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217A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6217A KR20130106217A KR1020120027952A KR20120027952A KR20130106217A KR 20130106217 A KR20130106217 A KR 20130106217A KR 1020120027952 A KR1020120027952 A KR 1020120027952A KR 20120027952 A KR20120027952 A KR 20120027952A KR 20130106217 A KR20130106217 A KR 201301062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ier
- block
- sub
- pixels
- right ey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능동 배리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제1 관찰 영역의 위치별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3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8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4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제2 관찰 영역의 위치별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제1 관찰 영역의 위치별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3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8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투과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관찰자가 제1 최외곽 부분에 위치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패널 어셈블리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야각에 따른 혼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도 16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관찰자가 제2 최외곽 부분에 위치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비교예에 따른 관찰자가 제1 최외곽 부분에 위치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패널 어셈블리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야각에 따른 혼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관찰자가 제1 최외곽 부분에 위치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패널 어셈블리에 따른 3차원 영상의 시야각에 따른 혼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도 22의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기초로 관찰자가 제2 최외곽 부분에 위치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비교예 | 실시예 | |
배리어 투과율 | 7.87 % | 3.94 % |
최적 시청 위치 White 혼선율 |
7.30 % | 3.79 % |
움직임 시청 위치 White 혼선율 |
17.97 % | 15.34 % |
250 : 표시 구동부 300 : 능동 배리어 패널
350 : 배리어 구동부 400 : 감시부
Claims (20)
- 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제3 서브 화소 및 제4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폭의 제1 배리어 전극과 상기 제1 폭과 다른 제2 폭의 제2 배리어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제1 폭의 제3 배리어 전극과 상기 제2 폭의 제4 배리어 전극이 배치되는 능동 배리어 패널에 개구부와 배리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배리어 전극들에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들을 인가하여 상기 배리어 전극들이 형성된 영역을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로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상기 서브 화소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서브 화소들의 화소 주기의 1/2 또는 3/2 만큼 상기 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최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상기 최외곽 부분과 인접한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으로 나누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다른 순서로 제2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에 포함된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블록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블록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최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상기 최외곽 부분과 인접한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과 인접한 제3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과 인접한 제4 블록으로 나누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동일한 순서로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다른 순서로 상기 제3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다른 순서로 상기 제4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은 상기 제3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동일한 순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다른 구동 신호들을 상기 제2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동일한 구동 신호들을 상기 제3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다른 구동 신호들을 상기 제4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은 상기 제2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3 블록들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및 제4 블록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 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제3 서브 화소 및 제4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폭의 제1 배리어 전극과 상기 제1 폭과 다른 제2 폭의 제2 배리어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제1 폭의 제3 배리어 전극과 상기 제2 폭의 제4 배리어 전극이 배치되는 능동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폭 중 큰 폭은 작은 폭의 3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배리어 패널은
상기 제1 배리어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라인
상기 제2 배리어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라인
상기 제3 배리어 전극과 연결된 제3 전극 라인 및
상기 제4 배리어 전극과 연결된 제4 전극 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라인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배리어 전극들의 제1 단부들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전극 라인들은 상기 제3 및 제4 배리어 전극들의 제2 단부들과 인접한 영역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부들과 상기 제2 단부들을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행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서브 화소들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표시 구동부 및
상기 능동 배리어 패널에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배리어 전극이 형성된 영역을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 전극을 구동하는 배리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관찰자의 위치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서브 화소들의 화소 주기의 1/2 또는 3/2 만큼 상기 행 방향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최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상기 최외곽 부분과 인접한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으로 나누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다른 순서로 제2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제1 블록에 포함된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블록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블록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블록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의 위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최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상기 최외곽 부분과 인접한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 상기 제2 블록과 인접한 제3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과 인접한 제4 블록으로 나누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동일한 순서로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다른 순서로 상기 제3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과 다른 순서로 상기 제4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상기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구동부는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다른 구동 신호들을 상기 제2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동일한 구동 신호들을 상기 제3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된 구동 신호들과 다른 구동 신호들을 상기 제4 블록의 제1 내지 제4 배리어 전극들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및 제3 블록들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및 제4 블록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배리어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7952A KR20130106217A (ko) | 2012-03-19 | 2012-03-19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US13/571,474 US9338443B2 (en) | 2012-03-19 | 2012-08-10 | Method of displaying a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a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7952A KR20130106217A (ko) | 2012-03-19 | 2012-03-19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6217A true KR20130106217A (ko) | 2013-09-27 |
