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835A -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6835A KR20130096835A KR1020120018358A KR20120018358A KR20130096835A KR 20130096835 A KR20130096835 A KR 20130096835A KR 1020120018358 A KR1020120018358 A KR 1020120018358A KR 20120018358 A KR20120018358 A KR 20120018358A KR 20130096835 A KR20130096835 A KR 201300968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lace
- base plate
- fastening device
- sho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85 antago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4—Hinged devi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에 신발끈을 풀고 묶는 불편이 없고, 신발끈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제적이고, 신발을 신거나 벗기 위해 허리를 굽혀 손으로 신발을 잡아야하는 불편이 없고, 신발끈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신발끈의 삽입이 편리한 신발끈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는 신발끈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 다수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발의 트임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하부를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재; 상기 베이스판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fas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releasing and tying shoelaces when putting on or taking off shoes, and the length of the shoelaces is reduced and economical.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hold the shoe, and a through-hole in which the shoelac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elates to a shoelace fastening device for convenient insertion of the shoelac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hoelac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base plate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shoe; Hinge coupling member for hinge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a magnet provided inside the base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끈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에 신발끈을 풀고 묶는 불편이 없고, 신발끈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제적이고, 신발을 신거나 벗기 위해 허리를 굽혀 손으로 신발을 잡아야하는 불편이 없고, 신발끈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신발끈의 삽입이 편리한 신발끈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fas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releasing and tying shoelaces when putting on or taking off shoes, and the length of the shoelaces is reduced and economical.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hold the shoe, and a through-hole in which the shoelac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elates to a shoelace fastening device for convenient insertion of the shoelace.
일반적으로 신발에는 발이 들어가는 입구와, 입구의 폭을 넓혀주는 트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트임부 양측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신발끈이 양측의 홀을 교차하여 관통되고 당겨져 트임부를 조이게 된다.
In general, the shoe is formed with an inlet for entering the foot, and the opening portion to widen the width of the inlet is formed, the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im, the shoelace is crossed through the holes on both sides and pulled to tighten the trim.
이러한 일반적인 신발은 착용자가 신발끈의 양측을 당겨 조인 후에 신발끈을 결속시키는데, 신발을 착용하고 다니다 보면 결속력이 약해져 신발끈이 서서히 풀리게 된다.
In this general shoe, the wearer pulls and tightens both sides of the shoelace, and then binds the shoelace.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the shoelace becomes weak and the shoelace is gradually released.
그래서 등록실용신안 제0444382호 "신발끈 체결고정구", 등록실용신안 제0440424호 "신발끈 고정구" 등에서는 신발끈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Therefore,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44382 "Shoelace Fastening Fixture" and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440424 "Shoelace Fixing Fixture" and the like suggest various kinds of mechanisms to prevent the shoelace from being loosened.
신발에서는 신고 다니는 중에 신발끈이 풀리는 문제도 있지만,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고 묶어야 하는 불편이 더 크다.
In shoes, the shoelaces can get loose while you're wearing them, but you're more likely to untie and tie them every time you wear or remove them.
이처럼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고 묶어야 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신발끈 대신에 지퍼를 도입한 신발이 있는데, 이는 지퍼라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는 문제와, 지퍼가 신발의 미관을 해하는 문제와, 전형적인 신발의 형태가 아니라는 반감 등으로 인해 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다.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unscrewing and tying the shoelaces whenever shoes are worn or taken off, there is a shoe that uses a zipper instead of a shoelace. There is not much demand due to problems and the antagonism that it is not a typical shoe type.
