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06150A -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 Google Patents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150A
KR20130106150A KR1020120027822A KR20120027822A KR20130106150A KR 20130106150 A KR20130106150 A KR 20130106150A KR 1020120027822 A KR1020120027822 A KR 1020120027822A KR 20120027822 A KR20120027822 A KR 20120027822A KR 20130106150 A KR20130106150 A KR 2013010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vibration
pad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텍
Priority to KR102012002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150A/ko
Publication of KR2013010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프에 흡판을 형성하고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피부 마사지 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흡판의 흡입효과로 인하여 피하에 음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결국 피하층의 노폐물을 흡입하여 피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는 진동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퍼프 패드는, 퍼프 프레임에 결착되는 탄성재질의 탄성결착부(621); 및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접촉부(622)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부접촉부(622)에는 다수개의 흡판(6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A vibration massage device}
본 발명은, 흡판을 갖는 퍼프에 진동지지체로 진동을 가하는 상태로 안면이나 기타 피부를 마사지함으로써, 안면이나 피부에 마사지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흡판의 흡입효과로 인하여 피하층의 노폐물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는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프는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스펀지 폼으로 제작되며, 얼굴 등의 신체 부위를 화장할 때에 여기에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 파우더 등의 화장 용품(즉, 화장품)을 묻혀 안면에 토닥거림으로써 화장품을 안면에 골고루 도포하며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진동(바이브레이션) 기능을 갖는 소위 '진동 퍼프'가 제안되고 있는바, 일반적인 진동 퍼프는 외관 케이스와, 외관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받아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와, 퍼프 패드가 결합되며 그 진동 모터에서 발생하는 진동력을 제공받는 퍼프 패드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진동 퍼프의 경우, 진동 모터에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진동 모터가 구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그 진동력이 외관 케이스를 통해 퍼프 패드 결합부에 전달되면서 퍼프 패드가 화장 부위를 자동으로 타격함(두드림)으로써 인위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화장 부위에 화장품을 정착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피부에 토닥거림 효과를 주어 피부를 마사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진동 퍼프(10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3)의 전원에 의한 모터(5)의 구동으로서 진동력을 퍼프 패드(1)에 제공할 수 있도록, 배터리(3)와 모터(5)를 내장하는 외관 케이스(10)와, 모터(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40)와, 회전 샤프트(40)에 결합되는 패드 결합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관 케이스(10)는 이의 내부에 제1 공간(11) 및 제2 공간(12)을 구획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공간(11, 12)은 격벽(13)을 통하여 구획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외관 케이스(10)는 배터리(3)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21)와, 모터(5)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장착부(3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배터리 수납부(21)는 1차 전지 혹은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의 배터리(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공간(11) 및 이에 대응하는 외관 케이스(10)의 벽체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수납부(21)는 배터리(3)를 제1 공간(11)에 장착하기 위해 그 외관 케이스(10)의 다른 일측 단부에 제1 공간(11)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납부(21)에는 배터리(3)의 전원을 전기적인 부하에 공급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그 전기적인 부하와 배터리(3)의 전기적인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온―오프 스위치(1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부(31)는 모터(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공간(12) 및 이에 대응하는 외관 케이스(10)의 벽체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5)는 모터 장착부(31)의 장착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구동축(33)이 구비되는데, 그 구동축(33)은 외관 케이스(1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회전 샤프트(40)는 중심 부분이 모터(5)의 구동축(33)에 결합되는 회전축으로서, 구동축(33)에 연결되는 입력부(41)와, 그 입력부(41)와 일체로 형성되는 출력부(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부(41)는 모터(5)의 구동축(33)이 중심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회전 샤프트(40)의 메인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부(43)는 입력부(41)에 대하여 구동축(33)에 의한 회전 중심점(C)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출력부(43)는 진원의 형상을 가지나 구동축(33)에 의한 회전 중심점(C)이 중앙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그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는 편심 캠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 결합판(70)은 퍼프 패드(1)가 결합될 수 있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에 결합되고, 외관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된다.
