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19649A -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649A
KR20130119649A KR1020120042601A KR20120042601A KR20130119649A KR 20130119649 A KR20130119649 A KR 20130119649A KR 1020120042601 A KR1020120042601 A KR 1020120042601A KR 20120042601 A KR20120042601 A KR 20120042601A KR 20130119649 A KR20130119649 A KR 20130119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lled steel
learning
bank
ban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240B1 (ko
Inventor
황성훈
최희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4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24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는, 다수의 뱅크들을 포함하는 런아웃 테이블(ROT)과, 런아웃 테이블(ROT)의 출측에 설치되어 런아웃 테이블(ROT)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출측온도검출기(CT)와, 측정된 온도로부터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하는 학습 계수 연산부와,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뱅크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ILING TEMPERATURE OF HOT ROLLED STEEL PLATE USING IN-PLATE LEARNING}
본 발명은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lab)(11)를 가열로(Reheating Furnace)(12)에서 압연에 적당한 온도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Roughing Mill)(13) 및 마무리압연기(Finishing Mill)(14)를 거쳐 스트립(strip) 형태의 열연강판(15)으로 압연한다. 이후, 목표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 런 아웃 테이블(Run Out Table:ROT)(16) 상에서 냉각설비(17)를 이용하여 열연강판(15)을 공냉 및 수냉과정을 통해 목표온도로 적절하게 다운시켜 다운코일러(Down Coiler)(18)로 권취한다.
한편, 런아웃 테이블(ROT, 16)에서의 냉각설비(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아웃 테이블(ROT, 16)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헤더를 갖는 다수의 뱅크(bank)(#1~#16)(상부에만 도시함)가 각각 배치된다.
열연강판(15)이 런아웃 테이블(ROT, 16)로 진입하면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상,하부의 뱅크(#1~#16)는 학습 계수에 따라 냉각수를 적절하게 주수하여 열연강판(15)을 냉각하며, 이때 적용하고 있는 냉각패턴은 통상 전단부부터 다운코일러(18)쪽으로 차례로 주수를 시작하여 원하는 권취 온도에 따라 뱅크(#1~#16)의 개방량을 조정함으로써 열연강판(15)을 냉각한다. 이때, ROT(16)의 입,출측에는 각각 입측온도검출기(FDT)와 출측온도검출기(CT)가 설치되어, 각각 입,출측 온도를 검출한다.
특히, 상술한 다수의 뱅크(#1~#16)는 #1~#14로 구성된 피드 포워드 뱅크와 #15~#16의 피드백 뱅크로 이루어지며, 피드 포워드 뱅크(#1~#14)로는 스트립의 온도를 주로 제어하며, 피드백 뱅크(#15~#16)로는 미세한 온도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온도 제어 방법에 의하면, 마무리 압연기(14)를 통과한 스트립의 권취 온도 제어시, 이전 스트립의 작업 실적을 통해 반영된 학습 계수를 이용하여 다음 스트립의 학습 계수를 연산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 계수는 다수의 뱅크(#1~#16)로부터 출수되는 냉각수의 냉각 능력을 의미하며, 학습 계수가 큰 경우는 냉각수를 적게 뿌려도 냉각 능력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학습 계수가 작은 경우는 냉각수를 많이 뿌려야 학습 계수가 큰 경우의 냉각 능력과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트립 내에서는 학습 계수의 재연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ROT 상의 냉각에 있어서, 현재 열연강판의 앞 코일에서의 학습 오류가 있거나, 열유속 학습계수가 부정확하여 온도 편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열연강판 전장에서의 온도 편차로 인하여 계산된 학습계수는 다음 코일에 적용되지 않으므로 이전에 작업한 코일의 학습계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코일 길이 방향의 학습 오류로부터 온도 편차는 지속하게 된다.
또한 연연속 압연 시스템이 도입되게 되면, 연연속 코일 모두가 온도 편차로 인하여 재질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온도 편차는 주로 피드백 뱅크인 #16 뱅크에 의하여 피드백 제어가 실시되지만, 피드백 제어의 온도 제어 범위가 한계가 있으므로, ±50도 이상의 온도 편차의 경우에는 온도 제어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뱅크들을 포함하는 런아웃 테이블(ROT);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출측온도검출기(CT);
상기 측정된 온도로부터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하는 학습 계수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뱅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뱅크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뱅크들 중 피드 포워드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수의 뱅크들을 포함하는 런아웃 테이블(ROT)과,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의 출측에 설치된 출측온도검출기(CT)를 사용해서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 위를 진행하는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측온도검출기(CT)에서, 상기 런 아웃 테이블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학습 계수 연산부에서, 상기 측정된 온도로부터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뱅크 제어부에서, 상기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주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뱅크들 중 피드 포워드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스트립 내에서 학습 계수의 재연산을 통해 얻어진 학습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연설비에서의 공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열연공정에서의 런아웃테이블(Run Out Table)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는, 런아웃 테이블(ROT, 16)의 출측에 설치되어 런 아웃 테이블(ROT, 16)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출측 센서(CT, 22)와, 측정된 온도로부터 런아웃 테이블(ROT, 16)의 각 뱅크의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하는 학습 계수 연산부(310)와,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뱅크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런아웃 테이블(ROT, 16)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헤더를 갖는 다수의 뱅크(bank)(#1~#16)(상부에만 도시함)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열연강판(15)이 런아웃 테이블(ROT, 16)로 진입하면 뱅크 제어부(320)의 동작에 따라 상,하부의 뱅크(#1~#16)는 후술할 기본 열유속 학습 계수(f1)에 따라 냉각수를 적절하게 주수하여 열연강판(15)을 냉각하며, 이때 적용하고 있는 냉각패턴은 통상 전단부부터 다운코일러(18)쪽으로 차례로 주수를 시작하여 원하는 권취 온도에 따라 뱅크(#1~#16)의 개방량을 조정함으로써 열연강판(15)을 냉각한다.
