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105586A -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586A
KR20130105586A KR1020130106519A KR20130106519A KR20130105586A KR 20130105586 A KR20130105586 A KR 20130105586A KR 1020130106519 A KR1020130106519 A KR 1020130106519A KR 20130106519 A KR20130106519 A KR 20130106519A KR 20130105586 A KR20130105586 A KR 2013010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rner
interior
indoor
fini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096B1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김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홍 filed Critical 김기홍
Priority to KR102013010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09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하기 위해 미장 마감, 떡밥 붙임 석고보드 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 등 다양한 마감재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내부 구조에 있어 벽체에서 각이 형성되어 있는 인 코너와 아웃 코너,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에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재질에 이루어지는 실내 몰딩을 실내 마감재를 설치하기 전에 1차적으로 설치하여 줌으로서 미장마감이나 석고보드마감 및 기타의 마감시에 일정한 마감 기준선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끝마무리를 정교하게 하여 새로운 분위기의 실내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Indoor molding to be installed to finish as finishing materials the indoor of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indoor mo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하기 위해 미장 마감, 떡밥 붙임 석고보드 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마감 등의 다양한 마감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내부 구조에 있어 벽체에서 각이 형성되는 인코너와, 아웃코너와,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에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내 몰딩을 실내 마감재를 시공하기 전에 1차적으로 먼저 설치하여 줌으로서 미장마감이나 석고보드마감 및 기타의 마감 시에 일정한 마감 기준선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끝마무리를 정교하게 하여 새로운 분위기의 실내공간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 내부 공간은 더욱 아름답고 실용적인 실내마감 구조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이유는 실내마감 구조재의 개발에 있다 할 것이다.
또한, 건축자재 중 건축물의 내부를 마감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벽이나 천장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로 다양한 종류의 마감패널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것은 물론 마감패널의 시공방법은 크게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리벳이나 나사류를 사용하여 직접 체결하는 방법, 걸이식 부자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실내에 천장과 벽체가 접하는 코너,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코너,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접하는 부위에 몰드 형상을 갖추고 설치되는 마감 몰딩재, 또는 콘크리트 벽체 면이나 바닥에 부착하여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미장 마감, 떡밥 붙임 석고보드 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 마감, 바닥 마감재 등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실내 마감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상 천장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천장 마감재 몰딩, 바닥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바닥 마감재인 걸레받이, 창호와 벽체가 만나는 접합부위에 부착되는 창호띠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천장마감 몰딩재, 벽체 바닥마감 걸레받이, 창호 띠장 마감재들은 목재나 합성 수지제 등으로 만들어져 일정한 몰드 형상을 갖추고 천장과 벽체의 작업이 완공된 후, 일정한 높이에 따라 설치하도록 배면에는 평평한 부착면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다양한 몰드식 형상이 표출되는 형상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내 코너 마감재는 천장이 벽체와 접하는 코너, 바닥과 벽체가 접하는 코너,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에 평평한 부착 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고정하거나 못으로 고정하면서 연접 설치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 - 354920호 "건물내실의 모서리 부위의 구조물"
종래의 실내 마감재를 설치하는 방법은 보편적으로 천장마감, 벽체마감, 실내에서 형성되는 코너 마감몰딩 설치, 바닥마감 순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예를 든다면 첫 번째 천장 작업은 콘크리트 슬라브에 경량 천장틀이나 각재 천장틀 등을 설치 후, 석고보드 2겹 붙이기 혹은 석고보드 1겹 붙인 다음 기타 천장마감재 등으로 설치하고, 두 번째 벽체작업은 미장마감 또는 떡밥 붙임 석고보드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 마감 등이 있으며, 세 번째 마감몰딩 설치 작업은 천장마감 몰딩재, 벽체 바닥마감 몰딩재인 걸레받이, 창호에 부착되는 마감 띠장 등을 각 해당 부위에 부착하고, 네 번째 바닥 작업은 미장 몰탈 작업 후 여러 가지 재료들로 형성된 바닥 마감재 등으로 작업을 마무리 하나 이때 현장 작업자들은 건축물 내부 실내에 정확한 기준선 없이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마감재를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가 없어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와 자재의 손실과 각 코너 부위에 연접되게 설치되는 마감재는 상호 간에 긴밀한 부착을 이루지 못하여 오히려 실내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발생된다.