상기 패드 결합판(70)은 중앙 부분에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7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는 패드 결합판(70)의 결합홀(71)에 끼워지며 모터(5)의 구동으로서 회전하는 미끄럼 베어링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드 결합판(70)은 언급한 바 있듯이 외관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되는 바, 패드 결합판(70)의 가장자리부와 외관 케이스(1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80)는 외관 케이스(10)에 대하여 패드 결합판(70)을 고정함은 물론 그 패드 결합판(70)에 외력이 가해지는 때 탄성 변형되면서 이때 발생하는 탄발력을 패드 결합판(70)으로 발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80)는 패드 결합판(70)의 가장자리부와 외관 케이스(10)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며 이들 패드 결합판(70)과 외관 케이스(10)에 연결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 결합판(70)의 가장자리부에는 탄성부재(8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홈(91)이 형성되고, 외관 케이스(10)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8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홈(9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80)는 일단이 제1 결합홈(91)에 끼워지며 빠지지 않게 고정되고, 타단 또한 제2 결합홈(92)에 끼워지며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양단에 결합 돌기(9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온―오프 스위치(17)의 스위칭 조작으로서 배터리(3)의 전원을 모터(5)에 인가함으로써 그 모터(5)의 구동축(33)을 회전시키고, 회전 샤프트(40)는 모터(5)의 구동축(33)이 회전함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40)의 출력부(43)는 구동축(33)에 의한 회전 중심점(C)이 편심되게 위치하고, 패드 결합판(70)의 결합홀(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패드 결합판(70)은 탄성부재(80)를 통해 외관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회전 샤프트(40)가 회전함으로 패드 결합판(70)이 상기 출력부(43)의 편심량에 상응하는 진폭으로서 미세한 좌우의 평면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즉, 상기 패드 결합판(70)은 회전 중심점(C)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출력부(43)가 결합홀(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부재(80)를 통해 외관 케이스(10)에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중심에서 출력부(43)의 편심량 만큼 원호를 따라서 평면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0)는 패드 결합판(70)의 요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패드 결합판(70)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바, 패드 결합판(70)의 최초의 위치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패드 결합판(70)이 평면(수평)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화장 부위의 굴곡 형상을 따라 퍼프 패드(1)를 수평 방향으로 직접 문질러 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퍼프 패드(1)는 물론 모든 종래의 퍼프 패드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기능에 맞추어져 있고, 마사지 기능은 부수적인 기능으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는 상태였다.
특허공개 제2011-0133750호
본 발명은, 퍼프에 흡판을 형성하고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피부 마사지 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흡판의 흡입효과로 인하여 피부층에 부(負)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결국 피하층의 노폐물을 흡입하여 피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는 진동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진동 마사지기의 퍼프 패드는, 퍼프 프레임에 결착되는 탄성재질의 탄성결착부(621); 및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접촉부(622)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부접촉부(622)에는 다수개의 흡판(6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판(622a)의 등쪽에는 바이브레이션 모터의 진동을 흡판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전달 돌기(622b)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흡판(622a)의 흡판과 흡판 사이의 피부접촉면에는, 흡판 및 피부접촉면을 흡입 후에 패드가 원 상태로 신속히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원상회복돌기(622c)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결착부(621)가 어느 정도 강성을 갖는 퍼프 프레임(623)에 결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진동 마사지는, 상기 퍼프 패드(620); 및 상기 퍼프 패드를 지지하며 퍼프 패드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지지체(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지지체는, 케이스(631)와, 상기 퍼프 패드가 결착되어지는 퍼프결착구(637)와, 상기 퍼프 결착구를 탄성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에 대해 지지하는 탄성부재(636)와, 상기 퍼프결착구의 일측에 부착된 바이브레이션 모터(6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프 결착구(637)는 측면이 실린더형인 캡형의 형상을 지녔고, 상기 퍼프 프레임의 결착부(624)가 퍼프 결착구(637)에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결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동 마사지기에 따르면, 퍼프 표면에 흡판이 형성되어 있어 피부 마사지 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피하층의 노폐물을 흡입하여 피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진동 퍼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선 절단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대응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일부 조립 및 분리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일부 조립상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퍼프 패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퍼프 패드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퍼프 패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일부 결합 사시도 및 일부 절단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일부 분리 사시 사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결합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 사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결합 상태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 퍼프에 대한 실시예들을 해당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진동 마사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진동 퍼프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2-11054호 및 제2012-11056호로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명세서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도 그대로 참조되어 진다.
