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17839A - 단일모드 광섬유 - Google Patents

단일모드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839A
KR20130117839A KR1020137019551A KR20137019551A KR20130117839A KR 20130117839 A KR20130117839 A KR 20130117839A KR 1020137019551 A KR1020137019551 A KR 1020137019551A KR 20137019551 A KR20137019551 A KR 20137019551A KR 20130117839 A KR20130117839 A KR 2013011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ding
refractive index
optical fiber
relative refractive
radi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555B1 (ko
Inventor
처언 양
뻬이뻬이 차오
수우 처언
웨이쥔 투웅
센웬엔 니이
제에 러워
Original Assignee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1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5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8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05Highest refractive index not on centr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3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 G02B6/0365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arranged -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35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61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4 layers only
    • G02B6/03683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4 layers only arranged - - + +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일종의 광섬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저감쇄 단일모드 광섬유는 코어층과 클래딩을 포함한다. 코어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 △1의 범위는 -0.1% 내지 +0.1%이고, 반경 R1의 범위는 4.0㎛ 내지 6.0이며, 코어층 외측을 감싸는 3개의 클래딩을 구비한다. 제1 클래딩은 코어층을 긴밀하게 감싸고, 그 상대 굴절률 차이 △2의 범위는 -0.2% 내지 -0.6%이며, 반경 R2의 범위는 10㎛ 내지 22㎛이다. 제2 클래딩은 제1 클래딩을 긴밀하게 감싸고, 그 상대 굴절률 차이 △3는 △2보다 작으면서 또한 제1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반경과 제2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반경에는 다음과 같은 수치 관계가 존재하여: V=(△2-△3)x(R3-R2)라고 설정하면, 즉 V값의 범위는 0.15%㎛ 내지 0.8%㎛이다. 제3 클래딩은 제2 클래딩의 모든 분리층을 긴밀하게 감싸며, 그 각 분리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는 △3보다 크다. 상기 저감쇄 단일모드 광섬유는 굴절률 섹션 설계가 합리적이며, 광섬유의 휨 저항성능을 진일보 향상시켰다.

