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20415A -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 Google Patents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415A
KR20130120415A KR1020130045891A KR20130045891A KR20130120415A KR 20130120415 A KR20130120415 A KR 20130120415A KR 1020130045891 A KR1020130045891 A KR 1020130045891A KR 20130045891 A KR20130045891 A KR 20130045891A KR 20130120415 A KR20130120415 A KR 2013012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power supply
housing
holder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사카이자와
아키히로 고다마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41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7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적은 부품수, 또한 간단한 작업으로 전원 전극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전원 전극을 갖는 2 개의 상대 전극 커넥터 (52) 에 끼워 맞춰 양 전원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1) 에 있어서, 상대 전극 커넥터 (52) 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오목상의 끼워 맞춤부 (12, 12') 가 형성된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 부재 (2) 와, 그 하우징 부재 (2) 에 의해 유지되는 평판상의 평형 단자 (4, 4') 와, 그 평형 단자에 결선된 가요성의 편조 전선 (3) 을 갖고, 편조 전선 (3) 은 그 양단 각각에서 서로 별도의 평형 단자 (4, 4') 의 후단부에 결선되어 있고, 상기 양단의 평형 단자 (4, 4') 는 각각 중간부에서 대응하는 별도의 하우징 부재 (2) 에 의해 유지되어 그 평형 단자 (4, 4') 의 전단부의 양면이 상기 하우징 부재의 끼워 맞춤부 (12, 12') 내에서 노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CONNECTING MEMBER FOR POWER SUPPLY ELECTRODE}
본 발명은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원의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전원 장치가 그들의 전원 전극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전원으로서의 복수의 배터리를, 배터리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포스트끼리로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접속 부재는, 짧은 띠상의 가요성 도전체의 양단에 단면 L 자 형상판의 금구를 이루는 연결부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그 연결부에 접속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이 접속공에 상기 전극 포스트가 관통하도록 하여 연결부를 위치시키고, 접속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포스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부를 전극 포스트에 고정시키고, 연결부가 고정된 전극 포스트끼리를 상기 가요성 도전체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25301호
특허문헌 1 의 배터리에 형성된 전극 포스트용의 접속 부재에 있어서는, 전극 포스트끼리의 위치 어긋남 등에 대하여, 접속 부재의 가요성 도전체가 추종하여 이 어긋남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각 배터리의 전극 포스트를 접속공에 관통시킨 후에 너트 체결을 실시해야 하고, 너트를 별도의 부품으로서 준비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전원 용량을 높일 목적으로 배터리는 다수가 접속되기 때문에, 그 접속 작업은 매우 번잡해진다.
또, 다른 경우로서, 이미 몇 개의 배터리가 유닛으로서 접속되어 있고, 이 유닛에 상대 전극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유닛을 접속시켜 전원으로서의 용량을 더욱 높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접속 부재는 이 유닛의 상대 전극 커넥터와 간단히 접속시킬 수 있어야 하지만, 특허문헌 1 의 접속 부재로는 일괄적인 접속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유닛 등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커넥터에 대하여 전원 전극의 어긋남에 대응한 접속 가능성을 확보하면서, 적은 부품수로, 또한 간단한 작업에 의해 그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는, 전원 전극을 갖는 2 개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끼워 맞춰 양 전원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 전극 커넥터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오목상의 끼워 맞춤부가 형성된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 부재와, 그 하우징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평판상의 평형 (平型) 단자와, 그 평형 단자에 결선 (結線) 된 가요성의 편조 전선을 갖고, 편조 전선은 그 양단 각각에서 서로 별도의 평형 단자의 후단부에 결선되어 있고, 상기 양단의 평형 단자는 각각 중간부에서 대응하는 별도의 하우징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그 평형 단자의 전단부의 양면이 상기 하우징 부재의 끼워 맞춤부 내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의 하우징 부재에 형성된 끼워 맞춤부에 상대 전극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도록, 본 발명의 접속 부재를 상대 전극 커넥터에 끼워 붙이는 것만으로, 하우징 부재의 끼워 맞춤부 내에 노출되는 평형 단자가 상기 상대 전극 커넥터의 전원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편조 전선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하우징 부재로, 상이한 2 개의 전원의 상대 전극 커넥터와 상기 서술한 요령으로 끼워 붙임으로써, 이 2 개의 전원이 접속된다. 