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688A -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8688A KR20130108688A KR1020120030309A KR20120030309A KR20130108688A KR 20130108688 A KR20130108688 A KR 20130108688A KR 1020120030309 A KR1020120030309 A KR 1020120030309A KR 20120030309 A KR20120030309 A KR 20120030309A KR 20130108688 A KR20130108688 A KR 20130108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battery cell
- tabs
- battery
- electrode tab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에는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탭(전극 탭)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전극 탭들이 적층되어 있는 일측 단부에는 전극 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리드가 위치되어 있으며,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서, 전극리드가 형상 변형에 의해 전극 탭 내로 도입된 물리적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과, 이러한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having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embedded in a housing portion of a battery case, (Electrode tabs) which are not coated with active material are protruded from the respective electrode plat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are locat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 is physically joined to the electrode tab by the shape deformation at the electrically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lead,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such a battery cell.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The secondary battery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EV)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which are proposed as solutions for the air pollution of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In a small mobile device, one or two or more battery cells are used per device, while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such as an automobile is used as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due to the necessity of a large-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Since the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a prismatic battery, a pouch-shaped battery, and the like, which can be charg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ratio, are mainly used as the battery cells of the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s. In particular, a pouch-shaped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small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shape deformation.
한편, 중대형 전지팩에 장착되는 전지모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높은 밀집도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인접한 전지셀들의 전극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조된다.Meanwhile, a battery module mounted on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with a high density, and is manufactur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de leads of adjacent battery cells.
도 1에는 대표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파우치형 전지셀(10)은 두 개의 전극리드(2, 3)가 서로 대향하여 전지 본체(1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장부재(14)는 상하 2 단위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한 상태로 상호 접촉 부위인 양측면(14b)과 상단부 및 하단부(14a, 14c)를 부착시킴으로써 전지셀(10)이 만들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presentative pouch-type battery cell. The pouch-
외장부재(14)는 수지층/금속박층/수지층의 라미네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접하는 양측면(14b)과 상단부 및 하단부(14a, 14c)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을 상호 융착시킴으로써 부착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The
양측면(14b)은 상하 외장부재(14)의 동일한 수지층이 직접 접하므로 용융에 의해 균일한 밀봉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단부(14a)와 하단부(14c)에는 전극리드(2, 3)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리드(2, 3)의 두께 및 외장부재(14)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리드(2, 3)와의 사이에 필름상의 실링부재(16)를 개재한 상태에서 열융착시킨다.Since both
상기와 같은 전지셀을 다수 개 사용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이들의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전지셀의 전극리드를 용접하여 상호 연결하거나 버스 바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such battery cells are used to construct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s are welded to each other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bus bars or the like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도 2에는 파우치형 전지의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uch-shaped battery.
도 2를 참조하면, 전극 활물질이 양면에 각각 도포되어 있는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1)는 다수의 전극판들로 구성되어 외장부재(14)에 수납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판들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17)은 하나의 전극리드(2)에 초음파 용접되어 전극 탭-리드 결합부(18)를 형성한다.2, an
그러나, 전지셀의 용량 증가 등을 이유로 전지판들의 적층수를 늘릴 경우,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두께 및 폭이 커져서 용접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취약한 전기적 결합 부위를 초래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stacked battery cells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ells,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electrode leads and the electrode tabs are increased, so that a large amount of energy is required for welding.
또한, 중대형 전지모듈은 전기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바, 이러한 디바이스에 내장된 전지셀들은 외부충격, 진동 등에 쉽게 노출되므로 높은 안전성을 가지는 구조가 요구된다. 특히, 전지셀의 전극리드와 전극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위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은 경우, 계속적으로 인가되는 진동 등이나 충격에 의해 용접 부위가 분리되어 성능 및 안전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the battery cells built in such a device are easily exposed to external shocks and vibrations, and thus a structure having high safety is required.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 and the electrode tab are not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e welded portion may be separated due to vibration or shock applied continuously, so that performance and safety may be significantly deteriorated.
