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21298A - 화분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화분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298A
KR20130121298A KR1020120044369A KR20120044369A KR20130121298A KR 20130121298 A KR20130121298 A KR 20130121298A KR 1020120044369 A KR1020120044369 A KR 1020120044369A KR 20120044369 A KR20120044369 A KR 20120044369A KR 20130121298 A KR20130121298 A KR 20130121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ckaging box
hole
vertical wall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313B1 (ko
Inventor
윤형준
Original Assignee
윤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준 filed Critical 윤형준
Priority to KR102012004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31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31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07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inwardly protruding of folded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rton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낱개 포장이 가능한 화분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화분을 낱개 포장 가능한 화분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부에는 걸이홈(5)을 형성하는 수직벽(6)과, 수직벽 좌우에 형성되며 호 형상을 이루는 호면을 갖는 측벽(11)과, 상기 수직벽(6)과 측벽(11)이 만나는 부분에 절개선(4)을 형성하여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홈(2)이 형성되면서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12)과, 상기 걸림턱(12)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3)을 형성하는 상지지판(1)과, 상기 포장박스의 저면 측부에 형성하는 측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포장박스(30)는, 상기 포장 박스를 내장하는 외포장박스(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포장박스(40)는 그 하부(41)에서 돌출 형성되는 끼움구(42)를 형성하여, 상기한 포장박스(30)의 저부에 형성되는 측공(44)에 끼워지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벽(11)과 마주보는 대향 방향에는 제2측벽(47)을 구성하되, 제2측벽은 그 가로 방향 연장선상에 앞커버(48)와 측커버(49)와 측돌기(52)를 연속으로 이어지게 형성하고, 측벽(11)과 수직벽(6) 사이에는 측공(50)을 형성하여, 측돌기(52)가 측공(50)에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특징은, 수직벽(80)과, 수직벽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측벽(81) 및 우측벽(82)과, 상기 우측벽(82)이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는 끼움구(68,69)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도 끼움구(42)를 형성하는 전면벽(83)과, 상기 좌측벽(81) 측부에 세로로 절취선부(61)를 형성하고 그 세로절취선(61)과 직각으로 가로로 접힙선(70)을 형성하여, 접힘선(70)을 따라 접을 경우 수평면을 이루며 중앙에는 통공(3)을 형성하는 상지지판(1)과, 상기 상지지판(1) 상부에 가로절취부(60)를 형성하여 가로절취부(60)를 따라 절취한 후 수직 방향으로 접을 경우, 상기 전면벽에 대하여 중첩되게 부착되는 상내부벽(96)과, 상기 상지지판(1)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구성하며 상기한 전면벽(83) 내측에서 중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수직벽(95)과, 상기 수직벽(80)과 좌우측벽(81,82)이 만나는 부분에 절개선(4)을 형성하여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홈(2)이 형성되면서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12)과, 상기 포장박스의 저면 측부에 형성하는 측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측벽(81)에는 상,하부에 상구멍(66)과 하구멍(67)을 형성하여, 상기한 끼움구(68,69)가 끼워지게 구성하고, 상기 상내부벽(96)과 내수직벽(95)에는 돌출 구조의 상접착면(62)과 하접착면(63)을 형성하여 상기한 우측벽(82)과 접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포장 상자{packing box for flower pot}
본 발명은 낱개 포장이 가능한 화분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문헌1]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24471 호(2006. 8. 14)
명칭 "화분용 포장상자"
상기 문헌1 은 원형 기둥에 화분을 고정하여 사각 박스에 넣은 형태이다
종래의 화분을 택배로 포장하여 보낼 경우, 화분에서 식물 빼고 흙을 털어서 이끼 같은 것으로 뿌리를 감싸서 신문지나 비닐로 전체를 둘둘말아서 상자에 넣어 발송하여 왔다. 그리고 화분을 같이 보낼 때는 플라스틱 화분의 밑 부분을 비닐로 감싸서 흙이 쏟아지지 않게 하고, 각목을 택배상자 크기에 맞춰 잘라서 기둥 역할을 하게 하여, 화분과 상자 위부분에 결합시켜 화분이 엎어지더라도 식물이 손상되지 않게 하였다.