양 전원에 형성되어 있는 상대 전극 커넥터끼리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위치하고 있어도, 그들의 위치 어긋남이 가요성을 갖는 상기 편조 전선에 의해 흡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는, 복수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공이 형성된 패널의 그 장착공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패널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과 직각 방향 중 적어도 패널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에 자유도를 가져, 그 패널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상대 전원을 한꺼번에 지지하고 있는 부재에 대하여 패널을 위치 결정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하우징 부재가 복수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각각 대응한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끼워 붙여지게 된다. 그 때, 각 하우징은 패널에 대하여 자유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대 전극 커넥터와의 정규 위치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은 상기 자유도의 범위 내에서 흡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형 단자는 전기 절연재의 홀더에 의해 유지되고 있어, 그 홀더가 하우징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한편, 하우징 부재는, 홀더를 삽착 유지하기 위한 삽착공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평형 단자가 홀더에 의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접속시에는 전기 절연재의 홀더를 잡는 것처럼 하여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이 패널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패널에 하우징만을 선행하여 장착해 두고, 이후에 홀더를 하우징의 끼워 맞춤 구멍에 삽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조 전선이 가요성을 갖는 절연 튜브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조 전선을 절연 튜브로 덮음으로써, 접속 작업시, 사용시에, 편조 전선끼리 혹은 편조 전선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부주의한 도전 부재의 접촉을 저지할 수 있다. 당연히 절연 튜브는 편조 전선의 가요성을 지나치게 저하시키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절연 튜브는 매우 부드러운 것이거나, 혹은 어느 정도 부드럽다면 편조 전선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편조 전선의 양단이 각각 별도의 평형 단자에 결선되어 있고, 각 평형 단자가 대응하는 별도의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너트 체결의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가 적어짐과 함께, 단순히 각 하우징을 대응하는 전원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끼워 붙이는 것만으로 평형 단자가 직접 상대 전극 커넥터의 전원 전극과 접속되게 되어, 접속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게다가 상대 전원이 배터리를 연결한 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배터리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전원에 대해서도 이 전원이 상기 상대 전극을 구비하고 있으면, 이것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장치와 상대방인 전원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편조 전선이 결선된 평형 단자를 유지하는 홀더의 하우징 부재로의 삽착 전, (B) 는 삽착 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편조 전선이 결선된 평형 단자의 홀더로의 삽착 요령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편조 전선이 결선된 평형 단자만을 나타내고, (B) 는 이것과 홀더로의 조립 전의 상태로 나타내고, (C) 는 조립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패널에 하우징 부재가 장착되고, 이것에 홀더가 삽착된 상태의 종단면으로서, (A) 는 평형 단자의 위치, (B) 는 장착 나사의 위치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서, 부호 50 은 전원 유닛이다. 각 전원 유닛 (50) 내에는 복수의 배터리가 접속된 상태에서 유닛 케이스 (51) 내에 내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전원 전극 (55B) 을 갖는 2 개의 전극 커넥터 (52) 가 유닛 케이스 (51) 의 전면 (前面) 에 노출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3 개의 전원 유닛 (50) 이 적재되어 나타나 있지만, 실제 사용시에는, 더욱 다수의 전원 유닛 (50) 이 배열 그리고 적재되는 경우도 있다. 통상적으로, 모든 전원 유닛 (50) 은, 프레임 (도시 생략) 등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어 있고, 그 전원 유닛 (50) 에 형성된 전극 커넥터 (52) 가 서로 접속 가능한 배열 상태로 유닛 케이스 (51) 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극 커넥터 (52) 는, 그 하우징 (53) 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접속 부재와의 접속을 위한 수용 오목부 (54) 가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 오목부 (54) 내에 2 개의 끼워 맞춤 볼록부 (55) 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최상단의 전원 유닛 (50) 의 하우징 (53) 이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나타고 있고, 그 부분 파단된 하우징 (53) 그리고 끼워 맞춤 볼록부 (55) 에 보이는 바와 같이, 2 개의 끼워 맞춤 볼록부 (55) 각각에는, 끼워 맞춤 슬릿 (55A) 이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워 맞춤 슬릿 (55A) 내에 상기 전원 전극 (55B) 이 위치하고 있다. 각 전원 전극 (55B) 은, 도 1 에도 보이는 바와 같이, 3 개의 세편 (細片) 이 상하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각 세편쌍이 탄성을 가지고, 상하의 세편 사이에서 잘록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잘록부에서, 삽입되는 후술하는 판상의 평형 단자 (4) 의 단자 본체부 (4A) 를 협압 (挾壓) 하여 그 평형 단자 (4) 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수용 오목부 (54) 내에는, 상기 끼워 맞춤 볼록부 (55) 의 측방에 제어용 커넥터 (56) 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전원 유닛 (50) 을 그들 전극 커넥터 (52) 끼리로 접속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접속 부재 (1) 는, 상기 전극 커넥터 (52) 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들 접속 부재 (1) 가 패널 (P) 에 장착되어 있다.
