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253A -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 - Google Patents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2253A KR20130102253A KR1020120023345A KR20120023345A KR20130102253A KR 20130102253 A KR20130102253 A KR 20130102253A KR 1020120023345 A KR1020120023345 A KR 1020120023345A KR 20120023345 A KR20120023345 A KR 20120023345A KR 20130102253 A KR20130102253 A KR 201301022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equipment
- tubular drilling
- drill floor
- drilling equip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02—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E21B33/06—Blow-out preventers, i.e. apparatus closing around a drill pipe, e.g. annular blow-out preventer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적재되어 있는 관형시추장비를 비오피장비적재공간을 거쳐 드릴플로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위치하고 상기 드릴플로어 측으로 연장된 캣워크와; 상기 캣워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올려진 관형시추장비를 드릴플로어를 향해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상기 비오피장비적재공간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를 통과한 관형시추장비를 넘겨받아 상기 드릴플로어로 유도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필요시 상기 브리지를 움직여 브리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브리지구동부와; 상기 브리지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는, 브리지 자체를 이동시키는 브리지구동부를 구비하므로 브리지의 위치조절이 매우 신속하여, 비오피장비를 들어 올릴 때와 내릴 때 비오피장비의 이동경로로부터 브리지가 쉽게 벋어날 수 있어, 전체적인 이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는, 브리지 자체를 이동시키는 브리지구동부를 구비하므로 브리지의 위치조절이 매우 신속하여, 비오피장비를 들어 올릴 때와 내릴 때 비오피장비의 이동경로로부터 브리지가 쉽게 벋어날 수 있어, 전체적인 이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석유시추와 관련된 시추방법 및 시추장비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과거에는 채산성이 없어 개발하지 않던 심해유전의 개발이 본격화 되고 있다. 상기한 시추작업을 위한 각종 장비는, 시추용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 또는 반잠수식 시추선이나 드릴쉽에 구비된 상태로, 해저에 매장된 원유나 천연가스 등의 자원을 탐사하거나 굴착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한 굴착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에는, 예컨대 라이저(riser), 시추관(drill string), 케이싱(casing), 라이너(liner) 등과 같은 이른바 관형시추장비 및 이들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공간과, 상기 관형시추장비를 시추탑(derrick)으로 운반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시추작업 중 해저 시추지점에 갇혀 있던 고압의 가스나 물, 원유 등이 시추공 내부로 갑자기 분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추관을 차단하는 Blowout preventer(이하, 비오피장비) 등이 있다.
상기 장비들은 시추선의 갑판위에 대략적으로 구획된 장소에 놓여져 배치된다.
도 1은 종래의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시추선(11)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시추선(11)의 갑판(13) 위에,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관형시추장비저장소(15)와, 비오피장비저적재공간(27)과 드릴플로어(33)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드릴플로어(33)에는 문풀(35)과 시추탑(미도시)이 위치한다. 상기 시추탑은 관형시추장비저장소(15)에서 건너온 관형시추장비(19)를 세워 문풀(35)을 통해 해저로 내려 보낸다.
또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15)에는 다수의 관형시추장비(19)가 적재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이송장치(21)가 위치한다. 상기 이송장치(21)는 크레인(17)에 의해 그 위에 올려진 관형시추장비(19)를 상기 드릴플로어(33)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관형시추장비(19)는, 갑판(13) 위에 고정되며 상기 문풀(35)을 향하여 수평 연장된 캣워크(23)와, 상기 캣워크(23)의 상부에 구비되는 콘베이어(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베이어(25)는 크레인(17)으로부터 관형시추장비(19)를 받아, 관형시추장비(19)를 문풀(35)측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특히 상기 콘베이어(25)에 의해 이송되는 관형시추장비(19)는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에 마련되어 있는 브리지(31)를 거쳐 드릴플로어(33)에 도달한다.
상기 브리지(31)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에는 다수의 비오피장비(29)가 준비되어 있다. 상기 비오피장비(29)는 시추시 시추공 내부에서 갑자기 분출하는 고압의 가스나 물, 원유 등의 압력이 해수면 위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의 비상시 사용하는 것이므로 문풀(35)에 최대한 근접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비오피장비(29)가 문풀(35)에 근접 배치되어야 하므로, 관형시추장비저장소(15)와 드릴플로어(33)의 사이에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이 위치할 수 밖에 없다. 이와같이 관형시추장비저장소(15)와 드릴플로어(33)가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에 의해 상호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브리지(31)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 브리지(31)는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의 상부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콘베이어(25)에서 전달된 관형시추장비(19)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드릴플로어(33)에 도달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브리지(31)의 갑판(13)으로부터의 높이는 비오피장비(29)의 높이보다 높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브리지(31)가 비오피장비(29)보다 높이 위치하므로,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에 대기하고 있는 비오피장비(29) 중 일부 비오피장비(29)는 브리지(31)의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비오피장비(29)를 들어올리 때 브리지(31)가 방해물이 된다는 의미이다.