종래 기술의 하나인 문헌1은, 종래 기술인 각목을 끼워넣는 형태에서 발전된 것으로, 택배로 보낼시 좋은 형태이지만 포장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 외 다른 포장박스 것들도 있으나, 이들은 화분을 비록 고정하는 형태이지만 택배로 보낼시 식물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으며, 옆이 터진 형태의 상자도 있으나 이는 택배로 송부시 내구성이 취약하고, 택배 포장시 테이핑 작업을 많이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이 다치지 않고 자연스레 포장 가능하고, 외포장박스(40)에 포장박스(30)가 결합되면 눕힌 채 다른 포장상자들과 겹쳐서 적재되어도 상자가 눌리는 현상이 없으며, 이렇게 이중으로 포장된 포장박스를 뒤집고 던져도 식물과 화분에 아무런 손상도 입지 않는 구조의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테이핑 포장 작업이 간단하고, 포장을 해체하는 시간이 간편하고 손 쉬운 장점을 갖는 화분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포장지를 절감하면서 간단한 포장과 함께 견고한 포장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 외 다른 목적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추가로 상술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화분을 낱개 포장 가능한 화분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부에는 걸이홈(5)을 형성하는 수직벽(6)과, 수직벽 좌우에 형성되며 호 형상을 이루는 호면을 갖는 측벽(11)과, 상기 수직벽(6)과 측벽(11)이 만나는 부분에 절개선(4)을 형성하여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홈(2)이 형성되면서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12)과, 상기 걸림턱(12)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3)을 형성하는 상지지판(1)과, 상기 포장박스의 저면 측부에 형성하는 측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포장박스(30)는, 상기 포장 박스를 내장하는 외포장박스(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포장박스(40)는 그 하부(41)에서 돌출 형성되는 끼움구(42)를 형성하여, 상기한 포장박스(30)의 저부에 형성되는 측공(44)에 끼워지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벽(11)과 마주보는 대향 방향에는 제2측벽(47)을 구성하되, 제2측벽은 그 가로 방향 연장선상에 앞커버(48)와 측커버(49)와 측돌기(52)를 연속으로 이어지게 형성하고, 측벽(11)과 수직벽(6) 사이에는 측공(50)을 형성하여, 측돌기(52)가 측공(50)에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특징은, 수직벽(80)과, 수직벽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측벽(81) 및 우측벽(82)과, 상기 우측벽(82)이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는 끼움구(68,69)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도 끼움구(42)를 형성하는 전면벽(83)과, 상기 좌측벽(81) 측부에 세로로 절취선부(61)를 형성하고 그 세로절취선(61)과 직각으로 가로로 접힙선(70)을 형성하여, 접힘선(70)을 따라 접을 경우 수평면을 이루며 중앙에는 통공(3)을 형성하는 상지지판(1)과, 상기 상지지판(1) 상부에 가로절취부(60)를 형성하여 가로절취부(60)를 따라 절취한 후 수직 방향으로 접을 경우, 상기 전면벽에 대하여 중첩되게 부착되는 상내부벽(96)과, 상기 상지지판(1)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구성하며 상기한 전면벽(83) 내측에서 중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수직벽(95)과, 상기 수직벽(80)과 좌우측벽(81,82)이 만나는 부분에 절개선(4)을 형성하여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홈(2)이 형성되면서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12)과, 상기 포장박스의 저면 측부에 형성하는 