따라서, 상기 초음파 용접 공정 부가하여 전극리드와 전극 탭 간의 높은 결합력을 이룰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achieving a high bo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in the ultrasonic weld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연결부위에 초음파 용접 공정 전, 가압에 의해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전기적 연결 부위를 물리적으로 결합한 후, 초음파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전극리드와 전극 탭 간의 높은 결합력을 발휘하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More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which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a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ap, And a battery pack that exhibits a high coupl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even when an external force due to vibration is generated,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에는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탭(전극 탭)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전극 탭들이 적층되어 있는 일측 단부에는 전극 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리드가 위치되어 있으며,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서, 전극리드가 형상 변형에 의해 전극 탭 내로 도입된 물리적 결합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cell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Electrode tabs) protruding from the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are disposed at one side end of the electrode tabs where the electrode tabs are stacked, And the leads ar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by shape deformation.
따라서, 초음파 용접 전에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형상을 변형시켜 그 결합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상호간의 높은 전기적 결합력을 이룰 수 있다.Therefore, prior to the ultrasonic welding, the shapes of the electrode leads and the electrode taps are deformed by physical pressing to maximize the bonding force, thereby achieving a high electrical coupling force between them.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극리드는 전기적 연결 부위에서의 전극 탭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30 내지 300% 깊이로 전극 탭 내부로 도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물리적 결합을 위한 형상 변형 과정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전극리드가 전극 탭들 내로 도입되는 깊이에 대응하여 전극 탭들도 물리적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게 되어 전극 탭의 변형도 초래되므로, 상기와 같이 전극리드의 도입 깊이는 전극 탭의 전체 두께보다 커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깊이는 50 내지 250%일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electrode lead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tab at a depth of 30 to 300% based 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electrode tab at the electrical connection site. 5, the electrode tabs are also pushed do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ysical force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depth at which the electrode lead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tabs, resulting in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tabs. The depth of introduction of the electrode leads may be larger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electrode tabs. A more preferred depth may be 50 to 250%.
상기 형상 변형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프레싱 핀이 장착되어 있는 제 1 다이와, 상기 프레싱 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형상의 핀 수용부가 각인되어 있는 제 2 다이 사이에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싱 핀을 가압하여 접합 포인트를 형성하고, 대면하는 부위가 평평한 한 쌍의 제 3 다이들 사이에서 상기 접합 포인트를 가압하여 압착한 후, 상기 접합 포인트를 초음파 용접하여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shape deformation can be achieved in various ways, and in one specific example, a first die on which a pressing pin is mounted, and a second die on which an inner surface fin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ressing pin is engraved. The pressing points are formed by pressing the pressing pins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taps and the electrode leads are positioned, and after the bonding points are pressed and pressed between a pair of third dies where the facing portions are flat, And then ultrasonic welding may be performed.
이러한 초음파 융착에 의한 결합은, 대략 40 KHz 정도의 높은 초음파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진동을 인가하여,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 사이의 경계면에서 혼(Horn)과 엔빌(Anvil)의 작동에 따라 진동에너지가 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급속히 용접이 이루어지는 원리로 진행된다.The coupling by the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by apply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generated by a high ultrasonic wave of about 40 KHz to generate vibration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orn and the anvil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de taps and the electrode lead And the welding is performed rapidly by converting into heat energy by friction.
상기와 같은 프레싱 핀은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 1 다이의 중심축 상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싱 핀의 외경은 1.0 mm 내지 2.0 mm 이고, 상기 핀 수용부의 내경은 1.5 mm 내지 2.5 mm 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in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die so as to be independently oper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Preferably,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pin is 1.0 mm to 2.0 mm, The inner diameter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may be 1.5 mm to 2.5 mm.
또한, 상기 전기적 연결부위의 평균 두께는 전극리드와 전극 탭들의 두께 총합을 기준으로 40 내지 90% 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적 연결부위의 평균 두께가 40% 이하이면 소망하는 전극단자와 전극 탭의 파단을 방지하기가 어렵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위의 두께가 90% 초과이면 전극단자와 전극 탭의 용접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may be 40 to 9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electrode leads and the electrode tabs. Specifically, whe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electrically connecting portion is 40% or less,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electrode tab from being broken. When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ally connecting portion is more than 90% Which is undesirable.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접합 포인트는 전극리드 1개 당 1 내지 10개의 개수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bonding points may be formed in a number of 1 to 10 per electrode lead.