특히, 상술한 다수의 뱅크(#1~#16)는 #1~#14로 구성된 피드 포워드 뱅크와 #15~#16의 피드백 뱅크로 이루어지며, 피드 포워드 뱅크(#1~#14)로는 스트립의 온도를 주로 제어하며, 피드백 뱅크(#15~#16)로는 미세한 온도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ROT(16)의 입,출측에는 각각 입측온도검출기(FDT)와 출측온도검출기(CT)가 설치되어, 각각 입,출측 온도를 검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출측온도검출기(CT)는 런아웃 테이블(ROT)의 출측에 설치되어 런아웃 테이블(ROT, 16)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는 학습 계수 연산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
학습 계수 연산부(310)는, 출측온도검출기(CT)로부터 전달된 온도로부터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는 뱅크 제어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를 구하는 과정과 구해진 열유속 학습 계수(f')에 기초해서 주수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실제 수냉에 필요한 온도 강하량(
Figure pat00001
)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수냉에 필요한 온도 강하량이며,
Figure pat00004
는 입측온도검출기(FDT)로부터 출측온도검출기(CT) 까지의 공냉에 의한 온도 강하량이며,
Figure pat00005
는 권취 목표 온도이며,
Figure pat00006
는 뱅크별 온도 강하량, Qi는 i번째 뱅크의 열유속계수,
Figure pat00007
는 뱅크 한개의 길이, V는 스트립의 속도, ρ는 스트립의 비중, C는 스트립의 비열, H는 스트립의 두께를 의미한다.
한편, i번째 뱅크의 열유속계수(Qi)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상부 뱅크의 열유속계수(Qui)와 하부뱅크의 열유속계수(Qdi)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8
그리고, 상부 뱅크의 열유속계수(Qui)와 하부뱅크의 열유속계수(Qdi)는 각각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f0는 기본 열유속 계수,
Figure pat00010
는 i번째 상부 뱅크의 열유속보정계수,
Figure pat00011
는 i번째 하부 뱅크의 열유속보정계수,
Figure pat00012
는 상부 뱅크의 수온보정계수,
Figure pat00013
는 하부 뱅크의 수온보정계수, au는 밸브 주수의 보정값, Nfui는 한 뱅크내의 총 밸브의 개수, Nui는 한 뱅크내의 사용 밸브의 개수, V는 스트립의 속도, av는 상부 뱅크의 체류수의 보정계수이다.
한편, 수학식 3의 기본 열유속 계수(f0)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fo는 기본 열유속계수, f1은 기본열유속학습계수, C0~C8은 기본열유속보정계수, H는 스트립의 두께, W는 스트립의 폭, FDT는 입측온도검출기(FDT)에서 측정된 온도, CT는 권취 목표 온도, WT는 냉각수의 온도, V는 스트립의 속도, L은 FDT(21)부터 CT(22)까지의 거리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1')는 하기의 수학식 5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15
여기서, f1'는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 ff는 수학식 4에서 연산된 값,
Figure pat00016
는 뱅크별 온도 강하량, CTT는 권취 목표 온도, CTref는 출측온도검출기(CT)의 측정 온도, Qui'는 수학식 3에서 연산된 값, Qdi'는 수학식 3에서 연산된 값이다.