Description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OPTICAL FIBRE}
본 발명은 일종의 광섬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저감쇄 단일모드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섬유는 개선된 휨 저항성능 및 낮은 광섬유 손실을 지니며, 광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다.
단일모드 광섬유는 전송속도가 빠르고, 정보 휴대 용량이 크며, 전송 거리가 멀다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미 광섬유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에 대량 응용되고 있다. 광증폭 기술과 파장분할다중 기술이 진일보 발전함에 따라, 광섬유 통신 시스템은 더욱 높은 전송 출력 및 더욱 긴 전송 거리를 향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광섬유 통신 시스템 중의 중요한 전송 매체로서, 단일모드 광섬유의 관련 성능 지표 역시 광섬유 통신시스템의 실제적인 발전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진일보 개선되었다. 광섬유의 감쇄 계수와 유효 면적은 단일모드 광섬유의 두 중요한 성능 지표이다. 광섬유의 감쇄계수가 작을수록, 즉 그것이 휴대하는 광신호의 전송 가능 거리가 더욱 길어지고, 광섬유의 유효면적이 클수록, 즉 비선형 효과가 약해진다. 큰 유효면적은 자기위상변조, 4광파혼합, 교차위상변조 등 비선형 효과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고출력 광신호의 전송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저하된 감쇄계수와 증가된 유효면적은 광섬유 통신 시스템 중의 광신호대잡음비(OSNR: optical-signal-to noise ratio)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시스템의 전송 품질과 전송 거리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섬유 재질 중, 불균일성으로 인한 빛의 산란은 광섬유의 산란 손실을 구성한다. 그중 광섬유의 레일리 산란은 3가지 산란 메커니즘 중의 하나로서, 선형 산란(즉 광신호의 주파수와 무관하다)이다. 레일리 산란의 특징은 그 크기가 파장의 4차원과 반비례를 이루는 동시에, 그가 일으키는 손실은 도핑 재료의 종류 및 농도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도핑 재료의 농도가 낮을수록, 레일리 산란이 일으키는 손실은 작아진다. 순수 실리카 코어광섬유는 바로 코어층 부분에 어떠한 도핑도 없는(즉 순수 이산화규소 석영 유리) 광섬유이다. 이론적으로 순수 실리카 코어 광섬유의 레일리 산란은 순석영 유리 재료의 고유한 레일리 산란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광섬유의 감쇄 계수를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시에 코어 직경과 클래딩의 불소 도핑 농도 등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통해 광섬유가 더욱 큰 유효면적을 갖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유효면적은 광섬유의 벤딩 손실을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광섬유의 매크로 벤딩 손실과 마이크로 벤딩 손실 포함), 특히 장파장 영역에서 그러하다. 광섬유의 케이블 제조 과정 또는 실제 부설 및 사용 과정에서, 만약 광섬유의 휨 저항 성능이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신호의 손실이 커지게 될 것이며, 신호의 전송 품질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미국특허 US6917740에서는 재료 점도 부정합이 개선된 순수 실리카 코어 단일모드 광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였다. 코어층에 염소(Cl) 및 불소(F)를 도핑하여 코어와 클래딩의 유리화 전이 온도 Tg의 차이값을 200 ℃이내로 축소시켜 광섬유의 감쇄 성능을 최적화하였다. 상기 특허는 광섬유의 휨 성능에 대한 연구와 개선은 다루지 않았으며, 광섬유의 광학 전송 성능도 다루지 않았다.
미국특허 US6449415는 코어층 염소(Cl) 도핑의 상대 굴절률 차이가 양의 값이고, 클래딩 불소(F) 도핑의 상대 굴절률 차이가 음의 값인 광섬유를 공개하였으며, 또한 상기 광섬유는 내부 클래딩이 함몰 클래딩(depressed cladding)인 구조를 갖는다고 공개하였다. 코어층에 불소가 도핑된 재료는 광섬유 코어 클래딩 재료의 부정합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와이어 드로잉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부 클래딩이 함몰 클래딩 구조이므로 광섬유의 벤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함몰 클래딩의 구조로 벤딩 성능을 개선하는 능력에는 한계가 있는 동시에, 광섬유의 기타 광학 파라미터, 예를 들어 광섬유의 모드필드 직경과 차단 파장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외부 클래딩 파라미터의 설계가 불합리한 경우, 내부 함몰 클래딩 구조는 LP01 모드의 누설 문제(즉 단일모드 광섬유의 감쇄계수가 장파장 영역에서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를 야기시킬 가능성이 있다.
