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411A -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to the crops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to the cro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4411A KR20130104411A KR1020120025879A KR20120025879A KR20130104411A KR 20130104411 A KR20130104411 A KR 20130104411A KR 1020120025879 A KR1020120025879 A KR 1020120025879A KR 20120025879 A KR20120025879 A KR 20120025879A KR 20130104411 A KR20130104411 A KR 201301044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ensing rod
- battery case
- sensing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979 Alces alc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988 Capreo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201 Columb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7251 Co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469 Cry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76 Panthera tig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037666 field crop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유해동물 퇴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앵커수단을 통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주관;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전지 케이스를 통하여 설치되는 태양광 전지판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에 축전하고, 내부의 제어기를 통하여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태양전지유닛;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전원을 통하여 발광하는 복수의 조명;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로부터 출력 제어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하나의 상기 지주관과 다른 하나의 상기 지주관 내부에 일측이 힌지 설치되는 각 감지봉을 복수의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유동하는 감지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mbating harmful animals is disclosed. At least two or more holding pipes are formed in a hollow and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the anchor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ar cel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by a solar panel installed through a battery case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ube, to accumulate in a storage battery, and to control power supply and signal processing through an internal controller; A plurality of lights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of the battery case and emitting light through a power supp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speak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for outputting various sounds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a sensing rod flowing by the tens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s by interconnecting each sensing rod having one side hinged inside the one holding tube and the other holding tube with a plurality of wires. And sensing means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향과 조명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유해한 동물을 퇴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mbating harmful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ombating harmful animals by combating animals harmful to crops using various sounds and lighting.
최근 노루, 고라니, 멧돼지, 토끼, 까치, 비둘기 등 야생동물의 개체 수는 증가하는 반면, 환경파괴로 인한 먹이 부족으로 과수원을 포함하는 농가에서는 수확기를 앞두고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Recently, the population of wild animals such as roe deer, elk, wild boar, rabbit, magpie, and pigeon have increased, while the farming area including orchards caused frequent damage to crops due to the lack of food due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It is becoming.
이에, 농가에서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고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수단을 동원하여 야생동물을 퇴치하고 있다.Therefore, farmers use various means to combat wild animals in order to prevent their access and protect their crops.
대표적인 야생동물 퇴치방법으로는 논이나 밭, 과수원 등에 그물 또는 철조망을 설치하거나, 호랑이와 같은 천적의 배설물을 놓아두어 유해동물의 후각을 자극하여 침입 또는 접근을 방지하는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Representative methods of combating wildlife include mobilizing nets or barbed wire in rice fields, fields, orchards, or by placing natural droppings such as tigers to stimulate the smell of harmful animals to prevent invasion or access.
또한, 근래에는 유해동물 퇴치효과가 좋은 전기 울타리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어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화약의 폭발에 의한 폭발음을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퇴치하는 방법도 동원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use of electric fences, etc., which have a good effect on combating harmful animal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and more and more methods have been mobilized to combat harmful animals using explosion sounds caused by explosive explosions.
그러나 그물이나 철조망을 설치하여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는 방법은 넓은 범위에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의 공격에 의해 펜스나 철조망이 훼손되는 일이 빈번하고, 관리가 소홀한 경우, 야생동물이 침입할 수 있는 소지가 많다.However, the method of preventing the access of wild animals by installing a net or barbed wire is expensive because it must be installed in a wide range, and the fence or barbed wire is frequently damaged by the attack of wild animals, and management is neglected. There are many wild animals that can invade.