먼저, 상기 본 발명자의 선출원 제2012-11054호의 진동 퍼프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선 절단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대응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일부 조립 및 분리사시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일부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1 실시예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는,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퍼프 패드(20)와, 퍼프 패드를 지지하며 퍼프 패드에 진동(바이브레이션)을 가하는 진동지지체(30)와, 보관시 퍼프 패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캡(10)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을 대체로 설명하면, 상기 퍼프 패드(20)는, 속이 비어 있는 반구형의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를 부드러운 천으로 감싼 것이며, 퍼프를 지지하며 퍼프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지지체(30)는, 일측에 손잡이 형태의 환테돌기부로 구성되며, 타측에는 진동소자가 내장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퍼프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환형요부로 형성되는 것이며, 보호 캡(10)은 퍼프를 보호하기 위한 속이 비어있는 반구형의 캡이다.
이하, 이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퍼프 패드(20)는, 내측에 탄성을 나타내는 탄성패드부(21)가 형성되는바, 단면이 활꼴 내지 초승달 모양인 회전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만, 상기 탄성패드부(21)의 중심부는 피부와 맞닿는 일정 크기의 편평부(21b)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패드부(21)의 가장자리로는 후술하는 진동 지지체(30)의 퍼프 결착구(37)에 결착되어질 결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패드부(21)의 재질로는, 가황고무, 합성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탄성 섬유, 발포체와 같은 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물질(엘라스토머) 혹은 무독성 실리콘이나 우레탄 수지가 주를 이루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이들 탄성제에 가이아스톤 및/또는 액티바가 소량 (일례로 가이아스톤 3~7 중량% 및 엑티바 1~3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가이아스톤 5 중량% 및 엑티바 2 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패드부의 두께는 재질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지나, 대체로 2~3 mm 정도면 족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탄성패드부(21)의 외측으로는 피부와 접촉시 촉감을 위해 부드러운 천으로 된 박막의 피부접촉부(22)가 코팅 혹은 접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막의 재질은, 분말 모양의 털(flock)로 장식한 섬유인 후로킹(인조세무)이나 벨벳(비로드) 등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패드부(21)와 박막의 피부접촉부(22) 간의 접착은, 열접착, 무독성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고주파 처리에 의한 접착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직접 부드러운 재질의 미세 분말(알갱이)을 분사하여 코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퍼프 패드(20)와 진동지지체의 퍼프결착구(37) 사이에 기존의 발포체(폼)를 삽입하여 푹신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박막의 피부 접촉부(22)가 피부에 접촉하므로, 피부에 대한 퍼프 패드(20)의 촉감을 종전의 퍼프와 같이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퍼프로의 화장품의 흡수량을 줄여서 불필요한 화장품의 손실을 줄이고, 따라서 퍼프 내에서의 세균의 번식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퍼프에 가이아스톤 및 액티바를 함유할 경우,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인하여 퍼프패드(20)가 피부에 닿았을 때에 차가운 느낌이 들지 않아, 열려 있던 피부의 기공이 닫히지 않고 화장품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저질 수 있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깊숙이 화장품이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보호 캡(10)은, 대략 공동의 반구형의 외관을 가지며, 보호 캡의 일단에는 결착돌출부(11)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 부분이 후술하는 진동지지체(30)의 환형 요홈 형상의 캡 삽입홈(31a)에 삽입되어진다.