Family
ID=4915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7952A Ceased KR20130106217A (ko) | 2012-03-19 | 2012-03-19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338443B2 (ko) |
KR (1) | KR2013010621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4532A (ko) * | 2012-10-29 | 2014-05-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능동 배리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CN103018996A (zh) * | 2012-11-27 | 2013-04-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
CN103033995B (zh) * | 2012-12-14 | 2015-01-2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模组及显示装置 |
JP5969699B2 (ja) * | 2013-05-09 | 2016-08-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立体表示装置 |
WO2015049929A1 (ja) * | 2013-10-01 | 2015-04-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立体表示装置 |
WO2015059996A1 (ja) * | 2013-10-24 | 2015-04-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立体表示装置 |
JP6411257B2 (ja) * | 2015-03-19 | 2018-10-24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US11307427B2 (en) | 2018-06-26 | 2022-04-19 | Kyocera Corporation |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moving body, and image display method |
CN112925110B (zh) * | 2019-12-06 | 2022-09-27 | 驻景(广州)科技有限公司 | 基于光出射受限像素块-孔径对的三维显示模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8493A (ko) * | 2004-04-07 | 2005-10-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
JP2007293270A (ja) * | 2006-02-07 | 2007-11-08 | Sharp Corp | 空間光変調器および表示装置 |
KR20110033063A (ko) * | 2009-09-24 | 2011-03-30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표시장치 및 화상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20156A (en) * | 1996-12-07 | 1998-06-10 | Sharp Kk | Directional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a mask for a directional display |
EP0829744B1 (en) * | 1996-09-12 | 2005-03-23 | Sharp Kabushiki Kaisha | Parallax barrier and display |
US6055103A (en) * | 1997-06-28 | 2000-04-25 | Sharp Kabushiki Kaisha |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
GB2336963A (en) * | 1998-05-02 | 1999-11-03 | Sharp Kk | Controller for three dimensional display and method of reducing crosstalk |
GB2351866A (en) * | 1999-07-07 | 2001-01-10 | Sharp Kk | Stereoscopic display |
GB0116788D0 (en) * | 2001-07-10 | 2001-08-29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Colou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GB0317714D0 (en) * | 2003-07-29 | 2003-09-03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GB2404991A (en) * | 2003-08-09 | 2005-02-16 | Sharp Kk | LCD device having at least one viewing window |
DE10340089B4 (de) * | 2003-08-30 | 2005-12-22 | Seereal Technologies Gmbh | Sweet-Spot-Beamsplitter zur Bildtrennung |
JP4202991B2 (ja) * | 2004-09-29 | 2008-12-24 | 株式会社東芝 | 立体画像用データの記録方法及び表示再生方法 |
US7773849B2 (en) * | 2004-12-14 | 2010-08-10 | Oms Displays Ltd. |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 resizing and backlighting |
KR101263667B1 (ko) * | 2005-03-17 | 2013-05-2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자동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장치를 위한 색 필터 |
KR20070023849A (ko) | 2005-08-25 | 2007-03-02 | (주)엔디스 | 광시야각 입체 영상 표시장치 |
KR100959103B1 (ko) * | 2005-08-25 | 2010-05-25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KR100922355B1 (ko) | 2008-03-07 | 2009-10-21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전자 영상 기기 |
JP5667752B2 (ja) * | 2009-08-20 | 2015-02-12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立体映像表示装置 |
TWI391738B (zh) | 2010-01-08 | 2013-04-01 | Unique Instr Co Ltd | A device for multifunctional liquid crystal parallax gratings |
US20130077154A1 (en) * | 2011-09-23 | 2013-03-28 | Milan Momcilo Popovich | Autostereoscopic display |
-
2012
- 2012-03-19 KR KR1020120027952A patent/KR20130106217A/ko not_active Ceased
- 2012-08-10 US US13/571,474 patent/US933844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8493A (ko) * | 2004-04-07 | 2005-10-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패럴랙스 베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
JP2007293270A (ja) * | 2006-02-07 | 2007-11-08 | Sharp Corp | 空間光変調器および表示装置 |
KR20110033063A (ko) * | 2009-09-24 | 2011-03-30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표시장치 및 화상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41922A1 (en) | 2013-09-19 |
US9338443B2 (en) | 2016-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06217A (ko)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
US9344708B2 (en) | Non-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KR102284841B1 (ko) |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 |
US9743072B2 (en) | Display device | |
US9508182B2 (en) | Method of displaying 3D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US20130271510A1 (en) |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
KR20120119982A (ko) |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
JP5621501B2 (ja) |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 |
US9995942B2 (en) | Auto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 |
KR20140033560A (ko) | 능동 배리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
US20150237334A1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US9185397B2 (en) |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panel having opening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9091858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using the same | |
US10021375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JP6411257B2 (ja) |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5621500B2 (ja) |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 |
KR102233116B1 (ko) |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 |
US9549170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 |
GB2458340A (en) |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improved viewing windows | |
KR20140146486A (ko) | 복수 시청자용 무안경 입체 표시 장치 | |
US20140118332A1 (en) | Method of driving active barrier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US20140146023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e same | |
KR101957148B1 (ko) | 3차원 영상 표시장치 | |
KR20110082228A (ko) |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
KR102302455B1 (ko) | 배리어 패널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