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9927A -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 Google Patents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927A
KR20130099927A KR1020137005512A KR20137005512A KR20130099927A KR 20130099927 A KR20130099927 A KR 20130099927A KR 1020137005512 A KR1020137005512 A KR 1020137005512A KR 20137005512 A KR20137005512 A KR 20137005512A KR 20130099927 A KR20130099927 A KR 2013009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medium
tgf
cell
multipotent 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9488B1 (en
Inventor
제임스 에이 톰슨
구오카이 첸
Original Assignee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filed Critical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9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4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7Non-embryonic pluripotent stem cells, e.g. MAS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6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e.g. 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12N2500/10Metals; Metal chelators
    • C12N2500/20Transition metals
    • C12N2500/24Iron; Fe chelators; Transferrin
    • C12N2500/25Insulin-transferrin; Insulin-transferrin-sele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8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90Serum-free medium, which may still contain naturally-sourced components
    • C12N2500/92Medium free of human- or animal-derived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98Xeno-free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12N2501/39Steroid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70Enzymes
    • C12N2501/72Transferases [EC 2.]
    • C12N2501/727Kinases (EC 2.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다분화능 세포 생존, 증식, 클로닝 및 유도를 지지하는 완전 규정 배지와 이 배지를 포함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해 기재한다. 규정된 이종물질 비함유 조건 하에 성체 개체로부터 iPS 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기재한다.A fully defined medium that supports multipotent cell survival, proliferation, cloning and induction,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medium are described. Also described is a method of inducing iPS cells from an adult individual under defined heterogeneous material free conditions.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Description

인간 다분화능 세포 배양을 위한 단순화된 기본 배지{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Simplified basal medium for culturing human multipotent cells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적용되지 않음Not Applicable

연방 정부 지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언급Reference to federal funding research or development

본 발명은 미국 국립보건원에 의해 허여된 ES017166 하에 정부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해 일정한 권리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with government support under ES017166 grant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as certain rights in the invention.

배아 줄기(embryonic stem: ES) 세포 및 유도 만능 줄기(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세포와 같은 다분화능 세포는 3개 모두의 1차 배엽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Thomson, et al., Science 282, 1145-1147 (1998)). 다분화능 세포의 놀라운 발달 잠재력은 기초 연구 및 임상적 적용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증식 배지, 플레이트 코팅 및 기타 조건 등의 인간 다분화능 세포 배양을 위한 수많은 기본적 방법이 개발되었고 개량되었다(Ludwig et al., Nat. Biotechnol 24, 185-187 (2006); Ludwig et al., Nat. Methods 3, 637-646 (2006)). 예를 들어, 인간 ES 세포는 초기에는 뮤린(murine) 배아 섬유아세포(MEF) 피더 세포(feeder cell) 상에서 우태 혈청(FBS) 함유 배지에서 배양되었지만, 지금은 완전 규정 배지뿐만 아니라 규정 단백질 매트릭스가 이용 가능하다(Ludwig et al., Nat. Biotechnol 24, 185-187 (2006)).Multipotent cells, such as embryonic stem (ES) cell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cells, have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all three primary germ cells (Thomson, et al. , Science 282, 1145-1147 (1998). The surprising developmental potential of multipotent cells has proven useful for basic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umerous basic methods for culturing human multipotent cells, such as growth medium, plate coating and other condi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improved (Ludwig et al. , Nat. Biotechnol 24, 185-187 (2006); Ludwig et al. , Nat. Methods 3, 637-646 (2006). For example, human ES cells were initially cultured in fetal bovine serum (FBS) containing medium on murine embryonic fibroblast (MEF) feeder cells, but now regulatory protein matrices as well as fully defined medium are used. Possible (Ludwig et al. , Nat. Biotechnol 24, 185-187 (2006)).

지난 십년에 걸쳐, 다분화능 세포 배양법이 크게 발전하였다. 다분화능 세포의 생존 및 증식을 위한 기본 영양분 및 성장 인자를 제공하고 세포가 어떻게 성장하여 분화할지를 직접 결정하는 몇 종의 증식 배지가 개발되었다. TeSRTM은 복수의 배양 계대를 통해 피더 세포 또는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um) 부재 하에 미분화 상태로 다분화능 세포 유지를 지지하는 최초의 규정 배지 중 하나였다(Ludwig et al., Nat. Methods 3, 637-646 (2006); 미국 특허 제7,449,334호,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기재된 것처럼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됨). TeSRTM은 그 자체가 52종의 성분을 함유하는 기본 배지 DMEM/F12 이외에도 18종의 성분을 포함한다(표 1).Over the past decade, pluripotent cell cultures have evolved significantly. Several proliferation media have been developed that provide basic nutrients and growth factors for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multipotent cells and directly determine how cells grow and differentiate. TeSR was one of the first defined media to support pluripotent cell maintenance in undifferentiated state in the absence of feeder cells or conditioned medium through multiple culture passages (Ludwig et al. , Nat. Methods 3, 637-). 646 (2006); US Pat. No. 7,449,334, each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TeSR itself contains 18 components in addition to basal medium DMEM / F12, which contains 52 components (Table 1).

다분화능 세포 배양에 이용 가능한 다종 다양한 증식 배지는 연구 결과의 비일관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완전 규정 배지를 비롯하여 다분화능 세포 유도 및 성장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배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분화능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 이전에는, 각각의 배지 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들과 조합하여 세포 배양에 있어서의 생존력, 다분화성 또는 분화와 같은 다양한 다분화능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지지 않았다.The variety of different growth media available for pluripotent cell culture has contributed to the inconsistency of the study results. Currently used media for inducing and growing pluripotent cells, including fully defined media, contain components that can affect pluripotent cells in a variety of ways. Prior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it is not known that each media component,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components, affects various multipotent cell functions such as viability, multipotency or differentiation in cell culture.

예를 들어, 대부분의 배지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단백질 성분인 알부민은 지질 캐리어이며, 따라서 결합된 지질을 통해 분화 또는 다분화성의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알부민과 그 결합된 지질의 특성이 이것이 인간 다분화능 세포 배양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알부민 특성은, 재조합 유전 물질로부터 제조된 경우라도 그 공급원에 따라 크게 달라서, 동등한 다른 조건 하에 수행된 실험들 간의 편차에 기여한다. 또한, 클로닝된 인간 혈청 알부민이 이용 가능하지만, 이것은 비교적 높은 가격으로 인해 통상적인 실험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For example, albumin, the most abundant protein component present in most media, is a lipid carrier and thus can affect differentiation or maintenance of multidifferentiation through bound lipids. The properties of albumin and its associated lipids determine whether it can be used for human multipotent cell culture. However, albumin properties, even when made from recombinant genetic material,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ir source, contributing to the variation between experiments performed under other equivalent conditions. In addition, cloned human serum albumin is available, but due to its relatively high price it is rarely used in conventional experiments.

배지로부터 알부민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은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TeSR 중에 존재하는 알부민 또는 임의의 다른 성장 인자의 생략은 세포 생존력, 성장 및 다분화성의 감소와 같은 인간 ESC 배양 효율의 큰 감소를 초래하였다(Ludwig et al., Nat. Biotechnol 24, 185-187 (2006)).Efforts to remove albumin from the media have proven unsuccessful. Omission of albumin or any other growth factor present in TeSR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human ESC culture efficiency, such as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growth and multipotency (Ludwig et al. , Nat. Biotechnol 24, 185-187 ( 2006).

신약 개발, 테스트 및 이식 요법을 위해 다분화능 세포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완전히 규정된 조건, 이상적으로는 이종물질 비함유(xeno-free) 조건 하에서의 이들 세포의 유도 및 증식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당업계에는 다분화능 세포 배양 조건에 대한 컨트롤을 유지하기 위해 비일관성을 도입하는 성분들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에 대한 필요성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당업계에는 특정 배양 목적에 있어서 중요한 다분화능 세포 기능을 지지하는 성분들만을 포함하는 다분화능 세포 배양 배지가 요구된다.In order to fully exploit the potential of multipotent cells for drug development, testing and transplantation therapy,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these cells under fully defined conditions, ideally xeno-free conditions, is desirable. Thus, there is a need in the art to meet the need for a medium that does not contain components that introduce inconsistencies to maintain control over multipotent cell culture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multipotent cell culture media containing only components that support multipotent cell function that are important for specific culture purpos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분화능 세포를 유도하고 배양하기 위한 배지,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특히 다분화능 세포를 위한 완전 규정 배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med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ing and culturing multipotent cells, and more particularly to fully defined media for multipotent cells.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분화능 세포의 생존력, 성장 및 다분화성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배지로서 요약된다.In a fir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an albumin free medium that supports the viability, growth and multipotency of multipotent cells.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셀레늄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comprises selenium.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NODAL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comprises NODAL.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트랜스페린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comprises transferrin.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β)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compris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단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생존력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comprises only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in amounts sufficient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viability, respectively.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단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증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only contains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respectively,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proliferation. Included in quantity.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다분화능 세포의 계대, 동결, 증식, 다분화성, 유도 및 클로닝 후의 생존력을 지지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supports viability after passage, freezing, proliferation, multipotency, induction and cloning of multipotent cells.

제1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이종물질 비함유이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rst aspect, the medium is heterogeneous free.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규정 배지에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요약된다. 제2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분화능 세포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배지는 단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및 FGF를 각각 다분화능 세포 생존력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 제2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분화능 세포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배지는 단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증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 제2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다분화능 세포의 장기간에 걸친 성장, 다분화성, 클로닝, 동결 또는 유도를 지지하는 규정 인자를 포함한다. 제2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분화능 세포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배지는 이종물질 비함유이다.In a second aspect, the invention is summarized as a method of culturing multipotent stem cells in a defined medium. In some embodiments of the second aspect, the medium used to culture the multipotent cells comprises only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and FGF in amounts sufficient to support multipotent cell viability, respectively. In some embodiments of the second aspect, the medium used to culture the pluripotent cells is only water, salt, amino acid, vitamin, carbon source,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respectively. And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pluripotent stem cell prolifera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second aspect, the medium comprises regulatory factors that support prolonged growth, multipotency, cloning, freezing or induction of multipotent cells. In some embodiments of the second aspect, the medium used to culture the multipotent cells is free of heterologous material.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β-머캅토에탄올 및 알부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배지 중의 다분화능 세포의 시험관내 세포 배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3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양 조성물은 섬유아세포 피더 세포, 조건 배지 및 이종물질 오염을 포함하지 않는다.In a third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n in vitro cell culture composition of multipotent cells in a medium substantially free of β-mercaptoethanol and albumin. In some embodiments of the third aspect, the culture composition is fibroblast It does not include feeder cells, conditioned media, and heterologous contamination.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완전 규정 조건 하에 성체 개체(adult individual)로부터 iPS 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요약된다. 이 방법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및 FGF를 모두 생존력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성체 개체로부터 체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예컨대 iPS 세포를 유도하기 위해 규정 조건 하에 세포를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fourth aspect, the invention is summarized as a method of inducing iPS cells from an adult individual under fully defined conditions.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ulturing somatic cells from an adult individual in a medium containing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and FGF in an amount sufficient to maintain viability, and for example cells under defined conditions to induce iPS cells. Reprogramming.

제4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리프로그래밍 과정의 일부에서 또는 전부에서 TGF-β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of the fourth aspect, the medium comprises TGF-β in some or all of the reprogramming process.

제4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부티레이트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ourth aspect, the medium comprises butyrate.

제4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하이드로코티손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ourth aspect, the medium comprises hydrocortisone.

제4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이종물질 비함유이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ourth aspect, the medium is heterogeneous free.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클로닝하는 방법으로서 요약된다. 이 방법은 다분화능 줄기 세포 클로닝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클로닝 밀도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플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fifth aspect, the invention is summarized as a method of cloning multipotent stem cells in albumin free medium. The method includes plating the multipotent stem cells at the cloning density in albumin-free medium that supports multipotent stem cell cloning.

제5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ROCK 억제제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fth aspect, the medium comprises a ROCK inhibitor.

제5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블레비스타틴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fth aspect, the medium comprises blevistatin.

제5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단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클로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fifth aspect, the medium only contains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respectively,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cloning. Included in quantity.

제6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냉동보존(cryopreserve)하는 방법으로서 요약된다. 이 방법은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sixth aspect, the invention is summarized as a method of cryopreserve multipotent stem cells in albumin free medium. The method includes freezing multipotent stem cells in albumin free medium.

제6 양태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배지는 단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TGF-β와 NODAL 중 하나, 및 디메틸 설폭시드(DMSO)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sixth aspect, the medium comprises only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One of TGF-β and NODAL, and dimethyl sulfoxide (DMSO).

