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11852A -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852A
KR20130111852A KR1020120034064A KR20120034064A KR20130111852A KR 20130111852 A KR20130111852 A KR 20130111852A KR 1020120034064 A KR1020120034064 A KR 1020120034064A KR 20120034064 A KR20120034064 A KR 20120034064A KR 20130111852 A KR20130111852 A KR 2013011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grad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321B1 (ko
Inventor
정우성
박재한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321B1/ko
Priority to EP20120006285 priority patent/EP2648416A3/en
Priority to US13/625,383 priority patent/US8972965B2/en
Priority to CN201210367371.4A priority patent/CN103369404B/zh
Publication of KR2013011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3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와 상기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UPGRADEABL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그레이드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성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할 뿐만 아니라,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 - Video Cassette Recorder),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셋톱박스(STB - Set Top Box)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장치가 연결되어, 이들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처리하여 표시한다. 또한,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되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처리할 수도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한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구입하고 나면 더 이상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를 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품 출하시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A/S를 통해 직접 업그레이드를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A/S를 통한 업그레이드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지식과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한번 구입하고 나서도 최신 버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간단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와 상기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와,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 및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여부 및 버전을 체크하여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를 통해 한번 구입하고 나서도 최신 버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비용으로 최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장비나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업그레이드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단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장치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업그레이드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업그레이드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라 할지라도 컴퓨터 지원 기능 등을 추가한 스마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마트 기능이라 함은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 스마트 TV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 및 컴퓨터를 이용하는 기능 및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장치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업그레이드 장치(200)를 장착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업그레이드 장치(200)만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항상 최신 버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 스마트 기능도 수행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 장치(200)가 장착되기 이전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에 해당하는 SoC(System on Chip)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권한을 가지고 마스터(Master)로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업그레이드 장치(200)가 장착되면 업그레이드를 수행한 후, 업그레이드 장치(200)에 제어 권한을 넘겨, 업그레이드 장치(200)가 마스터(Master)가 되고,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트롤러는 슬레이브(Slave)가 되어 업그레이드 장치와 디스플레이 패널간 경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업그레이드가 된 후에 업그레이드 장치(200)로 제어 권한을 넘겨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 가동되도록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장착 신호가 수신되면 바로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 가동되어 업그레이드 장치(200)로 제어 권한이 넘어가고 업그레이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은 업그레이드 장치를 마스터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트롤러를 슬레이브로 설정할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와 컨트롤러간 데이터 전송 방법. 각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을 미리 정의해 둔 것으로 통신 방법, 송수신 데이터 규격 등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방송수신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메모리(340), 유저 인터페이스(350), 컨트롤러(360), 디스플레이부(370), 오디오출력부(380),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탈부착이 가능한 업그레이드 장치(200)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310)는 복조부(311), 디멀티플렉서(313), 오디오 디코더(315), 비디오 디코더(31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복조부(311)와 디멀티플렉서(313)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구비하면서 복조부(311)와 디멀티플렉서(313)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3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또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313)는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한다.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315)에서 디코딩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317)에서 디코딩한다.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컨트롤러(360)로 입력되고, 상기 컨트롤러(360)는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 후에 디스플레이부(3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380)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60) 또는 메모리(340)로 전달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 장치(200)로부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340) 또는 컨트롤러(3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OSD 수정, 새로운 음향장치 효과, 대기전력절감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버그 수정 등 제품 출하 이후의 하드웨어의 제어 및 관리에 있어서 필요한 펌웨어의 향상 및 수정에 필요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를 통해 추가로 지원되는 하드웨어의 정보 및 상기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버전 정보를 포함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3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에서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 및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버전 정보를 저장한다. 