따라서, 접합 포인트를 용접 공정 환경 및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조건에 따라 적당한 개수로 구성함으로써 전극단자와 전극 탭의 파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breakage of the electrode terminals and the electrode tabs by forming junction points in an appropriate number in accordance with the welding process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s of the electrode leads and the electrode taps.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스택형, 또는 풀셀 또는 바이셀 등의 단위셀들을 분리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극판들을 분리막이 개제된 상태로 적층한 스택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 등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of various shapes, and may be of a stacked or folded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such as a pull cell or a bi-cell are wound in a separate film. That is, it may be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laminated with a separator formed thereon, or a stack / folding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various types, and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며 한정된 장착공간을 가지며 잦은 진동과 강한 충격 등에 노출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팩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as a unit cell and a device us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A preferable example of such a device is a battery pack us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ower storage device having a mounting space and being exposed to frequent vibration and strong impac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attery packs used as power sources for automobiles can be manufactur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a desired output and capacity.
상기와 같은 중대형 전지팩과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and the electric vehicle, the hybrid electric vehicle, and th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as the power source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연결부위에 초음파 용접 공정 전, 특정한 물리적 형상 변형에 의해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전기적 연결 부위를 결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전극리드와 전극 탭 간의 우수한 전기적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joining the electrode lead to the electrode tab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by the specific physical deformation before the ultrasonic welding process ,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electric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due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표적인 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다이와 펀치의 측면도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형상 변형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제 2 다이와 제 2 펀치의 측면도 및 도 5 의 전극리드와 전극 탭의 다져진 형상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이 수행된 전극리드와 전극 탭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융착된 형상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전지팩 공정 전/후의 인장강도 실험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 공정 전/후의 인장강도 실험 그래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representative pouch type battery;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a typical representative battery modu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a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one exemplary die and punc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filed side view of an electrode lead and electrode tab formed using the same;
Figure 6 is a side view of one exemplary second die and second punc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de view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reinforced shape of the electrode tab of Figure 5;
7 is a side view of a shape of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ab welded by ultrasonic we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used by ultrasonic welding;
8 is a graph of a tensile strength test before / after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process;
9 is a graph of tensile strength test before / after the battery pack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a pouch-shaped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활물질이 양면에 각각 도포되어 있는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30)는 다수의 전극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판들에서 돌출된 전극 탭들(40)이 전극리드(60) 상에 하나 이상의 접합 포인트(400)가 형성되고, 접합 포인트(200)의 형성 과정에서 전극 탭들(40)이 전극리드(60)와 상호 부착되어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의 전기적 연결부(90)를 형성한다.3 and 4, an
접합 포인트(200)는 제 1 다이(참조:도 5 및 6) 및 제 2 다이(참조:도 5 및 6)에 의해 전극리드(60)가 전극 탭들(40)로 도입되어 형성되는 도입부(참조 :도 5 및 6)에 의해 만들어진다. The
이러한 구조의 접합 포인트(200)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한편, 전극리드(60)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리드(60, 12)의 두께 및 전지케이스(40)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리드(60)와의 사이에 필름상의 실링부재(80)를 개재한 상태에서 열융착시킨다.Since the electrode leads 60 are protruded outwardly, the electrode leads 60 and the electrode leads 60 ar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leads 60 and the