또한, 기준선이 없이 실내 마감재를 설치하다 보면 다 설치한 후에야 수평과 수직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 설치한 경우에는 전부 해체 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하기 위해 미장 마감, 떡밥 붙임 석고보드 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마감 등 다양한 마감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벽체와 천장이 접하는 코너와, 바닥과 벽체가 접하는 코너와, 실내벽체에서 각이 형성되는 인코너와, 아웃코너와,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에 실내 마감 몰딩 재를 시공하기 전에 설치하여, 작업자에게 마감 기준선을 제공하고 그 마감 선을 기준으로 미장마감이나 떡밥붙임 석고보드마감, 각재설치 석고보드 마감 등을 쉽고 연접되게 설치 할 수 있도록 시공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 몰딩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공사를 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시공방법을 벗어나 새로운 실내 몰딩 마감재를 제공하고 설치 시스템을 개발하여 작업자에게 새로운 마감기준선을 제공함으로, 작업을 신속하고 정교하게 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 확보와 공기단축, 자재절감,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실내 마감재의 제공으로 작업자가 원활하고 정교한 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실내 공간의 연출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b은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인, 아웃 코너 몰딩부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창호 모서리 마감 몰딩부재를 도시해 보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창호 모서리 마감 몰딩부재가 "
Figure pat00001
"자형 연결철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a, b는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고정철물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미장마감으로 시공하는 실시 예.
도 6a, b, c는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연결철물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인 사이드 코너벽체에 마감몰딩 부재를 도시해보인 분리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하기 위해 미장 마감, 떡밥 붙임 석고보드 (17)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17)마감 등 다양한 마감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내부 구조에서 벽체와 천장이 접하는 코너와,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코너와, 벽체에서 각이 형성되는 인코너와, 아웃코너와,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와 이에 근접해 있는 콘크리트 벽체(20)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철물(21)을 설치한 후, 상기 해당 접합부위에 설치된 고정철물(21)의 전면으로 접합부위에 해당하는 실내 몰딩을 밀착하고 고정나사(8)로 체결한 후, 상기 실내 몰딩에 미장 마감, 떡밥 붙임 석고보드(17)로 마감을 하고, 각재 설치 석고보드(17) 마감은 고정철물(21) 설치작업 없이 콘크리트 벽체(20)면에 목재 틀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후, 그 위에 천장 마감라인(28)과 바닥 마감라인(29)을 설정한 후, 그 라인에 맞춰 목재틀 면에 실내몰딩을 밀착시켜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 시공한다.
한편, 실내 몰딩은 아웃코너 몰딩부재(2), 인코너 몰딩부재(3), 천장마감 몰딩부재(4),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 걸레받이대 몰딩부재(6)로 구성되고, 부속품으로는 실내몰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철물(21)a, b와 실내 코너부위나 길이 방향으로 연접되게 연결할 수 있는 일자형 연결철물, 기억자형 연결철물, "
Figure pat00002
" 자형 연결철물(24)로 구성되고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도 1a, b은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인, 아웃 코너 몰딩부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실내 구조에서 아웃코너 벽체가 형성되는 코너에 밀착되게 수직으로 세운 실내 몰딩중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pat00003
" 형상의 아웃코너 몰딩부재(2)는 양측으로 위치하는 마감재가 직접 밀착되지 않게 전방으로 돌출된 중심부(14)를 기준으로 좌우에 마감재를 밀착하는 밀착면(10)이 대향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 면(10)은 고정철물(21) 중심부(14)에 수직으로 밀착되어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으로 형성된 중심부(14)의 끝단에는 아웃코너 마감라인(33)이 형성됨은 물론 밀착 면(10) 전체에는 천공된 펀칭문양(35)이 형성된다.