미국특허 US6947650에서는 불소 도핑 함몰 클래딩을 갖는 순수 실리카 코어 광섬유를 제시하였는데, 그 함몰 클래딩의 직경 D과 코어 d의 직경 비 D/d는 약 8.5이고, 범위는 10 미만이다. 그 광섬유의 작업 파장 λop과 차단 파장 λcut의 비율 범위는 1.0과 1.2 사이이다. 상기 특허는 광섬유의 감쇄와 휨 등의 성능은 설명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후술하는 방법을 통해 광섬유의 벤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데, 하나는 광섬유의 MAC값(즉 광섬유 모드필드 직경과 차단 파장의 비율) 변경을 통해 실현되며, MAC값이 작을수록, 광섬유의 휨 저항성능이 좋아진다. 그런데 모드필드 직경의 감소는 유효면적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의 차단파장은 반드시 작업 파장보다 작아야 단일모드의 작업 특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의 MAC값 변경을 통해 광섬유의 벤딩 성능을 개선하는 여지에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는 내부 클래딩이 함몰 클래딩인 이중 클래딩 구조를 통해 벤딩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함몰 클래딩은 광섬유의 'LP01 모드 누설' 현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는 광섬유의 내부 클래딩 외측에 해자와 유사한 함몰 클래딩(trench)을 한 층 추가하여 비교적 큰 모드필드 직경을 보장하는 동시에, 광섬유의 벤딩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이 방법은 벤딩이 민감하지 않은 단일모드 광섬유(즉 G.657 광섬유)에서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특허 CN101598834A, 미국특허 US7450807 및 유럽특허 EP1978383 등이 있다. 순수 실리카 코어 광섬유에 해자와 유사한 함몰 클래딩(trench)을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의 벤딩 성능을 진일보 개선한 관련 특허 또는 문헌 보고는 아직 발견하지 못하였다.
일반적으로 도핑제는 석영 유리의 상대 굴절률 차이를 변경할 수 있다. 게르마늄(Ge), 염소(Cl), 인(P) 등 도핑제는 도핑 후의 석영 유리의 상대 굴절률 차이를 양의 값이 되게 할 수 있어, 이를 'P형 도핑제'라고 칭하고, 불소(F), 붕소(B) 등 도핑제는 도핑 후의 석영 유리의 상대 굴절률 차이가 음의 값이 되게 할 수 있어, 이를 'N형 도핑제'라고 칭한다. 만약 'P형 도핑제'와 'N형 도핑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석영 유리에 대한 도핑을 실시할 경우, 도핑 후의 석영 유리의 상대 굴절률 차이는 양의 값 또는 음의 값, 또는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하여 이하 용어를 정의한다.
굴절률 섹션: 광섬유 중 유리 굴절률과 그 반경 간의 관계이다.
상대 굴절률 차이:
Figure pct00001
ni n0은 각각 대응되는 부분의 굴절률과 순수 이산화규소 석영 유리의 굴절률이다.
불소(F)의 기여량: 순수 이산화규소 석영유리에 상대되는 불소(F) 도핑 석영 유리의 상대 굴절률 차이(△F)로 불소(F) 도핑량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는 상기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단점에 착안하여, 굴절률 섹션의 설계가 합리적이고, 광섬유의 휨저항성이 진일보 향상된 저감쇄 단일모드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일모드 광섬유의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다.
코어와 클래딩층을 포함하며, 코어의 상대 굴절률 차이 △1 범위는 -0.1% 내지 +0.1%이며, 반경 R1의 범위는 4.0㎛ 내지 6.0㎛이며, 코어층 외측을 감싸는 3개의 클래딩을 구비한다. 제1 클래딩은 코어층을 긴밀하게 감싸고, 그 상대 굴절률 차이 △2의 범위는 -0.2% 내지 -0.6%이며, 반경 R2의 범위는 10㎛ 내지 22㎛이다. 제2 클래딩은 제1 클래딩을 긴밀하게 감싸고, 그 상대 굴절률 차이 △3는 △2보다 작으면서 또한 제1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반경과 제2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반경에는 다음과 같은 수치 관계가 존재한다. V=(△2-△3)x(R3-R2)라고 설정하면, 즉 V값의 범위는 0.15%㎛ 내지 0.8%㎛이다. 제3 클래딩은 제2 클래딩의 모든 분리층을 긴밀하게 감싸며, 그 각 분리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는 △3보다 크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2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3의 범위는 -0.3% 내지 -0.7%이고, 반경 R3의 범위는 13㎛ 내지 27.5㎛이다. 제3 클래딩 최외층의 분리층 반경은 R4로서, R4의 범위는 36㎛ 내지 63㎛이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코어층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 또는 불소 및 기타 도핑제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코어층 불소(F)의 기여량 △F은 -0.1% 내지 0%이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1 클래딩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제1 클래딩의 반 경R2과 코어층의 반경 R1의 비율 R2/R1은 2 내지 4이고, 그 상대 굴절률 차이 △2와 코어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 △1의 차이값(△1-△2)은 0.3% 내지 0.45%이며, 상기 제2 클래딩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3는 기타 클래딩보다 작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3 클래딩은 하나의 분리층으로서, 불소 또는 기타 도핑제가 첨가된 석영 유리층이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4의 범위는 -0.25% 내지 -0.45%이다. 