접속 부재 (1) 는, 패널 (P) 에 직접 장착되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 부재 (2) 와, 가요성을 갖는 띠상의 편조 전선 (3) 과, 그 편조 전선 (3) 의 양단이 각각 결선된 2 개의 평형 단자 (4, 4') 와, 그 평형 단자 (4, 4') 각각을 유지하는 전기 절연재의 홀더 (5, 5') 를 갖고 있다. 편조 전선 (3) 의 양단에 형성된 평형 단자 (4, 4') 는, 그들의 중간부에서 상기 홀더 (5, 5') 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상기 편조 전선 (3) 의 양단에서의 평형 단자 (4, 4') 는 동일 형상의 부재이지만, 홀더 (5, 5') 는 그 형태에 있어서 약간 상이하다. 따라서, 하우징 부재 (2) 에 형성되어 있는 후술하는 2 개의 삽착공 (10, 10') 도 상이한 상기 홀더 (5, 5') 에 각각 적합하도록 상이하다.
접속 부재 (1) 의 접속 사용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부호 1 이 나타내는 1 개의 접속 부재에 속하는 하우징 부재 (2) 는, 그 접속 부재 (1) 의 편조 전선 (3) 의 일단 (一端) 측에서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하우징 부재 (2) 의 좌반부 그리고 타단 (他端) 측에서는 다음 단에 위치하는 하우징 부재 (2) 의 우반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각 단의 하우징 부재 (2) 자체만을 보면, 1 개의 접속 부재의 일단측의 하우징 부재와 다른 접속 부재의 타단측의 하우징 부재를 겸비하여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홀더 (5, 5') 가 그 형태에 있어서 약간 상이하고 그리고 하우징 부재 (2) 의 좌반부와 우반부가 그것에 대응하여 상이한 것은, 1 개의 접속 부재 (1) 의 홀더 (5, 5') 를 상기 하우징 부재 (2) 의 좌반부 그리고 우반부에 각각 오삽착 없이 확실하게 삽착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접속 부재 (1) 의 최소 구성 단위로서, 도 1 의 최상단 및 중단에 위치하는 하우징 부재 (2) 사이를 접속시키고 있는 (상방에 위치하는) 편조 전선 (3) 에 주목하면, 그 편조 전선 (3) 은, 최상단의 하우징 부재 (2) 의 우측이 중단의 하우징 부재 (2) 의 좌측을 접속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상단의 하우징 부재 (2) 의 좌측에 접속된 편조 전선 (3) 은 도시되지 않은 기기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중단의 하우징 부재 (2) 의 우측에 접속된 편조 전선은 다른 (하단의) 하우징 부재 (2) 를 향하여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다. 도 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 (1) 는, 일방의 접속 부재의 편조 전선 (3) 의 일단측 그리고 타방의 접속 부재의 편조 전선 (3) 의 타단측이 1 개의 하우징 부재 (2) 에 편조 전선 (3) 의 띠상 면 방향 (평판 단자의 판면 방향) 으로 옆으로 나란히 삽착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 부재 (2) 의 위치에 관한 점을 제외하면, 접속 상태에 대하여 도 2(A) 는, 1 개의 접속 부재의 편조 전선 (3) 의 일단측을 좌방에 그리고 타단측을 우방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 즉, 1 개의 접속 부재는, 편조 전선 (3) 의 일단측을 도 2(A) 의 좌방의 것과 동일한 형태, 그리고 타단측을 동 도면의 우방의 것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하, 1 개의 접속 부재에 대하여, 편조 전선 (3) 의 일단측을 도 2(A) 의 좌방의 것에 기초하여, 타단측을 도 2(A) 의 우방의 것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편조 전선 (3) 의 일단부가 결선되어 있는 도 2(A) 그리고 도 3(A) ∼ (B) 에 도시된 평형 단자 (4) 는, 금속 부재를 가공하여 평판상으로 만들어져 있고, 일단측 (도면에서 좌방) 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자 본체부 (4A) 와, 편조 전선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단자 본체부 (4A) 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압착부 (4B) (도 3(A) 에서 2 점 쇄선을 참조) 를 갖고 있고, 도 3(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압착부 (4B) 가 편조 전선 (3) 의 일단부를 둘러싸며 편평상을 이루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굴곡 가공되어 그 편조 전선 (3) 을 압착 결선하고 있다. 상기 단자 본체부 (4A) 는 판상의 표리면이 전극 커넥터 (52) 의 전원 전극 (55B) 과 접촉하는 접촉부이다. 