우편물의 파손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공기실에 공기가 유입될 때 팽창층(111, 131, 171a, 171b, 181a, 181b)은 상자 내측으로 팽창하도록 하기 위해 팽창이 용이한 재질로 만들거나, 외부 판재층과 면적을 달리하여 여분을 가지도록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층은 상자 내측에 겹쳐진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물체에 닿아서 혹은 외부 압력을 받아서 쉽게 공기실이 터지지 않도록 기계적 강도를 가진 질긴 PVC 등의 합성수지 혹은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판재층은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강하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에는 주소나 메모 사항을 펜으로 기재할 수 있는 공간을 준비하되 재생하여 여러번 사용할 수 있도록 종이보다는 밀봉 테이프를 붙이고 뗄 수 있는 매끈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 판재층과 내부 팽창층은 별도로 만들어 공기실을 형성하기 위해 상자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융착시켜 각 상자 측벽을 이루기 위해서는 두 재질은 동일하거나 서로 융착이 잘 되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통해 본 실시예의 우편물 배송 상자에 물건을 넣어 포장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상자의 하면을 이루는 두 하면 벽체(18a, 18b)를 구부려 닫아 상자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두 하면 벽체 사이의 틈을 밀봉하면서 상자 밑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5와 같이 폭이 넓은 테이프(50b)를 두 하면 벽체에 걸치도록 붙이고, 테이프의 단부는 측면 벽체(12)에 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내부에 넣을 물건의 부피와 배송 상자의 부피를 고려하여 우편물 배송 상자에 준비된 공기 주입구(31)를 통해 일부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실(113, 123, 133, 143)을 부풀리되 물품을 넣기 위한 일부 공간을 남기도록 한다.
그리고, 물건(40)을 공기실(113, 123, 133, 143) 사이에 넣는다. 공기실은 탄성이 있고, 내부 물건의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물건(40)을 놓을 수 있다.
다음으로 물건의 자리가 잡히면 아직 남아있는 여유 공간을 채우기 위해 공기주입구(31)를 통해 더 공기를 주입한다. 상자 벽체의 내측에 있는 팽창층이 상자 내측으로 더 부풀어오르고 물건과 닿아 어느 정도 압력을 가진 상태로 물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물건을 넣기 전에 한번, 물건을 넣은 다음 한번 공기를 주입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물론 공기 주입 시기는 물건의 종류나 사용자의 편의 상 다른 시기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령, 물건을 주입하기 전에는 별도로 공기 주입이 없고, 물건을 배치한 다음에 한번 공기 주입을 하여 대부분의 공간을 채우되 물건의 무게로 인하여 하면의 공기가 충분히 채워지지 못함을 고려하여, 일단 상면 벽체를 닫아 상자를 일차로 마감한 후에 상자를 뒤집어 다시 공기 주입을 함으로써 하면 벽체의 공기실에도 충분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면 벽체에 채워진 공기가 다시 측면쪽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주변에서 하면 벽체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통로 일부에는 간이 격막을 설치하여 그 격막 부분을 손으로 눌러주기 전에는 하면 벽체의 공기실에 주입된 공기가 내용물 무게에 의해 통로를 통해 연결된 주변 공기실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도 있고, 결국 물건을 감싸는 상자의 측벽 및 상, 하면이 고르게 부풀어 우편물 배송 상자가 내부에 놓인 물건을 모든 방향에서 고른 정도로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상자의 상면을 이루는 두 상면 벽체(17a, 17b)로 상자 내부가 가려지게 상자를 닫고 이들 두 벽체 사이의 틈을 밀봉하면서 상자가 개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5와 같이 폭이 넓은 테이프(50a)를 두 벽체(17a, 17b)에 걸치도록 붙이고, 테이프(50a)의 단부는 측면 벽체(12)에 부착되도록 하여 상자 포장을 마감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테이프(50a)의 일부가 공기주입구(31)의 마개 위를 지나도록 하여 공기주입구(31)에서 마개가 이탈되는 것을 막고, 아울러, 마개와 공기주입구(31)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한번 더 막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우편물 배송 상자의 외측에는 수취인의 주소, 성명을 직접 기재하거나 주소, 성명 및 메모가 적힌 종이 테이프를 부착하면 된다.
반대로 수취인이 우편물 배송 상자를 열어 우편물을 꺼낼 때에는 테이프(50a)를 상자에서 떼어내고, 마개를 열어 공기주입구(31)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자 내에 든 물건을 꺼내면 된다.
우편물 배송 상자의 재생을 위해서는 상, 하면 벽체를 이루는 두 벽체들에 걸쳐 부착된 테이프를 떼어내고, 상, 하면 벽체들이 각각 상, 하측을 향하도록 펼치고, 상자를 크게 두 겹으로 접고,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켜 다음 사용시까지 보관하면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우편물 배송 상자 내측에 공기실을 설치하면 공기실이 상자 내부에서 물건을 어느 정도의 압력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자 내부에서 물건이 움직이면서 상자 벽면을 통해 외부의 단단한 물체나 벽면과 닿아 충격을 받아 파손되거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파손된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서 주변 우편물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여기서 기재되어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가령, 이상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이사 박스 형태의 우편물 배송 상자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우편물 배송 상자는 직육면체 상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다면체 상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우편물 배송 상자의 각 벽체가 제조시부터 판재층과 팽창층의 두 겹층으로 이루어져 사이에 공기실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기존의 종이 박스형 우편물 배송 상자의 내부에 도2의 전개도와 비슷한 형태의 공기 튜브를 만들고, 전개도의 모서리 해당부를 접어 상자 형태로 만들어서 상자 내부에 배치한 뒤 공기 튜브 내에 물건을 놓아 포장을 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기존의 우편물 배송 상자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리한 점이 있고, 이때, 공기 튜브가 기존의 우편물 배송 상자 내에서 제 위치를 이탈하여 겉돌아 물건을 고르게 감싸고 보호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거나, 공기 튜브를 배치할 때에는 제자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자 내면과 튜브 사이에 접착처리를 할 수도 있다.
11, 12, 13, 14: 측면 벽체 17a, 17b: 상면 벽체
18a, 18b: 하면 벽체 113, 123, 133, 143: 공기실
111, 131, 171a, 171b, 181a, 181b: 팽창층
31: 공기주입구 50a, 50b: 테이프