제7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알부민 조건 하에 유도된 iPS 세포로서 요약된다. 알부민 부재 하에 유도된 iPS 세포는 내인성 알부민 오염을 포함하지 않는다.In a seven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iPS cells induced under albumin condition. IPS cells induced in the absence of albumin do not contain endogenous albumin contamination.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조성물은 다분화능 세포를 유도, 배양 및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용도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도된 배양 목적을 지지하는 인자로 한정된 다분화능 세포를 위한 단기 및 장기 배양 조건을 규정하는 것이다.The methods and compositions described herein are useful for a variety of uses for inducing, culturing and using multipotent cell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fine short and long term culture conditions for multipotent cells defined as factors supporting the intended culture objectiv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분화 상태의 배양 세포의 비율을 최대로 하는 다분화능 세포를 위한 배양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ulture conditions for multipotent cells that maximize the proportion of cultured cells in undifferentiated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조건이 다분화능 세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고 다양한 배지 환경에서 이전에 보고된 실험과 비교하는 데 필요한 플랫폼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um that can be used as a platform for observing how various conditions affect pluripotent cells and comparing them to previously reported experiments in various medium environments.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들과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을 인용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제한 없이 예시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변경예, 균등예 및 대안예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본원에 인용된 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These and other features,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form a part hereof, where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illustrated without limita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nd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Accordingly,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claims cited herein to interpret the scope of the invention.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상기에 기재된 것 이외의 특징, 양태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면을 인용한다.
도 1a∼1e는 배양에 있어서의 인간 ES 세포 생존 및 자기 재생을 위한 배지 요소를 예시한다. 도 1a는 다양한 배지 중에 플레이팅된 개별화된 세포에 대한 24시간 생존 지수를 예시한다. 배지 약어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인슐린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IF), 소 혈청 알부민(BSA), 베타-머캅토에탄올(BME)의 존재는 "+"로 표시되어 있고, 부재는 "-"로 표시되어 있다. 도 1b는 다양한 배지 중에 플레이팅된 개별화된 세포에 대한 24시간 및 96시간 생존 지수를 예시한다. 인슐린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의 첨가는 "+"로 표시되어 있고, 제거는 "-"로 표시되어 있다. 도 1c는 비타민 C 함유 TeSRTM 배지, 비타민 C 비함유 TeSRTM 배지(TeSRTM-LAA), 또는 DF5 배지 중에서 배양된 개별화된 세포에 대한 24시간 또는 129시간 생존 지수를 예시한다. 도 1d는 DF5, 셀레늄 첨가 DF5(DF5+셀레늄), DF12, 또는 셀레늄 제거 DF12(DF12-셀레늄) 중에서의 각각의 3회 계대 후의 세포 증식을 예시한다. 도 1e는 12종의 상이한 기본 배지의 비교 분석을 예시한다.
도 2a∼2f는 DF5S에 의한 인간 ES 세포 및 iPS 세포 배양 조건의 최적화를 예시한다. 도 2a는 DF5S(아래쪽) 또는 TeSRTM(위쪽)에서 저밀도로(∼1,500개 세포/cm2) 시딩되고 상이한 O2 및 CO2 농도(O15C5: 15% O2 및 5% CO2; O15C10: 15% O2 및 10% CO2; O5C10: 5% O2 및 10% CO2)에서 배양된 개별화된 세포에 대한 생존 지수를 도시한다. 세포 생존력은 24시간 및 124시간째 조사되었다. 도 2b는 소분자 HA100 존재 하(+HA100) 또는 부재 하에 다양한 배지 중에서 배양된 H1 세포의 클로닝 효율을 도시한다(CM100: 100 ng/ml의 FGF를 포함한 조건 배지). 도 2c는 다양한 배지 중에서의 포피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iPS 세포 및 H1 세포의 클로닝 효율을 도시한다. 도 2d는 다양한 배지 중에서의 포피 섬유아세포로부터 유도된 iPS 세포의 클로닝 효율을 도시한다. DF5S trFe는 홀로트랜스페린이 첨가된 DF5S 배지를 나타낸다. 도 2e는 HA100(10 μM, 24시간), 블레비스타틴(10 μM, 4시간), 또는 Y27632(10 μM, 24시간) 존재 하에 다양한 배지 중에서 배양된 H1 세포의 클로닝 효율을 이들 인자 부재 하의 클로닝 효율(대조군)과 비교하여 예시한다. *는 p<0.05를 나타낸다. 도 2f는 정상 산소(진회색 막대) 또는 저산소(연회색 막대) 조건 하에서의 조건 배지(CM), ROCK 억제제(HA100) 함유 CM, ROCK 억제제 함유 TeSR, 및 ROCK 억제제 함유 E8 중에서의 H1 세포의 클로닝 효율을 예시한다. 오차 막대는 평균의 표준 오차를 나타내고; *는 p<0.05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인슐린, 트랜스페린, 셀레늄, L-아스코르브산, FGF2, 및 TGF-β 또는 NODAL(본원에서 각각 "E8(TGF-β)" 및 "E8(NODAL)"로 칭함)이 보충된 DMEM/F12에서의 다분화능 세포 성장 및 유전자 발현을 예시한다. 도 3a는 TeSRTM(진회색 선) 또는 E8(TGF-β(연회색 선) 중에서 유지된 H1 ES 세포(위쪽) 및 iPS 세포(아래쪽)의 증식 배수를 예시한다. 도 3b는 E8(TGF-β) 중에서 배양된 H1 ES 세포 및 TeSRTM 중에서 배양된 H1 ES 세포의 전체 유전자 발현을 예시한다. TeSR 또는 E8(TGFβ) 배지 중에서 3회 계대 동안 유지된 H1 세포의 RNA를 Illumina Genome Analyzer GAIIX를 이용한 RNA-seq로 분석하였다(전체 유전자 발현 상관관계 R = 0.954 (Spearman Correlation)).
도 4a∼4f는 규정 조건 하에서의 iPS 세포 유도를 예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가 첨가된 DF5SFe 기초 배지 중에서의 포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FBS 함유 배지 중에서의 증식과 비교하여 예시한다. 도 4b는 하이드로코티손이 보충된 다양한 배지 중에서의 섬유아세포 성장을 도시한다. 도 4c는 다분화성 마커 OCT4(왼쪽) 및 SSEA4(오른쪽)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4d는 포피 섬유아세포, hES 세포, 피더 세포 상에서 유도된 iPS 세포(iPS 세포(피더)), 및 E8 배지 중에서 유도된 iPS 세포(iPS 세포(E8))에 의한 선택된 유전자의 발현을 예시한다. 모든 세포는 RNA 분석 전에 E8(TGFβ) 배지 중에서 유지되었으며, 단, 섬유아세포는 하이드로코티손을 포함한 E8 중에서 유지되었다. 도 4e는 E8(TGFβ) 배지 중에서 유도된 인간 ES 및 iPS 세포의 전체 유전자 발현을 예시한다(R = 0.955). 도 4f는 E8(TGFβ) 배지 중에서 유도된 MEF 및 iPS 세포 상에서 유도된 iPS 세포의 전체 유전자 발현을 예시한다.
도 5a∼5c는 iPS 세포 유도를 위한 배지 개량을 예시한다. 도 5a는 FGF 없이 TGF-β, 하이드로코티손, TGF-β 및 하이드로코티손, 또는 TGF-β 및 하이드로코티손이 보충된 DF5SFe 배지 중에서의 포피(진회색 막대) 및 PRPF8-2 성체 섬유아세포(연회색 막대)의 증식을 도시한다. 도 5b는 포피 섬유아세포의 리프로그래밍에 대한 TGF-β 및 부티레이트의 영향을 예시한다. 초기 리프로그래밍 트랜스펙션으로부터 4∼5주 후, 형질전환 세포 및 본래의(true) iPS 세포에 대한 콜로니수를 스코어링하고 iPS 콜로니 대 비-iPS 세포 콜로니의 비를 계산하였다.
도 6a 및 6b는 2차 계대 없이 완전 규정 조건 하에서의 성체 섬유아세포로부터의 iPS 세포의 유도를 예시한다. 도 6a는 리프로그래밍 프로토콜의 예를 예시한다. 도 6b는 인슐린, 트랜스페린, 셀레늄, L-아스코르브산, FGF2, 및 TGF-β 또는 NODAL이 보충된 DMEM/F12("E8") 중에서 20회 계대 동안 유지된 iPSC 세포주의 유세포 분석에 의해 측정된 다분화성 마커 OCT4 및 SSEA4의 발현을 예시한다. 음영 피크: OCT4(왼쪽) 및 SSEA4(오른쪽)에 특이적인 항체로 염색(왼쪽); 비음영 피크: 마우스 IgG 대조군 항체.
도 7a∼7c는 다양한 배지 중에서의 인간 섬유아세포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예시한다. 도 7a는 마우스 섬유아세포 피더 세포(MEF)를 사용한 또는 E8에 기초한 배지 중에서의 리프로그래밍에 적용된 80,000개 섬유아세포당 iPS 세포 콜로니의 수를 예시한다.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양 조건에 100 μM의 부티르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도 7b는 TeSRTM 중에서 또는 E8에 기초한 배지 중에서의 리프로그래밍에 적용된 80,000개 섬유아세포당 iPS 세포 콜로니의 수를 예시한다. 도 7c는 완전 규정 조건 하에서의 포피 섬유아세포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에 대한 TGF-β 및 부티레이트 노출 시간의 영향을 예시한다. 섬유아세포를, 100 μM 부티레이트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인슐린, 트랜스페린, 셀레늄, L-아스코르브산 및 FGF2가 보충된 DMEM/F12(TGF-β 비함유 E8) 또는 E8 중에서 리프로그래밍하였다. 모든 조건에 대한 리프로그래밍 효율은 리프로그래밍 30일 후에 분석하였다. *는 p<0.05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형태 및 대안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지만, 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예로서 기재하였고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그와는 반대로 그 의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것에 속하는 모든 변경예, 균등예 및 대안예를 커버하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upo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features, aspect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Such details refer to the following drawings.
1A-1E illustrate media elements for human ES cell survival and self-renewal in culture. 1A illustrates the 24-hour survival index for individualized cells plated in various media. Medium abbreviations are as listed in Table 1. The presence of insulin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IF), bovine serum albumin (BSA), beta-mercaptoethanol (BME) is indicated by "+" and the absence is indicated by "-". 1B illustrates 24 and 96 hour survival indices for individualized cells plated in various media. Addition of insulin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is indicated by "+" and removal is indicated by "-". 1C illustrates the 24-hour or 129-hour survival index for individualized cells cultured in vitamin C containing TeSR medium, vitamin C free TeSR medium (TeSR -LAA), or DF5 medium. 1D illustrates cell proliferation after each three passages in DF5, selenium-added DF5 (DF5 + selenium), DF12, or selenium-removed DF12 (DF12-selenium). 1E illustrates comparative analysis of 12 different basal media.
2A-2F illustrate optimization of human ES cells and iPS cell culture conditions by DF5S. FIG. 2A shows low density (˜1,500 cells / cm 2 ) seeded in DF5S (bottom) or TeSR (top) and different O 2 and CO 2 concentrations (O 15 C 5: 15% O 2 and 5% CO 2 ; O 15 C 10: 15). % 0 2 and 10% C0 2 ; O5C10: survival index for individualized cells cultured in 5% O 2 and 10% CO 2 ). Cell viability was examined at 24 and 124 hours. FIG. 2B shows the cloning efficiency of H1 cells cultured in various media with or without small molecule HA100 (+ HA100) (CM100: Conditional medium with 100 ng / ml FGF). 2C shows the cloning efficiency of iPS cells and H1 cells derived from foreskin fibroblasts in various media. 2D shows the cloning efficiency of iPS cells derived from foreskin fibroblasts in various media. DF5S trFe represents DF5S medium to which holotransferrin was added. 2E shows the cloning efficiency of H1 cells cultured in various media in the presence of HA100 (10 μM, 24 hours), blevistatin (10 μM, 4 hours), or Y27632 (10 μM, 24 hours) without these factors. An example is compared with an efficiency (control). * Indicates p < 0.05. FIG. 2F illustrates the cloning efficiency of H1 cells in conditioned medium (CM), under ROCK inhibitor (HA100) containing CM, under ROCK inhibitor containing TeSR, and under ROCK inhibitor containing E8 under normal oxygen (dark gray bar) or low oxygen (light gray bar) conditions. do. Error bars represent standard error of the mean; * Indicates p < 0.05.
3A and 3B show DMEM supplemented with insulin, transferrin, selenium, L-ascorbic acid, FGF2, and TGF-β or NODAL (referred to herein as "E8 (TGF-β)" and "E8 (NODAL)", respectively). Multipotent cell growth and gene expression at / F12 are illustrated. 3A illustrates the proliferation fold of H1 ES cells (top) and iPS cells (bottom) maintained in TeSR (dark gray line) or E8 (TGF-β (light gray line). FIG. 3B shows E8 (TGF-β) Total gene expression of H1 ES cells cultured in H1 ES cells and H1 ES cells cultured in TeSR is illustrated RNA of H1 cells maintained for three passages in TeSR or E8 (TGFβ) medium is analyzed by RNA-using Illumina Genome Analyzer GAIIX. Analysis by seq (total gene expression correlation R = 0.954 (Spearman Correlation)).
4A-4F illustrate iPS cell induction under defined conditions. 4A illustrates the proliferation of foreskin fibroblasts in DF5SFe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compared to proliferation in FBS containing medium. 4B shows fibroblast growth in various media supplemented with hydrocortisone. 4C depicts expression of the multipotent markers OCT4 (left) and SSEA4 (right). 4D illustrates expression of selected genes by foreskin fibroblasts, hES cells, iPS cells induced on feeder cells (iPS cells (feeders)), and iPS cells induced in E8 medium (iPS cells (E8)). All cells were maintained in E8 (TGFβ) medium before RNA analysis, except fibroblasts were maintained in E8 including hydrocortisone. 4E illustrates total gene expression of human ES and iPS cells induced in E8 (TGFβ) medium (R = 0.95). 4F illustrates total gene expression of iPS cells induced on MEF and iPS cells induced in E8 (TGFβ) medium.
5A-5C illustrate media improvement for iPS cell induction. FIG. 5A shows foreskin (dark gray bar) and PRPF8-2 adult fibroblasts (light gray bar) in DF5SFe medium supplemented with TGF-β, hydrocortisone, TGF-β and hydrocortisone, or TGF-β and hydrocortisone without FGF Show proliferation. 5B illustrates the effect of TGF-β and butyrate on reprogramming of foreskin fibroblasts. Four to five weeks after initial reprogramming transfection, colony counts for transformed cells and true iPS cells were scored and the ratio of iPS colonies to non-iPS cell colonies was calculated.
6A and 6B illustrate the induction of iPS cells from adult fibroblasts under fully defined conditions without secondary passage. 6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eprogramming protocol. FIG. 6B shows multiple minutes measured by flow cytometry of iPSC cell lines maintained for 20 passages in DMEM / F12 (“E8”) supplemented with insulin, transferrin, selenium, L-ascorbic acid, FGF2, and TGF-β or NODAL. Expression of the chemical markers OCT4 and SSEA4 is illustrated. Shaded peak: stained with antibodies specific for OCT4 (left) and SSEA4 (right) (left); Non-shaded peak: mouse IgG control antibody.
7A-7C illustrate the reprogramming efficiency of human fibroblasts in various media. FIG. 7A illustrates the number of iPS cell colonies per 80,000 fibroblasts applied to reprogramming with mouse fibroblast feeder cells (MEF) or in E8 based media. To improve the efficiency, 100 μM sodium butyrate was added to both conditions. FIG. 7B illustrates the number of iPS cell colonies per 80,000 fibroblasts applied for reprogramming in TeSR or in E8 based media. 7C illustrates the effect of TGF-β and butyrate exposure time on reprogramming efficiency of foreskin fibroblasts under fully defined conditions. Fibroblasts were reprogrammed in DMEM / F12 (TGF-β free E8) or E8 supplemented with insulin, transferrin, selenium, L-ascorbic acid and FGF2 with or without 100 μM butyrate. Reprogramming efficiencies for all conditions were analyzed 30 days after reprogramming. * Indicates p &lt; 0.05.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are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and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hat all modifications belong to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발명은 다분화능 세포의 배양에 필수적이라고 생각되었던 특정 배지 성분이 특정 배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제되는 다분화능 세포 배양 배지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는 본 발명자들의 관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ventors' observation that certain media components that were considered essential for the culturing of multipotent cells can be omitted from the multipotent cell culture medium prepared to achieve a particular culture purpose.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다분화능 세포(pluripotent cell)"는 3개의 모든 배엽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다분화능 세포의 예는 배아 줄기 세포 및 유도 만능 줄기(iPS) 세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iPS 세포"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원의 그 개개의 분화된 체세포와 유전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ES 세포와 같이 다분화능이 더 큰 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세포를 의미한다. 이 세포는 비다분화능 세포(예를 들어, 다능 세포(multipotent cell) 또는 체세포)를 리프로그래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luripotent cell" refers to a cell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all three germ cells. Examples of multipotent cells include embryonic stem cell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iPS) cells. As used herein, “iPS cell” refers to a cell, as described herein, that is genetically substantially identical to its individual differentiated somatic cells of origin and exhibits similar properties to cells with greater pluripotency, such as ES cells. do. These cells can be obtained by reprogramming non-dipotential cells (eg, multipotent cells or somatic cells).