도 3(A) 에 도시된 압착부 (4B) 의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형태는 압착 결선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시의 경우, 양방의 압착부 (4B) 의 측단 가장자리끼리가 편조 전선 (3) 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여 맞대어져 있으며, 맞댐단 (端) 이 1 개의 선으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단자 본체부 (4A) 에는 홀더 (5) 와의 걸림을 위한 걸림공 (4A-1) 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도 3(A), (B) 참조). 이것에 대하여, 도면에서 우측 상방에 나타내는 편조 전선의 타단측이 결선되어 있는 또 1 개의 평형 단자 (4') 는, 상기 일단측의 평형 단자 (4) 와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져 있지만, 압착부 (4'B) 가, 도면에서 편조 전선 (3) 의 하측을 향하여 굴곡된 상태에서, 편조 전선 (3) 이 결선되어 있다. 따라서, 2 개의 압착부 (4'B) 의 맞댐단은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도면에서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
다음으로, 도 3(B) 에서, 상기 일방의 평형 단자 (4) 를 유지하는 전기 절연재의 좌측 하방의 홀더 (5) 는, 상측 부재 (5A) 와 하측 부재 (5B) 를 결합하여 만들어져 있다. 상측 부재 (5A) 는 도 3(B) 와 같이, 문형을 이루어 하방으로 개구되고, 이 개구에 하측 부재 (5B) 가 하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져 상기 상측 부재 (5A) 와 일체를 이루어 홀더 (5) 를 형성하고 있다. 상측 부재 (5A) 와 하측 부재 (5B) 는 평형 단자 (4) 의 단자 본체부 (4A) 를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조립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립에 의해 얻어진 홀더 (5) 는, 상측 부재 (5A) 와 하측 부재 (5B) 의 양자의 면 사이에, 도 3(B) 와 같은 단자 본체부 (4A) 의 조립 전의 상태에서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전후 방향에서 관통하는 끼워 붙임 슬릿 (5C) 이 형성되게 된다. 이 끼워 붙임 슬릿 (5C) 의 형상 그리고 내부 치수는, 상기 평형 단자 (4) 의 단자 본체부 (4A) 가 단자 본체부 (4A) 를 홀더의 상측 부재 (5A), 하측 부재 (5B)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조립되는 데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끼워 붙임 슬릿 (5C) 에는, 상기 단자 본체부 (4A) 의 걸림공 (4A-1) 에 돌입하는 걸림 돌기부가 상측 부재 (5A) 측과 하측 부재 (5B) 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 참조). 그 걸림 돌기부는,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좌방을 향한 끝부분이 가는 공간을 형성하여, 좌단에서 단차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 (5) 의 상측 부재 (5A) 의 상면에는 걸림홈 (5A-1) 이 그리고 하측 부재 (5B) 의 하면에는 걸림홈 (5B-1) 이 각각 우단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하우징 부재 (2) 의 대응부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상측 부재 (5A) 의 양측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피가이드홈 (5A-2) 이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양 측면에는 원호상의 절결홈 (5A-3) 이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타방의 홀더 (5') 는,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홀더를 상하 반전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절결홈 (5A-3) 은, 상측 부재 (5A) 와 하측 부재 (5B) 사이에서 단자 본체부 (4A) 를 사이에 끼울 때에 상측 부재 (5A) 의 측면부에서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프링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 과 같이 패널 (P) 에 장착되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 부재 (2) 는, 도 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패널 (P) 면에 접면하는 플랜지부 (6) 와, 이 플랜지부 (6) 에 대하여 패널 (P) 반대측, 즉, 상대방이 되는 전극 커넥터 (52) 를 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 통부 (7) 와 상기 플랜지부 (6) 에 대하여 패널 (P) 측, 즉 그 패널 (P) 에 형성된 구멍부 (P1) 를 관통하여 접속 부재 (1) 측에 위치하는 삽착부 (8) 를 갖고 있다. 