측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측벽(81)에는 상,하부에 상구멍(66)과 하구멍(67)을 형성하여, 상기한 끼움구(68,69)가 끼워지게 구성하고, 상기 상내부벽(96)과 내수직벽(95)에는 돌출 구조의 상접착면(62)과 하접착면(63)을 형성하여 상기한 우측벽(82)과 접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박스의 걸림턱(12)에 의한 락장치가 박스형태를 유지시켜주어, 내부의 속상자인 포장박스(30)가 박스 형태를 유지하여 화분의 흙이 쏟아지지 않게 하였으며, 포장박스(30)의 손잡이인 걸이홈(5)을 잡고 외포장 박스(40)의 윗부분으로 넣으면 식물이 다치지 않고 자연스레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포장박스(40)는 내부의 포장박스(30)와 결합하여 외포장박스(40) 자체가 기둥역할을 하여, 외포장박스(40)에 포장박스(30)를 눕힌 채 겹쳐서 적재되어도 상자가 눌리는 현상이 없으며, 이렇게 이중으로 포장된 포장박스를 뒤집고 던져도 식물과 화분에 아무런 손상도 입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핑 작업을 외포장박스(40)의 윗부분과 포장박스(30)와 결속되는 아랫 부분만 하면 되므로 그 포장 작업도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박스(30)에 포장된 채 화분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하기에 유리하고, 뒤집어져도 화분의 흙이 쏟아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구조에 의하면, 포장하고 해체하는 시간이 간편하고 손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포장박스(30) 내부에 화분을 위치시키고 상지지판(1)을 덮을 때 상지지판(1)을 휘어지게 하여 통공(3)을 통하여 식물 줄기를 끼우므로 상지지판(1)을 덮을 때 식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통공(3)은 포장박스가 흔들릴 시 식물이 뚜껑 부위에 닿아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박스(30)와 외포장박스(40)가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포장이 견고하다. 즉, 포장박스(30)는 화분을 잡아주고, 외포장박스는 기둥역할을 함으로 인해 매우 견고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 7 내지 도 9 실시 예는 포장지를 절감하면서 간단한 포장과 함께 견고한 포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상지지판을 개방한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
도 4 는 포장박스(30) 외부를 싸는 외포장박스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5 는 외포장박스 내부에 포장박스를 삽입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도 1 의 다른 실시 예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전개도
도 8 내지 도 9 는 도 7 을 접는 상태는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간 부분 또는 그 아래 부분에, 식물의 줄기를 끼울 수 있는 통공(3)이 형성된 상지지판(1)이 가로로 수평으로 위치하고, 후방에는 걸림홈(2)이 형성되게 구성한다. 걸림홈(2)은 모서리 부분을 절개하여 안으로 밀어 넣은 형태이다
화분(10)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벽(6) 상부에는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는 걸이홈(5)을 형성한다. 측벽(11)은 앞쪽이 일부 절개되어 호 형상을 이루어 화분(10)에 심어진 식물이 잘 보이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 1 의 형태로 전시 및 운반에 유리하다
도 2 는 상지지판(1)을 걸림턱(12)이 상부에서 걸은 상태(락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에서 수직벽(6)의 좌우 모서리 부분을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턱(12)이 상지지판(1)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지지판(1)이 걸림턱(12) 위로 올라오지 못하게 하여, 그 아래 내장된 화분이 상지지판(1) 위로 나오지 못하게 된다.