본 발명은 특정 배양 목적에 필수적이지 않은 인자를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배지에 관한 것이다. 배양 목적의 예는 세포 생존, 계대배양, 증식, 다분화성, 클로닝 및 iPS 세포 유도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알부민 배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new medium that does not contain factors that are not essential for the specific culture purpose. Examples of culture objectiv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ell survival, passage, proliferation, multipotency, cloning and iPS cell induc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lbumin free medium.

명확히 하자면, "계대(배양)(passaging)"와 "클로닝(cloning)"은 상이한 방법이다. "계대"는 배양 용기에서 특정 밀도까지 배양되어 응집체를 이루고 그 후 새로운 배양 용기로 옮겨지는 세포 분열 과정을 말한다. 이들 응집체는 임의의 수, 전형적으로 100∼1,000개 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양 상태에서 증식을 쉽게 개시한다. 이와는 달리, "클로닝"은 하나의 개별 ES 세포로부터 인간 ES 세포 콜로니를 성장시킴으로써 클론 콜로니를 개시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클로닝 효율"은 새로운 세포 콜로니를 형성하는 개별화된 세포의 수를 배양 상태로 플레이팅된 개별화된 세포의 수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클로닝 효율은 배양 조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MATRIGEL® 상에서의 규정 조건 및 이종물질 비함유 조건 하에서의 인간 ES 세포의 클로닝 효율은 매우 낮은 반면(즉, 약 0.1% 미만), 섬유아세포 조건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이들 세포의 클로닝 효율은 여전히 낮긴 하지만(즉, 약 2% 미만) 클론 ES 세포 콜로니를 개시시킬 정도로는 충분히 높다.For clarity, "passaging" and "cloning" are different methods. "Passage" refers to a cell division process in which the culture vessel is cultured to a certain density to form aggregates and then transferred to a new culture vessel. These aggregates may comprise any number, typically 100-1,000 cells, and readily initiate proliferation in culture. In contrast, “cloning” refers to initiating clone colonies by growing human ES cell colonies from one individual ES cell. As used herein, “cloning efficiency” means the number of individualized cells forming new cell colonies divided by the number of individualized cells plated in culture. Cloning efficiency is highly dependent on the culture conditions. For example, the cloning efficiency of human ES cells under regulatory and heterogenous-free conditions on MATRIGEL ® is very low (ie less than about 0.1%), whereas the cloning efficiency of these cells cultured using fibroblast conditions medium Is still low (ie less than about 2%) but high enough to initiate clonal ES cell colonies.

현재 사용되고 있는 특정 배지 성분은 배양 세포에 손상을 주거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β-머캅토에탄올은 배양된 다분화능 세포에 손상을 주어 심지어 사멸시킬 수 있다. 혈청 배지 첨가제, 예컨대 소 혈청 알부민(BSA) 또는 우태 혈청(FCS)은 배양된 다분화능 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혈청 성분은 동일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것이라도 그 조성이 크게 다를 수 있어서 예측할 수 없는 배양 편차를 도입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배지는 대부분의 통상적인 다분화능 세포 배양 배지 중에 존재하는 손상성, 분화성 및 비규정 인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개시된 배지는 단기의 다분화능 세포 생존을 지지하는 것(예를 들어 24시간, 단기 증식, 예를 들어, 4∼5일), 장기간에 걸친 배양 기간 동안 다분화능 세포를 유지하는 것(예를 들어 3개월 동안 25회 초과의 계대) 및 렌티바이러스 및 에피솜 벡터를 사용하여 태아 및 성체 섬유아세포로부터 iPS 세포를 유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배양 목적을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Certain media components currently in use can damage or induce differentiation of cultured cells. For example, β-mercaptoethanol can damage and even kill cultured multipotent cells. Serum medium additives such as bovine serum albumin (BSA) or fetal bovine serum (FCS) can induce differentiation of cultured multipotent cells. In addition, even commercially available serum components may differ greatly in composition even if they are supplied from the same source, thereby introducing unpredictable culture variations. The media described herein are substantially free of damaging, differentiating and non-defining factors present in most conventional multipotent cell culture media. Disclosed media support short-term multipotent cell survival (eg 24 hours, short-term proliferation, eg 4-5 days), maintaining multipotent cells for long periods of culture (eg More than 25 passages in 3 months) and lentiviral and episomal vector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for a variety of culture purposes, such as inducing iPS cells from fetal and adult fibroblasts.

특정 세포 배양 목적을 위해 특이적으로 조정된 신규한 최소 배지를 개발하였다. 염, 비타민, 글루코스원, 미네랄 및 아미노산과 같은 다양한 배지 성분들을, 이들 각각이 생존, 성장 또는 다분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테스트하였다. 신규한 생존 어세이(survival assay)를 개발하여, 해리 후 다분화능 세포 생존에 어떤 성분이 필수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하였다. 신규한 배지를 증식을 지지하고 다분화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그 능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또한 이들 배지를, 각각의 배지가 단일 세포 및 그 클로닝 효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클로닝 어세이에 이용하였다. 본원에 기재된 각각의 새로운 배지에 대한 성분들의 완전한 리스트를 표 1에 기재하였다(연한 음영 영역과 진한 음영 영역은 배지 중의 성분의 존재를 나타내고, 체크 무늬 영역은 상호 교환 가능한 성분을 나타내며, 무늬가 없는 영역은 배지 중의 성분의 부재를 나타낸다).New minimal media tailored specifically for specific cell culture purposes have been developed. Various media components, such as salts, vitamins, glucose sources, minerals and amino acids, were test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ch of them on survival, growth or multiplicity. A novel survival assay was developed and used to identify which components are essential for multipotent cell survival after dissociation. The new medium was tested for its ability to support proliferation and maintain multipotency. These media were also used in cloning assays to determine how each medium affected single cells and their cloning efficiency. The complete list of components for each new medium described herein is shown in Table 1 (light and dark shaded areas indicate the presence of components in the medium, checkered areas indicate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there is no pattern Region indicates absence of components in the medium).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배지는 기본 성분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당업자는 개시된 신규한 배지를 제조하기 위해 출발 물질로서 기본 배지를 이용하는 것의 유익한 효율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기본 배지(basal medium)"는 특수한 배지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단세포 유기체 및 세포의 성장을 지지하는 배지를 의미한다. 전형적인 기본 배지 성분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염, 아미노산, 비타민 및 탄소원(예를 들어, 글루코스)을 포함한다. pH 인디케이터 페놀 레드와 같이 배지의 기본 특성을 바꾸지 않지만 달리 바람직한 다른 성분들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뉴트리언트 믹스쳐(Nutrient Mixture) F-12(DMEM/F12)가 포유동물 세포 배양을 위한 적절한 증식 배지를 제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배지이다. DMEM/F12의 성분들의 전체 리스트는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Various media described herein can be prepared from the basic ingredients. Alternative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beneficial efficiency of using basal medium as starting material to prepare the disclosed novel medium. As used herein, the term “basal medium” means a medium that supports the growth of single cell organisms and cells that do not require special medium additives. Typical basal medium components are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salts, amino acids, vitamins and carbon sources (eg, glucose). Other ingredients that do not alter the basic properties of the medium, such as the pH indicator phenol red, but which are otherwise desirable may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 (DMEM / F12) is commonly used to prepare suitable growth media for mammalian cell culture. Basic badge. The full list of components of DMEM / F12 i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달리 정의하지 않는다면,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테스트에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재료는 본원에 기재한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though any methods and materials similar or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in the practice or te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methods and materials are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기재하고 청구범위를 작성함에 있어서, 이하의 용어를 후술하는 정의에 따라 사용할 것이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king the claims, the following terminology will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s set forth below.

본원에서 사용될 때, "약"은 언급된 농도 범위의 5% 이내 또는 언급된 시간 프레임의 5% 이내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about” means within 5% of the stated concentration range or within 5% of the stated time frame.

본원에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무혈청의"는 배지가 혈청 또는 혈청 대체물질을 포함하지 않거나 배지가 혈청 또는 혈청 대체물질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무혈청의 배지는 약 10%, 9%, 8%, 7%, 6%, 5%, 4%, 3%, 2% 또는 1% 미만의 혈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배지의 배양 능력은 여전히 관찰된다.As used herein, “substantially serum free” means that the medium does not contain serum or serum substitutes or the medium does not substantially comprise serum or serum substitutes. For example, the substantially serum-free medium may comprise less than about 10%, 9%, 8%, 7%, 6%, 5%, 4%, 3%, 2%, or 1% serum, At this time the culture capacity of the medium is still observed.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규정 배양 배지(defined culture medium)" 또는 "규정 배지(defined medium)"는 각각의 배지 성분의 실체 및 양이 알려진 배지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defined culture medium" or "defined medium" refers to a medium in which the identity and amount of each medium component is known.

본원에서 사용될 때, "실질적으로 ∼로 이루어진 배지"는 특정 성분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그 기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배지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substantially consisting of" means a medium comprising a particular component and optionally including other components that do not substantially affect its basic properties.

본원에서 사용될 때, "유효량"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한 세포 효과를 일으키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produce a particular cellular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에서 사용될 때, "생존(력)(viability)"은 생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생존 가능한 다분화능 세포는 세포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하여 세포막의 파괴 없이는 염료 프로피듐 요오다이드에 의해 염색되지 않는다. 단기 생존력은 세포를 배양액에 플레이팅한 후 처음 24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그 시간 내에 증식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viability" means a living condition. Viable multipotent cells adhere to the cell plate surface and are not stained with dye propidium iodide without disruption of the cell membrane. Short-term viability relates to the first 24 hours after plating the cells in culture. In general, cells do not proliferate within that time.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단기 성장(short-term growth)"은 배양액 중에서의 4∼5일 동안의 세포 증식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short-term growth" refers to cell proliferation for 4-5 days in culture.

본원에서 사용될 때, "장기간에 걸친 성장(extended growth)"은 5회 이상의 계대 동안의 성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배지를 20회 초과의 계대(약 2∼3개월) 동안 다분화능 세포 성장을 지지할 수 있는 그 능력에 대해 테스트한다.As used herein, “extended growth” means growth for five or more passages. Generally, the medium is tested for its ability to support multipotent cell growth for more than 20 passages (about 2-3 months).