또한, 제 3 클래딩은 두개의 분리층으로서, 내부 분리층은 불소 도핑층이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4의 범위는 -0.25% 내지 -0.45%이며, 반경 범위는 36㎛ 내지 54㎛이며, 외부 클래딩은 순수 실리카 분리층으로, 상대 굴절률 차이는 0%이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광섬유는 1550nm 파장 부위의 감쇄 계수가 0.180dB/km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광섬유는 1550nm 파장 부위에서의 모드필드 직경은 10㎛ 내지 13㎛이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광섬유는 1530nm보다 작거나 같은 광케이블 차단파장을 가진다. 1550nm 파장 부위에서, 10mm의 곡률반경으로 1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5dB보다 작거나 같다. 15mm의 곡률반경으로 10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2dB보다 작거나 같다. 1625nm 파장부위에서, 10mm의 곡률반경으로 1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1.0dB보다 작거나 같다. 15mm의 곡률반경으로 10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8dB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방안에 따르면, 상기 광섬유는 1700nm에서 마이크로 벤딩 손실은 0.8dB/km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상기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1. 최소 상대 굴절률 차이를 갖는 제2 클래딩은 효과적으로 광신호를 코어에 구속하여 전파를 실시하는 동시에 벤딩 상태에서, 광신호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광섬유의 매크로 벤딩성능과 휨저항성능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휨저항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광섬유의 모드필드 직경이 확대된 후에는 그 유효 면적 역시 따라서 증가하는데, MAC값이 증가함에 따라 그 휨저항 성능은 악화된다. 제2 클래딩은 광섬유가 비교적 큰 유효 면적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양호한 벤딩 성능을 여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제조 후 광섬유를 실제로 응용하는 동안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2. 코어층에 적어도 불소가 도핑되어, 코어층 재료의 점도를 저하시켜, 코어층과 클래딩의 점도가 부정합되는 상황이 따라서 개선되며, 와이어 드로잉 후 광섬유 내부의 잔여 응력이 감소되어 광섬유의 감쇄 성능을 개선하기에 유리하다.
3. 제3 클래딩의 불소 도핑층의 불소(F) 도핑 기여량 △F가 -0.25%보다 작아, 'LP01 모드 누설'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며, 그 점도가 제2 클래딩보다 크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점도의 제3 클래딩 재료는 와이어 드로잉 시 비교적 큰 비율의 와이어 드로잉 장력을 지탱할 수 있어, 와이어 드로잉 장력으로 인한 응력이 코어 부분에 집중되어 광섬유 감쇄가 증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보통 코어층에 게르마늄이 도핑된 정합 클래딩 단일모드 광섬유의 굴절률 섹션도; 그중 01에 대응되는 점선은 순석영 유리의 상대 굴절률 차이(즉 그 값은 0%이다)
도 2는 순수 실리카 코어 광섬유의 굴절률 섹션도; 점선은 광섬유에 함유된 내부 클래딩이 함몰 클래딩(depressed cladding)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지름방향 단면도; 도면 중 00은 광섬유의 코어층에 대응되고, 10은 광섬유의 제1 클래딩에 대응되며, 20은 광섬유의 제2 클래딩에 대응되며, 30은 광섬유의 제3 클래딩에 대응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지름방향 단면도; 도면 중 301은 제3 클래딩 중 내측에 인접한 불소 도핑층에 대응되고, 302는 외측에 인접한 순수 실리카층에 대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 섹션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 섹션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 섹션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불소(F) 도핑 섹션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의 마이크로 벤딩 손실 스펙트럼;
도 10은 순수 실시카 코어 광섬유의 하나의 마이크로 벤딩 손실 스펙트럼 실질적인 예.
이하, 상세한 실시예를 제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어층과 클래딩을 포함하며, 코어층 00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 또는 불소 및 기타 도핑제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구성된다. 코어층 외부에 3개의 클래딩이 감싸진다. 제1 클래딩(10)은 코어층을 긴밀히 감싸며,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로 구성된다. 제2 클래딩(20)은 제1 클래딩을 긴밀히 감싸고, 제2 클래딩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3는 기타 클래딩보다 작다. 제3 클래딩(30)은 제2 클래딩을 긴밀하게 감싸는 모든 분리층이며, 그 각 분리층들의 상대 굴절률 차이는 △3보다 크다. 제3 클래딩 최외층의 분리층 반경은 R4로서, R4의 범위는 36㎛ 내지 63㎛이다. 상기 제3 클래딩은 하나의 분리층일 수 있어, 불소 또는 기타 도핑제가 첨가된 석영 유리층이거나, 또는 제3 클래딩은 두 개의 분리층일 수 있어, 내부 분리층은 불소 도핑층(301)으로서, 반경범위가 36㎛ 내지 54㎛이며, 외측 분리층은 순수 실리카 분층(302)으로서, 즉 상대 굴절률 차이는 0%이다.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그 규정된 범위 내에서 광섬유의 파라미터를 설계하고, 유리가 숙지하는 PCVD 공정, MCVD 공정, OVD 공정 또는 VAD 공정 등 모재 공정을 통해 광섬유의 설계 요구에 따라 코어를 제조하며, 케이싱 파이프 공정, OVD 공정 또는 VAD 공정 등 아웃소싱 공정을 통해 전체 모재의 제조를 완료한다. PCVD 공정은 고농도의 불소(F) 도핑을 실시할 때 어느 정도의 경쟁력이 있다.