종전에는 상기한 불편함을 감수하고, 브리지(31) 밑에 있는 비오피장비(29)를 사용하기 위해, 인력과 크레인을 투입하여 상기 브리지(31)를 먼저 걷어내고, 크레인을 이용해 비오피장비(29)를 들어올린 후, 브리지(31)를 재설치 하는 작업을 해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브리지 자체를 이동시키는 브리지구동부를 구비하므로 브리지의 위치조절이 매우 신속하여, 비오피장비를 들어 올릴 때와 내릴 때 비오피장비의 이동경로로부터 브리지가 쉽게 벋어날 수 있어, 전체적인 이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는, 관형시추장비저장소와 비오피장비적재공간과 드릴플로어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시추선에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적재되어 있는 관형시추장비를 비오피장비적재공간을 거쳐 드릴플로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위치하고 상기 드릴플로어 측으로 연장된 캣워크와; 상기 캣워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올려진 관형시추장비를 드릴플로어를 향해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상기 비오피장비적재공간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를 통과한 관형시추장비를 넘겨받아 상기 드릴플로어로 유도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필요시 상기 브리지를 움직여 브리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브리지구동부와; 상기 브리지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는; 상기 캣워크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수평으로 받치는 받침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구동부는; 상기 받침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브리지에 연결되어, 브리지를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직선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브리지의 저면에는 브리지 하부로 돌출된 링크블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린더가 상기 받침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작동로드가 상기 링크블록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에는, 브리지이송레일에 대한 브리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브리지이송레일에 대한 브리지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센서는; 상기 브리지의 저면과, 상기 브리지이송레일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의 수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추선은, 관형시추장비저장소와 비오피장비적재공간과 드릴플로어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시추선에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적재되어 있는 관형시추장비를 비오피장비적재공간을 거쳐 드릴플로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위치하고 상기 드릴플로어 측으로 연장된 캣워크와; 상기 캣워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올려진 관형시추장비를 드릴플로어를 향해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상기 비오피장비적재공간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를 통과한 관형시추장비를 넘겨받아 상기 드릴플로어로 유도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필요시 상기 브리지를 움직여 브리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브리지구동부와; 상기 브리지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형시추장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는, 브리지 자체를 이동시키는 브리지구동부를 구비하므로 브리지의 위치조절이 매우 신속하여, 비오피장비를 들어 올릴 때와 내릴 때 비오피장비의 이동경로로부터 브리지가 쉽게 벋어날 수 있어, 전체적인 이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시추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시추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이송장치를 브리지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이송장치를 도 4의 직각방향 측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시추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이송장치를 브리지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이송장치를 도 4의 직각방향 측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시추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가 구비된 시추선(41)의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에는, 상기 브리지(31)를 화살표 z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평행 이동 시키기 위한 한 쌍의 브리지이송레일(43)과,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의 하부에 구비되어 브리지(31)를 구동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47) 등이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은 콘베이어(25)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나란하고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브리지(31)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의 단면 형상은, 단면 2차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브리지(31) 및 브리지(31)를 통과하는 관형시추장비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브리지(31)의 양단부 하부에 브리지이송레일(43)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액츄에이터(47)를 채용하여 브리지(31)를 브리지이송레일(43)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이유는, 비오피장비(29)를 사용할 때, 비오피장비(29)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비오피장비(29)의 이동경로에서 브리지(31)를 비켜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은 브리지(31)의 양단부 하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브리지(31)를 수평으로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을 일정높이에서 견고히 받치기 위하여, 브리지이송레일(43)의 하부에는 후술할 받침프레임(45)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프레임(45)은, 수직 및 수평하중에 대한 내하중 능력을 갖는 구조체로서, 구조역학을 고려하여 다수의 강철빔을 조립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받침프레임(45)은 갑판(13)의 상면에 완전히 고정시켜 쓰러지지 않게 해야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47)는 일반적인 유압식액츄에이터로서, 별도로 마련된 외부의 유압펌프(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유압으로 작동하여 브리지(31)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47)에 의해 브리지(31)는 브리지이송레일(43) 상의 어떠한 지점에서도 위치 가능하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47)를 대신하는 다른 구동장치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체인과 모터를 채용한 구동장치나, 랙크와 피니언식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브리지(31)를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하튼 상기 브리지(31)가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함으로써, 브리지(31) 하부에 위치해 있던 비오피장비(29)가 상부로 개방되어, 크레인으로 비오피장비(29)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사용 후의 비오피장비(29)를 갑판(13)에 원위치 시킬 때에도, 상기 브리지(31)가 옆으로 이동하여 비오피장비(29)의 하강 경로에서 비켜줘야 함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이송장치를 시추선(11)의 폭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이송장치를 도 4의 직각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는, 비오피장비적재공간(27)내의 갑판(13) 상부에 고정되되 비오피장비(29)를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해 반대편에 위치하는 받침프레임(45)과, 상기 각 받침프레임(4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브리지(31)의 양단부를 받치는 브리지이송레일(43)과, 상기 받침프레임(45)에 지지된 상태로 브리지(31)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47)를 포함한다.