뱅크 제어부(320)는 상술한 수학식 5에 의해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1')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뱅크 제어부(320)는 수학식 5에 의해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1')를 수학식 4의 f1에 대체하여 연산된 기본열유속계수(f0)를 수학식 3에 적용한다. 이후, 수학식 3에 의해 나온 상부 뱅크의 열유속계수(Qui)와 하부뱅크의 열유속계수(Qdi)를 수학식 2 및 1에 적용하여 수냉에 필요한 온도 강하량(
Figure pat00017
)을 연산할 수 있다. 이후, 뱅크 제어부(320)는 연산된 온도 강하량(
Figure pat00018
)에 기초하여 피드 포워드 뱅크(FF)를 구성하는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스트립 내에서 학습 계수의 재연산을 통해 얻어진 학습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3과 관련하여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출측온도검출기(CT)는 런아웃 테이블(ROT, 16)의 출측에 설치되어 런아웃 테이블(ROT, 16)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401). 측정된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는 학습 계수 연산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
학습 계수 연산부(310)는, 출측온도검출기(CT)로부터 전달된 온도로부터 런아웃 테이블(ROT)의 각 뱅크의 열유속 학습 계수를 상술한 수학식 5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S402).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1')는 뱅크 제어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뱅크 제어부(320)는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f1')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S40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스트립 내에서 학습 계수의 재연산을 통해 얻어진 학습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 슬라브 12: 가열로
13: 조압연기 14: 마무리 압연기
15: 스트립 형태의 열연 강판 16: 런아웃 테이블
17: 냉각 설비 18: 다운 코일러
21: 입측온도검출기(FDT) 22: 출측온도검출기(CT)
310: 학습 계수 연산부 320: 뱅크 제어부

Claims (4)

  1. 다수의 뱅크들을 포함하는 런아웃 테이블(ROT);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출측온도검출기(CT);
    상기 측정된 온도로부터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하는 학습 계수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뱅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뱅크들 중 피드 포워드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3. 다수의 뱅크들을 포함하는 런아웃 테이블(ROT)과,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의 출측에 설치된 출측온도검출기(CT)를 사용해서 상기 런아웃 테이블(ROT) 위를 진행하는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측온도검출기(CT)에서, 상기 런 아웃 테이블을 통과하는 열연 강판 선단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학습 계수 연산부에서, 상기 측정된 온도로부터 열유속 학습 계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뱅크 제어부에서, 상기 연산된 열유속 학습 계수를 반영하여 각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뱅크들 중 피드 포워드 뱅크의 주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방법.
KR1020120042601A 2012-04-24 2012-04-24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0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01A KR101403240B1 (ko) 2012-04-24 2012-04-24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01A KR101403240B1 (ko) 2012-04-24 2012-04-24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649A true KR20130119649A (ko) 2013-11-01
KR101403240B1 KR101403240B1 (ko) 2014-06-02

Family

ID=4985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3240B1 (ko) 2012-04-24 2012-04-24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1485A (zh) * 2013-09-30 2015-04-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轧制件卷取温度控制装置以及轧制件卷取温度控制方法
KR20190074738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후물재의 헤드부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78343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인공지능 기반 열연 런아웃 테이블 열유속계수 추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74B1 (ko) 2001-12-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강판의 피드 포워드 냉각 제어 방법
KR100843842B1 (ko) * 2006-12-22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에서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1485A (zh) * 2013-09-30 2015-04-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轧制件卷取温度控制装置以及轧制件卷取温度控制方法
KR20190074738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후물재의 헤드부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78343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인공지능 기반 열연 런아웃 테이블 열유속계수 추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240B1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67615A (ja) 巻取温度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5679914B2 (ja) 鋼板の温度予測方法
KR101516476B1 (ko) 설정치 계산 장치, 설정치 계산 방법, 및 설정치 계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JP4402502B2 (ja) 巻取温度制御装置
KR101403240B1 (ko) 판내 학습을 이용한 열연 강판의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JP5861436B2 (ja) 熱間仕上温度制御方法、熱間仕上温度制御装置、及び熱延金属板の製造方法
JP6558060B2 (ja) 厚鋼板の冷却制御方法、冷却制御装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948967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金属板の温度予測方法、冷却制御方法及び冷却制御装置
KR20030053621A (ko) 권취목표온도 변경을 통한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방법
JP2019209372A (ja) 熱間エンドレス圧延ラインの鋼板温度制御装置
JP5493993B2 (ja) 厚鋼板の冷却制御装置、冷却制御方法、及び、製造方法
JP4894686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691222B2 (ja) 熱間圧延ラインにおける金属帯の巻取温度制御方法
JP5932143B2 (ja) 冷却装置のエッジマスク制御方法
JP2015167976A (ja) 熱延鋼板の巻取温度制御方法
JP3546864B2 (ja) 熱間圧延方法とその装置
KR20140085172A (ko) 사상압연기에 인입되는 열연강판의 온도제어방법
JPH01162508A (ja) 鋼材の冷却制御方法
JP5239887B2 (ja) 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258341B2 (ja) 鋼板長手方向の材質均一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2011212685A (ja) 熱間圧延ラインにおける金属帯の巻取温度制御方法
JP2006281258A (ja) 非線形の水冷熱伝達係数モデルの自動調整装置
KR101649325B1 (ko) 피냉각소재 냉각장치
KR102090549B1 (ko) 후물재의 헤드부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928377B2 (ja) 熱間圧延材の冷却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