드로잉 광섬유의 굴절률 섹션은 NR-9200 장치(EXF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섬유의 굴절률 섹션 및 도핑 재료의 주요 파라미터는 표 1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매크로 벤딩 부가 손실 테스트 방법은 IEC 60793-1-47에 규정된 방법을 참고하였으며, 파장이 길수록 벤딩에 더욱 민감해지기 때문에, 주로 광섬유의 1550nm과 1625nm 파장 부위의 벤딩 부가 손실을 측정하여 광섬유의 전 파장구간 범위 내(특히 L 파장구간)에서의 벤딩 민감성을 정확하게 평가하였다. 광섬유를 일정한 직경에 맞춰 1바퀴 또는 10바퀴 감은 후 서클을 내려놓고, 서클 전후의 광출력의 변화를 측정하며, 이를 광섬유의 매크로 벤딩 손실로 간주하였다.
마이크로 벤딩 손실 측정 방법은 IEC TR 62221-2001 중에 규정된 Method B의 방법을 참조하였다. 장파장이 벤딩에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측정 파장 범위는 1300nm~1700nm이며, 또한 1550nm 이상의 파장에서 광섬유의 마이크로 벤딩 손실 크기를 중점적으로 주목하였다.
드로잉 광섬유의 주요 성능 파라미터는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실시예에서 V값과 (△1-△2)값이 광섬유의 벤딩 성능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번호 5와 6 및 번호 3과 4의 실시예가 반영하는 상황과 같이, 더욱 큰 V값과 (△1-△2)값은 광섬유가 더욱 우수한 휨저항 성능을 지닌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어층 중 불소(F)의 기여량은 광섬유의 감쇄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1이 일정값인 상황에서, 코어층 중 불소(F)의 기여량이 만약 증가한다면, 코어층 중 'P형 도핑제'의 농도가 △1이 불변함을 유지하도록 상응하게 증가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호 1과 2의 실시예에 반영된 상황과 같이, 도핑제 농도의 증가는 코어층 재료의 점도를 더욱 낮추어 줌으로써 코어층과 클래딩 재료의 점도 정합도를 향상시켜 광섬유 감쇄 성능을 개선하기에 유리하다. 번호 7, 8, 9의 실시예에 반영된 상황과 같이, 제3 클래딩의 불소(F) 기여량 △F는 광섬유의 감쇄 성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욱 큰 불소 도핑 농도는 불소 도핑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를 더욱 저하시켜 광섬유의 'LP01모드 누설' 현상을 한 단계 더 방지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더욱 큰 불소 도핑 농도는 또한 상기 클래딩의 점도가 더욱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하며, 이럴 경우 상기 클래딩이 와이어 드로잉 과정에서 와이어 드로잉 장력을 부담하기 불리하여 광섬유 코어 부분에 더욱 많은 응력이 집중될 수 있어 감쇄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3 클래딩의 불소 도핑량 크기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만약 제3 클래딩에 내부쪽에 가까운 불소 도핑층과 외측에 가까운 순수 실리카층이 포함되는 경우, 외측에 가까운 순수 실리카층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분리층이 광섬유의 'LP01모드 누설'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동시에,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여 와이어 드로잉 과정에서 일부 드로잉 장력을 지탱하여 응력이 광섬유 코어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번호가 10, 11, 12인 실시예에서, 광섬유의 제3 클래딩은 내측에 가까운 불소도핑층과 외측에 가까운 순수 실리카층으로 나뉘는데, 표 3의 데이터를 보면, 외측에 가까운 순수 실리카층에 소재하는 고리의 내경 D4*가 충분히 클 때, 광섬유의 'LP01모드 누설' 현상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층의 재료는 일부 드로잉 장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어, 이와 같이 응력이 광섬유의 코어 부분에 뚜렷하게 집중되지 않아 광섬유의 감쇄 성능이 개선된다.
실험에서,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라 제조되는 광섬유는 1550nm 부위에서 모드필드 직경이 10㎛이상에 이를 수 있으며, 광케이블 차단파장은 1530nm 이하임이 보장되고, 1550nm 부위의 감쇄 계수는 0.180dB/km 이하임이 보장되며, 또한 광섬유는 양호한 매크로 휨 저항 성능과 마이크로 휨 저항 성능을 포함하는 양호한 휨 저항 성능을 구비하여, 광섬유는 1550nm 파장 부위에서, 10mm의 곡률반경으로 1바퀴 감은 벤딩 부가 손실이 0.5dB보다 작거나 같다. 15mm 곡률반경으로 10바퀴 감은 경우 벤딩부가 손실은 0.2dB보다 작거나 같다. 1625nm 파장 부위에서, 10mm의 곡률반경으로 1바퀴 감은 경우 베딩 부가 손실은 1.0dB보다 작거나 같다. 15mm의 곡률반경으로 10바퀴 감은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8dB보다 작거나 같다. 동시에 1700nm에서의 광섬유의 벤딩 부가 손실은 0.8dB/km보다 작다.
표 1: 광섬유의 구조와 재료 조성