또한, 전기 울타리 등과 같은 장치는 전력 수급이 어려운 경작지에 설치하기에는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관리비용도 상당하고, 야생동물이 아닌 사람이 잘못하여 접촉하게 되면 감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devices such as electric fences are expensive to install on arable land, and the maintenance cost for continuous power supply is considerable, and non-wild animals can cause electric shock accidents. There is also a proble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주관 사이에 울타리로 쳐지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에 유해동물의 접촉 시, 이를 감지하여 천적의 울음소리를 이용한 다양한 음향과 조명을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퇴치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rmful animals contact the wires of several strands struck by the fence between the holding pipes, by detecting them by using various sounds and lighting using the natural crying sound of the harmful animals to effectively combat the harmful An animal fight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음향기기 및 조명용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is simple, by providing self-generation using the renewable energy solar power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sound equipment and lighting to provide a device for eliminating harmful animals to smooth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앵커수단을 통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주관;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전지 케이스를 통하여 설치되는 태양광 전지판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에 축전하고, 내부의 제어기를 통하여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태양전지유닛;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전원을 통하여 발광하는 복수의 조명;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로부터 출력 제어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하나의 상기 지주관과 다른 하나의 상기 지주관 내부에 일측이 힌지 설치되는 각 감지봉을 복수의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유동하는 감지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st control device is formed in a hollow at least two or more pillars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the anchor means; A solar cel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by a solar panel installed through a battery case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ube, to accumulate in a storage battery, and to control power supply and signal processing through an internal controller; A plurality of lights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of the battery case and emitting light through a power supp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speak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for outputting various sounds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a sensing rod flowing by the tens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s by interconnecting each sensing rod having one side hinged inside the one holding tube and the other holding tube with a plurality of wir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st control device including a detection means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또한,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하단면 중앙에 고정되는 중공의 체결볼트; 상기 지면에 매설되는 중공의 앵커 파이프; 금속재질의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앵커 파이프의 하단에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앵커 파이프의 상단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되어 상기 지주관과 앵커 파이프를 상호 조립하는 체결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chor means is a hollow fastening bolt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ipe; A hollow anchor pipe embedded in the ground; An anchor formed in a cone shape of a metal material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anchor pipe; And a fastening nut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anchor pipe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to assemble the support pipe and the anchor pip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태양전지유닛은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투명 커버;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둘레면를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을 설치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투명커버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측에 기판을 통하여 설치되며,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광 전지판;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판으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ar cell uni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tube,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case is installed the speaker; A transparent cover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case; An inner case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case and configured to install the plurality of lights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portion of the battery case;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cover and generated by solar light; A storage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to store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olar panel; And it may be configured as a controller integrally configu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피커를 출력 제어하여 다양한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에 전원제어를 통하여 발광시키는 제어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 logic that outputs various sounds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peaker, and simultaneously emits light through power control.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지주관에 힌지 연결되는 감지봉; 상기 전지 케이스의 하단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봉의 상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각 지주관을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 중앙, 하부 일측을 양측으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양측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과 상기 지주관의 내주면 사이에 양측으로 배치되는 수평 스프링; 및 상기 감지봉의 하단과 상기 지주관의 하면 사이에 연결되는 수직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olding pipe is a sensing rod one side hinged to the holding pipe; A sensing sensor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case to sense an upper end of the sensing rod; A plurality of wires passing through the main pipe and fixing one side, the center, and the lower side of the sensing rod to both sides; A horizontal spr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rod and disposed on both sides between an upper side of the sensing rod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it may be composed of a vertical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nsing ro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tube.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지주관과 상기 감지봉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 양측에 대응하는 중앙부 양측에 각각 고정클립이 설치되어 감지봉에 고정되고, 양 단부는 연결수단에 의해 다른 와이어의 단부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penetrates the support tube and the sensing rod, respectively, and fixing clip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ensing rod, respectively, and are fixed to the sensing rod,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other wire by connecting means. Can be interconnected.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와이어 일단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 파이프; 및 중공으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와이어 일단에 연결되고, 내주면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 파이프에 나사 체결되는 제2체결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ipe which is formed in a hollow and connected to one end of a wire, and a thread is formed at one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fastening pipe which is formed in a hollow and connected to one end of another wire, and a threa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crewed to the first fastening pip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여러 개의 지주관 사이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에 연결하여 울타리로 형성하고, 와이어에 유해동물의 접촉 시, 이를 감지하여 천적의 울음소리를 이용한 다양한 음향과 조명을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퇴치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wire of several strands between the several holding pipes are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arable land to form a fence, and when the contact of harmful animals to the wire, it detects this and various sounds using the sound of natural enemies Lighting can be used to effectively stimulate and combat harmful animals.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음향기기 및 조명용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며, 전원공급을 위한 관리비용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is simple, by the self-generation using the renewable energy solar power to supply power for sound equipment and lighting to smooth the power supply and supply, there is an unnecessary unnecessary management cost for power supply.