본원에서 사용될 때, "장기 배양(long-term growth)"은 15회 초과의 계대(약 2개월의 배양)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long-term growth" means more than 15 passages (about 2 months of culture).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다분화성(pluripotency)"은 3개 배엽 모두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의 능력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pluripotency" means the ability of a cell to differentiate into cells of all three germ layers.

본원에서 사용될 때, "클로닝(cloning)"은 출발 배양물로부터, 이상적으로는 단일 다분화능 세포로부터 또는 적어도 매우 적은 수의 세포로부터 세포 배양을 개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미분화 다분화능 세포의 클론 배양을 가능하게 하는 배양 조건은 정상적인 다분화능 세포 배양 및 증식에 요구되는 모든 조건을 가장 요구하는 조건일 수 있다.As used herein, "cloning" refers to the process of initiating cell culture from a starting culture, ideally from a single multipotent cell or from at least very few cells. Culture conditions that allow clone cultures of undifferentiated multipotent cells may be conditions that most demand all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normal multipotent cell culture and proliferation.

본원에서 사용될 때, "iPS 세포 유도"는 다분화능이 아닌 세포를 다분화능이 되도록 리프로그래밍하는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iPS cell induction” means reprogramming a cell that is not multipotent to be multipotent.

본원에서 사용될 때, "이종물질 비함유(xeno-free)"는 배양된 세포의 것 이외의 다른 임의의 세포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 생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 조건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xeno-free" refers to culture conditions that do not include any cells or other kinds of cell products other than those of cultured cells.

본원에서 사용될 때, "정상 산소 조건(normoxic condition)"은 약 20%의 산소를 포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normoxic condition" means a condition comprising about 20% oxygen.

본원에서 사용될 때, "저산소 조건(hypoxic condition)"은 약 20% 미만의 산소, 예를 들어 약 5%의 산소를 포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hypoxic condition" means a condition comprising less than about 20% oxygen, for example about 5% oxygen.

본 발명은 후술하는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upon consideration of the non-limiting examples described below.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다분화능 세포 생존 어세이Example 1: Multipotent Cell Survival Assays

500 ㎕의 다양한 테스트 배지를 세포를 첨가하기 전에 12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로딩하였다. 부착성 다분화능 세포를 TrypLE(Invitrogen)를 사용하여 5분 동안 또는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세포가 완전히 떨어질 때까지 해리시켰다. 배양물에 동일 부피의 배지를 첨가함으로써 TrypLE를 중화시켰다. 세포를 카운팅하고 세척하고 새로운 배지에 300,000∼1,000,000개 세포/ml의 농도로 재현탁시켰다. 이 세포 용액 약 100 ㎕를 12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세포를 5% O2 및 10% CO2로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0.4 ml의 TrypLE를 사용하여 다양한 시점에 세포를 다시 해리시키고, 그 후 이것을 동일 부피의 DMEM 중 10% FBS로 중화시켰다. 세포를 유세포분석법으로 카운팅하였다. 5,000 카운트 브라이트 비드를 내부 대조군으로서 각각의 샘플에 첨가하였다(각각의 샘플에 대해 약 200개의 비드가 카운팅되었다). 모든 실험은 삼중으로 수행하였다.500 μl of various test media were loaded into each well of a 12 well plate before adding cells. Adherent multipotent cells were dissociated using TrypLE (Invitrogen) for 5 minutes or until the cells were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culture plate. TrypLE was neutralized by adding an equal volume of medium to the culture. Cells were counted, washed and resuspended in fresh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300,000 to 1,000,000 cells / ml. About 100 μl of this cell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of a 12 well plate and the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with 5% O 2 and 10% CO 2 . 0.4 ml of TrypLE was used to dissociate the cells again at various time points, which were then neutralized with 10% FBS in the same volume of DMEM. Cells were counted by flow cytometry. 5,000 count bright beads were added to each sample as an internal control (about 200 beads were counted for each sampl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plicate.

실시예 2: 생존 및 단기 성장을 위한 성장 인자Example 2: Growth Factors for Survival and Short-Term Growth

TeSR 배지는 기본 배지 중에 존재하는 것 이외에도, 6종의 성장 인자, 즉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β), γ-아미노부티르산(GABA), 피페콜산, 염화리튬(LiCl) 및 인슐린을 포함한다(표 1). 이들 6종의 성장 인자를 제외한 모든 TeSRTM 성분들을 포함하는 기본 영양 배지(NM)를 제조하였다. 약 2×105개의 H1 ES 세포를 해리시키고 Matrigel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24시간 후 생존 지수를 측정하였다. NM 단독은 해리 후 세포 생존을 지지할 수 없었다. NM으로의 인슐린의 첨가는 TeSRTM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세포 생존을 유도하였으나, 세포 성장을 지지하지 않았다(도 1a). 인슐린(20 ㎕/ml) 및 FGF2(100 ng/ml) 둘 다의 첨가는 세포 생존을 지지하였고, 추가로 96시간 후에 세포 성장을 유도하였으며, 이것은 TeSRTM 배지를 사용할 때 관찰되는 것과 유사하였다(도 1b). 따라서, FGF 및 인슐린이 보충된 NM은 인간 ES 세포 배양을 지지한다. 상기에 기재한 것과 같이 보충된 12종의 상이한 기본 영양 배지는 세포 생존 및 성장을 지지할 수 있었다(도 1e).In addition to being present in the basal medium, TeSR medium contains six growth factors, namely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γ-aminobutyric acid (GABA), pipecolic acid and lithium chloride. (LiCl) and insulin (Table 1). A basic nutrient medium (NM) was prepared comprising all TeSR components except these six growth factors. About 2 × 10 5 H1 ES cells were dissociated and plated on Matrigel. Survival index was measured after 24 hours. NM alone could not support cell survival after dissociation. Addition of insulin to NM induced cell survival similar to that observed in TeSR , but did not support cell growth (FIG. 1A). Addition of both insulin (20 μl / ml) and FGF2 (100 ng / ml) supported cell survival and induced cell growth after an additional 96 hours, which was similar to that observed with TeSR medium ( 1b). Thus, NM supplemented with FGF and insulin supports human ES cell culture. Twelve different basal nutrient media supplemented as described above could support cell survival and growth (FIG. 1E).

실시예 3: L-아스코르브산은 단기 증식을 지지한다.Example 3: L-ascorbic acid supports short term growth.

NM은 11종의 영양 성분, 즉 DMEM/F12, 미량 원소 B, 미량 원소 C, L-아스코르브산, 티아민, 셀레늄, L-글루타민, BSA, BME, 중탄산나트륨(NaHCO3) 및 트랜스페린을 포함한다(표 1). DMEM/F12는 기본 배지로서의 역할을 하며, NaHCO3는 pH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슐린 및 FGF가 존재하는 경우에 다른 영양 성분이 필수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인자를 DMEM/F12, NaHCO3, 인슐린 및 FGF에 개별적으로 첨가하였다. 영양 인자 중 어느 것도 계대 후의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았으나, L-아스코르브산(64 mg/L)은 계대 후의 세포 증식에 필요하였다(도 1c). 비타민 C로서 알려진 L-아스코르브산은 주요 항산화제이고 여러 효소의 보조인자이다. 하이드록시프롤린은 부분적으로 L-아스코르브산을 대체할 수 있다. DMEM/F12, NaHCO3, L-아스코르브산, 인슐린 및 FGF(규정 인자 5, "DF5", 표 1) 중에 플레이팅된 인간 ES 세포는 TeSR로 플레이팅된 인간 ES 세포와 유사한 모폴로지(morphology)를 유지하였다.NM includes 11 nutrients, DMEM / F12, trace element B, trace element C, L-ascorbic acid, thiamine, selenium, L-glutamine, BSA, BME, sodium bicarbonate (NaHCO 3 ) and transferrin ( Table 1). DMEM / F12 acts as a basal medium and NaHCO 3 is used to adjust the pH. Each factor was added separately to DMEM / F12, NaHCO 3 , insulin and FGF to confirm if other nutritional components are essential when insulin and FGF are present. None of the nutritional factors was essential for survival after passage, but L-ascorbic acid (64 mg / L) was required for cell proliferation after passage (FIG. 1C). L-ascorbic acid, known as vitamin C, is a major antioxidant and cofactor of several enzymes. Hydroxyproline may partially replace L-ascorbic acid. Human ES cells plated in DMEM / F12, NaHCO 3 , L-ascorbic acid, insulin and FGF (regulation factor 5, “DF5”, Table 1) have similar morphology to human ES cells plated with TeSR. Maintained.

실시예 4: 장기간에 걸친 계대를 위한 배지 성분Example 4: Medium Components for Long-Term Passage

DF5는 단 1회 계대 동안만 세포 성장을 지지하였다. 2회 계대 후, 세포는 잘 부착하지 못하였고, 결국 사멸하였다(도 1c). 세포는 NM+인슐린+FGF(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음) 및 DF12(도 1d, 표 1) 중에서 계대될 수 있었으며, 이는 NM+인슐린+FGF 및 DF12 중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인자가 장기간에 걸친 계대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NM 중에 존재하는 각각의 영양 인자를 DF5에 개별적으로 첨가하여, 복수의 계대 후의 세포 증식을 지지할 수 있는 그 능력을 판단하였다. 셀레늄 단독의 첨가는 복수의 계대를 통한 세포 증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하였다(도 1d, DF5+셀레늄, "DF5S," 표 1).DF5 supported cell growth for only one passage. After two passages, the cells did not adhere well and eventually died (FIG. 1C). Cells could be passaged between NM + insulin + FGF (data not shown) and DF12 (FIG. 1D, Table 1), indicating that one or more factors present in NM + insulin + FGF and DF12 are important for long-term passage. Suggests that. Each nutrient factor present in NM was individually added to DF5 to determine its ability to support cell proliferation after multiple passages. The addition of selenium alone was sufficient to support cell proliferation through multiple passages (FIG. 1D, DF5 + Selenium, “DF5S,” Table 1).

H1 세포를 증식시키기 위해 DF5S를 사용하였다. DF5S 중에서 배양한 세포는 TeSRTM 중에서 배양한 세포보다 더 잘 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H1 세포는 몇주 동안 성장할 수 있었고(15회 초과의 계대), 이 기간 동안 세포는 인간 ES 세포 모폴로지와 높은 수준의 OCT4 발현을 유지하였다(도 1e, 도 1f). NODAL(100 ng/ml) 또는 TGF-β(2 ng/ml)가 첨가된 DF5S 중에서 배양한 H1 세포는 DF5S 중에서 배양한 H1 세포에 비해 현저히 더 높은 수준의 NANOG mRNA를 발현하였다. DF5S+NODAL은 또한, 다분화성 마커 OCT4의 높은 수준의 발현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2종의 테스트된 인간 iPS 세포주의 다분화성을 지지하였다. NODAL 또는 TGF-β가 첨가된 DF5S 중에서 배양된 모든 세포(hES 세포 및 iPS 세포)는 장기 계대 후에 정상적인 핵형을 유지하였다.DF5S was used to propagate H1 cells. Cells cultured in DF5S tended to differentiate better than cells cultured in TeSR . However, H1 cells were able to grow for several weeks (more than 15 passages), during which time cells maintained human ES cell morphology and high levels of OCT4 expression (FIG. 1E, FIG. 1F). H1 cells cultured in DF5S with NODAL (100 ng / ml) or TGF-β (2 ng / ml) add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NANOG mRNA compared to H1 cells cultured in DF5S . DF5S + NODAL also supported the multipotency of the two tested human iPS cell lines, as confirmed by high levels of expression of the multipotency marker OCT4. All cells (hES cells and iPS cells) cultured in DF5S with NODAL or TGF-β added maintained their normal karyotype after long passage.

실시예 5: 저산소는 세포 성장 및 클로닝을 개선한다.Example 5 Hypoxia Improves Cell Growth and Cloning

H1 세포는 TeSRTM 중에서 배양된 세포에 비해 DF5S 중에서 더 잘 성장한다(도 1c 및 2a). 다분화능 세포 성장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삼투압 농도, pH, 산소 수치 및 CO2 수치를 갖는 DF5S 중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어세이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지 5,000개의 세포를 각각의 웰에 시딩하고, 생존(24시간) 및 증식(124시간)에 대해 분석하였다. O2 및 CO2 수치가 달라질 때 최대 개선이 관찰되었다. 정상적인 배양 조건은 약 15%의 산소 및 5%의 CO2 를 이용한다(O15C5). 더 높은 수치의 CO2는 종종 24시간 후 생존율을 약간 더 높였다. 더 낮은 산소 수치는 DF5S 및 TeSRTM 둘 다에서 세포 성장을 증가시켰다. 10% CO2와 15% O2(O15C10) 및 10% CO2 및 5% 산소(O5C10)는 세포 생존을 증가시켰다(도 2a). 세포는 더 높은 O2 수치(O15C5 및 O15C10)에서 번성하지 못한 반면, 더 낮은 산소 수치(O5C10)에서 증식하였다(도 2a). DF5S 중의 세포는 TeSRTM 중에서 배양된 세포에 비해 더 빨리 성장하였으며, 5% O2 및 10% CO2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였다(도 2a). 산소 수치를 2%로 더 감소시키자 5% O2에 비해 세포 성장이 감소하였다.H1 cells grow better in DF5S compared to cells cultured in TeSR (FIGS. 1C and 2A). To optimize multipotent cell growth conditions, cells were cultured in DF5S with various osmotic concentrations, pH, oxygen levels and CO 2 levels. To increase assay sensitivity, only 5,000 cells were seeded into each well and analyzed for survival (24 hours) and proliferation (124 hours). Maximum improvement was observed when the O 2 and CO 2 levels were varied. Normal culture conditions use about 15% oxygen and 5% CO 2 (O15C5). Higher levels of CO 2 often slightly improved survival after 24 hours. Lower oxygen levels increased cell growth in both DF5S and TeSR . 10% CO 2 and 15% O 2 (O 15 C 10) and 10% CO 2 and 5% oxygen (O 5 C 10) increased cell survival (FIG. 2A). Cells did not thrive at higher O 2 levels (O 15 C 5 and O 15 C 10), while proliferating at lower oxygen levels (O 5 C 10) (FIG. 2A). Cells in DF5S grew faster than cells cultured in TeSR and grew fastest at 5% O 2 and 10% CO 2 (FIG. 2A). Further reduction of oxygen levels to 2% resulted in a decrease in cell growth compared to 5% O 2 .