삽착부 (8) 에는, 중앙 격벽 (9) 의 좌우 양측에 각각 삽착공 (10, 10') 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삽착공 (10) 은 상기 일방의 홀더 (5) 의 삽착, 타방의 삽착공 (10') 은 타방의 홀더 (5') 의 삽착을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방의 삽착공 (10) 의 내측면에는, 홀더 (5) 의 상측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피가이드홈 (5A-2) 을 안내하는 가이드 볼록조 (10C) 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삽착공 (10') 에는, 타방의 홀더 (5') 의 하측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피가이드홈 (5A-2) 에 대응하여 가이드 볼록조 (10'C) 가 형성되어 있다. 직선띠 상태에서의 편조 전선의 양단에 홀더를 상하 방향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하고, 이 편조 전선을 중간 위치에서 U 자 형상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상측 모서리부에 가이드 볼록조 (10C) 가 형성되어 있는 삽착공 (10) 그리고 하측 모서리부에 가이드 볼록조 (10'C) 가 형성되어 있는 삽착공 (10') 중 어느 것이 삽착해야 하는 삽착공으로서 정해진다.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삽착공 (10) 에는, 상하벽 내면측에 탄성 아암 (10A, 10B) 이 형성되어 있다 (삽착공 (10')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 탄성 아암 (10A, 10B) 은, 상기 상하벽 각각의 일부를 절결하여 삽착공 (10) 의 개구측에 개구되는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상의 아암부를 이루고 있다. 이들 탄성 아암 (10A, 10B) 은 홀더 (5) 상하의 걸림홈 (5A-1, 5B-1) 각각에 적합한 크기 형상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상기 걸림홈 (5A-1, 5B-1) 의 홈 단벽 (端壁) 에 걸리는 걸림훅 (10A-1, 10B-1) 을 각각 갖고 있다. 따라서, 홀더 (5) 를 삽착공 (10) 에 삽입하면, 홀더 (5) 는 삽입 방향 선단에서 그 걸림훅 (10A-1, 10B-1) 과 맞닿아 상기 탄성 아암 (10A, 10B) 을 상하로 각각 탄성 변위시키고, 자신은 추가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소정 위치 (전면이 삽착공 (10) 의 안쪽 벽에 맞닿는 위치) 까지 도달한다.
소정 위치까지 도달하면, 상기 탄성 아암 (10A, 10B) 은 그 탄성 변위로부터 개방되어 걸림훅 (10A-1, 10B-1) 이 각각 걸림홈 (5A-1, 5B-1) 에 비집고 들어가 그 걸림홈 (5A-1, 5B-1) 과 걸린다. 이렇게 하여, 홀더 (5) 는 빠짐이 방지된다. 홀더 (5') 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삽착공 (10') 에 삽착되어 마찬가지로 빠짐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삽착부 (8) 의 양 측방에는 제어용 커넥터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어용 커넥터부 (11) 는 전원 유닛 (50) 을 접속시킬 때에 제어 신호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주안으로 하는 바는 아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 부재 (2) 는, 도 2 그리고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 (6) 에 대하여 패널 반대측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 통부 (7) 를 갖고 있고, 그 끼워 맞춤 통부 (7) 는 전극 커넥터 (52) 의 수용 오목부 (54) 에 적합한 외형을 갖고 있다. 이 끼워 맞춤 통부 (7) 내에는,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은 상기 전극 커넥터 (52) 의 끼워 맞춤 볼록부 (55) 를 수용하는 오목상의 2 개의 끼워 맞춤부 (12, 12') (도 4(A) 에서는 일방의 끼워 맞춤부 (12) 만이 나타나고, 타방의 끼워 맞춤부 (12') 는, 지면의 안쪽에 있어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끼워 맞춤부 (12, 12') 는, 기술한 삽착공 (10, 10') 의 안쪽 벽을 중간벽 (13, 13') 으로 하여 그 삽착공 (10, 10') 과 각각 등을 맞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벽 (13, 13') 에는 관통공 (13A, 13'A) 이 형성되어 있어, 평형 단자 (4, 4') 를 유지하는 홀더 (5, 5') 가 상기 삽착공 (10, 10') 에 삽착되었을 때에는, 홀더 (5, 5') 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본체부 (4A, 4'A) 가 상기 관통공 (13A, 13'A) 을 관통하여 상기 오목상의 끼워 맞춤부 (12, 12') 내에 노출된다. 