또한, 도 1b는 건축물 내부 실내구조의 인코너 벽체에 접하는 실내 몰딩 중 "
Figure pat00004
" 형상의 인코너 몰딩부재(3)는 양측으로 위치하는 마감재가 직접 밀착되지 않게 전방으로 돌출된 중심부(14)를 기준으로 좌, 우에는 마감재를 밀착하는 밀착면(10)이 대향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면(10)은 고정철물(21) 중심부(14)에 수직으로 밀착되어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부(14)의 끝단에는 V자 형상으로 인코너 마감라인(34)이 형성되고, 밀착면(10) 전체에는 천공된 펀칭문양(35)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코너 몰딩부재(2)와 인코너 몰딩부재(3)는 건축물 내부 실내구조에 형성되는 아웃사이드 벽체코너와 인사이드 벽체코너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내몰딩 마감재로서, 1차적으로 아웃 코너몰딩부재(2)의 설치방법은 아웃코너 콘크리트벽체(20)의 일정한 높이 상, 하부에 수직으로 셋트 앙카(9)를 삽입 후 조절너트, 와샤, 고정철물(21), 고정너트 순으로 고정철물(21)을 설치하고 아웃 코너몰딩부재(2)의 중심부(14)를 기준으로 좌, 우로 형성된 밀착면(10)을 고정철물(21)에 형성된 중심부(14)에 수직으로 밀착시켜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한 후, 수직 마감라인(30)에 맞추어 미장마감 또는 떡밥붙임 석고보드(17)로 마감한다.
또한, 2차적으로 인 코너 몰딩부재(3)의 설치방법은 단지 인코너 콘크리트벽체(20) 부위에 설치된다는 것 외에는 상기에서 서술한 아웃코너 몰딩부재(2)의 설치방법과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창호 모서리 마감 몰딩부재를 도시해 보인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창호 모서리 마감 몰딩부재가 "
Figure pat00005
"자형 연결철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창호 모서리에 접하는 실내 몰딩중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는 "
Figure pat00006
" 형상으로 창호공틀의 좌, 우, 상, 하 측면에 안착할 수 있게 사각 형상의 연결관(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3)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를 절개하여 연결철물(24)을 삽입하여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를 연결할 수 있는 슬라이드 공(2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3)의 상면 일측에는 전방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끝단을 상부방향으로 향해 재차 수직으로 절곡하여 벽체 마감 라인(27)을 형성한다.
또한, 연결관(23)의 전방과 벽체 마감 라인(27)의 저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문 또는 창문이 벽체와 접했을 때 라인이 형성되도록 메지 라인 홈(22)이 형성되며, 메지 라인 홈(22) 상부에는 벽체 마감 기준선을 정하기 위하여 벽체 마감라인(2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 모서리에서 형성되는 90°각 코너 부위에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를 안착 고정하기 위하여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의 끝단에 90°각을 형성 시킨 후, 관 형상의 연결관(23)으로 "
Figure pat00007
"연결철물(24)을 삽입시키고, 연결철물(24) 중앙에 형성된 조립공(25)으로 슬라이드 공(26) 상부에서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하여 창호 측면에 안착시켜 고정나사(8)로 다시 조임 체결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4a, b는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고정철물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a 고정철물(21)은 "
Figure pat00008
"판 형상으로 중심부(14)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중심부(14) 좌, 우측면에는 셋트앙카(9)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7)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체(20)에 수평으로 설치된 셋트앙카(9)에 체결된 상태에서 천장마감 몰딩부재(4), 걸레받이대 몰딩부재(6)로 이루어진 실내 몰딩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철물(21) 중심부(14)에 안착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b 고정철물(21)은 "
Figure pat00009
"판 형상으로 중심부(14)의 한 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중심부(14) 한 측면에는 셋트앙카(9)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7)이 형성되고, 인, 아웃 콘크리트 벽체(20)에 수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아웃코너 몰딩부재(2), 인 코너 몰딩부재(3)로 이루어진 실내몰딩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철물(21) 중심부(14)에 안착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미장마감으로 시공하는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실내에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20)의 상부 일정한 높이에 천장 마감재와 벽체미장 마감재를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20)를 따라 미장마감 두께에 맞춰 셋트앙카(9)와 고정철물(21)을 수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고정철물(21)의 중심부(14)에 천장마감 몰딩부재(4) 밀착 면(10)의 배면을 수평하게 고정하고 체결 공(7)이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한다.