다양한 산소 및 CO2 농도에서의 클로닝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500개 세포를 각각의 웰에 시딩하였다. 낮은 수치의 산소에서도, 클로닝 효율이 클로닝 시의 다양한 조건의 영향을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낮았다(<2%). 클로닝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ROCK 억제제인 HA100을, 산소 및 CO2 농도를 테스트하기 위해 클로닝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하였다. 클로닝을 위한 최상의 배지인 것으로 알려진 조건 배지(CM)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HA100의 첨가는 O5C10 및 O15C5 둘 다에서 CM 중에서의 클로닝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켰으며, 클로닝 효율은 O15C5보다 O5C10에서 더 높았다(도 2b). DF5S 중에서의 세포의 클로닝 효율은 양 조건 하에서의 CM 중의 세포의 클로닝 효율과 비슷하였다(도 2b).To measure cloning efficiency at various oxygen and CO 2 concentrations, 500 cells were seeded into each well. Even at low oxygen levels, the cloning efficiency was too low (<2%) to confirm the effects of various conditions upon cloning. HA100, a ROCK inhibitor known to increase cloning efficiency, was used to increase cloning efficiency to test oxygen and CO 2 concentrations. Conditional medium (CM), known to be the best medium for cloning, was used as a control. The addition of HA100 markedly improved the cloning efficiency in CM at both O5C10 and O15C5, and the cloning efficiency was higher at O5C10 than O15C5 (FIG. 2B). The cloning efficiency of cells in DF5S was comparable to the cloning efficiency of cells in CM under both conditions (FIG. 2B).

세포 생존에 대한 저산소 조건의 긍정적 영향으로 인해, 후속 실시예 중 일부는 세포를 저밀도로 유지하였을 때 저산소 조건을 이용한다. 그러나, 세포를 저세포 밀도로 배양하지 않았을 경우, 실험을 정상 산소 및 저산소 조건 둘 다에서 수행하였다(도 2b).Due to the positive effect of hypoxic conditions on cell survival, some of the subsequent examples utilize hypoxic conditions when the cells are kept at low density. However, when the cells were not incubated at low cell densit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both normal oxygen and hypoxic conditions (FIG. 2B).

실시예 6: 개선된 iPS 세포 클로닝 효율Example 6: Improved iPS Cell Cloning Efficiency

DF5S가 클로닝 효율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2개의 iPS 세포주를 DF5S 중에서 배양하고, HA100 존재 하에 클로닝 밀도(12웰 플레이트 웰당 약 500개 세포)로 플레이팅하였다. DF5S 중에서 배양한 iPS 세포의 클로닝 효율은 TeSRTM 또는 CM 중에서 배양한 iPS 세포의 클로닝 효율보다 낮았으며(도 2c), 이는 클로닝 효율을 향상시키는 인자가 TeSRTM 배지 중에 존재하지만, DF5S 중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개개의 TeSRTM 성분들을 DF5S에 개별적으로 첨가하여, 클로닝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DF5S에 홀로-트랜스페린을 첨가하는 것(DF5SFe)은 TeSRTM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클로닝 효율을 유도하였다(도 2d). 트랜스페린은 또한 DF5S 배지 중에서의 H1 세포의 클로닝 효율의 현저한 개선을 이끌었다.To see how DF5S affects cloning efficiency, two iPS cell lines were cultured in DF5S and plated at cloning density (about 500 cells per 12 well plate well) in the presence of HA100. The cloning efficiency of iPS cells cultured in DF5S was lower than the cloning efficiency of iPS cells cultured in TeSR or CM (FIG. 2C), which indicates that factors that enhance cloning efficiency are present in TeSR medium, but not in DF5S. Suggests. To confirm that factor, individual TeSR components were added individually to DF5S to test for impact on cloning efficiency. Adding holotransferrin to DF5S (DF5SFe) led to similar cloning efficiency as using TeSR (FIG. 2D). Transferrin also le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loning efficiency of H1 cells in DF5S medium.

인슐린, 트랜스페린, 셀레늄, L-아스코르브산, FGF, 및 TGF-β(또는 NODAL)이 보충된 DMEM/F12("E8") 중의 ROCK 억제제인 HA100 및 Y27632, 및 블레비스타틴은 H1 세포의 클로닝 효율을 증가시켰으며(도 2e), 이것은 트랜스페린의 첨가 및 저산소 조건 하에서의 배양에 의해 추가로 증가되었다(도 2f). 세포는 25회 초과의 계대 후에 정상적인 핵형을 유지하였다.ROCK inhibitors HA100 and Y27632, and blevistatin, in DMEM / F12 ("E8") supplemented with insulin, transferrin, selenium, L-ascorbic acid, FGF, and TGF-β (or NODAL) were effective for cloning H1 cells. Was increased (FIG. 2E), which was further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ransferrin and incubation under hypoxic conditions (FIG. 2F). The cells maintained a normal karyotype after more than 25 passages.

실시예 7: NODAL 및 TGF-β는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의 H1 및 iPS 세포 다분화성의 장기 유지를 지지한다.Example 7 NODAL and TGF-β Support Long-term Maintenance of H1 and iPS Cell Multidifferentiation in Albumin Medium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H1, H9 및 iPS 세포와 같은 인간 다분화능 세포를 DF5S 중에서 성장시켜 15회 이상 계대하였으나, 분화되는 경향을 보여, DF5S 중에서의 다분화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였다. TeSRTM 중에서 다분화성이 더 쉽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TeSRTM 중에 존재하는 성장 인자를, H1 세포를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DF5SFe에 개별적으로 첨가하였으며, 상기 세포는 장기 다분화성을 지지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분화되지 않은 채 DF5S 중에서 미리 배양된 것이었다.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한 지 약 1일 후에 세포를 계대하여 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유세포 분석에 의해 측정된 Oct4 발현을 다분화성의 인디케이터로서 이용하였다.As described in Example 3, human pluripotent cells such as H1, H9 and iPS cells were grown in DF5S and passaged more than 15 times, but tended to differentiate, requiring special attention to maintain pluripotency in DF5S It was. Since multipotency in TeSR can be more easily maintained, growth factors present in TeSR were added separately to the DF5SFe used to culture H1 cells, and the cells identified factors that support long-term multidifferentiation. To be precultured in DF5S without differentiation. Approximately one day after reaching confluency, cells were passaged to promote cell differentiation and Oct4 expression measured by flow cytometry was used as an indicator of multidifferentiation.

DF5SFe 중에서 배양한 인간 다분화능 세포는 길게 생장하여 서로를 따라 일렬로 늘어서서, 분화되기 직전에 "방추"와 같은 모양이 되었다. 이러한 표현형은 신경 분화 개시 시에 종종 관찰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TGF-β BMP 경로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TGF-β 경로의 재조합 단백질을 장기 다분화성을 지지할 수 있는 그 능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TeSRTM 농도로 사용된 NODAL이 보충된 DF5SFe("E8 (NODAL)")은 높은 수준의 Oct4 발현을 유지시켰다. TeSRTM 농도(0.6 ng/ml)로 사용된 TGF-β가 보충된 DF5SFe("E8(TGF-β)")는 낮은 수준의 Oct4 발현을 지지하였으나, 더 높은 농도(1 ng/ml)로 사용되었을 때 높은 수준의 Oct4 발현을 유지할 수 있었다.Human pluripotent cells cultured in DF5SFe grew long and lined up along each other, becoming a "spindle" -like shape just before differentiation. This phenotype is often observed at the onset of neural differentiation, which is generally inhibited by the TGF-β BMP pathway. Thus, recombinant proteins of the TGF-β pathway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support long term multiplicity. DF5SFe (“E8 (NODAL)”) supplemented with NODAL used at TeSR concentrations maintained high levels of Oct4 expression. DF5SFe ("E8 (TGF-β)") supplemented with TGF-β used at TeSR TM concentration (0.6 ng / ml) supported low levels of Oct4 expression, but at higher concentrations (1 ng / ml) High levels of Oct4 expression could be maintained.

H1 및 H9와 같은 인간 ES 세포주는 FBS, 피더 세포 및 넉아웃 혈청 대체물질과 같은 각종 복잡한 배양 성분들에의 노출을 포함하는 배양 이력을 갖는다. 이들 성분에의 노출은 이들 성분들에 대한 의존성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단순화된 배지에 대한 세포 반응을 변경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배양 이력은, 유도 조건이 덜 복잡하기 때문에, 리프로그래밍된 체세포로부터 유도된 iPS 세포의 경우 그 역할이 덜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DF5SFe 중에서 배양한 2종의 오리지널 렌티바이러스 iPS 세포주(Yu, et al., Science 318:1917 (2007))를 사용하여 다양한 인자들을 테스트하였다. 1회 계대 동안 세포를 MEF 플레이트로부터 DF5SFe 배지로 바로 옮기고, 그 후 다양한 성장 인자 조건으로 계대하였다. DF5SFe로의 TGF-β(2 ng/ml) 또는 NODAL(100 ng/ml)의 첨가(각각 "E8(TGF-β)" 및 "E8(NODAL)")는 iPS 세포의 장기 다분화성을 지지하였다. 다분화성 표면 마커 SSEA4, SSEA3, Tra-1-60 및 Tra-1-81 또한 발현되었다. 정상 핵형을 갖는 세포는 20회 초과의 계대 동안 꾸준히 유지되었다. 이 세포는 중증 복합 면역결핍(SCID) 마우스로 주입한 지 5∼7주 후 테라토마를 형성할 수 있었다.Human ES cell lines such as H1 and H9 have a culture history including exposure to various complex culture components such as FBS, feeder cells and knockout serum substitutes. Exposure to these components may lead to dependence on these components, and consequently alter the cellular response to simplified media. The culture history may be less important for iPS cells derived from reprogrammed somatic cells because the induction conditions are less complex. Therefore, various factors were tested using two original lentiviral iPS cell lines (Yu, et al. , Science 318: 1917 (2007)) cultured in DF5SFe. Cells were transferred directly from MEF plates to DF5SFe medium for one passage and then passaged to various growth factor conditions. Addition of TGF-β (2 ng / ml) or NODAL (100 ng / ml) to DF5SFe ("E8 (TGF-β)" and "E8 (NODAL), respectively)) supported long-term multipotency of iPS cells. Multipotent surface markers SSEA4, SSEA3, Tra-1-60 and Tra-1-81 were also expressed. Cells with normal karyotype remained steady for more than 20 passages. The cells were able to form teratomas 5-7 weeks after injection into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 mice.

E8(TGF-β) 및 E8(NODAL)은 25회 초과의 계대 동안(약 3개월) 테스트된 모든 다분화능 세포, 즉 2종의 인간 ES 세포주(H1 및 H9) 및 5종의 iPSC 세포주의 다분화성을 지지하였으며, 분화의 징후는 없었다(도 3). E8 배지 중에서 배양한 H1 ES 세포는 TeSRTM 중에서 배양한 H1 ES 세포와 비교하여 유사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갖는다(도 3b).E8 (TGF-β) and E8 (NODAL) are all multipotent cells tested for more than 25 passages (approximately 3 months), that is, multiples of two human ES cell lines (H1 and H9) and five iPSC cell lines. Mars was supported and there were no signs of differentiation (FIG. 3). H1 ES cells cultured in E8 medium have a similar gene expression profile compared to H1 ES cells cultured in TeSR (FIG. 3B).

실시예 8: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의 iPS 세포의 유도Example 8: Induction of iPS Cells in Albumin Medium

이용 가능한 리프로그래밍 프로토콜은, 세포를 UM100(미국 특허 제7,439,064호, 이 문헌은 본원에 그 전체가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에 포함됨) 또는 CM으로 교환하기 전에, 바이러스 트랜스덕션 또는 전기천공 후 처음 몇일 내에 FBS 중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에 기재된 단순화된 배지를 리프로그래밍을 지지할 수 있는 그 능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ES 유도 체세포는 FBS 함유 배지 중에서의 처음 2일의 배양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아도 렌티바이러스 또는 에피솜 벡터를 사용하여 DF5S 배지 중에서 효율적으로 리프로그래밍될 수 있었다. 그러나, DF5S는 Nanog, Oct4, Sox2 및 Lin28을 사용할 때 1차 포피 세포의 리프로그래밍을 지지하지 않았다. DF5SFe는 개량된 렌티바이러스를 사용할 때 Matrigel 또는 MEF 상에서의 포피 세포 및 성체 세포의 리프로그래밍을 지지하였으며(Ebert et al., Nature 457(7227):277-280 (2009), 이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본원에 포함됨), 이때 세포는 처음에 FBS 함유 배지 중에서 인큐베이션된 것이었다. DF5SFe는 리프로그래밍을 지지함에 있어서 CM만큼 효과적이었지만, FBS에의 초기 노출은 리프로그래밍에 중요한 것으로 보였다.Reprogramming protocols available include FBS within the first few days after viral transduction or electroporation, before exchanging cells for UM100 (US Pat. No. 7,439,064,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in its entirety herein) or CM. Incubating the cells in the middle. The simplified media described in the previous example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support reprogramming. ES induced somatic cells could be efficiently reprogrammed in DF5S medium using lentiviral or episomal vectors with or without the first two days of culture in FBS containing medium. However, DF5S did not support reprogramming of primary foreskin cells when using Nanog, Oct4, Sox2 and Lin28. DF5SFe supported reprogramming of foreskin cells and adult cells on Matrigel or MEF when using an improved lentivirus (Ebert et al. , Nature 457 (7227): 277-280 (2009), which is entirely Included herein as described herein), wherein the cells were initially incubated in FBS containing medium. DF5SFe was as effective as CM in supporting reprogramming, but initial exposure to FBS appeared to be important for reprogramming.