도 3 은 상지지판(1)을 개방하여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내부에 화분을 넣은 후, 상지지판(1) 선단에 끼움구(14)를 꺾어 접은 형태로 만들어 수직벽(6) 방향으로 접으면 된다. 이렇게 접은 후 걸림턱(12)을 밀어 넣으면 도 2 와 같이 걸림턱(12)이 상지지판(1) 상면을 걸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 는 도 1 내지 도 3 의 설명에서 제작된 포장박스(30)를 다시 한번 외포장박스(40)로 포장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30)를 외포장박스(40)의 상부 또는 하부(41)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포장박스(40) 하부에는 끼움구(42)를 형성하여 도 5 및 도 1 에 도시한 포장박스(30)의 측공(44)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러면 포장박스(30)가 외포장박스(40)에 내장된 조립상태에서, 외포장박스(40)만 별도로 분리되어 벗겨져 버리는 일이 없게 되고 포장박스(30) 내부의 화분을 더욱 견고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외포장박스(40) 상부에는 별도의 덮개(46)를 구성하여 포장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끼움구(42)는 비록 좌우 2 개를 구성하였지만 사방으로 4 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장박스(30)의 측공(44)도 사방으로 4 개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4 곳에 형성하면 외포장박스(40)의 조립이 더욱 확고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측벽(11) 반대편의 측벽을 제2측벽(47)으로 구성시키되, 제2측벽(47)은 앞커버(48)와 측커버(49)를 더 갖는다. 그러면 측돌기(52)를 갖는 측커버(49)가 측벽(11)을 겹쳐서 수직벽(6)의 모서리 부분이나 기타 다른 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는 측공(50)에 끼워 넣는다. 이 경우, 측벽(11)이 없는 상태로 만들어도 되며, 도 6 과 같은 형상의 호 형상의 측벽(11)을 갖는 구조이어도 된다. 포장의 견고성을 고려하면 측커버(49)가 측벽(11)을 중첩하는 형태로 만들면 바람직하나 소재 재료가 더 들어가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측벽(11)을 일부 절개되지 않은 직사각 형상으로 하고, 측커버(49)는 제거하고 앞커버(48)만 있는 상태에서, 앞커버(48)에 측돌기(52)가 있는 상태로 하고 측벽(11)에는 측돌기(52)를 끼울 수 있는 측공(50)을 형성하는 구조로 만들어도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전개도이며 이를 접으면 도 8 및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한 외포장박스(40)와 포장박스(30)를 하나의 포장포박스로 만들었다
도시한 포장박스의 전개도에서 보듯이, 상지지판(1)에 해당하는 부분의 상부에는 가로절취부(60)를 형성하고 그 우측에는 세로절취부(61)를 형성하여 이 두 절취부를 따라 절취하고 가로로 접힘선(70) 부분을 따라 접고, 그리고 다른 점선들을 따라 접으면 도 8 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지지판(1)의 우측에 구성되는 좌측벽(81)에는 상하로, 상구멍(66)과 하구멍(67)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 구멍에 해당하는 만큼 일부 절개하여 따내어서 접어, 돌기(71)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결합되는 전면벅(83)에는 끼움구(68,69)를 구성하여 상,하구멍(66,67)에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끼움구(68,69)에 인접한 곳에는 끼움공(7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만약 좌측벽(81)에 돌기(71)를 형성한 경우에는 돌기(71)를 끼움공(72)에 끼울 수 있다.