상기 천장마감 몰딩부재(4)는 중심부(14)를 기준으로 상부로 수직 절곡된 밀착면(10)의 배면이 고정철물(21)의 중심부(14)에 수평하게 밀착되어 고정나사로(8) 고정되고, 천장 슬라브(31)에 천장틀(37)이 천장마감 몰딩부재(4)에 형성된 천장틀 기준선(36)에 맞게 설치된 상태에서 천장마감 몰딩부재(4) 중심부(14)의 하부로 수직 절곡된 밀착면(10) 아래에 형성된 천장 마감라인(28)에 맞추어 2단으로 석고보드(17)가 안착 고정되며, 콘크리트 벽체(20)에는 천장마감 몰딩부재(4)의 걸이 관(32) 하부에 형성된 벽체 마감라인(27)에 맞추어 초벌미장을 한 후 정벌미장으로 벽체를 마감한다. 그럼 이때 벽체마감 면과 천장마감 면이 접하는 코너에 메지라인 홈(22)이 형성된다.
또한, 벽체 하부에 걸레받이 몰딩부재(6)를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20)하부에 셋트앙카(9)를 벽체 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하게 삽입 후, 고정철물(21)의 중심부(14)가 전방을 향하게 하여 셋트 앙카(9)에 안착 고정 체결하고, 걸레받이 몰딩부재(6) 전면에 형성된 고정 홈(12)의 배면을 고정철물(21)의 중심부(14)에 수평하게 밀착한 후 체결 공(7)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한다.
이때 중요시 할 것은 콘크리트 벽체(20)면에 미장 마감을 반듯하게 하고 작업을 편리하고 쉽게 하기 위해서는 천장마감 몰딩부재(4)의 하부에 형성된 벽체 마감라인(27)과 걸레받이 대 몰딩부재(6)의 메지라인 홈(22) 상부에 형성된 벽체 마감라인(27)과 수평, 수직이 정확하게 일치 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걸레받이 몰딩부재(6)의 설치작업이 완료 되면 걸레받이 몰딩부재(6)가 고정철물(21)에 체결된 상태에서 걸레받이 몰딩부재(6) 상부에 형성된 벽체 마감라인(27)에 맞추어 초벌미장을 한 후 정벌미장으로 마감하고, 바닥마감은 걸레받이 몰딩부재(6) 하부에 형성된 바닥 마감라인(29)에 맞추어 바닥 마감재를 설치 한 후 걸레받이 몰딩부재(6) 전면에 형성된 고정 홈(12)에 목재 걸레받이를 삽입하면, 이때 목재 걸레받이와 벽체 미장 면 사이에 일정한 높이의 메지라인 홈(22)이 형성된다.
도 6a, b, c는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연결철물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a "
Figure pat00010
"자형 연결철물(24)은 천장마감 몰딩부재(4), 걸레받이대 몰딩부재(6)를 수평지게 연속으로 연결할 때, 해당 부위의 연결관(23)에 삽입되어 고정나사(8)로 조임되어 사용되고, 도 6b "
Figure pat00011
"자형 연결철물(24)은 천장마감 몰딩부재(4)와 걸레받이대 몰딩부재(6)가 건축물 내부 벽체에 인, 아웃사이드 코너에서 90°각이 형성되는 부위의 연결관(23)에 삽입되어 고정나사(8)로 조임 되어 사용되고,
도 6c "
Figure pat00012
"자형 연결철물(24)은 창호에서 90°각이 형성되는 창호 모서리에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에 형성된 연결관(23)에 삽입되어 고정나사(8)로 조임되어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 실내 몰딩에서 인 사이드 코너벽체에 마감몰딩 부재를 도시해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인 코너 몰딩부재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연결철물(24)에 의해 천장마감 몰딩부재를 결합하고, 하부에는 걸레받이대 몰딩부재를 결합한다.