코어층

제1 클래딩

제2 클래딩

제3 클래딩

반경
R1(㎛)

상대
굴절률
차이
△1(%)

F의
기여도
△F(%)

반경
R2(㎛)

상대
굴절률
차이
△2(%)

R2/R1

△1-△2

반경
R3(㎛)

상대
굴절률
차이
△3(%)

V값
(%㎛)

반경
R4(㎛)

상대
굴절률
차이
△4(%)

1

4.1

-0.02

-0.06

12.8

-0.38

3.1

0.36

17

-0.53

0.63

52.4

-0.28

2

4

-0.03

-0.11

13

-0.4

3.3

0.37

14

-0.54

0.14

42.1

-0.3

3

5

0.01

-0.03

10

-0.36

2.0

0.37

13

-0.55

0.57

55.6

-0.25

4

4.9

0.05

-0.04

11.5

-0.37

2.3

0.42

23

-0.61

2.76

62.3

-0.27

5

5.8

0.03

-0.05

20

-0.36

3.4

0.39

25

-0.49

0.65

62.2

-0.35

6

5.5

0.01

-0.06

21

-0.38

3.8

0.39

23

-0.48

0.20

62.7

-0.35

7

4.8

-0.03

-0.07

14

-0.39

2.9

0.36

20

-0.57

1.08

62.3

-0.25

8

4.7

-0.02

-0.07

12

-0.4

2.6

0.38

19

-0.63

1.61

62.5

-0.3

9

4.9

-0.03

-0.07

14

-0.41

2.9

0.38

20

-0.54

0.78

62.4

-0.35

13

5.2

-0.10

-0.10

17

-0.42

3.3

0.31

30

-0.48

0.78

62.3

-0.33

14

4.3

-0.03

-0.09

18

-0.48

4.2

0.45

28

-0.73

2.50

62.5

-0.29
표 2: 광섬유의 구조와 재료 조성





코어층

제1 클래딩

제2 클래딩

제3 클래딩

반경
R1
(㎛)