또한 전면벽(83)에 추가로 부착면(73)을 형성하여 좌측벽(81)과 부착할 수도있다. 이와 같이 전면벽(83)과 좌측벽(81)이 결합되게 하기 위한 여러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도 7 의 구성에서 상지지판(1) 부분을 일부 접으면 도 8 과 같이 된다
상접착면(62)과 하접착면(63)은 도 7 및 도 8 에서 우측벽(82)의 상접착부(64)와 하접착부(65) 위치에 접착된다
도 9 는 도 8 의 상태에서 전면벽(83)을 좌측벽(81)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저면 부분은 도 1,5,6 과 같은 측공(44)이 형성되고, 이 측공(44)에는 전면벽(83) 하단에 돌출 형성된 끼움구(42)에 의해 측공(44)과 결합되도록 하였다. 전면벽(83) 상단에는 상덮개(90)를 형성하고 좌측벽(81)과 그 맞은 편에는 덮개(46)를 형성하여 상부를 덮어 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 7 내지 도 9 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도 9 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끼움구(42)를 측공(44)에 결합시킨 후, 도 8 에 도시한 상지지판을 위로 열어 개방하여 화분(10)을 넣고 상지지판(1)을 수평으로 접고 걸림턱(12)을 밀어 넣어, 상지지판(1)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여 화분을 고정하토록 하고, 그리고 최종 덮개(46) 및 상덮개(90)를 덮어 포장하거나 또는 상지지판(1)을 수평으로 접은 후 걸림턱(12)을 밀어서 상지지판(1) 상면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박스의 하부를 통하여 꺼꾸로 화분을 밀어 넣은 후, 일반 포장박스의 저면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박스저면 부분을 조립하여 덮은 후, 끼움구(42)를 측공(44)에 끼워 포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지지판(1) 상부에 가로절취부(60)를 형성하여 가로절취부(60)를 따라 절취한 후 수직 방향으로 접을 경우, 상기 전면벽에 대하여 중첩되게 부착되는 상내부벽(96)과, 상기 상지지판(1)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구성하며 상기한 전면벽(83) 내측에서 중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수직벽(95)의 구성에 의하면 전면벽(83)에 대하여 중첩으로 2 중으로 벽면을 형성하므로, 전면벽(83) 부분에서의 외부 충격에 대하여 더욱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에 의하면 앞선 실시 예와 달리 하나의 박스로만 구성할 수 있어 재료비 절감과 함께 포장을 더욱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1 상지지판 2 걸림홈
3 통공 4 절개선
10 화분 11 측벽
12 걸림턱 14 끼움구
30 포장박스 40 외포장박스
42 끼움구 44 측공
46 덮개 62 상접착면
66,67 상,하구멍 70 접힘선
80 수직벽 81 좌측벽
82 우측벽 83 전면벽
90 상덮개

Claims (5)

  1. 화분을 낱개 포장 가능한 화분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부에는 걸이홈(5)을 형성하는 수직벽(6)과,
    수직벽 좌우에 형성되며 호 형상을 이루는 호면을 갖는 측벽(11)과,
    상기 수직벽(6)과 측벽(11)이 만나는 부분에 절개선(4)을 형성하여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홈(2)이 형성되면서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12)과,
    상기 걸림턱(12)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3)을 형성하는 상지지판(1)과,
    상기 포장박스의 저면 측부에 형성하는 측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30)는, 상기 포장 박스를 내장하는 외포장박스(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포장박스(40)는 그 하부(41)에서 돌출 형성되는 끼움구(42)를 형성하여, 상기한 포장박스(30)의 저부에 형성되는 측공(44)에 끼워지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1)과 마주보는 대향 방향에는 제2측벽(47)을 구성하되, 제2측벽은 그 가로 방향 연장선상에 앞커버(48)와 측커버(49)와 측돌기(52)를 연속으로 이어지게 형성하고, 측벽(11)과 수직벽(6) 사이에는 측공(50)을 형성하여, 측돌기(52)가 측공(50)에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박스
  4. 화분을 낱개 포장 가능한 화분 포장박스에 있어서,
    수직벽(80)과,
    수직벽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측벽(81) 및 우측벽(82)과,
    상기 우측벽(82)이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는 끼움구(68,69)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도 끼움구(42)를 형성하는 전면벽(83)과,
    상기 좌측벽(81) 측부에 세로로 절취선부(61)를 형성하고 그 세로절취선(61)과 직각으로 가로로 접힙선(70)을 형성하여, 접힘선(70)을 따라 접을 경우 수평면을 이루며 중앙에는 통공(3)을 형성하는 상지지판(1)과,
    상기 상지지판(1) 상부에 가로절취부(60)를 형성하여 가로절취부(60)를 따라 절취한 후 수직 방향으로 접을 경우, 상기 전면벽에 대하여 중첩되게 부착되는 상내부벽(96)과,