한편, 진동 지지체(30)는, 케이스(31)와, 퍼프 패드(20)가 결착되어지는 퍼프결착구(37)와, 퍼프 결착구(37)를 탄성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에 대해 지지하는 탄성부재(36)을 포함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31)는, 일측 외측에 손잡이용 오목부(31c)를 갖으며, 내부에는 건전지(32), 인쇄회로기판(34) 및 탄성부재(36)를 내장하는 공동부를 가지며, 경우에 따라 캡 삽입홈(31a)이 적당한 위치에 환형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연장부(31b)가 캡 삽입홈(31a)을 지나서 연장되어 지도록 형성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연장부(31b)가 케이스(31) 본체에 결착나사부 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진다.
케이스(31)의 내부에는 건전지(32)가 수납되어지며, 지지대를 통해 인쇄회로기판(34)이 내장되고, 기판에 탄성부재(36)(본 실시예에서는 헬리컬 스프링이 사용됨) 가 장착되어 진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헬리컬 스프링의 일단은 케이스(31)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퍼프결착구(37)가 결착되어지는 바, 퍼프결착부(37)의 형상 역시 퍼프 패드(20)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며, 안쪽으로는 헬리컬 스프링(36)과 결착을 위한 결착부(37a)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진다.
아울러, 퍼프결착구(37)의 안쪽 중앙부에 바이브레이션 모터(35)가 부착되어지며, 전선(33)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4)을 통해 건전지(32)에 혹은 직접 건전지(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진다.
선택적으로, 헬리컬 스프링(36)과 케이스(31) 내부를 화장품 등의 수분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실린더형의 보호실린더(38)가 케이스 입구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손잡이용 오목부(31c)의 상단인 캡 삽입홈(31a)의 일 지점에는 모터 작동 스위치(39)가 설치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조작하기가 편리하면서 아울러 손잡이부의 파지시 스위치의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파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31) 본체와 연장부(31b)는, 내부 수리나 건전지 교체를 위해, 탈착용 나사부나 기타 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진동지지체의 기구적인 측면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보호캡(10)을 열고, 스위치(39)를 작동시키면, 바이브레이션 모터(35)가 진동을 일으키는바, 따라서 이 진동에 의해 퍼프 결착구(37)를 통해 퍼프 패드(20)가 피부를 토닥이거나 문지르면서 수타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브레이션 모터(35)의 진동수는 상기 탄성부재(36)의 탄성계수와 퍼프결착구(37)와 모터 자체의 무게 등에 의해 결정되는 고유 진동수로 맞추어 줌으로써, 퍼프 패드의 수타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마사지기에 의하면, 수타효과가 지극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소량의 화장품이라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가 되도록 하는 진동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2 실시예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를 상술한다.
본 제2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는, 제1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에 비해, 탄성부재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부분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본 제2 실시예의 탄성부재는 헬리컬 스프링 (도 4의 36) 대신, 하나 이상의 환형 리브(137d, 137f)와, 리브 사이의 접속을 위한 혹은 케이스 연장부(137a)나 모터 장착부(137b)와 접속을 위한 접속구(137c, 137e, 137g)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탄성부재를 가지며, 탄성부재를 겸한 퍼프 결착구(137)를 가진다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케이스(31)의 연장부(31b)에 퍼프 결착구(137)가 연속된 단일구조로 접속되어지되, 본 실시예의 퍼프 결착구(137)의 외주부에는 퍼프 패드의 결착부(137a)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제1 접속구(137c)를 통해 제1 환형 리브(137d)와 접속되고, 제1 환형 리브(137d)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속구(137e)를 통해 제2 환형 리브(137f)와 접속되며, 제2 환형 리브(137f)는 하나 이상의 제3 접속구(137g)를 통해 모터 장착부(137b)와 접속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속구(137c, 137e, 137g)는 각각 방사상 위치가 상이한 것이 탄성력의 전달에 있어서 바람직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리브(137d, 137f)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속구(137c, 137e, 137g)는 동일한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체의 프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지는 것이 제조상 간편하다.
본 제2 실시예에서, 제1 접속구(137c)는 방사상 등간격으로 3개가, 제2 접속구(137e)는 상하 방향으로 2개가, 제3 접속구(137g)는 좌우 방향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방향은 변경가능하며 그 개수 역시 적절히 가감 가능하다.