Claims (6)

  1. 상자를 이루는 각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공기주입구를 가져서 상기 주입구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우편물 배송 상자 내부의 여유공간을 채우도록 팽창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공기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상기 상자를 이루는 판재층의 내면에 별도의 팽창층을 결합시켜 형성하되 주변부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접착제로 접착시키거나 열융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층은 탄성 및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 혹은 합성고무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공기실 가운데 적어도 두 개는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공기실을 하나의 계통공기실로 볼 때,
    복수개의 상기 공기실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계통공기실을 이루고,
    상기 계통 공기실마다 하나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배송 상자.
KR1020120047017A 2012-05-03 2012-05-03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Ceased KR20130123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17A KR20130123695A (ko) 2012-05-03 2012-05-03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17A KR20130123695A (ko) 2012-05-03 2012-05-03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695A true KR20130123695A (ko) 2013-11-13

Family

ID=4985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017A Ceased KR20130123695A (ko) 2012-05-03 2012-05-03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6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023A (ko) * 2015-04-07 2016-10-17 이진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KR20190027010A (ko) 2017-09-04 2019-03-14 주식회사 엠피씨 운송용 박스의 완충포장방법
CN109826156A (zh) * 2019-03-26 2019-05-31 山东农业大学 水利土木工程新型混凝土联锁砌块及其铺设方法
CN112124790A (zh) * 2020-09-21 2020-12-25 姜高敏 应用于物流配送无人机的轻量化集装箱
CN112572999A (zh) * 2019-09-27 2021-03-30 博罗县十方包装材料有限公司 充气袋构造及制造方法
CN113879701A (zh) * 2021-11-08 2022-01-04 山东华旭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快递物流循环包装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023A (ko) * 2015-04-07 2016-10-17 이진범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KR20190027010A (ko) 2017-09-04 2019-03-14 주식회사 엠피씨 운송용 박스의 완충포장방법
CN109826156A (zh) * 2019-03-26 2019-05-31 山东农业大学 水利土木工程新型混凝土联锁砌块及其铺设方法
CN112572999A (zh) * 2019-09-27 2021-03-30 博罗县十方包装材料有限公司 充气袋构造及制造方法
CN112124790A (zh) * 2020-09-21 2020-12-25 姜高敏 应用于物流配送无人机的轻量化集装箱
CN113879701A (zh) * 2021-11-08 2022-01-04 山东华旭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快递物流循环包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2205B (zh) 空气包装装置
KR20130123695A (ko)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CN105083759B (zh) 站立式多层空气包装装置及其应用方法
EP3059184B1 (en) Packaging for use in the shipping of articles
US20080314783A1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TWM306997U (en) Buffering package for heterogeneous compound substrate
KR20130132218A (ko) 완충기능이 있는 포장백
US20150090627A1 (en) Structure of inflatable packaging device
TW200812877A (en) Heterogeneous compound substrate for gas sealing member
CN104925378B (zh) 一种具有多级缓冲的空气包装装置
CN101367458B (zh) 吊床式空气防震套
CN103086079B (zh) 自动调节夹持压力的缓冲气袋
CN106672432A (zh) 电子产品包装装置
JP2023174810A (ja) 梱包袋
CN204846822U (zh) 多层式空气包装装置
JP2009161233A (ja) 吊り下げ式空気防振カバー
TWM459201U (zh) 具有充氣包裝袋之箱體
CN208007680U (zh) 一种内置填充气囊的专用快递盒
JP2009137589A (ja) 気体注入式緩衝包装材
CN111516985A (zh) 气柱结构包装袋与其制造方法
KR200477093Y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 봉투
CN109335258A (zh) 一种强化边角保护的空气密封袋
CN220077280U (zh) 一种节省空间的充气包装袋
CN211996998U (zh) 一种气柱包装袋
CN204675105U (zh) 一种组合式充气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