2: 아웃 코너 몰딩부재
3: 인 코너 몰딩부재 4: 천장마감 몰딩부재
5: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 6: 걸레받이대 몰딩부재
7: 체결공 8: 고정나사
9: 셋트앙카 10: 밀착면
14: 중심부 15: 걸레받이
17: 석고보드 18: 떡밥붙임
20: 콘크리트 벽체 21: 고정철물
22: 메지라인 홈 23: 연결관
24: 연결철물 25: 조립공
26: 슬라이드 공 27: 벽체 마감 라인
28: 천장 마감 라인 29: 바닥 마감 라인
30: 수직 마감라인
32: 걸이 관
34: 인코너마감라인 35: 펀치문양
36: 천장틀 기준선 37: 천장틀

Claims (6)

  1.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내부 구조에서 벽체에 각이 형성되어 있는 인코너와 아웃코너,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인 콘크리트 벽체(20)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철물(21)을 수평, 수직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부위에 설치된 고정철물(21)의 전면으로 밀착하여 고정나사(8)로 실내 몰딩을 체결하는 단계와;
    90°각이 형성되는 실내 인, 아웃코너 부위에 실내몰딩을 연접하기 위한 "
    Figure pat00013
    "자형 연결철물(24)과,
    90°각이 형성되는 창호 모서리 코너 부위에 창호모서리 몰딩부재(5)를 연접하기 위한 "
    Figure pat00014
    "자형 연결철물(24)과, 상기 연결철물(24)을 해당하는 실내몰딩을 연접하기 위하여 실내몰딩에 형성된 연결관(23)으로 삽입되어 연결철물(24)에 형성된 조립공(25)으로 고정나사(8)를 삽입하여 슬라이드 공(26)과 조임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몰딩에 미장 마감, 떡밥 붙임(18) 석고보드 마감, 각재 설치 석고보드 마감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설치방법.
  2.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내부 구조에서 벽체에 각이 형성되어 있는 인 코너에 위치하는 인 코너 몰딩부재(3)와, 아웃코너에 위치하는 아웃코너 몰딩부재(2)와, 문이나 창문에 형성되는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가 벽체와 만나는 콘크리트 벽체(20)에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체결한 고정철물(21)과;
    인코너 몰딩부재(3), 아웃 코넛 몰딩부재(2),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로 이루어진 실내몰딩부재를 연접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철물(24)과;
    상기 벽체에서 각이 형성되어 있는 인코너와 아웃코너와, 문이나 창문이 벽체와 만나는 접합부위에 설치된 고정철물(21)의 전면으로 밀착하여 고정나사(8)로 체결하고, 상기 인·아웃코너 몰딩부재와 천장마감 몰딩부재와 창호모서리 몰딩부재와 걸레받이대 몰딩부재를 각각 연결하기 위해서는 끝단에 연결철물(24)을 삽입하여 결합한 실내 몰딩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몰딩의 연결철물(24)은 "
    Figure pat00015
    "자형과 "
    Figure pat00016
    "자형과 "
    Figure pat00017
    "자형으로 양단에는 체결공(7)이 형성되어 고정나사(8)에 의해 조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몰딩중 아웃 코너에 접하는 실내 몰딩은 "
    Figure pat00018
    " 형상에 양측으로 위치하는 마감재가 직접 밀착되지 않게 전방으로 돌출된 중심부(14)를 기준으로 좌우에는 마감재를 밀착하는 밀착면(10)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 전체에는 천공된 펀칭문양(35)과 중심부(14)의 끝단에는 아웃코너 마감라인(33)이 형성된 아웃 코너 몰딩부재(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몰딩중 인 코너에 접하는 실내 몰딩은 "
    Figure pat00019
    " 형상에 양측으로 위치하는 마감재가 직접 밀착되지 않게 배면으로 돌출된 중심부(14)를 기준으로 좌우에는 마감재를 밀착하는 밀착면(10)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면(10) 전체에는 천공된 펀칭문양(35)과 중심부(14)의 끝단에는 인코너 마감라인(34)이 형성된 인 코너 몰딩부재(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몰딩중 창호 모서리에 접하는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는 "
    Figure pat00020
    " 형상으로 창호공틀의 좌, 우, 상, 하 측면에 안착할 수 있게 사각 형상의 연결관(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3)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를 절개하여 연결철물(24)을 삽입하여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를 연결할 수 있는 슬라이드 공(2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3)의 상면 일측에는 전방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끝단을 상부방향으로 향해 재차 수직으로 절곡하여 벽체 마감 라인(27)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23)의 전방과 벽체 마감 라인(27)의 저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문 또는 창문이 벽체와 접했을 때 라인이 형성되도록 메지 라인 홈(22)이 형성되며, 메지 라인 홈(22) 상부에는 벽체 마감 기준선을 정하기 위하여 벽체 마감라인(27)이 형성되고, 상기 창호 모서리 몰딩부재(5)의 끝단에 90°각을 형성 시킨 후, 관 형상의 연결관(23)으로 "