또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와이어의 길이 및 장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설치가 쉬운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wire can be adjusted freely using the connecting means has the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harmful tid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rmful tid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of FIG. 2.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harmful tida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first, second, etc.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because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harmful tid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rmful tid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논이나 밭, 과수원 등의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지주관(1)을 지면에 매설하고, 각 지주관(1)은 와이어(3)를 이용하여 울타리같이 연결하여 설치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e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arable land such as paddy fields, fields, orchards, the holding pipe (1) is buried in the ground, each holding pipe ( 1) is installed by connecting like a fence using a wire (3).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지주관(1), 태양전지유닛(10), 조명(5), 스피커(7), 감지수단(2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pes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lding pipe (1),
먼저, 상기 지주관(1)은 중공의 관재로 형성되어 앵커수단(30)을 통하여 지면에 설치된다.First, the holding pipe (1) is formed of a hollow pipe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the anchor means (30).
이러한 지주관(1)은 경작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지면에 세워져 설치된다.These
이때, 상기 앵커수단(30)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31), 앵커 파이프(33), 앵커(35), 체결너트(37)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anchor means 30, as shown in Figure 2 and 4, is composed of a
즉, 상기 체결볼트(31)는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관(1)의 하단면 중앙에 용접되어 고정된다.That is, the fastening
상기 앵커 파이프(33)는 지면에 매설되도록 중공의 금속관으로 형성되는데, 그 직경은 상기 체결볼트(31)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1)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앵커(35)는 금속재질의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앵커 파이프(33)의 하단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체결너트(37)는 상기 앵커 파이프(33)의 상단부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지주관(1) 하단의 체결볼트(31)를 상기 체결너트(37)에 체결하여 상기 지주관(1)과 앵커 파이프(33)를 상호 조립한다.That is, the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전지유닛(10)은 상기 지주관(1)의 상단에 전지 케이스(11)를 통하여 설치되는 태양광 전지판(14)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15)에 축전하고, 내부의 제어기(16)를 통하여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를 제어한다.3, the
이러한 태양전지유닛(10)은 전지 케이스(11), 투명 커버(12), 내부 케이스(13), 태양광 전지판(14), 축전지(15), 제어기(16)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전지 케이스(11)는 지주관(1)의 상단에 하단면 가장자리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한 스피커(7)가 설치된다.That is, the
상기 전지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기 투명 커버(12)가 상측으로 끼워져 설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투명 커버(12)는 그 재질이 무색의 투명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때, 상기 전지 케이스(11)는 상측과 측면 둘레에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상기 투명 커버(12)의 상면과 측면 일부분이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3)는 상기 전지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 커버(12)를 지지하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11)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17)에 체결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내부 케이스(13)는 상기 전지 케이스(11)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둘레면를 따라 조명 설치단(18)을 형성하여 상기한 조명(5)이 설치된다.The