다만, 업그레이드 장치(200)가 장착이 안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출시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 업그레이드 장치(200)가 장착되었을 때 버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기본 값으로 셋팅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36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3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3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500)로부터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36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5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컨트롤러(360)는 Plug & Play 방식에 따라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외부 입력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로부터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장착 신호를 수신하고,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장착을 인식하면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의 버전을 체크하여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200)일 경우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장치(200)로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업그레이드 장치(200)로부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그레이드를 완료한 후 업그레이드 장치(200)로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잇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360)가 업그레이드 장치(200)로 제어 권한을 부여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와 상기 컨트롤러(360)간에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을 가동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70)는 컨트롤러(3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7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70)는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로부터 업그레이드된 콘텐츠 또는 업그레이드된 그래픽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오디오출력부(380)는 컨트롤러(3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3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9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36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7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3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3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0)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업그레이드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탈부착하는 형태로서 카드(card) 형태도 가능하고 동글(dongle) 형태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업그레이드 장치를 동글(dongle, 410) 형태로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한 것이다. 동글 형태로 설계하여 장착하는 경우 탈부착이 간단하여 사용자는 편리한데, 업그레이드가 2회, 3회 등과 같이 그 횟수가 많아 질수록 그러한 편리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장착할 수 있어 미관상 차이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스마트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내장할 수 있으며,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컨트롤러(510)가 SoC 형태로 내장되어 있고, 업그레이드 장치(520)가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51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10)는 컴퓨터중앙처리장치(CPU), 디지털신호처리칩(DSP),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등을 포함하여 SoC 형태의 설계되고,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520)도 SoC 형태로 설계된다. 특히, 업그레이드 장치(520)를 SoC 형태 설계함으로써 업그레이드된 성능이나 새로운 규격 대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확장된 메모리 용량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화된 UX(User eXperience) 및 UI(User Interface) 지원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520)가 장착되고 나면, 컨트롤러(510)와 업그레이드 장치(520)가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프로토콜이 가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520)가 마스터가 되고, 컨트롤러(510)가 슬레이브가 되어, 상기 컨트롤러(510)는 업그레이드 장치(520)를 지원하는 역할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제어 권한은 업그레이드 장치(520)가 가지게 된다. 그에 따라, 기존에 컨트롤러(510)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업그레이드 장치(520)에서 수행하는 경우 기능이 중복되므로, 중복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컨트롤러(510)에서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컨트롤러(510)는 방송 수신 기능, LAN, FRC 등은 그래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 가동되면, 먼저 서로의 SoC 정보를 공유하게 되고, 각각의 디바이스 맵핑 정보(Device Mapper) 및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Virtual Device Driver) 정보 등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두 SoC간 명령(command) 및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모듈을 구비하여 컨트롤러(510)와 업그레이드 장치(520)를 연결할 수 있다. PCI를 사용하면 새로운 PCI 카드들과 현재 가장 일반적인 확장카드의 종류인 ISA 확장 카드를 함께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CI 중 PCIe2.08lane 또는 PCIe3.04-lane를 이용하면 더욱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 가동되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USB 또는 HDMI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1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에 대하여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 USB를 통하여 업그레이드 장치(520)로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업그레이드된 콘텐츠는 HDMI를 통해 컨트롤러(51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 가동되면, 디스플레이부(370)는 업그레이드 장치(520)로부터 그래픽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데, LVDS를 이용하면 셋톱 단말기와 입출력 단자(composite, component, DVI 등)가 내부에서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 Ethernet LAN, HDMI 등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이 가동되더라도, 주된 제어 권한이 업그레이드 장치(520)에 있는 것일 뿐,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업그레이드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업그레이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교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10)는 입출력을 위한 잭(Jack I/O)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잭 레이아웃(Jack Layout)을 유지하고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할 수 있고, SoC의 라인 업(line-up)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는 최신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630)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 630)는 비디오 디모듈레이터, 트랜스코더, CPU, GPU, DVR 엔진, 오디오 DSP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업그레이드 장치 내의 하드웨어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펌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Flash ROM, DDR 등의 저장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장치의 출하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는 펌웨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출하되며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630)는 업그레이드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펌웨어가 업데이트된 상태로 출시된다.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 630) 간의 인터페이스(640a)를 규격화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 630)와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인터페이스(640b)를 규격화해서 SoC에 포함하면 모듈화된 SoC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생성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는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630)이 출시되면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630)로 대체되고 폐기되어 더 이상 쓸 수 없다. 따라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이전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620)도 계속하여 활용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7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710)는 입출력을 위한 잭(Jack I/O)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잭 레이아웃(Jack Layout)을 유지하고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할 수 있고, SoC의 라인 업(line-up)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는 비디오 디모듈레이터, 트랜스코더, CPU, GPU, DVR 엔진, 오디오 DSP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메모리(Flash, DD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더넷 연결 단자 및 USB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은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30)로 대체될 수 있다. 다만, 제 1 실시예와 달리,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30)로 대체하되, 기존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는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30)로의 전송량을 최적화한다.