포피 세포는 FBS 배지보다 DF5SFe 중에서 훨씬 더 느리게 성장한다. 1차 포피 세포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성장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FBS 중에 포함된 개개의 성장 인자들을 테스트하였다. FGF 성장 인자 패밀리는 몇 종의 멤버를 포함하며, 이들 중 1종 이상은 섬유아세포 배양에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DF5SFe는 100 ng/ml의 제브라피쉬(zebrafish) 재조합 FGF2를 포함한다. 각각의 FGF 패밀리 멤버를 포피 세포 성장을 지지할 수 있는 그 능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포피 세포를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분액하여 FGF가 없는 DF5SFe 중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유형의 FGF를 96시간 동안 100 ng/ml로 첨가하였다. FGF1, zFGF2, FGF4, FGF6 및 FGF9는 포피 세포 성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지하였으나, FBS 함유 배지뿐만 아니라 어느 것도 세포 성장을 지지하지 못하였다(도 4a). 비-FGF 패밀리 멤버 성장 인자가 FBS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포피 세포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몇 종의 공지된 섬유아세포 성장 촉진 인자를 테스트하였다. FBS를 대체하기 위해 DF5SFe에 첨가된 하이드로코티손(도 4b), 그 유도체 및 덱사메타손은 세포 성장을 현저히 개선시켰다. DF5SFe+하이드로코티손("DF5SFeC")은 또한 iPS 세포 클로닝 효율을 개선시켰다.Foreskin cells grow much slower in DF5SFe than in FBS medium. In order to identify growth factors that may help primary foreskin cell growth, individual growth factors contained in FBS were tested. The FGF growth factor family includes several members, one or more of which are commonly used for fibroblast culture. DF5SFe contains 100 ng / ml zebrafish recombinant FGF2. Each FGF family member was tested for its ability to support foreskin cell growth. Foreskin cells were aliquoted into wells of the culture plate and incubated for 24 hours in DF5SFe without FGF. Each type of FGF was added at 100 ng / ml for 96 hours. FGF1, zFGF2, FGF4, FGF6 and FGF9 most effectively supported foreskin cell growth, but neither FBS containing medium nor cell growth (FIG. 4A). Several known fibroblast growth promoters were tested to see if non-FGF family member growth factors could promote foreskin cell growth similar to that observed in FBS. Hydrocortisone (FIG. 4B), its derivatives and dexamethasone added to DF5SFe to replace FBS markedly improved cell growth. DF5SFe + hydrocortisone (“DF5SFeC”) also improved iPS cell cloning efficiency.

DF5S에 기초한 배지가 무바이러스 iPS 세포 유도에 이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원에 그 전체가 기재된 것과 같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서 포함되는 문헌[Yu et al., Science 324:797 (20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저산소 조건(O5C10)에서 무바이러스 에피솜 벡터를 사용하여 포피 세포를 리프로그래밍하였다. 플라스미드 조합 #4(pEP4EP2SCK2MEN2L 및 pEP4EO2SET2K, 표 3), #6(pEP4EO2SEN2L, pEP4EO2SET2K 및 pEP4EO2SEM2K, 표 3) 및 #19(pEP4EO2SEN2K, pEP4EO2SET2K 및 pCEP4-M2L, 표 3)를 사용하였으며, 2차 계대 후 106개 세포로부터 2개의 클론을 단리하였다.To ascertain whether media based on DF5S can be used for induction of virus-free iPS cells, as described herein in its entirety, see Yu et al. , Science 324: 797 (2009), reprogrammed foreskin cells using hypoxic episomal vectors under hypoxic conditions (O5C10). Plasmid combination # 4 (pEP4EP2SCK2MEN2L and pEP4EO2SET2K, Table 3), # 6 (pEP4EO2SEN2L, pEP4EO2SET2K and pEP4EO2SEM2K, Table 3) and # 19 (pEP4EO2SEN2K, pEP4EO2SET2K and pCEP4-M2L, Table 3), 10 6 after the second passage was used Two clones were isolated from dog cells.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플라스미드 조합 #6 및 #19를 리프로그래밍에 사용하였다. 핵으로의 플라스미드 진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ENBA mRNA를 플라스미드 DNA와 함께 전기천공하였다. 약 100만개의 세포를 2개의 6웰 플레이트의 DF5SFeC 중에 옮겨 5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DF5SFe로 교체하고 18∼25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일부 웰의 세포를 상이한 시점에 1:6의 비를 이용하여 2차로 계대하였다. 플라스미드 조합 #19는 플라스미드 조합 #6보다 더 많은 콜로니를 생성시켰으나, 이들 중 대부분은 전형적인 인간 ES 세포 모폴로지를 닮지 않았다. 약 25일 후, 인간 ES 세포 유사 클로니가 두 플라스미드 조합에 대한 1차 플레이트 상에 나타났으며, 플라스미드 조합 #19를 사용할 때 100만개 포피 세포당 리프로그래밍 세포의 추정수가 24개, 플라스미드 조합 #6을 사용할 때 100만개 포피 세포당 리프로그래밍 세포의 추정수가 8개였다. 인간 ES 세포 유사 콜로니의 수는 2차 계대 플레이트 후에 현저히 증가하였고, 각각의 플라스미드 조합에 대해 100만개 포피 세포당 추정수가 500개 미만이었다. 2차 계대 플레이트 상의 iPS 세포 콜로니의 증가는 아마도 1차 플레이트 상에서의 iPS 세포의 분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떤 경우에는, 1차 플레이트는 전형적인 인간 ES 세포 모폴로지를 닮은 어떠한 콜로니도 갖지 않았으나, 다수의 iPS 세포는 2차 계대 후 출현하였으며, 이는 일부 iPS 세포는 확인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며, 이는 아마도 이들이 체세포와 혼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Plasmid combinations # 6 and # 19 were used for reprogramming. To enhance plasmid entry into the nucleus, ENBA mRNA was electroporated with plasmid DNA. About 1 million cells were transferred in two 6 well plates of DF5SFeC and incubated for 5 days. Thereafter,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DF5SFe and further incubated for 18-25 days. Cells from some wells were passaged secondly using a ratio of 1: 6 at different time points. Plasmid Combination # 19 produced more colonies than Plasmid Combination # 6, but most of them did not resemble typical human ES cell morphology. After about 25 days, human ES cell-like clones appeared on the primary plates for the two plasmid combinations, with an estimated number of 24 reprogramming cells per million foreskin cells when using plasmid combination # 19, plasmid combination # Using 6, the estimated number of reprogramming cells per million foreskin cells was eight. The number of human ES cell-like coloni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econd passage plate and the estimated number per million foreskin cells for each plasmid combination was less than 500. The increase in iPS cell colonies on the secondary passage plate is probably due to the division of iPS cells on the primary plate. In some cases, the primary plate did not have any colonies resembling a typical human ES cell morphology, but many iPS cells appeared after the secondary passage, suggesting that some iPS cells could not be identified, presumably they were somatic It is probably because it is mixed with.

DF5SFe 중에서 유도된 iPS 세포 콜로니의 세포는 단지 2회 계대 후에 분화하기 시작하였다. 1차 플레이트로부터 6개의 iPS 세포 콜로니를 픽킹하여 Nodal 함유 DF5SFeN(E8(NODAL))으로 바로 옮겼다. 이들 세포를 E8(Nodal) 중에서 15회 초과의 계대 동안 유지하였으며, 이때 이들 세포는 TeSRTM을 사용할 때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ES 세포 유사 모폴로지를 유지하였다. 세포는 정상적인 핵형을 가졌고 Oct4 및 SSEA4를 발현하였으며(도 4c), 주입한 지 5∼7주 후 SCID 마우스에서 테라토마를 형성하였다.Cells of iPS cell colonies derived in DF5SFe began to differentiate after only two passages. Six iPS cell colonies were picked from primary plates and transferred directly to Nodal containing DF5SFeN (E8 (NODAL)). These cells were maintained for more than 15 passages in E8 (Nodal), where they maintained an ES cell-like morphology similar to that observed when using TeSR . The cells had a normal karyotype and expressed Oct4 and SSEA4 (FIG. 4C) and formed teratomas in SCID mice 5-7 weeks after injection.

또한, 포피 섬유아세포를 E8 배지 중에서 리프로그래밍하였다. E8 배지 중에서 유도된 iPS 세포의 전체 유전자 발현은 H1 세포(도 4d 및 4e) 또는 피더 세포 상에서 유도된 iPS 세포(도 4d 및 4F)와 유사하였다. 다분화성 마커는 ES 세포와 iPS 세포 둘 다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나, 섬유아세포 특이적 마커 유전자는 발현되지 않았다(도 4d). 또한, iPS 세포를 다양한 전략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렌티바이러스 또는 에피솜 벡터를 이용하여 E8 배지 중에서 유도할 수 있었다.In addition, foreskin fibroblasts were reprogrammed in E8 medium. Total gene expression of iPS cells induced in E8 medium was similar to iPS cells (FIGS. 4D and 4F) induced on H1 cells (FIGS. 4D and 4E) or feeder cells. Multipotent markers were highly expressed in both ES cells and iPS cells, but did not express fibroblast specific marker genes (FIG. 4D). In addition, iPS cells can be induced in E8 medium using a variety of strategies, for example using lentiviral or episomal vectors.

실시예 9: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의 환자 세포주로부터의 iPS 세포의 유도Example 9: Induction of iPS Cells from Patient Cell Lines in Albumin Medium

성체 도너로부터의 세포를 단순화된 배지 중에서 무바이러스 에피솜 벡터를 사용하여 리프로그래밍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 세포주 OAT 또는 PRPT8 세포 200만개를 EBNA mRNA와 함께 플라스미드 조합 #4 또는 #6과 전기천공하여 2개의 10 cm 플레이트 상에 옮겼다. 리프로그래밍을 최대화하기 위해, FBS 함유 배지를 처음 6일 동안 사용하였다. 일정한 성체 세포 유지 조건에 맞추기 위해, 세포를 O15C5에서 유지하였다. 그 후, 배지를 DF5SFe로 교체하여 14∼21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한 플레이트의 세포를 상이한 시점에 1:2의 비로 계대하였다. 플라스미드 조합 #6은 #4보다 더 많은 콜로니(100만개 세포당 약 5개)를 생성하였으나, 세포의 대부분이 전형적인 인간 ES 세포 모폴로지를 닮지 않았다. 약 22일 후, 플라스미드 조합 #4에 대한 1차 플레이트 상에 인간 ES 세포 유사 콜로니가 출현하였다. 플라스미드 조합 #6이 사용되었을 때 2차 계대 플레이트 상에 더 많은 인간 ES 세포 유사 콜로니가 출현하였으며, 이때 100만개 세포당 콜로니 추정수가 약 40개였다. 플라스미드 조합 #4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iPS 세포가 생성되지 않았다. 1차 플레이트 상에 다른 조밀하게 군집화된 세포의 중간부에 iPS 세포 콜로니가 출현하였으며, 이것은 그 경계 넘어 증식할 수 없었다. 그러나, 2차 플레이트 상의 콜로니는 콜로니 단리에 적합한 큰 크기로 증식하였다. 콜로니를 픽킹하여 TeSRTM로 바로 옮겼으며, 32개의 픽킹 콜로니가 생존하여 ES 세포 모폴로지를 나타내었다. 유전자 분석은 이들 콜로니가 OAT 세포주로부터 유도되어 정상적인 핵형을 나타내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To confirm that cells from adult donors can be reprogrammed using virus-free episomal vectors in a simplified medium, 2 million patient cell lines OAT or PRPT8 cells were transfected with plasmid combination # 4 or # 6 with EBNA mRNA. Perforated and transferred onto two 10 cm plates. To maximize reprogramming, FBS containing media was used for the first 6 days. To maintain constant adult cell maintenance conditions, cells were maintained at O15C5. Thereafter,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DF5SFe and cultured further for 14 to 21 days. Cells from one plate were passaged at a ratio of 1: 2 at different time points. Plasmid combination # 6 produced more colonies (about 5 per million cells) than # 4, but most of the cells did not resemble typical human ES cell morphology. After about 22 days, human ES cell-like colonies appeared on the primary plate for plasmid combination # 4. More human ES cell-like colonies appeared on the secondary passage plate when plasmid combination # 6 was used, with about 40 colony estimates per million cells. IPS cells were not produced when plasmid combination # 4 was used. IPS cell colonies appeared in the middle of other densely clustered cells on the primary plate, which could not proliferate beyond their boundaries. However, colonies on the secondary plate were grown to large sizes suitable for colony isolation. Colonies were picked and transferred directly to TeSR , and 32 picking colonies survived to show ES cell morphology. Genetic analysis confirmed that these colonies were derived from OAT cell lines and showed normal karyotypes.