이때, 상기 조명(5)은 LED 등의 발광소자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형으로 순간적으로 밝게 발광할 수 있는 수단이면 적용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태양광 전지판(14)은 상기 투명 커버(14)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13)의 상측에 기판(19)을 통하여 설치되며, 태양광에 의해 발전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축전지(15)는 상기 내부 케이스(13)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판(14)으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축전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기(16;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제어회로가 구성된 제어기판의 통칭으로 정의함)는 상기 기판(19)의 하면에 일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기(16)는 상기 스피커(7)를 출력 제어하여 다양한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5)을 전원 제어하여 발광시키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14)으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상기 축전지(15)에 축전 제어하는 제어로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 (wherein the controller is defined as a general name of a control board having a control circu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제어기(16)의 제어로직으로는 상기 감지수단(20)의 신호에 따라 동물소리, 금속성 소리, 총소리 등, 미리 설정된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한 스피커(7)를 출력 제어하거나, 상기 축전지(15)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5)을 조도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발광 제어하거나, 상기 축전지(15)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축전률을 제어하는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logic of the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20)은 상기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여러 개의 지주관(1) 내부와 지주관(1) 상호간을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0 is installed to connect and interlock with the plurality of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수단(20)은 하나의 지주관(1)과 다른 하나의 지주관(1) 내부에 일측이 힌지 설치되는 각 감지봉(21)을 복수의 와이어(3)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3)를 통하여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유동하는 감지봉(21)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16)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sensing means 20 includes a plurality of
즉, 상기 감지수단(20)은 감지봉(21), 감지센서(23), 와이어(3), 수평 스프링(25), 수직 스프링(27)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sensing means 20 is composed of a
상기 감지봉(21)은 지주관(1)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어 하부 일측이 상기 지주관(1)에 힌지핀(P)을 통하여 힌지 연결된다.The
또한, 상기 감지센서(23)는 상기 전지 케이스(11)의 하단면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봉(21)의 상단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기(16)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3)는 일반적인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포토 센서 등 다양한 감지기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와이어(3)는 3가닥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 지주관(1)을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21)의 상부 일측, 중앙, 하부 일측을 각각 양측으로 고정하여 연결한다.In addition, the wire (3) is composed of three strands penetrate the respective holding pipes (1) to connect the upper one side, the center, the lower one side of the
즉, 이러한 와이어(3)는 상기 지주관(1)과 상기 감지봉(21)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21) 양측에 대응하는 중앙부 양측에 각각 고정클립(C)을 압착 고정하여 감지봉(21)에 고정되도록 하고, 와이어(3)의 양 단부는 연결수단(40)에 의해 다른 와이어(3)의 단부에 상호 연결된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4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체결 파이프(41)와 제2체결 파이프(4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체결 파이프(41)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와이어(3) 일단에 고정클립(C)을 통하여 연결되고, 그 외주면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Here,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2체결 파이프(42)는 역시 중공으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와이어(3) 일단에 고정클립(C)을 통하여 연결되고, 그 내주면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 파이프(41)와 나사 체결되어 각 와이어(3)의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연결수단(40)은 제1,제2체결 파이프(41,42)의 상호간의 체결량을 조정하여 와이어(3)의 길이나 장력을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40 can adjust the length or tension of the
그리고 상기 수평 스프링은(23) 상기 3가닥의 와이어(3) 중, 상기 감지봉(21)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3)에 양측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감지봉(21)의 상부 일측과 상기 지주관(1)의 내주면 사이에 양측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pring (23) of the three strands of the wire (3),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rod (21)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both sides of the wire (3)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ensing rod (21), respectively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between one sid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pipe (1).