상기 끼워 맞춤 통부 (7) 내에서는, 상기 2 개의 끼워 맞춤부 (12, 12') 의 양측에, 상기 서술한 제어용 커넥터부 (11) 가 돌출되어 있어, 전극 커넥터 (52) 의 제어용 커넥터 (56) 와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부재 (2) 의 플랜지부 (6) 에는, 도 2(A), 2(B) 그리고 도 4(B) 와 같이, 하우징 부재 (2) 를 패널 (P)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나사 (15) 를 위한 구멍부 (14) 가 그 장착 나사 (15) 의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A)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널 (P) 에 형성된 하우징 부재 (2) 의 삽착부 (8) 를 관통 장착하기 위한 구멍부 (P1) 는, 상기 삽착부 (8) 의 외형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나사 (15) 를 상기 플랜지부 (6) 의 구멍부 (14) 를 관통시킨 후에 패널 (P) 의 나사공 (P2) 에 나사 결합시켰을 때, 상기 장착 나사 (15) 와 구멍부 (14) 사이, 그리고 하우징 부재 (2) 의 삽착부 (8) 의 외면과 패널 (P) 의 구멍부 (P1) 사이에는 각각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 부재 (2) 는 상기 간극의 범위 내에서 패널 (P) 의 면에 평행한 방향에 자유도를 갖고 있다. 또한, 장착 나사 (15) 는, 패널 (P) 의 면에 맞닿는 단차부 (15A) 를 갖고, 그 단차부 (15A) 와 나사 헤드부 (15B) 사이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 부재 (2) 의 플랜지부 (6) 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 (6), 즉 하우징 부재 (2) 는 패널 (P) 면에 직각인 방향에서도 자유도가 있다. 이렇게 하여, 하우징 부재 (2) 는, 패널 (P) 면에 평행과 직각인 방향의 양 방향에서 자유도를 가져, 즉 그 자유도의 양만큼 플로팅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접속 부재 (1) 의 제조 요령과 사용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먼저, 편조 전선 (3) 과 굴곡 전의 평형 단자 (4) 를 준비하고, 도 3(A) 와 같이, 평형 단자 (4) 의 압착부 (4B) 를 2 점 쇄선의 상태에서 실선의 상태로 굴곡 가공하여 상기 편조 전선 (3) 의 일단을 그 평형 단자 (4) 에 압착 결선한다. 상기 편조 전선 (3) 의 타단에는, 동일 형태의 다른 평형 단자 (4') 를 마찬가지로 압착 결선한다.
(2) 편조 전선 (3) 의 일단측 그리고 타단측이 평형 단자 (4, 4') 에 결선된 양 평형 단자 (4, 4') 를, 대응하는 홀더 (5) 의 상측 부재 (5A) 와 하측 부재 (5B) 사이 그리고 홀더 (5') 의 상측 부재 (5'A) 와 하측 부재 (5'B) 사이에 각각 조립한다. 도 3(B) 의 예에서는, 압착부 (4B) 의 맞댐이 상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의 평형 단자 (4) 를 일방의 홀더 (5) 에 조립하고, 타단측의 평형 단자 (4') 를 압착부 (4'B) 의 맞댐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홀더 (5') 에 조립하고 있다. 평형 단자 (4, 4') 는, 그 걸림공 (4A-1, 4'A-1) 에 의해 홀더 (5, 5') 의 끼워 붙임 슬릿 (5C, 5'C) 내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와 서로 걸려 빠짐이 방지된다.
(3) 상기 (1), (2) 이후 또는 이것에 병행하여 하우징 부재 (2) 를 패널 (P) 에 장착한다. 하우징 부재 (2) 는, 장착 나사 (15) 를 하우징 부재 (2) 의 플랜지부 (6) 의 구멍부 (14) 에 삽입 통과시킨 후에 패널 (P) 의 나사공 (P2) 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패널 (P) 에 장착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 (2) 는, 패널 (P) 의 면에 평행 그리고 직각인 방향에 자유도를 가지고 그 패널 (P) 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 자유도의 범위 내에서 가동, 즉 플로팅이 가능하다.
(4) 다음으로, 상기 (2) 의 결선된 편조 전선 (3) 을 상기 하우징 부재 (2) 에 접속시킨다. 결선된 편조 전선 (3) 은, 일단측에 평형 단자 (4) 를 유지하는 홀더 (5) 를, 그리고 타단측에는 상기 일단측을 상하 반전시킨 평형 단자 (4') 및 홀더 (5') 를 갖고 있다. 도 1 에서, 상기 일단측의 홀더 (5') 를 최상단의 하우징 부재 (2) 우방의 삽착공 (10') 에, 그리고 타단측의 홀더 (5) 를 하방의 2 째단의 하우징 부재 (2) 좌방의 삽착공 (10) 에 삽착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결선된 편조 전선 (3) 의 일단측의 홀더 (5') 를 2 째단의 하우징 부재 (2) 우방의 삽착공 (10') 에, 그리고 타단측의 홀더 (5) 를 3 째단의 하우징 부재 (2) 좌방의 삽착공 (10) 에 삽착한다. 그 때, 띠상의 편조 전선 (3) 은, 하우징 부재 (2) 의 삽착부 (8)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띠의 면 방향으로 대략 U 자 형상으로 되접어 꺾여 다른 하우징 부재 (2) 의 삽착부 (8) 에 접속되어 있어, 상하에 배치된 2 개의 하우징 부재 사이에서의 플로팅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모든 하우징 부재 (2) 에 결선된 편조 전선 (3) 을 삽착하면, 최상단의 하우징 부재 (2) 좌방의 삽착공 (10) 과 최하단의 우방의 삽착공 (10') 이 결선된 편조 전선 (3) 과 미접속인 채로 남게 된다.