    상기 상지지판(1)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구성하며 상기한 전면벽(83) 내측에서 중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수직벽(95)과,
    상기 수직벽(80)과 좌우측벽(81,82)이 만나는 부분에 절개선(4)을 형성하여 절개선(4)을 따라 밀어 넣으면 걸림홈(2)이 형성되면서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걸림턱(12)과,
    상기 포장박스의 저면 측부에 형성하는 측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81)에는 상,하부에 상구멍(66)과 하구멍(67)을 형성하여, 상기한 끼움구(68,69)가 끼워지게 구성하고,
    상기 상내부벽(96)과 내수직벽(95)에는 돌출 구조의 상접착면(62)과 하접착면(63)을 형성하여 상기한 우측벽(82)과 접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박스
KR1020120044369A 2012-04-27 2012-04-27 화분 포장 상자 Expired - Fee Related KR10134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69A KR101345313B1 (ko) 2012-04-27 2012-04-27 화분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69A KR101345313B1 (ko) 2012-04-27 2012-04-27 화분 포장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298A true KR20130121298A (ko) 2013-11-06
KR101345313B1 KR101345313B1 (ko) 2013-12-26

Family

ID=4985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3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5313B1 (ko) 2012-04-27 2012-04-27 화분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2510A1 (fr) * 2018-06-19 2019-12-20 Very Bloom Emballage pour produit horticole
KR20200011287A (ko) 2018-07-24 2020-02-03 장혜순 화분 포장 상자
WO2022190104A1 (en) 2021-03-11 2022-09-15 Mixtiles Ltd Plant package
KR102541034B1 (ko) * 2022-06-16 2023-06-13 홍기현 식물용 포장 박스
US20230294911A1 (en) * 2020-06-30 2023-09-21 Westrock Shared Services, Llc Packaging contain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packaging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511B1 (ko) * 2019-11-27 2022-04-06 최하은 접이식 화분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2510A1 (fr) * 2018-06-19 2019-12-20 Very Bloom Emballage pour produit horticole
KR20200011287A (ko) 2018-07-24 2020-02-03 장혜순 화분 포장 상자
US20230294911A1 (en) * 2020-06-30 2023-09-21 Westrock Shared Services, Llc Packaging contain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packaging methods
WO2022190104A1 (en) 2021-03-11 2022-09-15 Mixtiles Ltd Plant package
KR102541034B1 (ko) * 2022-06-16 2023-06-13 홍기현 식물용 포장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313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313B1 (ko) 화분 포장 상자
CN102256878B (zh) 封盖
US2830405A (en) Plant packaging containers and pots therefor
EP0756569B1 (en) Package to be provided on and around a container and a tool and a method to do so
KR20130002895U (ko) 화분용 포장박스
KR101026959B1 (ko) 택배용 포장박스
KR200465967Y1 (ko)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10189566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묘목 트레이 포장케이스 및 그 포장방법
KR200424471Y1 (ko) 화분용 포장상자
JP2004338767A (ja) 切花の保水容器及び梱包体
JP2008056355A (ja) 苗木用トレイを梱包するための体系と方法
JP6035974B2 (ja) 包装箱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0461236Y1 (ko) 화훼용 포장상자
JP2013159369A (ja) 立体物のパッキング及び梱包装置
KR200419658Y1 (ko) 화분 포장 용기
KR20160123043A (ko) 포장박스
JP6114227B2 (ja) 梱包箱と梱包苗
KR200461237Y1 (ko) 화훼용 포장상자
KR200436669Y1 (ko) 면용기 포장상자
RU211927U1 (ru) Коробка из гофрокартона для упаковки свежей зелени
JPS6018389Y2 (ja) 鉢物用包装ケ−ス
KR200479053Y1 (ko) 묶을 수 있는 끈이 부여된 비닐 포장봉투
JP2022138340A (ja) 鉢物出荷用の包装材及び紙製鉢体
KR20180086625A (ko) 포장박스용 화분 고정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