다만, 바이브레이션 모터(135)의 진동수를 고려하여 그 진동수와 공진가능한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3 실시예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를 상술하면, 본 제3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는, 제2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에 비해, 리브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본 제3 실시예의 탄성부재 역시, 헬리컬 스프링 (도 4의 36) 대신, 하나 이상의 환형 리브(237d)와 하나 이상의 반원형 리브(237f) 및 리브 사이의 접속을 위한 혹은 퍼프 패드의 결착부(237a)나 모터 장착부(237b)와 접속을 위한 접속구(237c, 237e, 237g)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탄성부재를 가지며, 탄성부재를 겸한 퍼프 결착구(237)를 가진다.
역시, 도 7에서 보듯이, 케이스(231)의 연장부(231b)에 퍼프 결착구(237)가 연속된 단일구조로 접속되어지되, 본 실시예의 퍼프 결착구(237)의 외주부에는 퍼프 패드의 결착부(237a)가 형성되며, 제1 접속구(237c)를 통해 환형 리브(237d)와 접속되고, 환형 리브(237d)는 제2 접속구(237e)를 통해 반원형 리브(237f)와 접속되며, 반원형 리브(237f)는 하나 이상의 제3 접속구(237g)를 통해 모터 장착부(237b)와 접속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속구(237c, 237e, 237g)는 각각 방사상 위치가 상이한 것이 탄성력의 전달에 있어서 바람직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및 반원형 리브(237d, 237f)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속구(237c, 237e, 237g)는 동일한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체의 프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지는 것이 제조상 간편하다.
본 제3 실시예에서, 제1 접속구(237c)는 상방향으로 1개가, 제2 접속구(237e)는 하방향으로 1개가, 제3 접속구(237g)는 좌우 방향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방향은 변경가능하며 그 개수 역시 적절히 가감 가능하다.
역시, 바이브레이션 모터(235)의 진동수를 고려하여 그 진동수와 공진가능한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4 실시예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를 상술하면, 본 제4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는, 제2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에 비해, 역시 리브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본 제4 실시예의 탄성부재 역시, 헬리컬 스프링 (도 4의 36) 대신, 하나 이상의 스파이럴 스프링 형상의 리브(337d)와 리브와 케이스 연장부(337a)나 모터 장착부(337b)와 접속을 위한 접속구(337c, 337g)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탄성부재를 가지며, 탄성부재를 겸한 퍼프 결착구(337)를 가진다.
역시, 도 8에서 보듯이, 케이스(331)의 연장부(331b)에 퍼프 결착구(337)가 연속된 단일구조로 접속되어지되, 본 실시예의 퍼프 결착구(337)의 외주부에는 퍼프 패드의 결착부(337a)가 형성되며, 제1 접속구(337c)를 통해 스파이럴 스프링 형상의 리브(337d)와 접속되고, 상기 리브(337d)는 하나 이상의 제2 접속구(337g)를 통해 모터 장착부(337b)와 접속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형상의 리브(337d)의 회전수가 많을수록 탄성력의 전달에 있어서 바람직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형상의 리브(337d) 및 상기 제1, 제2 접속구(337c, 337g)는 동일한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체의 프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지는 것이 제조상 간편하다.
본 제4 실시예에서, 제1 접속구(337c) 및 제2 접속구(337g)는 각각 1개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형상의 리브(337d)의 양단에서 각각, 퍼프 패드의 결착부(337a) 및 모터 장착부(337b)와 결착되며, 이들의 방향은 변경가능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 형상의 리브(337d)의 회전수는 약 2회전이나, 그 회전수 역시 적절히 가감 가능하다.
역시, 바이브레이션 모터(335)의 진동수를 고려하여 그 진동수와 공진가능한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를, 제5 실시예의 진동지지체(430) 및 퍼프 패드(420)를 중심으로 상술한다.