성체 세포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TGF-β를 리프로그래밍 배지에 첨가하였다. iPS 클론은 현저히 증가하지 않았으나, 총 콜로니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하이드로코티손 제거 시에 배지로부터 TGF-β를 제거하였을 때, iPS 세포 콜로니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TGF-β가 이 과정의 처음 몇일 내에 리프로그래밍을 지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To improve adult cell reprogramming efficiency, TGF-β was added to the reprogramming medium. iPS clones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but total colony count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GF-β was removed from the medium upon hydrocortisone removal, the number of iPS cell colonies increased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TGF-β supports reprogramming within the first few days of this process.

다수의 외관상의 비-iPS 콜로니는 2차 계대 후에 iPS 클론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iPS 세포 유도가 주변 세포에 의해 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효과를 극복할 수 있는 그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몇 종의 시약을 테스트하였다. 부티레이트는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개선시켰다. TGF-β 및 부티레이트 둘 다를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 포피 세포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의 약 10배 증가가 관찰되었다(도 5b). TGF-β는 리프로그래밍의 초기 단계 중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지만, 부티레이트는 후기 단계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TGF-β 첨가는 리프로그래밍 중에 콜로니 수 증가를 초래하였으나, 본래의 iPS 세포 콜로니의 수는 적게 유지되었다. 부티레이트는 콜로니 수를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본래의 iPS 세포 대 비-iPS 세포 콜로니의 비를 현저히 개선시켰다(도 5c). Many apparent non-iPS colonies can produce iPS clones after the second pass, suggesting that iPS cell induction can be inhibited by surrounding cells. Several reagents were tested to test their ability to overcome this effect. Butyrate improved reprogramming efficiency. An about 10-fold increase in reprogramming efficiency of foreskin cells was observed when both TGF-β and butyrate were added to the medium (FIG. 5B). TGF-β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during the early stages of reprogramming, but butyrate played a positive role in later stages. TGF-β addi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onies during reprogramming, but the number of original iPS cell colonies was kept low. Butyrate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colonies, but significantly improved the ratio of native iPS cells to non-iPS cell colonies (FIG. 5C).

TGF-β 및 부티레이트의 사용은 에피솜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완전히 규정된 조건 하에 성체 개체로부터 체세포의 성공적인 리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하였다. iPS 세포를 1×106개 PRPF8-2 세포 중 1∼100개 및 100,000개 세포(GRC 1-29) 중 1개의 효율로 3개의 독립적 성체 체세포주(OAT, GRC M1-29 및 PRPF8-2)로부터 유도하였다.The use of TGF-β and butyrate enabled the successful reprogramming of somatic cells from adult individuals under fully defined conditions using an episomal vector system. iPS cells were isolated from three independent adult somatic cell lines (OAT, GRC M1-29 and PRPF8-2) with the efficiency of 1 to 100 of 1 × 10 6 PRPF8-2 cells and 1 of 100,000 cells (GRC 1-29). Derived from.

실시예 10: 완전 규정 조건에서의 성체 개체로부터의 iPS 세포의 유도Example 10 Induction of iPS Cells from Adult Subjects in Fully Defined Conditions

남성 성체 도너의 피부로부터 생검을 취하여, 항생제 및 항진균제를 포함하는 행크 완충 염 용액(Hank's Buffered Salt Solution: HBSS)으로 세척하여, 2 ml의 0.25% 트립신/EDTA(표 4) 또는 TrypLE 셀렉트 중에서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샘플을 3회 헹구었고 2차 헹굼 후에 트립신 억제제를 사용하였다(표 4). 멸균 핀셋을 사용하여 진피와 표피를 분리하였다. 진피를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 실온에서 소정의 효소를 포함한 0.75 ml의 효소 용액(표 4) 중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12웰 또는 24웰 플레이트). 약 35분 후, 조직 구조가 분해하기 시작하였다. 10 ㎕/ml의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함유한 동일 부피의 배지를 첨가하고, 약 10회 피펫팅 업/다운으로 조직을 물리적으로 해체시켰다. 샘플을 실온에서 400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새로운 배지/PVP로 2회 세척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펠릿을 3 ml의 완전 배지에 재현탁시키고, 1 ml의 세포 현탁액을 웰당 3 ㎍의 비트로넥틴으로 코팅된 6웰 플레이트의 웰로 옮겼다. 플레이트를 37℃에서 5% CO2로 인큐베이션하였고, 배지를 매일 교환하였다. 섬유아세포는 플레이트에 부착하였지만, 배지를 교환할 때 비부착성 세포 및 잔해는 제거되었다.Biopsies are taken from the skin of an adult adult donor and washed with Hank's Buffered Salt Solution (HBSS) containing antibiotics and antifungal agents and 4 ° C. in 2 ml of 0.25% trypsin / EDTA (Table 4) or TrypLE Select. Incubated overnight at. Samples were rinsed three times and trypsin inhibitor was used after the second rinse (Table 4). Sterile tweezers were used to separate the dermis from the epidermis. The dermis was cut into small pieces and incubated for 3 hours in 0.75 ml of enzyme solution (Table 4) containing the desired enzyme at room temperature (12 well or 24 well plates). After about 35 minutes, the tissue structure began to degrade. An equal volume of medium containing 10 μl / ml polyvinylpyrrolidone (PVP) was added and the tissue was physically disassembled with about 10 pipetting up / down. Samples were centrifuged at 400 g fo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nd washed twice with fresh medium / PVP.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and the pellet was resuspended in 3 ml of complete medium and 1 ml of cell suspension was transferred to wells of 6 well plates coated with 3 μg Vitronectin per well. Plates were incubated at 37 ° C. with 5% CO 2 and the medium changed daily. Fibroblasts adhered to the plate, but non-adherent cells and debris were removed when the medium was changed.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20일 후, 전기천공을 이용하여 리프로그래밍 플라스미드를 섬유아세포로 도입하였다. 다음 25일 내에, 다수의 iPS 콜로니가 출현하였고 추가 분석을 위해 픽킹하였다. 리프로그래밍 효율은, 2차 계대 없이, 전기천공된 섬유아세포 100만개당 약 10개였다. 벡터가 없는 세포주를 단리하기 위해 iPS 세포를 추가로 계대하였다.After 20 days, reprogramming plasmids were introduced into fibroblasts using electroporation. Within the next 25 days, multiple iPS colonies appeared and pick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programming efficiency was about 10 per million electroporated fibroblasts without secondary passage. IPS cells were further passaged to isolate cell lines without vectors.

실시예 11: 2차 계대 없이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성체 개체로부터 iPS 세포를 유도함Example 11: Inducing iPS Cells from Adult Subjects in Albumin Medium Without Secondary Passage

도 6a에 예시된 일반 프로토콜에 따라, E8(인슐린, 트랜스페린, 셀레늄, L-아스코르브산, FGF2 및 TGF-β(또는 NODAL)가 보충된 DMEM/F12) 중에서 성체 섬유아세포를 리프로그래밍하였다. 20회 초과의 계대 동안 E8 중에서 유지된 리프로그래밍된 iPS 세포주는 지속적으로 다분화성 마커 OCT4 및 SSEA4를 발현하였다(도 6b).Adult fibroblasts were reprogrammed in E8 (DMEM / F12 supplemented with insulin, transferrin, selenium, L-ascorbic acid, FGF2 and TGF-β (or NODAL)) according to the general protocol illustrated in FIG. 6A. Reprogrammed iPS cell lines maintained in E8 for more than 20 passages consistently expressed multipotent markers OCT4 and SSEA4 (FIG. 6B).

E8 배지는 마우스 섬유아세포 피더 세포(MEF)(도 7a) 또는 TeSRTM(도 7b)를 이용할 때의 리프로그래밍 효율에 비해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켰다. 부티레이트(100 μM)는 TGF-β 존재 하에(E8) 또는 TGF-β 부재 하에(TGF-β 비함유 E8, 즉 DF5SFe) 리프로그래밍 효율을 추가로 향상시켰다(도 7c).E8 media significantly improved reprogramming efficiency compared to reprogramming efficiency when using mouse fibroblast feeder cells (MEF) (FIG. 7A) or TeSR (FIG. 7B). Butyrate (100 μM) further improved reprogramming efficiency in the presence of TGF-β (E8) or in the absence of TGF-β (TGF-β free E8, ie DF5SFe) (FIG. 7C).

실시예 12: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의 다분화능 줄기 세포의 냉동보존Example 12 Cryopreservation of Multipotent Stem Cells in Albumin-Free Medium

실질적으로 상기에 기재된 것과 같이, 다분화능 세포를 6웰 플레이트 내의 E8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각각의 웰로부터 배양 배지를 흡인하고, 세포를 1.0 mL의 EDTA/PBS(PBS 중 0.5 mM EDTA, 삼투압 농도 340)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세포를 37℃에서 EDTA/PBS 중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PBS/EDTA를 제거하고, 세포를 1 ml의 E8 배지로 신속히 헹구었다. 그 후, 세포를 동일 부피의 20% 디메틸 설폭시드(DMSO) 및 E8 배지(최종 농도: E8 배지 중 10% DMSO) 중에 재현탁시키고, 크라이오제닉 바이알에 분액하여 넣고 CRYOBOXTM를 이용하여 -80℃에서 동결시켰다. 그 후, 세포를 액체 질소 탱크로 옮겼다.As substantially described above, multipotent cells were cultured in E8 medium in 6 well plates. Culture medium was aspirated from each well and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1.0 mL of EDTA / PBS (0.5 mM EDTA in PBS, osmotic concentration 340). Cells were then incubated at 37 ° C. in EDTA / PBS for 5 minutes. PBS / EDTA was removed and cells were quickly rinsed with 1 ml of E8 medium. Cells are then resuspended in equal volumes of 20% dimethyl sulfoxide (DMSO) and E8 medium (final concentration: 10% DMSO in E8 medium), aliquoted into cryogenic vials and -80 using CRYOBOX . Frozen at ° C. Thereafter, the cells were transferred to a liquid nitrogen tank.

본 발명을 현재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것으로 간주되는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시된 것이고, 개시된 실시형태로 한정하고자 의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예 및 대안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which are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ll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construc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Claims (29)

다분화능 줄기 세포의 증식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배지.Albumin free media supporting the proliferation of multipotent stem cells. 제1항에 있어서,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증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배지.The medium of claim 1 comprising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proliferation, respectively. 다분화능 줄기 세포의 배양 방법으로서,
매트릭스 상에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포를 다분화능 줄기 세포 증식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배지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of culturing multipotent stem cells,
Positioning multipotent stem cells on the matrix; And
Contacting the cells with an albumin-free medium that supports multipotent stem cell proliferation
&Lt; / RTI &g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증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dium comprises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respectively,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proliferation. How to do.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가 라미닌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trix comprises lamin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가 비트로넥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trix comprises Vitronect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를 저산소 조건 하에 상기 배지와 접촉시키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cells are contacted with said medium under hypoxic condi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화능 줄기 세포가 배아 줄기 세포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multipotent stem cells are embryonic stem cel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화능 줄기 세포가 유도 만능 줄기 세포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multipotent stem cells ar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화능 줄기 세포가 인간 세포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multipotent stem cells are human cells. 다분화능 줄기 세포의 클로닝 방법으로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 클로닝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배지 중에 클로닝 밀도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플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cloning pluripotent stem cells, the method comprising plating the pluripotent stem cells at a cloning density in albumin-free medium that supports pluripotent stem cell clon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클로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dium comprises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respectively,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cloning. How to do.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ROCK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dium further comprises a ROCK inhibi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OCK 억제제가 HA100 및 Y276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OCK inhibi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100 and Y2763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블레비스타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dium further comprises blevistatin.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냉동보존하는 방법으로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cryopreserving pluripotent stem cells, the method comprising freezing the pluripotent stem cells in albumin free mediu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다분화능 줄기 세포 증식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edium comprises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multipotent stem cell proliferation, respectively. How to do. 규정 조건(defined condition) 하에 유도 만능 줄기(induced pluripotent stem: iPS) 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iPS 세포를 유도하기 위해 체세포 리프로그래밍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배지 중에서 체세포를 리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inducing induced pluripotent stem (iPS) cells under defined conditions, the method comprising reprogramming somatic cells in albumin-free media supporting somatic reprogramming to induce iPS cells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를 각각 iPS 세포 유도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edium comprises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one of TGF-β and NODAL, respectively,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iPS cell induction. How to b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단계가 상기 세포를 TGF-β와 5∼10일 동안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reprogramming step comprises contacting the cells with TGF-β for 5-10 days. 제20항에 있어서,
5∼10일 후 TGF-β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세포를 실질적으로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및 트랜스페린으로 이루어진 배지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Removing TGF-β after 5-10 days; And
Contacting the cells with a medium consisting substantially of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and transferrin
&Lt; / RTI &g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단계가 상기 세포를 하이드로코티손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aid reprogramming step comprises contacting said cells with hydrocortison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단계가 상기 세포를 부티레이트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aid reprogramming step comprises contacting said cells with butyrate. 제18항에 있어서, iPS 세포를 이종물질 비함유(xeno-free) 조건 하에 유도하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PS cells are induced under xeno-free condition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체세포가 성체 체세포인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aid somatic cells are adult somatic cell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단계가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aid reprogramming step comprises using a viral vect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단계가 에피솜 벡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reprogramming step comprises using an episomal vector. 각각 장기(long-term) 다분화능 줄기 세포 배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다분화능 줄기 세포의 장기 배양을 지지하는 무알부민 증식 배지.Substantially made up of one of water, salt, amino acid, vitamin, carbon source,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TGF-β and NODAL,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a long-term multipotent stem cell culture, respectively. Albumin-free growth medium supporting long-term culture of multipotent stem cells. 다분화능 줄기 세포의 배양 방법으로서,
다분화능 줄기 세포를 매트릭스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포를, 각각 장기 다분화능 줄기 세포 배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 염, 아미노산, 비타민, 탄소원, 인슐린, FGF, 셀레늄, 트랜스페린, 및 TGF-β와 NODAL 중 하나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무알부민 배지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of culturing multipotent stem cells,
Positioning the multipotent stem cells on the matrix; And
The cells are albumin-free, consisting essentially of one of water, salts, amino acids, vitamins, carbon sources, insulin, FGF, selenium, transferrin, and TGF-β and NODAL, in an amount sufficient to support long-term multipotent stem cell culture, respectively. Contact with the medium
&Lt; / RTI &gt;
KR1020137005512A 2010-08-05 2011-08-05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Active KR1018294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112810P 2010-08-05 2010-08-05
US61/371,128 2010-08-05
PCT/US2011/046796 WO2012019122A2 (en) 2010-08-05 2011-08-05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927A true KR20130099927A (en) 2013-09-06
KR101829488B1 KR101829488B1 (en) 2018-02-14