또한, 상기 수직 스프링(27)은 상기 감지봉(21)의 하단과 상기 지주관(1)의 하면 사이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봉(21)의 하단에는 스프링 핀(28)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관(1)의 하면 중앙에는 아이볼트(29)가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 핀(28)과 상기 아이볼트(29)에 상기 수직 스프링(27)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4, a
이때, 상기 지주관(1)의 하면에 대한 아이볼트(29)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상기 수직 스프링(27)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이러한 2개의 수평 스프링(25)과 하나의 수직 스프링(27)은 상기 지주관(1)의 내부에서 상기 감지봉(21)의 초기 설치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봉(21)의 상단이 감지되도록 해주고, 와이어(3)로부터 전달되는 외력(F)에 의해 상기 감지봉(21)이 유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신속하게 초기 설치위치로 복원시켜 주게된다.These two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논이나 밭, 과수원 등의 경작지 가장자리를 따라 여러 개의 지주관(1)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상태로, 3가닥의 와이어(3)를 이용하여 울타리 모양으로 연결하여 설치된다.Therefore, in the harmful animal control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three strand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ding pipes (1)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arable land such as rice fields, fields, orchards, etc. It is installed by connecting in the shape of a fence using a wire (3).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물, 밭작물, 과수 등에 유해한 노루, 고라니, 멧돼지, 토끼, 까치, 비둘기 등의 야생동물이 경작지 내부로 침입하는 과정에 와이어(3)에 접촉되면, 와이어(3)를 통하여 상기 감지봉(21)에 외력(F)이 전달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wild animal, such as roe deer, elk, wild boar, rabbit, magpie, pigeon, etc. harmful to crops, field crops, fruit trees, in contact with the wire (3) in the process of invading the farmland, the wire ( External force (F) is transmitted to the
그러면, 상기 감지봉(21)은 힌지핀(P)을 기준으로 와이어(3)를 통하여 외력(F)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지봉(21)의 상단이 감지센서(23)로부터 벗어나게 된다.Then, the
이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봉(21)의 상단을 감지해서 제어기(16)로 출력하던 감지신호가 차단되고, 제어기(16)는 이러한 신호차단을 유해동물이 경작지로 침입하려는 신호로 인식하여 스피커(7)와 조명(5)을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Accordingly, by detecting the upper end of the
즉, 상기 스피커(7)로는 유해동물의 천적인 동물의 소리나, 총소리, 듣기 싫은 금속성 소리를 출력하여 유해동물을 자극하고, 야간에는 조명(5)을 여러 차례에 걸쳐 순간적으로 밝게 발광시켜 유해동물을 자극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조명(5)의 점등방식은 다수개의 조명(5)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한번에 점등시키는 등, 필요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ing method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장치는 상기 지주관(1) 사이에 울타리로 쳐지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3)에 유해동물의 접촉 시, 이를 감지하여 천적의 울음소리를 이용한 다양한 음향과 조명을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퇴치한다.As such,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combating harmful animals detects contact with harmful animals on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한 자체 발전으로 음향기기 및 조명용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여 전원공급을 위한 관리비용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is simple, by the self-generation using the renewable energy solar power to supply power for sound equipment and lighting to smooth the power supply and supply, the management cost for power supply is unnecessary.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s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changes to the extent deemed acceptable.
1: 지주관 3: 와이어
5: 조명 7: 스피커
10: 태양전지유닛 11: 전지 케이스
12: 투명 커버 13: 내부 케이스
14: 태양광 전지판 15: 축전지
16: 제어기 17: 장착 브라켓
18: 조명 설치단 19: 기판
20: 감지수단 21: 감지봉
23: 감지센서 25: 수평 스프링
27: 수직 스프링 28: 스프링 핀
29: 아이볼트 30: 앵커수단
31: 체결볼트 33: 앵커 파이프
35: 앵커 37: 체결너트
40: 연결수단 41,42: 체결 파이프
C: 고정클립1: holding tube 3: wire
5: lighting 7: speaker
10: solar cell unit 11: battery case
12: transparent cover 13: inner case
14
16: Controller 17: Mounting Bracket
18: lighting installation stage 19: substrate
20: sensing means 21: sensing rod
23: sensor 25: horizontal spring
27: vertical spring 28: spring pin
29: eye bolt 30: anchor means
31: Fastening bolt 33: Anchor pipe
35: Anchor 37: Tightening Nut
40: connecting means 41, 42: fastening pipe
C: fixed clip
Claims (7)
중공으로 형성되어 앵커수단을 통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주관;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전지 케이스를 통하여 설치되는 태양광 전지판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에 축전하고, 내부의 제어기를 통하여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태양전지유닛;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전원을 통하여 발광하는 복수의 조명;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로부터 출력 제어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하나의 상기 지주관과 다른 하나의 상기 지주관 내부에 일측이 힌지 설치되는 각 감지봉을 복수의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유동하는 감지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In the pest control device,
At least two pillars formed in a hollow and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anchor means;
A solar cel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by a solar panel installed through a battery case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ube, to accumulate in a storage battery, and to control power supply and signal processing through an internal controller;