본 제5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진동 마사지기에 비해, 퍼프 결착구 및 퍼프 패드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부분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본 제5 실시예의 퍼프 패드(420)는 어느 정도 강성을 갖는 퍼프 프레임(423)에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퍼프 패드부(421) 및 박막의 피부접촉부(422)가 부착되어 있되, 퍼프 결착구(437)는 측면이 실린더형인 캡형의 형상을 지녔고, 측면 실린더부에 퍼프 패드(420)와의 결착을 위한 결착홈(437a)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퍼프 패드(420)의 퍼프 프레임(423)에 역시 어느 정도 강성을 갖는 실린더 형상의 결착부(424)가 부착되어 지되, 상기 결착부의 단부에 결착 돌기(424a)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케이스의 퍼프결착구(437)의 결착홈(437a)에 스냅단추식으로 안착됨으로써, 결국 퍼프 패드(42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는 본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진동 마사지기의 일부분리 사시도로서, 각각 상방향으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하방향으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캡(10)만을 달리한 상태의 일부 조립상태 사시도로서, 역시 각각 상방향으로 바라본 조립사시도 및 하방향으로 바라본 조립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의 진동지지체(530)는, 제5 실시예의 진동지지체(도 9의 430)와 거의 동일하나, 다음 두가지 점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다.
첫째, 케이스 본체(531)와 연장부(531b)가 상호 분리가능하며, 케이스 연장부(531b) 내로 설편(531d)이 돌설되며, 상기 설편에 탄성부재(일례로 도 4의 36)의 일단이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타단에 퍼프 결착구(537)가 결착되며, 상기 퍼프 결착구 내부에 바이브레이션 모터(535)가 장착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모터의 진동에 의한 퍼프 결착구(537)의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퍼프 프레임(523)이 퍼프 결착구(437)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점은 동일하며, 따라서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퍼프 프레임(523)을 사용하도록 하나, 퍼프 프레임(523)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탄성패드(도 4의 20)가 탈착 가능하게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탄성패드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 연성 재질의 탄성 패드(20)만을 퍼프 프레임(523)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연성 재질의 탄성 패드(20)의 마모 시에 탄성 패드(20)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본 변형예에서도, 케이스 본체(531)와 케이스 연장부(531b)는 분리가능하며, 미 설명부호 '538'은 제1 실시예의 보호실린더(도 4의 '38')에 대응하는 보호실린더이고, '539'는 온/오프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진동 마사지기)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 퍼프에 대한 최적 실시예들을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진동 퍼프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재에는 유사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퍼프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퍼프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 퍼프 패드의 단면도 (도 13의 XIV-XIV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 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일부 결합 사시도 및 일부 절단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일부 분리 사시 사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결합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 사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결합 상태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진동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620)는 실리콘이나 탄성 고무 혹은 연성의 합성수지재 등의 유연성의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며,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듯이, 퍼프 프레임(623)에 결착되는 탄성재질의 탄성결착부(621)와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접촉부(622)로 이루어진다. 대체로는 상기 탄성결착부(621)와 피부접촉부(622)가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지나, 별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진동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620)는, 문어의 빨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기 피부접촉부(622)의 중앙 및 주변에는 다수개의 흡판(622a)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퍼프 패드(620)가 퍼프 프레임(623)에 결착되며, 다시 퍼프 프레임은 결착부(624)를 통해 진동지지체(도 15의 630)의 퍼프 결착구(637)의 턱(637a)에 탈착 가능하게 결착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 마사지기에 관한 진동지지체(630)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631)와 케이스 연장부(631b)가 상호 분리가능하면서 결합되어 케이스를 이루고, 케이스 안에 보호실린더(638)가 내장되고, 케이스 연장부 내로 설편이 돌설되며, 상기 설편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36)의 일단이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타단에 퍼프 결착구(637)가 결착되며, 상기 퍼프 결착구 내부에 바이브레이션 모터(635)가 장착되며, 바이브레이션 모터의 진동에 의한 퍼프 결착구(637)의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진동에 의해 본 발명의 