(5) 또한, 결선된 편조 전선 (3) 이 아직 접속되어 있지 않은 최상단의 하우징 부재 (2) 좌방의 삽착공 (10) 과 최하단의 하우징 부재 (2) 우방의 삽착공 (10') 에 대하여, 전원 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의 전원의 일방의 전극으로부터의 접속 전선과 타방의 전극으로부터의 다른 접속 전선을 접속시킴으로써, 모든 접속 작업이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일방 그리고 타방의 접속 전선은, 그들의 일단측에 기술된 접속 부재 (1) 의 평형 단자 (4, 4') 를 유지하고 있는 홀더 (5, 5') 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이렇게 한 후, 상기 서술한 패널 (P) 에 대하여, 복수 혹은 임의의 전원 유닛 (50) 을 도시되지 않은 기기의 레일 등에서 소정 위치로 가져와 장착한다. 전원 유닛 (50) 에 형성된 전극 커넥터 (52) 각각은, 패널 (P) 에 지지되어 있는 대응하는 복수의 하우징 부재 (2) 와의 끼워 맞춤 가능 위치로 가져와지고, 그 전원 유닛 (50) 을 추가로 끼워 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 (53) 과 하우징 부재 (2) 가 서로 끼워 맞춰지고, 각 전극 커넥터 (52) 의 하우징 (53) 내에 위치하는 이 끼워 맞춤 볼록부 (55) 가 상기 하우징 부재 (2) 의 오목상의 끼워 맞춤부 (12, 12') 에 각각 끼워 넣어진다. 상기 삽착공 (10, 10') 에 삽착된 홀더 (5, 5') 로부터는 평형 단자 (4, 4') 의 단자 본체부 (4A, 4'A) 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 하우징 부재 (2) 의 끼워 맞춤부 (12, 12') 에 진입하고 있는 전극 커넥터 (52) 의 끼워 맞춤 볼록부 (55) 의 끼워 맞춤 슬릿 (55A) 에 상기 단자 본체부 (4A, 4'A) 가 진입한다. 이렇게 하여 단자 본체부 (4A, 4'A) 는 끼워 맞춤 슬릿 (55A)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전원 전극 (55B) 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 커넥터 (52) 의 하우징 (53) 과 패널 (P) 상의 하우징 부재 (2) 가 끼워 맞춰지기 직전에 정확히 일치된 위치에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하우징 부재 (2) 는 패널 (P) 에서 자유도를 가지고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53) 이 하우징 부재 (2) 를 유도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한, 하우징 부재 (2) 가 상기 자유도 하에서 그 위치를 조정하여 확실히 하우징 (53) 과 끼워 맞춰진다.
본 발명은, 기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편조 전선의 가요성을 저해하지 않고, 그 편조 전선을 절연 튜브로 덮을 수 있다. 절연 튜브를 편조 전선에 대하여 루즈하게 덮으면, 그 편조 전선의 가요성은 전혀 저해되지 않고, 접속 부재의 접속시에 편조 전선끼리에 의한 단락이라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으며, 편조 전선끼리가 근접 배치되어도 조밀하게 위치해도 상기 단락의 우려가 없다.