그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7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간 인터페이스(750a)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와 디스플레이 패널간 인터페이스(750b)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와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30)는 USB를 통해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경로(760a)로 업그레이드된 데이터를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7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 730) 간의 인터페이스를 규격화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720, 730)와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인터페이스를 규격화해서 SoC에 포함하면 모듈화된 SoC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810)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820)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810)는 입출력을 위한 잭(Jack I/O)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잭 레이아웃(Jack Layout)을 유지하고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할 수 있고, SoC의 라인 업(line-up)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20)는 비디오 디모듈레이터, 트랜스코더, CPU, GPU, DVR 엔진, 오디오 DSP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20)는 다음 버전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830)로 대체될 수 있다. 다만,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840)를 칩(chip) 형태로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업그레이드된 콘텐츠는 분리된 별도의 칩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840)는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 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처리부(840)를 통해 프레임 비율을 조절하거나 3D 영상에 대한 처리 등 디스플레이될 데이터에 대한 별도 처리를 할 수 있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820,830)에서 처리해야 하는 기능이 줄어들어 좀 더 효율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업그레이드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900)의 디스플레이부는 업그레이드 장치 정보, 업그레이드 진행 과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업그레이드된 내역, 업그레이드 가능한 기능 정보 및 업그레이드된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그레이드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업그레이드한 기능을 소개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항목에 대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이용하여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리모트 컨트롤러(1000)에 대응하는 포인터(100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7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상하, 좌우(도 10의 (b)), 앞뒤(도 10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된 포인터(1001)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1001)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외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된 포인터(100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10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10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디스플레이부(37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10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7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디스플레이부(37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10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7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1000)를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스마트 기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010), 사용자입력부(1020), 센서부(1030), 출력부(1040), 저장부(1050), 전원공급부(1060), 제어부(1070)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부(10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0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01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로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01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0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0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101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0)로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0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020)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000)로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30)는 자이로센서(1031) 또는 가속도센서(10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센서(1031)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033)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040)는 사용자입력부(10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02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1040)는 사용자입력부(102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10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0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0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0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47)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05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리모트 컨트롤러(1000)가 디스플레이 장치(1100)와 RF 모듈(10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000)와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원공급부(106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06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06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070)는 사용자입력부(10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030)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10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신호를 수신한다(S1200).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신호는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되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에서 인식하여 컨트롤러로 장착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Plug & Play 방식에 따라 컨트롤러에서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가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인지 판단한다(S1210). 기존에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가 있다면 메모리에 버전 및 업그레이드 장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최신 버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가 없더라도 기본 값으로 셋팅하여 메모리에 저장해둠으로써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알 수 있다.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로 확인되면, 업그레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한다(S1220).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펌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때,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USB 또는 HDMI를 통해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스마트 기능을 업그레이드하여 항상 최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업그레이드가 되면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S1230), 버전 정보 이외에 업그레이드 장치 정보 및 업그레이드된 기능 정보 등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가 완료되거나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업그레이드 장치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S1240). 업그레이드 장치를 마스터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트롤러를 슬레이브로 설정하여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업그레이드 장치를 지원하는 역할만 수행한다.
업그레이드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된 이후 업그레이드를 위해 최신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사양이 좋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제어 권한을 업그레이드 장치에 부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S1250),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SoC 형태 또는 동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업그레이드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장착 신호를 수신한다(S1300). 장착 신호가 수신되면,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된 경우인지 판단하여,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라면 업그레이드 장치를 마스터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트롤러를 슬레이브로 설정하여,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을 가동한다.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은 업그레이드 장치를 마스터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트롤러를 슬레이브로 설정할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와 컨트롤러간 데이터 전송 방법. 수행 기능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을 미리 정의해 둔 것으로 통신 프로토콜, 송수신 데이터 등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마스터가 된 업그레이드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S1320).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200 업그레이드 장치 300 디스플레이 장치
310 방송수신부 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340 메모리
350 유저 인터페이스 360 컨트롤러
370 디스플레이부 380 오디오출력부
390 전원공급부