퍼프 패드(620)가 안면과 같은 피부에 강하게 밀착되었다가 떨어지면서 흡판이 피부를 흡착하게 되므로, 피부의 클렌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모공 속의 각질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며 및 리프팅 효과 및 마사지 효과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퍼프 패드를 갖다 댄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고 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만 하면, 피부 구석구석의 클렌징, 리프팅 및 마사지 효과를 단번에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퍼프 프레임(623)이 퍼프 결착구(637)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마사지나 리프팅 혹은 클렌징 목적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퍼프 프레임 및 퍼프 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프 패드(620)는, 상기 중앙부의 흡판(622a) 및 그 주위로 다수개의 흡판(622a)의 등쪽에 하나 이상의 돌기(622b)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각각 퍼프 결착구(637) 및 퍼프 프레임(623)과 맞닿아 있어, 바이브레이션 모터의 진동이 흡판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진동전달 돌기(622b)이며, 한편 흡판과 흡판 사이의 피부접촉면의 뒷쪽에도 하나 이상의 돌기(622c)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돌기는 진동에 의해 흡판 및 피부접촉면을 피부 쪽으로 밀었다가 당긴 시점에서 흡입이 이루어지는데, 이 시점에서 구부려졌다가 다시 진동에 의해 흡판 및 피부접촉면을 피부 쪽으로 밀어내는 시점에서 상기 원상회복돌기(622c)는 탄성력에 의해 흡판 및 피부접촉면을 피부 쪽으로 더욱 강하고 신속하게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흡판과 흡판의 사이의 원상회복돌기(622c)는, 흡입 후에 패드가 원 상태로 신속히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돌기라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도 15 및 도 16에서 부재번호 '631d'는 교체용 건전지가 수납되는 건전지 수납홈이며, '631c'는 손잡이용 오목홈인바, 이는 형성이 타원에 가까운 단면을 가지면서 타원체의 장방형 쪽에 스위치(639)가 위치하므로, 시술자가 검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진동지지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로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본 발명의 마사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판(622a)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고 상기 진동전달돌기(622b) 및 원상회복돌기(622c) 의 개수 역시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마사지기의 실물 사진이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나 있는바, 도 17의 맨 왼쪽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에서 진동지지체(620)의 사진이며, 중앙은 본 발명의 퍼프 패드(620)를 퍼프 프레임(623)에 결합한 상태의 사진이며, 우측은 보호 캡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마사지기의 퍼프 패드와 퍼프 프레임의 결합체를 진동지지체의 퍼프 결착구(637)에 결착한 상태의 사진이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보호 캡 11 : 결착돌출부
20 : 퍼프 패드 21 : 탄성패드부
21a : 결착부 21b : 편평부
22 : 박막의 피부접촉부
30 : 진동지지체 31 : 케이스
31a : 캡 삽입홈 31b : 케이스 연장부
31c : 손잡이용 오목부
32 : 건전지 33 : 전선
34 : 인쇄회로기판 35 : 바이브레이션 모터
36 : 탄성부재 37 : 퍼프결착구
38 : 보호실린더 39 : 스위치
130 : 진동지지체 37a : 결착부
137a : 결착부 137b : 모터장착부
137c,137e,137g : 리브접속구 137d,137f : 환형 리브
420 : 퍼프 패드 421 : 탄성패드부
422 : 박막의 피부접촉부 423 : 진동지지체
424 : 결착부 424a : 결착돌기
523 : 퍼프프레임 524 : 결착부
524a : 결착돌기 531 : 케이스
531b : 케이스 연장부 531d : 설편
535 : 바이브레이션 모터
536 : 탄성부재 537 : 퍼프결착구
538 : 보호실린더 539 : 스위치
620 : 퍼프 패드 621 : 탄성결착부
622 : 피부접촉부 622a: 흡판
622b: 진동전달돌기 622c: 원상회복돌기
623 : 퍼프 프레임 624 : 결착부
630 : 진동지지체 631 : 케이스
631b : 케이스 연장부 631c : 손잡이용 오목부
631d : 건전지 삽입홈부
635 : 바이브레이션 모터
636 : 탄성부재 637 : 퍼프결착구
638 : 보호실린더 639 : 스위치

Claims (7)

  1. 퍼프 프레임에 결착되는 탄성재질의 탄성결착부(621); 및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접촉부(622)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부접촉부(622)에는 다수개의 흡판(6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판(622a)의 등쪽에는 바이브레이션 모터의 진동을 흡판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전달 돌기(622b)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흡판(622a)의 흡판과 흡판 사이의 피부접촉면에는, 흡판 및 피부접촉면을 흡입 후에 패드가 원 상태로 신속히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원상회복돌기(622c)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착부(621)가 어느 정도 강성을 갖는 퍼프 프레임(623)에 결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퍼프 패드(620); 및
    상기 퍼프 패드를 지지하며 퍼프 패드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지지체(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지지체는,
    케이스(631)와,
    상기 퍼프 패드가 결착되어지는 퍼프결착구(637)와,
    상기 퍼프 결착구를 탄성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에 대해 지지하는 탄성부재(636)와,
    상기 퍼프결착구의 일측에 부착된 바이브레이션 모터(6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결착구(637)는 측면이 실린더형인 캡형의 형상을 지녔고,
    상기 퍼프 프레임의 결착부(624)가 퍼프 결착구(637)에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결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마사지기.