도 5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다이와 펀치의 측면도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리드와 전극 탭들의 형상 변형된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제 2 다이와 제 2 펀치의 측면도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리드와 전극 탭들의 다져진 형상의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이 수행된 전극리드와 전극 탭들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융착된 형상의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5 is a side view of one exemplary die and punc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chematically shows a modified side view of an electrode lead and electrode tabs formed therefrom. Figure 6 shows one example A side view of the second die and the second punch and a side view of the electrode lead formed by using the second die and the second punch are schematically shown. A side view of a shape in which leads and electrode tabs are welded by ultrasonic welding is schematically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셀(10)의 판상형 전극리드(60)가 전극 탭들(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극리드(60)와 전극 탭들(40)의 전기적 연결부(90)에서, 전극리드(60)가 형상 변형에 의해 전극 탭들(40) 내로 도입된 물리적 결합을 이루고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plate-like electrode leads 60 of the
이러한 형상 변화는, 외경이 약 6.0 mm의 제 1 다이(101)에 장착되며 외경(W)이 약 3.0 mm, 프레싱 핀(100)에 대응하는 약 2.0 mm의 내경(w)으로 내면 형상이 각인되어 있는 핀 수용부(210) 상에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의 전극리드(60)와 전극 탭들(40)을 위치시킨 후, 프레싱 핀(100)를 사용하여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며, 그것에 의해 가압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 구조에 의해, 전기적 연결부(90)의 일측에 형성된 접합 포인트(200)는 프레싱 핀(100)이 수용되도록 내경(W) 및 약 2.5 mm 깊이(H)를 갖는 도입부(102)가 형성된다. This shape change was observed when the inner diameter was worn on the
구체적으로, 도입부(102)는 약 0.2 mm 두께의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리드(60)는 전체 약 0.4 mm 두께의 전극 탭들(40)의 두께를 기준으로 약 130% 깊이로 전극 탭들(40) 내부로 도입된다. 도입부(102)의 형성 과정에서 전극리드(60)가 전극 탭들(40) 내로 도입되는 깊이에 대응하여 전극 탭들(40)도 물리적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게 되므로, 전극리드(60)가 전극 탭들(40)의 두께를 기준으로 약 130%까지 도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ad-in
이로 인해, 전극리드(60)가 형상 변형에 의해 전극 탭들(40) 내로 도입되어 접합 포인트(200)가 형성됨으로써, 전극리드(60)와 전극 탭들(40)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진다.As a result, the
이후, 상면이 수평인 제 3 다이들(110, 210)을 사용하여 전극리드(60)와 전극 탭들(40)의 가압된 부위를 2차 가압하여, 프레싱 핀(100)의 가압에 의해 형성된 도입부(102) 및 하향 돌출된 부위가 다져진 형상을 형성되고, 이러한 다져진 부위에는 3차적으로 혼(300)과 엔빌(500)의 작동으로 초음파 용접이 수행된다. 즉, 전극리드(60)의 하향 돌출된 부위 중 양측 단부는 단턱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3 다이들(110, 210)에 의해 단턱진 부위가 전극 탭(4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모양으로 형성된 후에 초음파 용접으로 융착된다.Thereafter, the pressurized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s 60 and the
따라서, 프레싱 핀(100)이 장착된 제 1 다이(101)와 제 2 다이(400)의 펀치 동작 및 제 3 다이들(110, 210)의 가압에 의해 전극리드(60)와 전극 탭들(40)이 가압된 후, 초음파 용접이 수행되므로 전기적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unching operation of the
도 8에는 종래의 전지팩 공정 전/후의 인장강도 실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 공정 전/후의 인장강도 실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FIG. 8 shows a tensile strength test graph before and after a conventional battery pack process, and FIG. 9 shows a tensile strength test graph before and after a battery pack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종래에 전극리드(2, 3)와 전극 탭들(17)에 일반적인 초음파 용접을 수행 한 후, 전지팩 공정을 수행 한 경우에 용접 부위의 평균 데이터 값에 따른 밀도가 약 0.035 g/㎤ 에서 0.023 g/㎤로 크게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 to 7, conventional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leads 2 and 3 and the electrode taps 17, and then, when the battery pack process is per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density depending on the value is greatly reduced from about 0.035 g /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결합을 유도하는 펀칭 공정이 수행되고 초음파 공정이 수행 된 경우, 용접 부위의 평균 데이터 값에 따른 밀도가 약 0.054 g/㎤ 에서 0.049 g/㎤로 종래 방식에 비해 하락 폭이 거의 없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락 폭은 표준 편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unching process to induce physical bo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nd the ultrasonic process is performed,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average data value of the welded portion is reduced from about 0.054 g / cm3 to 0.049 g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lmost no width. It can be seen from the graph that this drop width is the same in standard deviation.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12)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에는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탭(전극 탭)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전극 탭들이 적층되어 있는 일측 단부에는 전극 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리드가 위치되어 있으며,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의 전기적 연결 부위에서, 전극리드가 형상 변형에 의해 전극 탭들 내로 도입된 물리적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A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embedded in a housing portion of a battery case,
A tab (electrode tab) to which no active material is applied is protruded from each electrode plate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lea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tabs on which the electrode tabs are stacked ,