상기 브리지(31)의 양단부 저면에는 슬라이딩부(31b)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부(31b)는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에 올려져 지지되는 부분이다. 특히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딩부(31b)의 하단부를 안쪽으로 오므려, 슬라이딩부(31b) 내부에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이 완전히 수용되게 함으로써, 브리지(31)를 브리지이송레일(43)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부(31b)가 브리지이송레일(43)을 잡고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47)의 동작시 슬라이딩부(31b)가 브리지이송레일(43)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 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31b)와 브리지이송레일(43)의 사이에 별도의 윤활제를 주입함이 좋다.
또한 상기 브리지(31)의 저면에는 링크블록(31c)도 두 개소에 구비된다. 상기 링크블록(31c)은, 액츄에이터(47)와 브리지(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액츄에이터(47)의 작동로드(47b)가 링크된다.
특히 상기 두 개의 링크블록(31c) 중 하나의 링크블록(31c)에는 센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는 브리지이송레일(43)에 대한 브리지(3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53)로 하여금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에 대한 상기 브리지(31) 위치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는 이송장치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브리지(31)의 저면에 위치하는 제1센서(49)와, 브리지이송레일(43)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제2센서(5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센서(49) 및 제2센서(51)는 브리지(31)를 브리지이송레일(43)의 길이방향 중앙에 정위치 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1,2센서(49,51)는 수직방향으로 위아래에 상대 위치할 때, 상호 감응하여 제어부(53)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53)로 하여금 액츄에이터(47)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한다. 즉 브리지(31)를 그 지점에서 정지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센서(51)는 브리지이송레일(43)의 길이방향 정중앙 지점의 수직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브리지이송레일(43)의 수평 길이에 대응하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시된 받침프레임(45)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센서(51)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센서홀더바(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센서(49)는 브리지(31)의 저면에 위치하고, 제2센서(51)는 상기 센서홀더바(52)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제어부(53)의 작용에 의해 액추에이터(47)가 작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7)에 의해 이송된 브리지(31)는 제1센서(49)와 제2센서(51)의 센싱 신호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부(53)에 의해 브리지(31)를 브리지이송레일(43)의 정중앙에 정확히 자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7)는 받침프레임(45)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47a)와, 상기 실린더(47a)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이동하는 작동로드(47b)로 이루어진 동력발생부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로드(47b)의 연장단부는 링크블록(31c)에 연결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47)가 동작함에 따라 브리지(31)가 브리지이송레일(4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3)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47)를 통해 브리지(3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센서(49,51)와 연결되어, 센서(49,51)가 위 아래에 상호 대향하는 지점에서, 액츄에이터(47)에 신호를 보내어 브리지(31)를 그 지점에 정위치 시킨다. 브리지(31)가 브리지이송레일(43)의 중앙부에 정위치 되어야 관형시추장비(19)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 : 시추선 13 : 갑판
15 : 관형시추장비저장소 17 : 크레인
19 : 관형시추장비 21 : 이송장치
23 : 캣워크 25 : 콘베이어
27 : 비오피장비적재공간 29 : 비오피장비
31 : 브리지 31b : 슬라이딩부
31c : 링크블록 33 : 드릴플로어
35 : 문풀 41 : 시추선
43 : 브리지이송레일 45 : 받침프레임
47 : 액츄에이터 47a : 실린더
47b : 작동로드 49 : 제1센서
51 : 제2센서 52 : 센서홀더바
53 : 제어부
15 : 관형시추장비저장소 17 : 크레인
19 : 관형시추장비 21 : 이송장치
23 : 캣워크 25 : 콘베이어
27 : 비오피장비적재공간 29 : 비오피장비
31 : 브리지 31b : 슬라이딩부
31c : 링크블록 33 : 드릴플로어
35 : 문풀 41 : 시추선
43 : 브리지이송레일 45 : 받침프레임
47 : 액츄에이터 47a : 실린더
47b : 작동로드 49 : 제1센서
51 : 제2센서 52 : 센서홀더바
53 : 제어부
Claims (8)
- 관형시추장비저장소와 비오피장비적재공간과 드릴플로어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시추선에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적재되어 있는 관형시추장비를 비오피장비적재공간을 거쳐 드릴플로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위치하고 상기 드릴플로어 측으로 연장된 캣워크와;
상기 캣워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올려진 관형시추장비를 드릴플로어를 향해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상기 비오피장비적재공간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를 통과한 관형시추장비를 넘겨받아 상기 드릴플로어로 유도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필요시 상기 브리지를 움직여 브리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브리지구동부와;