KR1020120027822A 2012-03-19 2012-03-19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KR20130106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22A KR20130106150A (ko) 2012-03-19 2012-03-19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22A KR20130106150A (ko) 2012-03-19 2012-03-19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50A true KR20130106150A (ko) 2013-09-27

Family

ID=4945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22A KR20130106150A (ko) 2012-03-19 2012-03-19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1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749B1 (ko) * 2018-11-29 2019-06-18 신경환 화장솜 교체형 클렌징 어플리케이터
CN110495810A (zh) * 2019-08-20 2019-11-26 上海聚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肌肤护理仪器
KR20200052772A (ko) * 2018-11-07 2020-05-15 이놈들연구소 주식회사 피부 접촉용 헤드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진동 장치
CN112842852A (zh) * 2021-03-29 2021-05-28 欧阳育贤 一种磁盘大小吸拔保健器
CN113274265A (zh) * 2021-06-21 2021-08-20 中山市爱康海思健康科技有限公司 按摩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772A (ko) * 2018-11-07 2020-05-15 이놈들연구소 주식회사 피부 접촉용 헤드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진동 장치
KR101990749B1 (ko) * 2018-11-29 2019-06-18 신경환 화장솜 교체형 클렌징 어플리케이터
CN110495810A (zh) * 2019-08-20 2019-11-26 上海聚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肌肤护理仪器
CN112842852A (zh) * 2021-03-29 2021-05-28 欧阳育贤 一种磁盘大小吸拔保健器
CN113274265A (zh) * 2021-06-21 2021-08-20 中山市爱康海思健康科技有限公司 按摩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986B1 (ko) 진동 퍼프
US10881577B2 (en) Beauty apparatus
KR102356710B1 (ko) 미용기
JP4773489B2 (ja) 電動ヘアーブラシ
US20150150754A1 (en) Device for massaging and the applic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US20110030716A1 (en) Electrical mascara brush structure with variable speeds
KR20130106150A (ko) 진동 마사지기 및 그에 사용되는 퍼프 패드
MX2008009599A (es) Limpiador de piel.
KR20140147078A (ko) 전동 칫솔
JP3170570U (ja) 口腔清掃用具用振動ユニット
KR101173984B1 (ko) 진동 퍼프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지지체
JP2004065914A (ja) 超音波ヘアブラシ
CN208463916U (zh) 一种电动洗澡器
KR102547765B1 (ko) 피부 클렌징 장치
KR20130139639A (ko) 미용기
CN214712244U (zh) 一种洁面仪
CN212165184U (zh) 海绵电动粉扑
KR102175903B1 (ko) 클렌징 장치
KR20160051944A (ko) 2단 자석배열 무전원진동 양면돌출브러쉬 머리세정기구 지압기
KR20120132274A (ko) 전동 퍼프
KR200451289Y1 (ko) 진동 마사지기
KR20130047540A (ko) 진동퍼프
CN113017230A (zh) 海绵电动粉扑
KR200257818Y1 (ko) 클린싱 마사지기
KR101630855B1 (ko) 피부관리용 진동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