Family

ID=4454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512A Active KR101829488B1 (en) 2010-08-05 2011-08-05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279103B2 (en)
EP (1) EP2601288B1 (en)
JP (2) JP6043999B2 (en)
KR (1) KR101829488B1 (en)
CN (2) CN103180434A (en)
AU (1) AU2011285531B2 (en)
BR (2) BR122020000909B1 (en)
CA (1) CA2807418C (en)
DK (1) DK2601288T3 (en)
IL (1) IL224431A (en)
SG (1) SG187699A1 (en)
WO (1) WO2012019122A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208A (en) * 2017-03-31 2018-10-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Composition of Fetal Bovine Serum for Culturing Yolk Sac Stem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0004698A1 (en) * 2018-06-27 2020-01-02 (주)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eparation method for cell culture medium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for stem cell lysate extract (shelled stem cell) using preparation method for cell culture medium composition and three-conditional extraction method of effective ingredient from stem cell, anti-arthritis therapeutic composition using same,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composition using same, and cell-regenerating therapeutic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7395B2 (en) 2004-12-17 2011-09-13 Lifescan, Inc. Seeding cells on porous supports
US9080145B2 (en) 2007-07-01 2015-07-14 Lifescan Corporation Single pluripotent stem cell culture
RU2473685C2 (en) 2007-07-31 2013-01-27 Лайфскен, Инк.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 stem cells
US9062290B2 (en) 2007-11-27 2015-06-23 Lifescan, Inc.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KR101597731B1 (en) 2008-02-21 2016-02-26 센토코 오르토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 Methods, surface modified plates and compositions for cell attachment, cultivation and detachment
WO2010002846A1 (en) 2008-06-30 2010-01-07 Centocor Ortho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CA2742267C (en) 2008-10-31 2019-06-04 Centocor Ortho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to the pancreatic endocrine lineage
CN107904201B (en) 2008-10-31 2021-11-16 詹森生物科技公司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to the pancreatic endocrine lineage
EP2366021B1 (en) 2008-11-20 2017-08-02 Janssen Biotech, Inc. Pluripotent stem cell culture on micro-carriers
AU2009316583B2 (en) 2008-11-20 2016-04-21 Janssen Biote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ell attachment and cultivation on planar substrates
RU2579278C2 (en) 2009-07-20 2016-04-10 Янссен Байотек, Инк. Population of pancreatic endocrine precursor cells for reduc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pancreatic endodermal cells
EP2516625B1 (en) 2009-12-23 2024-06-26 Janssen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RU2607380C2 (en) 2010-03-01 2017-01-10 Янссен Байотек, Инк. Methods of purifying cell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KR101903562B1 (en) 2010-05-12 2018-10-02 얀센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US9279107B2 (en) 2010-08-05 2016-03-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JP6218605B2 (en) 2010-08-31 2017-10-25 ヤンセン バイオ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WO2012030540A2 (en) 2010-08-31 2012-03-08 Janssen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JP6168991B2 (en) 2010-08-31 2017-07-26 ヤンセン バイオ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EP2788033B1 (en) 2011-12-05 2017-05-31 Factor Bioscience Inc. Methods and products for transfecting cells
US8497124B2 (en) 2011-12-05 2013-07-30 Factor Bioscience Inc. Methods and products for reprogramming cells to a less differentiated state
WO2013090919A1 (en) 2011-12-16 2013-06-2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Fgf-2 having enhanced stability
CA2860107C (en) 2011-12-22 2021-06-01 Janssen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to single hormonal insulin positive cells
JP6383292B2 (en) 2012-03-07 2018-08-29 ヤンセン バイオテツク,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Clear media for proliferation and maintenance of pluripotent stem cells
SG11201408124PA (en) 2012-06-08 2015-01-29 Janssen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to pancreatic endocrine cells
EP2914728B1 (en) 2012-11-01 2020-07-08 Factor Bioscience Inc. Methods and products for expressing proteins in cells
US10377989B2 (en) 2012-12-31 2019-08-13 Janssen Biotech, Inc. Methods for suspension cultures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BR112015015770A2 (en) 2012-12-31 2017-07-11 Janssen Biotech Inc Human embryonic stem cell culture at air-liquid interface for differentiation in endocrine pancreatic cells
CN105073979B (en) 2012-12-31 2020-03-06 詹森生物科技公司 A method for differentiating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to pancreatic endocrine cells using the HB9 regulon
US10370644B2 (en) 2012-12-31 2019-08-06 Janssen Biotech, Inc. Method for making human pluripotent suspension cultures and cells derived therefrom
KR102211266B1 (en) 2013-01-31 2021-02-04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Culture method for stable undifferentiated prolifer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WO2014208295A1 (en) * 2013-06-28 2014-12-31 株式会社カネカ Screening process for pluripotent stem cell propagation promoting factor
US10137154B2 (en) * 2013-07-12 2018-11-27 Bioventures,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xpanding long-term hematopoietic stem cell populations
KR101655383B1 (en) 2013-07-27 2016-09-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Maintaining Chromosome Stability of Pluripotent Stem Cells Comprising Small Molecules
WO2015042356A1 (en) 2013-09-19 2015-03-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Chemically defined culture medium for stem cell maintenance and differentiation
DK3690056T5 (en) 2014-01-31 2024-08-26 Factor Bioscience Inc METHODS AND PRODUCTS FOR THE MANUFACTURE AND DELIVERY OF NUCLEIC ACID
JP6422221B2 (en) * 2014-03-04 2018-11-14 旭化成株式会社 Cell mass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pluripotent stem cells
JP6502323B2 (en) 2014-03-26 2019-04-17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Pluripotent stem cell culture medium
SG11201609473XA (en) 2014-05-16 2016-12-29 Janssen Biotech Inc Use of small molecules to enhance mafa expression in pancreatic endocrine cells
US20180042969A1 (en) * 2014-08-07 2018-02-15 Duk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reprogramming of cells into cardiomyocytes
CA2957801C (en) 2014-08-19 2022-08-30 Cellular Dynamics International, Inc. Neural networks formed from cell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US10626372B1 (en) 2015-01-26 2020-04-21 Fate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hematopoietic cell differentiation
CA2976376A1 (en) 2015-02-13 2016-08-18 Factor Bioscience Inc. Nucleic acid products and methods of administration thereof
PT3371314T (en) 2015-11-04 2023-08-31 Fate Therapeutics Inc Genomic engineering of pluripotent cells
EP3371301A4 (en) 2015-11-04 2019-06-26 Fate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THE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CELLS
MA45479A (en) 2016-04-14 2019-02-20 Janssen Biotech Inc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IN ENDODERMAL CELLS OF MIDDLE INTESTINE
WO2018035377A1 (en) 2016-08-17 2018-02-22 Factor Bioscience Inc. Nucleic acid products and methods of administration thereof
CN110891967B (en) * 2017-04-18 2025-03-14 富士胶片细胞动力公司 Antigen-specific immune effector cells
JP7474520B2 (en) * 2019-04-05 2024-04-25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ホンコン Media for mammalian stem cell expansion potential,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EP3997059A4 (en) 2019-07-03 2023-12-13 Factor Bioscience Inc. Cationic lipids and uses thereof
US10501404B1 (en) 2019-07-30 2019-12-10 Factor Bioscience Inc. Cationic lipids and transfection methods
JP2022548776A (en) * 2019-09-19 2022-11-21 ノースウェ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 Cost-effective media and protocols for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N110564673A (en) * 2019-09-26 2019-12-13 广东工业大学 Stem cell culture solu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N110564678B (en) * 2019-10-12 2023-04-07 广东唯泰生物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osteogenic directional differentiation of umbilical cord Wharton's jelly mesenchymal stem cells
EP4342977A1 (en) * 2022-09-26 2024-03-27 Ares Trading S.A. Serum free medium
WO2024091801A2 (en) * 2022-10-13 2024-05-0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cell differentiation
CN119020297A (en) * 2024-10-22 2024-11-26 江苏凯基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A chemically defined culture medium for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9064B2 (en) 2000-03-09 2008-10-21 Wicell Research Institute, Inc. Cultiv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 the absence of feeder cells or without conditioned medium
CN101052712A (en) * 2004-09-08 2007-10-10 威斯康星校友研究基金会 Culturing human embryonic stem cells
SG177946A1 (en) * 2005-08-29 2012-02-28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Media for culturing stem cells
GB0606671D0 (en) * 2006-04-03 2006-05-10 Plasso Technology Ltd Cell Culture
US8513012B2 (en) 2008-05-02 2013-08-20 Cellular Dynamic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mast cells from stem cells
CN105802917A (en) 2008-10-24 2016-07-27 威斯康星校友研究基金会 Pluripotent stem cells obtained by non-viral reprogramming
ES2779048T3 (en) * 2009-11-12 2020-08-13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Culture media, cell cultures and methods of culturing pluripotent stem cell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208A (en) * 2017-03-31 2018-10-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Composition of Fetal Bovine Serum for Culturing Yolk Sac Stem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0004698A1 (en) * 2018-06-27 2020-01-02 (주)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eparation method for cell culture medium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for stem cell lysate extract (shelled stem cell) using preparation method for cell culture medium composition and three-conditional extraction method of effective ingredient from stem cell, anti-arthritis therapeutic composition using same,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composition using same, and cell-regenerating therapeutic composition
KR20200001370A (en)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Crushed Stem Cell Extract(Shelled Stem Cell) Manufacturing Method Using Mass Culture Medium Composition Method and Constituent 3-low Extracting Method and A Treating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A Treating Composition for Cell Re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31444A (en) 2018-09-14
SG187699A1 (en) 2013-03-28
BR122020000909B1 (en) 2021-02-23
CA2807418C (en) 2017-04-04
BR112013002811A2 (en) 2016-08-02
EP2601288B1 (en) 2016-04-06
US9279103B2 (en) 2016-03-08
AU2011285531A1 (en) 2013-02-21
JP6043999B2 (en) 2016-12-14
KR101829488B1 (en) 2018-02-14
CA2807418A1 (en) 2012-02-09
JP2013532492A (en) 2013-08-19
WO2012019122A2 (en) 2012-02-09
EP2601288A2 (en) 2013-06-12
DK2601288T3 (en) 2016-05-30
CN103180434A (en) 2013-06-26
IL224431A (en) 2017-10-31
BR112013002811A8 (en) 2020-01-28
WO2012019122A3 (en) 2012-05-03
AU2011285531B2 (en) 2015-04-30
US20120202291A1 (en) 2012-08-09
JP2017018137A (en)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488B1 (en)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US9644186B2 (en)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KR101861171B1 (en) Cardiomyocyte medium with dialyzed serum
US9133266B2 (en) Vitronectin-derived cell culture substrate and uses thereof
US20210189330A1 (en) Induced totipotent stem cell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EP4008787A1 (en) Method for prepar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by reprogramming somatic cells
WO2013054112A1 (en) Culture media for pluripotent stem cells
WO2018225802A1 (en)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into germline stem cell-like cells
WO201713462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ulturing stem cells
CN115975914A (en) Method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by reprogramming of chemical small molecule drugs
US20100167398A1 (en) Method of culturing pluripotent stem cells using extracellular matrix from fetal membrane-derived cells
US8759098B2 (en) Method for cloning pluripotent stem cells
CN106085951B (en) Method for establishing tree shrew spermatogonial stem cell line capable of being continuously passaged
US20230159891A1 (en) T cell progenitor production method
HK1261077A1 (en) Simplified basic media for human pluripotent cell culture
US20250059517A1 (en) Media and methods for making and maintaining porcine pluripotent stem cells
EP4306635A1 (en) Method for obtain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WO2021015086A1 (en) Method for producing mature myotube cells from skeletal muscle stem cells
Wang et al. Factors affecting the derivation and expansion of bovine embryonic stem cell-like cells
HK40072150A (en) Method for prepar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by reprogramming somatic cells
WO2008034929A1 (en) Method for culturing and maintaining mammal multipotential trunk cells and progenitor cells in a non-differentiated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