A plurality of light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case and emitting light through a power supp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speak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and outputting various sounds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One sensing pipe and one sensing rod installed inside the other supporting pip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wi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wires to sense the sensing rods flowing by the tens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s, and sensed by the controller. Sens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Harmful animal eradica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하단면 중앙에 고정되는 중공의 체결볼트;
상기 지면에 매설되는 중공의 앵커 파이프;
금속재질의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앵커 파이프의 하단에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앵커 파이프의 상단부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되어 상기 지주관과 앵커 파이프를 상호 조립하는 체결너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nchor means
A hollow fastening bolt fix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ipe;
A hollow anchor pipe embedded in the ground;
An anchor formed in a cone shape of a metal material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anchor pipe; And
A fastening nut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anchor pipe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to assemble the support pipe and the anchor pipe to each other;
Harmful anima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태양전지유닛은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투명 커버;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둘레면를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을 설치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투명커버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측에 기판을 통하여 설치되며,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광 전지판;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전지판으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어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olar cell unit
A battery cas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ube and having one side of the speaker installed therein;
A transparent cover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case;
An inner case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case and configured to install the plurality of lights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portion of the battery case;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cover and generated by solar light;
A storage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to store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olar panel; And
A controller integr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Harmful anima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피커를 출력 제어하여 다양한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에 전원제어를 통하여 발광시키는 제어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controller
Output control the speaker outputs a variety of sound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harmful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logic to emit light through power control.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지주관에 힌지 연결되는 감지봉;
상기 전지 케이스의 하단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봉의 상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각 지주관을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 중앙, 하부 일측을 양측으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양측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과 상기 지주관의 내주면 사이에 양측으로 배치되는 수평 스프링; 및
상기 감지봉의 하단과 상기 지주관의 하면 사이에 연결되는 수직 스프링;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means
A sensing rod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support tube and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support tube;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lower center of the battery case to detect an upper end of the sensing rod;
A plurality of wires penetrating the respective holding tubes and fixing the upper one side, the center, and the lower one side of the sensing rod to both sides;
Horizontal springs disposed at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one side of the sensing ro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in a state in which both wires are connected to the wires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ensing rod; And
A vertical spring connect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sensing rod and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ipe;
Harmful anima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와이어는
상기 지주관과 상기 감지봉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 양측에 대응하는 중앙부 양측에 각각 고정클립이 설치되어 감지봉에 고정되고, 양 단부는 연결수단에 의해 다른 와이어의 단부에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wire is
Fixing clip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entral tub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ensing rod, respectively, through the support tube and the sensing rod, and fixed to the sensing rod,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other wires by connecting means. Harmful animal control device.