    Figure pat00021
    "연결철물(24)을 삽입시키고, 연결철물(24) 중앙에 형성된 조립공(25)으로 슬라이드 공(26) 상부에서 고정나사(8)로 조임 체결하여 창호 측면에 안착시켜 고정나사(8)로 다시 조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KR1020130106519A 2013-09-05 2013-09-05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Expired - Fee Related KR10140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19A KR101406096B1 (ko) 2013-09-05 2013-09-05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19A KR101406096B1 (ko) 2013-09-05 2013-09-05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07A Division KR20110136692A (ko) 2010-06-14 2011-05-11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586A true KR20130105586A (ko) 2013-09-25
KR101406096B1 KR101406096B1 (ko) 2014-06-13

Family

ID=4945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6096B1 (ko) 2013-09-05 2013-09-05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5887A (zh) * 2016-09-30 2016-12-21 江苏旭华圣洛迪建材有限公司 一种装配式踢脚板型材组件及其安装方法
CN114892923A (zh) * 2022-04-07 2022-08-12 河南中宏建筑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一体式装饰固形阴角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920Y1 (ko) * 2004-02-27 2004-07-01 김성근 건물내실의 모서리 부위의 구조물
KR200419563Y1 (ko) * 2006-03-22 2006-06-21 마경수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5887A (zh) * 2016-09-30 2016-12-21 江苏旭华圣洛迪建材有限公司 一种装配式踢脚板型材组件及其安装方法
CN114892923A (zh) * 2022-04-07 2022-08-12 河南中宏建筑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一体式装饰固形阴角及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096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6714A (en) Molding strip for use as quirk or reveal
CN108301528B (zh) 一种墙体系统及装修方法
US8522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bly connecting trim to a wall or ceiling or both
US7784233B2 (en) Molding assembly, modular molding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00008274A1 (en) Modular structural element
KR101406097B1 (ko)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US6128793A (en)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CN108179893B (zh) 装配式厨房及其安装方法
KR20130105586A (ko)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
JPH0229152Y2 (ko)
JPH0921225A (ja) 内装パネル材の構造とその施工方法
WO2007051588A1 (en) Drywalls joint
KR20130127194A (ko) 천정몰딩 시공구조
KR20170047087A (ko) 조립식 건축물의 베이스 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9856659B1 (en) Mold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molding system
NZ542768A (en) Wallboa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repair
KR20110136692A (ko) 건축물의 내부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및 실내 몰딩 설치방법
WO2014125552A1 (ja) 壁パネルの施工方法
JPS594110Y2 (ja) タイルとその張り付け用パネルの組合せ
JP2002242339A (ja) 住宅インフィルシステムを構成する壁パネル、天井パネル及び床パネルとそれらの設置方法
GB2385103A (en) Double ended fastener
US20090064620A1 (en) Tray Ceiling System
JP7584986B2 (ja) 内壁の見切り構造
JP2753982B2 (ja) 入隅、出隅付近の施工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入隅部品および出隅部品、並びに、端部用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端部付近の施工方法
JPH03110252A (ja) タイルのとり付け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06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60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806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60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