Wherein the electrode leads are brought into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ctrode tabs by shape deformation at a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프레싱 핀이 장착되어 있는 제 1 다이와, 상기 프레싱 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형상의 핀 수용부가 각인되어 있는 제 2 다이 사이에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싱 핀을 가압하여 접합 포인트를 형성하고,
대면하는 부위가 평평한 한 쌍의 제 3 다이들 사이에서 상기 접합 포인트를 가압하여 압착한 후,
상기 접합 포인트를 초음파 용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essing the pressing pin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e on which the pressing pin is mounted and the second die o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in is engraved, Point,
The bonding points are pressed and squeezed between a pair of third dies which face portions are flat,
And the joint point is formed by ultrasonic we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0309A KR101447064B1 (en) | 2012-03-26 | 2012-03-26 |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0309A KR101447064B1 (en) | 2012-03-26 | 2012-03-26 |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8688A true KR20130108688A (en) | 2013-10-07 |
KR101447064B1 KR101447064B1 (en) | 2014-10-07 |
Family
ID=4963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0309A Active KR101447064B1 (en) | 2012-03-26 | 2012-03-26 |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706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99511A1 (en) | 2017-04-24 | 2018-11-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lead using conductive polymer |
KR102292159B1 (en) | 2017-04-24 | 2021-08-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Lead using Electric-Conductive Polymer |
KR102072619B1 (en) | 2017-04-24 | 2020-02-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icro-perforated Lead having Adhesion Properties |
KR102285645B1 (en) | 2017-04-24 | 2021-08-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witch Type CID |
KR102294996B1 (en) | 2017-05-30 | 2021-08-3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lectrode Lead using Electric-Conductive Tube |
KR102295034B1 (en) | 2017-05-30 | 2021-08-3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Lead Wing having External Force Properties |
KR101999529B1 (en) | 2017-07-06 | 2019-07-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Lead with Couple Notch |
KR20240030041A (en) | 2022-08-29 | 2024-03-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2766A (en) * | 1996-08-07 | 1998-02-24 | Konno Kogyosho:Kk | Cold pressure welding method for metal foil |
KR100906253B1 (en) * | 2006-05-01 | 2009-07-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having a fracture portion formed when the overcurrent is applied |
KR101254691B1 (en) * | 2010-08-17 | 2013-04-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electric cell with enhanced lead structure |
KR20120040447A (en) * | 2010-10-19 | 2012-04-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insulating properties |
-
2012
- 2012-03-26 KR KR1020120030309A patent/KR10144706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7064B1 (en) | 2014-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5250B1 (en) | Battery Module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1447064B1 (en) |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CN110692149B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 |
JP6103731B2 (en) | Newly structured bus ba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1509474B1 (en) |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 |
EP2988344B1 (en) | Battery module having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101478704B1 (en) |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JP2009541971A (en) | Battery cell electro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532216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Tap-Lead Joint Portion | |
KR101483425B1 (en) | Secondary Battery Having Novel Electrode Tap-Lead Joint Portion | |
JP2020518963A (en) |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lastic member applied to an electrode tab lead joint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JP5633032B2 (en) | Secondary battery | |
KR20210021871A (en) | Method of fabricating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electrode tab disconnectio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pack comprising the same | |
KR20140027775A (en) | Electrode lead of improved welding strength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JP5435268B2 (en) | Assembled battery | |
KR101302358B1 (en) |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1452230B1 (en) | Welding Device for Improved Weldability of Bus Bar | |
KR102167431B1 (en) |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 |
WO2021200738A1 (en) | Electrical storage module | |
KR101890014B1 (en) | Electrode lead and battery module for high capacity comprising the same | |
KR101471416B1 (en) | Battery Cell Assembly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 |
US20240283106A1 (en) | Batte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30116710A (en) | Batte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