상대
굴절률
차이
△1(%)

F의
기여도
△F(%)

반경
R2
(㎛)

상대
굴절률
차이
△2(%)

R2/R1

△1-△2

반경
R3
(㎛)

상대
굴절률
차이
△3(%)

V값
(%㎛)

D4*
(㎛)

D4
(㎛)

상대
굴절률
차이
D4*
(%)

10

4.9

0.01

-0.06

13.5

-0.38

2.76

0.39

17

-0.44

0.21

80

124.8

-0.29

11

4.8

-0.02

-0.07

13

-0.4

2.71

0.38

16

-0.47

0.21

90

125

-0.3

12

5

-0.01

-0.07

13.4

-0.41

2.68

0.40

17

-0.47

0.22

108

124.9

-0.3
주의사항 1: D4*는 제3 클래딩 중 내측쪽 불소 도핑 분리층의 직경을 나타내고, D4는 제3 클래딩 중 최외층의 순수 실리카 분리층의 직경을 나타낸다.
주의사항 2: △4*는 제3 클래딩 중 내측쪽 불소도핑 분리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이다.
표 3: 광섬유의 주요 성능 파라미터







모드필드직경
(㎛)
@1550
nm

광케이블
차단파장
(nm)

광섬유
직경
(㎛)

감쇄계수
(dB/km)
@1550nm

마이크로벤딩
손실
(dB/km)
@1700nm

1550nm 부위의
벤딩 부가손실
(dB/바퀴)

1625nm 부위의
벤딩 부가손실
(dB/바퀴)

R10mm

R15mm

R10mm

R15mm

1

10.2

1230

124.8

0.177

0.7

0.4

0.015

0.68

0.06

2

10.1

1220

124.2

0.172

0.68

0.41

0.014

0.66

0.05

3

11.2

1340

125.2

0.176

0.6

0.23

0.01

0.35

0.035

4

11.3

1335

124.6

0.175

0.45

0.13

0.006

0.25

0.02

5

12.7

1525

124.4

0.175

0.4

0.18

0.011

0.36

0.03

6

12.1

1500

125.4

0.174

0.2

0.08

0.003

0.14

0.007

7

11.3

1295

124.6

0.177

0.4

0.22

0.011

0.33

0.03

8

11.2

1280

125

0.173

0.35

0.21

0.01

0.32

0.028

9

11.4

1310

124.8

0.176

0.32

0.2

0.009

0.31

0.025

10

11.5

1320

124.8

0.175

0.5

0.3

0.013

0.6

0.026

11

11.4

1300

125

0.172

0.48

0.28

0.01

0.48

0.02

12

11.6

1340

124.9

0.174

0.52

0.25

0.009

0.4

0.018

13

11.4

1300

124.6

0.177

0.32

0.11

0.002

0.18

0.007

14

10.3

1285

125

0.176

0.4

0.18

0.009

0.23

0.01

Claims (10)

  1.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에 있어서,
    코어층과 클래딩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 △1 범위는 -0.1% 내지 +0.1%이고, 반경 R1의 범위는 4.0 ㎛내지 6.0㎛이며, 상기 코어층 외측을 감싸는 3개의 클래딩을 구비하며, 제1 클래딩은 상기 코어층을 긴밀하게 감싸고, 그 상대 굴절률 차이 △2의 범위는 -0.2%~-0.6%이며, 반경 R2의 범위는 10㎛ 내지 22㎛이며, 제2 클래딩은 상기 제1 클래딩을 긴밀하게 감싸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3는 △2보다 작으면서 또한 상기 제1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반경과 상기 제2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반경에는 다음과 같은 수치 관계가 존재하여: V=(△2-△3)x(R3-R2)라고 설정하면, 즉 V값의 범위는 0.15%㎛ 내지 0.8%㎛이며, 제3 클래딩은 상기 제2 클래딩의 모든 분리층을 긴밀하게 감싸며, 그 각 분리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는 △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래딩의 상대 굴절률 차이 △3의 범위는 -0.3% 내지 -0.7%이고, 반경 R3의 범위는 13㎛ 내지 27.5㎛이며, 상기 제3 클래딩 최외층의 분리층 반경은 R4로서, 상기 R4의 범위는 36㎛ 내지 6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 또는 불소 및 기타 도핑제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층 불소(F)의 기여량 △F은 -0.1% 내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래딩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클래딩의 반경 R2과 상기 코어층의 반경 R1의 비율 R2/R1은 2 내지 4이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2와 상기 코어층의 상대 굴절률 차이 △1의 차이값 (△1-△2)은 0.3% 내지 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래딩은 불소(F) 도핑된 석영 유리로 구성되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3는 기타 클래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클래딩은 하나의 분리층으로서, 불소 또는 기타 도핑제가 첨가된 석영 유리층이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4 의 범위는 -0.25% 내지 -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클래딩은 두개의 분리층으로서, 내부 분리층은 불소 도핑층이며, 그 상대 굴절률 차이 △4의 범위는 -0.25% 내지 -0.45%이며, 반경 범위는 36㎛ 내지 54㎛이며, 외부 클래딩은 순수 실리카 분리층으로, 상대 굴절률 차이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1550nm 파장 부위의 감쇄 계수가 0.180dB/km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모드필드 직경은 10㎛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1530nm보다 작거나 같은 광케이블 차단파장을 가지며, 1550nm 파장 부위에서, 10mm의 곡률반경으로 1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5dB보다 작거나 같으며, 15mm의 곡률반경으로 10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2dB보다 작거나 같으며, 1625nm 파장부위에서, 10mm의 곡률반경으로 1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1.0dB보다 작거나 같으며, 15mm의 곡률반경으로 10바퀴 감을 경우 벤딩 부가 손실은 0.8dB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1700nm에서 마이크로 벤딩 손실은 0.8dB/km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단일모드 광섬유.