Claims (19)

  1.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와 상기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최신 버전의 업그레이드 장치가 장착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를 마스터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트롤러를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마트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내장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SoC(System on Chip) 형태 또는 동글(dongle)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 및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의 버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의 장착 여부 및 버전을 체크하여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 제어 권한을 부여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와 상기 컨트롤러 간에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을 가동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 가동 중인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프로토콜 가동 중인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로부터 그래픽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스마트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내장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는,
    SoC(System on Chip) 형태 또는 동글(dongle)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수신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 정보, 업그레이드 진행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업그레이드된 내역 및 업그레이드 가능한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의 어느 한 항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34064A 2012-04-02 2012-04-02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1927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64A KR101927321B1 (ko) 2012-04-02 2012-04-02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0120006285 EP2648416A3 (en) 2012-04-02 2012-09-06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upgrading the same
US13/625,383 US8972965B2 (en) 2012-04-02 2012-09-24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upgrading the same
CN201210367371.4A CN103369404B (zh) 2012-04-02 2012-09-28 显示设备以及控制和升级显示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64A KR101927321B1 (ko) 2012-04-02 2012-04-02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852A true KR20130111852A (ko) 2013-10-11
KR101927321B1 KR101927321B1 (ko) 2018-12-10

Family

ID=4685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064A Active KR101927321B1 (ko) 2012-04-02 2012-04-02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72965B2 (ko)
EP (1) EP2648416A3 (ko)
KR (1) KR101927321B1 (ko)
CN (1) CN1033694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979A (ko) * 2017-02-02 2018-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업그레이드 가능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20033511A (ko) * 2019-07-15 2022-03-16 케어퓨전 303, 인크. 임상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의료용 디바이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17B1 (ko) 2011-11-17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 및 방법
EP2624249B1 (en) * 2012-01-31 2017-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3618865A (zh) * 2013-11-18 2014-03-0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芯智能升级系统及方法
GB2598255B (en) * 2016-02-17 2022-07-27 V Nova Int Ltd Physical adapter, signal processing equipment,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CN105975284A (zh) * 2016-05-31 2016-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软件版本自动检查装置及检查方法
US11399213B2 (en) 2018-03-23 2022-07-26 Roku, Inc. Media device upgrading system
US11190842B2 (en) 2018-03-23 2021-11-30 Roku, Inc. USB-based media device upgrading system
US11838589B2 (en) 2019-03-19 2023-12-05 Roku, Inc. Port-connected television upgrader device
EP3641320A1 (en) * 2018-10-16 2020-04-22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a player
CN111435997A (zh) * 2019-01-11 2020-07-21 深圳市茁壮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开机视频广告的方法、装置及视频终端
WO2021172628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을 위한 모듈라 제어 장치
US12067384B2 (en) * 2021-05-28 2024-08-20 Vizio, Inc. Consumer device firmware updating via HDMI
CN114500525B (zh) * 2021-12-24 2024-04-26 天翼云科技有限公司 分布式系统中节点更新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289A (ja) * 1997-08-04 1999-02-26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の拡張機能増強方法
US6154633A (en) * 1997-10-22 2000-11-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features and functions of a set top box in the field
US6470496B1 (en) * 1998-08-03 2002-10-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program downloading method for replacing control program i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ith new control program sent from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KR100866785B1 (ko) * 2001-08-14 2008-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라 시스템의 모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WO2004051390A2 (fr) * 2002-12-02 2004-06-17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susceptible d'utiliser un logiciel sécurisé interne ou externe et procédé d'utilisation correspondant
US20050240919A1 (en) * 2004-04-27 2005-10-27 Kim Kyoug I Firmware update using memory card reader
KR20060070112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otg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업데이트 방법
TW200634717A (en) * 2005-03-24 2006-10-01 Coretronic Corp Display with the capability of firmware upgrade
US20070261046A1 (en) * 2006-05-04 2007-11-08 Syntax Brillian Corp. Television and display device with a USB port for updating firmware
KR101079585B1 (ko) * 2006-08-09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프로그램갱신방법
TW200920134A (en) * 2007-10-16 2009-05-01 Qisda Corp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of a display apparatus
PT2160014E (pt) * 2008-08-27 2011-08-25 Novabase Digital Tv Technologies Gmbh Descodificador de televisão digital modul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979A (ko) * 2017-02-02 2018-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업그레이드 가능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20033511A (ko) * 2019-07-15 2022-03-16 케어퓨전 303, 인크. 임상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의료용 디바이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2002576B2 (en) 2019-07-15 2024-06-04 Carefusion 303,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firmware of medical devices while minimizing clinical imp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69404A (zh) 2013-10-23
KR101927321B1 (ko) 2018-12-10
US8972965B2 (en) 2015-03-03
EP2648416A2 (en) 2013-10-09
US20130258204A1 (en) 2013-10-03
CN103369404B (zh) 2017-04-12
EP2648416A3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321B1 (ko)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007526B2 (en) Upgrade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11851A (ko) 스마트 기능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567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user interface via a secondary device
US201701809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30169655A1 (en) Electronic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and data input/output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01425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9563596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including electronic apparatus and re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97545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94302A1 (en)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2440157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2620867A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222048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7775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518568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601652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0211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30076688A (ko) 전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처리방법
KR20130116478A (ko) 싱크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500330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