상기 연결수단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와이어 일단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 파이프; 및
중공으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와이어 일단에 연결되고, 내주면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 파이프에 나사 체결되는 제2체결 파이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ng means
A first fastening pipe formed in a hollow and connected to one end of a wire and having a thread formed at one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fastening pipe which is formed in a hollow and connected to one end of another wire, and has a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crewed to the first fastening pipe;
Harmful anima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879A KR101354823B1 (en) | 2012-03-14 | 2012-03-14 |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to the cro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879A KR101354823B1 (en) | 2012-03-14 | 2012-03-14 |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to the crop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4411A true KR20130104411A (en) | 2013-09-25 |
KR101354823B1 KR101354823B1 (en) | 2014-01-27 |
Family
ID=4945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58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4823B1 (en) | 2012-03-14 | 2012-03-14 |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to the cro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482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6015A (en) | 2014-01-17 | 2015-07-27 |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driving away harmful beasts |
CN105557680A (en) * | 2016-01-07 | 2016-05-11 | 北京乐动卓越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mosquito repelling device |
KR101688640B1 (en) * | 2016-05-09 | 2016-12-21 | 주식회사 시모디바이스 | Geotechnical change detection system |
KR102422160B1 (en) * | 2022-01-11 | 2022-07-18 | (주)이알코리아 | Detachable Animal Detection And Sound Gen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770B1 (en) * | 2017-12-29 | 2019-10-10 |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respass of harmful wild anima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6176A (en) * | 1994-10-19 | 1996-05-17 | Meishin Denki Kk | Bird-repellent apparatus |
JP2003310138A (en) * | 2002-04-26 | 2003-11-05 | Shinwa Kogyo Kk | System for preventing bird from coming flying |
JP2006075100A (en) * | 2004-09-10 | 2006-03-23 | Hard Giken Kogyo Kk | Method for preventing intrusion of noxious birds and animals and apparatus therefor |
KR200377740Y1 (en) | 2004-12-15 | 2005-03-11 | 이흥목 | Post for supporting a young plant of crops |
-
2012
- 2012-03-14 KR KR1020120025879A patent/KR1013548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6015A (en) | 2014-01-17 | 2015-07-27 |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driving away harmful beasts |
CN105557680A (en) * | 2016-01-07 | 2016-05-11 | 北京乐动卓越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mosquito repelling device |
KR101688640B1 (en) * | 2016-05-09 | 2016-12-21 | 주식회사 시모디바이스 | Geotechnical change detection system |
KR102422160B1 (en) * | 2022-01-11 | 2022-07-18 | (주)이알코리아 | Detachable Animal Detection And Sound Gen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4823B1 (en) | 2014-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4823B1 (en) | Device for repelling harmful animals to the crops | |
US20120286956A1 (en) | Bird repelling device | |
KR102407179B1 (en) | Fence prop vibration type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device | |
KR101374685B1 (en) | Device of driving away harmful animal | |
JP3187091U (en) | Pest repelling device | |
KR200457003Y1 (en) | Fence Wildlife Warning System | |
KR101443046B1 (en) | An eradicating mole and rodent system | |
KR200421265Y1 (en) | Hazardous Tide Control System | |
KR102130631B1 (en) | Mole-fighting device | |
KR101752609B1 (en) | Sky Dancer for combating harmful assistant | |
KR20210058088A (en) | The harmful animal artificial intelligence eliminator | |
CN201821823U (en) | Automatic all-weather solar energy animal driving-off device | |
KR101627628B1 (en) | Alarm system to prevent approaching farm | |
KR101343414B1 (en) | A complex device of prventing wild animal's invasion | |
KR101447967B1 (en) | Harmful animal defeating device using New Renewable Energy | |
KR20130051233A (en) | Multi-functional device for attracting, capturing and expelling wild birds | |
JP3189808U (en) | Bird and beast repelling device | |
CN203872853U (en) | Solar frequency oscillation type insecticidal lamp with self-protecting function | |
KR20070105428A (en) |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ur and feather | |
JP4836124B2 (en) | Bird repellent device | |
KR102549455B1 (en) | Boar eradication system using LED light-emitting ropes | |
JP2003219788A (en) | Animal barrier system, net for animal barrier and ring for fixing animal barrier net | |
JP4224796B2 (en) | Pest intimidation equipment | |
KR101289753B1 (en) | a apparatus of exploding for wild animals | |
US20180139950A1 (en) | Line Electric Fence Light Gas Discharge Lam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