KR1020137019551A 2011-05-05 2011-11-16 단일모드 광섬유 Active KR101539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114732.X 2011-05-05
CN201110114732XA CN102156323B (zh) 2011-05-05 2011-05-05 一种单模光纤
PCT/CN2011/082254 WO2012149818A1 (zh) 2011-05-05 2011-11-16 一种单模光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839A true KR20130117839A (ko) 2013-10-28
KR101539555B1 KR101539555B1 (ko) 2015-07-28

Family

ID=4443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551A Active KR101539555B1 (ko) 2011-05-05 2011-11-16 단일모드 광섬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49084B2 (ko)
EP (1) EP2713188B1 (ko)
KR (1) KR101539555B1 (ko)
CN (1) CN102156323B (ko)
WO (1) WO20121498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956A (ko) * 2014-11-12 2017-01-25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조인트 스톡 리미티드 컴퍼니 초저감쇠 대유효면적의 단일모드 광섬유
KR20170104624A (ko) * 2015-04-28 2017-09-15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조인트 스톡 리미티드 컴퍼니 초저감쇠 단일모드 광섬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6323B (zh) * 2011-05-05 2012-06-06 长飞光纤光缆有限公司 一种单模光纤
KR101273801B1 (ko) * 2011-10-17 2013-06-11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구부림 손실 강화 광섬유
CN102645699B (zh) * 2012-05-02 2015-03-04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低衰减弯曲不敏感单模光纤
US9057817B2 (en) 2013-04-15 2015-06-16 Corning Incorporated Low diameter optical fiber
CN103454719B (zh) * 2013-09-03 2015-09-30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单模光纤
CN103630965B (zh) * 2013-12-03 2015-06-24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弯曲拉锥光纤及其制造方法
US9658394B2 (en) * 2014-06-24 2017-05-23 Corning Incorporated Low attenuation fiber with viscosity matched core and inner clad
US9618692B2 (en) 2014-07-10 2017-04-11 Corning Incorporated High chlorine content low attenuation optical fiber
CN106662704B (zh) * 2014-08-28 2019-07-1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及光纤传输路径
CN104316994A (zh) * 2014-10-29 2015-01-28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低衰减弯曲不敏感单模光纤
CN104749691B (zh) * 2015-04-28 2018-05-01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衰耗弯曲不敏感单模光纤
US9874686B2 (en) 2015-05-29 2018-01-23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with macrobend loss mitigating layer
CN104898200B (zh) * 2015-06-25 2018-03-16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掺杂优化的超低衰减单模光纤
US20170097465A1 (en) * 2015-06-30 2017-04-06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with large effective area and low bending loss
US9919955B2 (en) * 2015-07-24 2018-03-20 Ofs Fitel, Llc Optical fiber with low loss and nanoscale structurally homogeneous core
CN104991307A (zh) * 2015-07-31 2015-10-21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衰减大有效面积的单模光纤
CN104991306A (zh) * 2015-07-31 2015-10-21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衰耗弯曲不敏感单模光纤
WO2017022085A1 (ja) * 2015-08-04 2017-02-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接続部品
CN105182471B (zh) * 2015-08-19 2019-03-12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单模光纤
CN110741293B (zh) * 2017-07-03 2021-01-01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纤和光传输系统
NL2019817B1 (en) * 2017-08-08 2019-02-21 Corning Inc Low bend loss optical fiber with a chlorine doped core and offset trench
JP7019617B2 (ja) * 2019-02-07 2022-02-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およ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CN111458789B (zh) * 2020-04-26 2021-11-09 中天科技光纤有限公司 光纤
CN113848608B (zh) * 2020-06-28 2023-08-08 中天科技精密材料有限公司 单模光纤及其制备方法
CN112062460B (zh) * 2020-08-10 2022-11-04 普天线缆集团有限公司 低损耗g.652.d光纤及其制作方法
CN113820782B (zh) * 2021-08-12 2024-09-17 江苏法尔胜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匀化光纤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917A (en) * 1985-02-08 1987-02-10 At&T Bell Laboratories Single mode optical fiber
US5044724A (en) * 1989-12-22 1991-09-03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ber, and fiber produced by the method
US5032001A (en) * 1990-03-09 1991-07-16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having enhanced bend resistance
AU762729B2 (en) 1999-01-18 2003-07-0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2004092794A1 (ja) * 2003-04-11 2004-10-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
US6917740B2 (en) * 2003-05-30 2005-07-12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having reduced viscosity mismatch
WO2005021455A2 (en) * 2003-08-29 2005-03-10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ntaining an alkali metal oxide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6947650B1 (en) * 2004-05-06 2005-09-20 Luna Energy Llc Long wavelength, pure silica core single mode fib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FR2893149B1 (fr) * 2005-11-10 2008-01-11 Draka Comteq France Fibre optique monomode.
US7450807B2 (en) * 2006-08-31 2008-11-11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optical fiber with deep depressed ring
FR2914751B1 (fr) 2007-04-06 2009-07-03 Draka Comteq France Fibre optique monomode
US8374472B2 (en) * 2007-06-15 2013-02-12 Ofs Fitel, Llc Bend insensitivity in single mode optical fibers
US7680381B1 (en) * 2008-11-25 2010-03-16 Corning Incorporated Bend insensitive optical fibers
US8428415B2 (en) * 2009-01-09 2013-04-23 Corning Incorporated Bend insensitive optical fibers with low refractive index glass rings
US8315495B2 (en) * 2009-01-30 2012-11-20 Corning Incorporated Large effective area fiber with Ge-free core
CN101598834B (zh) * 2009-06-26 2011-01-19 长飞光纤光缆有限公司 一种单模光纤及其制造方法
US8385701B2 (en) 2009-09-11 2013-02-26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optical fiber
FR2951282B1 (fr) * 2009-10-13 2012-06-15 Draka Comteq France Fibre optique monomode a tranchee enterree
CN102156323B (zh) 2011-05-05 2012-06-06 长飞光纤光缆有限公司 一种单模光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956A (ko) * 2014-11-12 2017-01-25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조인트 스톡 리미티드 컴퍼니 초저감쇠 대유효면적의 단일모드 광섬유
KR20170104624A (ko) * 2015-04-28 2017-09-15 양쯔 옵티컬 파이버 앤드 케이블 조인트 스톡 리미티드 컴퍼니 초저감쇠 단일모드 광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8026A1 (en) 2014-09-04
EP2713188A4 (en) 2014-05-28
KR101539555B1 (ko) 2015-07-28
EP2713188B1 (en) 2016-09-28
WO2012149818A1 (zh) 2012-11-08
CN102156323B (zh) 2012-06-06
US8849084B2 (en) 2014-09-30
CN102156323A (zh) 2011-08-17
EP2713188A1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555B1 (ko) 단일모드 광섬유
CN102645699B (zh) 一种低衰减弯曲不敏感单模光纤
JP5604028B2 (ja)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
US8428415B2 (en) Bend insensitive optical fibers with low refractive index glass rings
JP6084698B2 (ja) 大有効面積を有する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
EP2352047B1 (en) Non-zero dispersion shifted optical fiber having a large effective area
KR101731743B1 (ko) 대유효면적 광섬유
US7593612B2 (en) Optical fiber
JP6298893B2 (ja) 損失低下を示す、台形コアを有するシングルモードファイバ
US20110286710A1 (en) Single Mode Optical Fiber
CN103454719B (zh) 一种单模光纤
KR20100098691A (ko) 밴드저항성 다중모드 광섬유
EP3290973B1 (en) Ultralow-attenuation bend-insensitive single-mode optical fibre
CN101551488A (zh) 色散位移光纤
KR102106677B1 (ko) 초저감쇠 단일모드 광섬유
CN109839694A (zh) 一种截止波长位移单模光纤
CN102998742B (zh) 一种小模场抗弯曲单模光纤
CN115826130A (zh) 一种弯曲不敏感高带宽多模光纤
CN105182471A (zh) 一种单模光纤
CN101226258B (zh) 低弯曲损耗、低非线性效应的单模光纤
CN106249347B (zh) 用于在线制备弱光栅阵列的弯曲不敏感光敏光纤及制备方法
CN115963596A (zh) 一种适用于电力超长距光传输的单模光纤
CN118567022A (zh) 一种通信和传感双信号传输单模光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