상기 브리지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는;
상기 캣워크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브리지의 양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수평으로 받치는 받침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구동부는;
상기 받침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브리지에 연결되어, 브리지를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직선운동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의 저면에는 브리지 하부로 돌출된 링크블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린더가 상기 받침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작동로드가 상기 링크블록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는,
브리지이송레일에 대한 브리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브리지이송레일에 대한 브리지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브리지의 저면에 위치하는 제1센서와,
상기 브리지이송레일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브리지이송레일의 수평 길이에 대응하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센서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센서홀더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 관형시추장비저장소와 비오피장비적재공간과 드릴플로어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시추선에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적재되어 있는 관형시추장비를 비오피장비적재공간을 거쳐 드릴플로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관형시추장비저장소에 위치하고 상기 드릴플로어 측으로 연장된 캣워크와; 상기 캣워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올려진 관형시추장비를 드릴플로어를 향해 이송시키는 콘베이어와; 상기 비오피장비적재공간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를 통과한 관형시추장비를 넘겨받아 상기 드릴플로어로 유도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필요시 상기 브리지를 움직여 브리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브리지구동부와; 상기 브리지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형시추장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345A KR20130102253A (ko) | 2012-03-07 | 2012-03-07 |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345A KR20130102253A (ko) | 2012-03-07 | 2012-03-07 |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2253A true KR20130102253A (ko) | 2013-09-17 |
Family
ID=4945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345A KR20130102253A (ko) | 2012-03-07 | 2012-03-07 |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0225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5689B1 (ko) * | 2020-12-18 | 2021-07-12 | 주식회사 케이기술 | 보링작업과 콘 관입시험기 투입작업을 동시 또는 연속 가능하도록 한 해상 콘 관입시험 방법 |
-
2012
- 2012-03-07 KR KR1020120023345A patent/KR2013010225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5689B1 (ko) * | 2020-12-18 | 2021-07-12 | 주식회사 케이기술 | 보링작업과 콘 관입시험기 투입작업을 동시 또는 연속 가능하도록 한 해상 콘 관입시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077538B (zh) | 海上钻探系统、船及方法 | |
CN104160106B (zh) | 模块化钻机系统 | |
KR101995312B1 (ko) | 해저 유정시추공 작업 선박 | |
DK2783066T3 (en) | Compensator | |
EP2995547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multiple subsea wells from an offshore platform at a single site | |
US7530399B2 (en) | Delivery system for downhole use | |
NO347373B1 (en) | An offshore drilling ri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6458302A (zh) | 海上钻探系统、船及方法 | |
EP3710351B1 (en) | Vessel and method for performing subsea wellbore related activities | |
US11560683B2 (en) | Offshore drilling unit | |
KR20110029391A (ko) | 부유식 시추설비의 파이프 적치대 | |
KR20130102253A (ko) | 관형시추장비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갖는 시추선 | |
KR20160022533A (ko) | 데릭 구조물의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 |
KR101379429B1 (ko) | 이동형 가이드 브릿지가 형성된 선박 | |
CN214397139U (zh) | 用于执行诸如修井活动、井维护、将物体安装在海底钻井孔上的海底钻井孔相关活动的船 | |
KR20110094895A (ko) | 데릭 승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 |
KR101400145B1 (ko) | 부유식 해상구조물 | |
EP3980326B1 (en) | Offshore drilling system, vessel and method | |
KR20130138503A (ko) | 관부재 승강 고정장치 | |
CN118306513A (zh) | 用于例如恶劣环境下的半潜式钻井船 | |
KR101551798B1 (ko) | 오버헤드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 |
CN109072674A (zh) | 钻井设备与控制和信号线路部署模块的组合及使用方法 | |
KR101493806B1 (ko) | 라이저 적재 및 이송 시스템 | |
KR20140035067A (ko) | 접이식 캣워크 플랫폼을 적용한 방폭기 스택의 해양 조작 및 구동 장치 | |
KR20150033763A (ko) | 드릴플로어리스 드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