1 : 접속 부재
2 : 하우징 부재
3 : 편조 전선
4, 4' : 평형 단자
10, 10' : 삽착공
12, 12' : 끼워 맞춤부

Claims (5)

  1. 전원 전극을 갖는 2 개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끼워 맞춰 양 전원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에 있어서,
    상대 전극 커넥터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오목상의 끼워 맞춤부가 형성된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 부재와, 그 하우징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평판상의 평형 단자와, 그 평형 단자에 결선된 가요성의 편조 전선을 갖고, 편조 전선은 그 양단 각각에서 서로 별도의 평형 단자의 후단부에 결선되어 있고, 상기 양단의 평형 단자는 각각 중간부에서 대응하는 별도의 하우징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그 평형 단자의 전 단부의 양면이 상기 하우징 부재의 끼워 맞춤부 내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는, 복수의 상대 전극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공이 형성된 패널의 그 장착공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패널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과 직각 방향 중 적어도 패널의 판면에 평행한 방향에 자유도를 가져, 그 패널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형 단자는 전기 절연재의 홀더에 의해 유지되고 있어, 그 홀더가 하우징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는, 홀더를 삽착 유지하기 위한 삽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조 전선이 가요성을 갖는 절연 튜브로 덮여 있는 것으로 하는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KR1020130045891A 2012-04-25 2013-04-25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Ceased KR20130120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9567 2012-04-25
JP2012099567A JP2013229154A (ja) 2012-04-25 2012-04-25 電源電極用の接続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415A true KR20130120415A (ko) 2013-11-04

Family

ID=4932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91A Ceased KR20130120415A (ko) 2012-04-25 2013-04-25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9452B2 (ko)
JP (1) JP2013229154A (ko)
KR (1) KR20130120415A (ko)
DE (1) DE102013006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4151A1 (en) * 2013-06-24 2014-12-25 Jia Lin Yap Wire bonding method for flexible substrates
JP6452546B2 (ja) 2015-05-20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1665B2 (ja) * 2016-05-16 2020-09-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CN107768900B (zh) * 2016-08-23 2023-12-2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6387059B2 (ja) * 2016-09-16 2018-09-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固定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819903B2 (ja) * 2017-01-30 2021-01-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673419B2 (ja) * 2018-09-19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0118A (en) * 1926-05-21 1928-11-06 Auto Mechanical Products Compa Battery connecter
US3587030A (en) * 1969-03-17 1971-06-22 Carborundum Co Terminal clamp
AR208483A1 (es) * 1975-11-10 1976-12-27 Amp Inc Terminal electrico
US4106833A (en) * 1977-09-02 1978-08-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Quick disconnect intercell busbar for deep submergence batteries
US4541677A (en) * 1983-03-23 1985-09-17 Amp Incorporated Continuous strip of jumper cable assemblies
US4508403A (en) * 1983-11-21 1985-04-02 O.K. Industries Inc. Low profile IC test clip
US4664459A (en) * 1984-11-01 1987-05-12 Raytheon Company Noiseless solid conductor flexible cable
DE3629551A1 (de) * 1986-08-30 1988-03-10 Telefonbau & Normalzeit Gmbh Anordnung fuer hauptverteiler
JPS63127072U (ko) * 1987-02-10 1988-08-19
JPH0770851B2 (ja) * 1987-11-02 1995-07-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制御筐体と電源筐体との内部連結構造
US4885524A (en) * 1988-04-15 1989-12-05 William J. Goldcamp Vehicle battery system
US4945872A (en) * 1988-08-19 1990-08-07 Embry Paul E Theft prevention apparatus
US5229543A (en) * 1991-10-28 1993-07-20 Electro-Max Mfg. Co. Fluid cooled power condu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54646A (en) * 1991-11-12 1992-10-13 Shoup Kenneth E Battery clamp
JP3494823B2 (ja) 1996-10-23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H1145763A (ja) * 1997-07-25 1999-02-16 Dai Ichi Denshi Kogyo Kk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2298956A (ja) * 2001-03-30 2002-10-11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3528B2 (ja) * 2001-12-26 2005-11-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機器取付け用ワイヤーハーネス
US7322849B2 (en) * 2005-03-31 2008-01-29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Relay retrofit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ically-activated relay switch for retrofitting an electrical system
WO2010110032A1 (ja) * 2009-03-25 2010-09-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20028821A (ko) * 2010-09-15 2012-03-23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2099567A (ja) 2010-10-29 2012-05-24 Canon Inc 洗浄方法および露光装置
JP5626047B2 (ja) * 2011-03-15 2014-11-19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JP5829911B2 (ja) * 2011-12-28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29154A (ja) 2013-11-07
US9039452B2 (en) 2015-05-26
US20130288528A1 (en) 2013-10-31
DE102013006823A1 (de)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0415A (ko) 전원 전극용의 접속 부재
CN105531880B (zh) 电缆保持构件、电连接装置、连接器装置、扁平电缆
EP2922152A1 (en) Connector
US920957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CN105900288A (zh) 电缆保持构件、插头式连接器、连接器装置、扁平电缆以及插头式连接器的组装方法
US20130252469A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tronic component
JP2010267548A (ja) 電気コネクタ
US20150194742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unit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9716331B2 (en) Female contact and power connector
ES2979091T3 (es) Dispositivo terminal y aparato de cableado con el mismo
CN204179240U (zh) 端子板和使用该端子板的照明器具
US9401553B2 (en) Connector device
TW201427193A (zh) 連接器、該連接器所使用之接觸子、外殼、附電線外殼及附電線外殼之製造方法
JP2010034015A (ja) 速結端子、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CN110800161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2015125855A (ja) 電気コネクタ
WO2022264799A1 (ja) コネクタ
TWI733045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的製造方法
TWI774958B (zh) 中繼連接器
CN110073552A (zh) 电连接器
KR101342164B1 (ko)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JP5583160B2 (ja) コネクタ
KR20160029196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608363B1 (ko)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