따라서 신발끈을 사용하면서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고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 수단의 필요성에 제기되고 있는데,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등록실용신안 제0418045호 "신발끈 조임수단이 구비된 신발"이 종래기술로 개시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ans of avoiding the hassle of releasing and tying shoelaces whenever shoes are worn or taken off while using the shoelaces. Thus, Utility Model No. 0418045 "Shoelace Tightening Device is provided. Shoes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등록실용신안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결속공(2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동부재(20)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20)를 하부에서 힌지결합시키는 힌지(10)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를 상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끈 체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utility mode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air of rotating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회동부재(20)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0)의 버튼(32)을 누르면 한 쌍의 회동부재(20)가 하부의 힌지(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고, 벌어진 한 쌍의 회동부재(20)를 손으로 잡아 서로 맞닿도록 오므리면 상기 고정부재(30)의 걸림부(34)가 한 쌍의 회동우재(20)를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자는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에 신발끈을 풀거나 조일 필요 없이 버튼(32)을 누르거나 회동부재(20)를 오므리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that when a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신발끈을 풀고 조이는 종전의 방식에 비해 상당히 편리해졌지만, 신발 착용자는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에 허리를 굽히고 손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회동부재를 오므리는 것이 요구되므로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한다.
The utility model is considerably more convenient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loosening and tightening shoelaces, but shoe wearers are required to bend their backs when pressing or removing shoes, and to push buttons or pull the rotating members. The discomfort of time still exists.
그리고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고정부재(30)가 버튼(32), 함체(24), 걸림부(34), 걸림턱(34a), 스프링 등의 복잡하고 많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제조원가가 높고, 돌출되는 함체(24)는 외부 물체에 부딪혀 손상될 소지가 많다.
And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에 허리를 굽혀 손으로 체결장치를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 조차 필요가 없는 신발끈 체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hoelace fastening does not even need to hold the fastening device by bending the waist when wearing or taking off the sho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또한, 체결장치에 신발끈을 결속시키거나 분리할 때에 신발끈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신발끈의 결속이나 분리가 간편한 신발끈 체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hrough-hole is inse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shoelaces to bind or separate the shoelaces in the fastening device is to provide a shoelace fastening device that is easy to bind or separate the shoelaces.
그리고 체결장치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부 물체가 부딪혀 손상될 소지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신발끈 체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d since there is no part protruding from the fastening device, there is no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by the impact of the external object, and the object is simple to provide a low-cost shoelace fastening devi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는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신발끈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 다수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발의 트임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hoelaces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ir of base plates being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shoe;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하부를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재;Hinge coupling member for hinge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상기 베이스판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magnet provided inside the base plate.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 길이방향으로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A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상기 자석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The magne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을 포함하고, The hinge coupling member includes a body and a hinge pin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in and out.
상기 힌지핀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 삽입홀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은 상하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inge pin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base plate, the bas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up and dow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는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고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허리를 굽힐 필요조차 없이 착용자가 발등에 힘을 주는 것만으로 트임부를 넓히고 조일 수 있어 신박을 신고 벗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no hassle to untie and tie the shoelace every time the shoe is worn off, widening and tightening the slit by simply applying the force to the foot of the wearer without having to bend the waist. It is very convenient to be able to take on and take off the image.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고,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부 물체가 부딪혀 손상될 소지가 없고, 신발끈을 결속시키거나 분리할 때 베이스판이 회전하여 관통홀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신발끈의 결속이나 분리가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nexpensive, and there is no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so there is no possibility of damage by colliding with an external object. Or detachment is very quick and convenient.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의 사시도 및 장착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가 적용된 신발의 일례에 따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mounting state of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shoe to which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체결장치는 한 쌍의 베이스판(10), 힌지결합부재(20)와 자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상기 베이스판(10)은 좌우 대칭형상인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신발(1)의 트임부(3)에 배치되고, 외측 길이방향으로 신발끈(9)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11)이 하부에서 상부까지 다수 형성되어 있고, 내측 길이방향으로 자석(30)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17)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는 상단의 상기 관통홀(11)에 인접되며 상기 신발끈(9)이 삽입되는 마무리홀(13)과, 상기 마무리홀(13)과 연결되고 폭이 좁고 긴 슬릿홀(15)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관통홀(11)과 마무리홀(13)은 상기 신발끈(9)의 직경 보다 큰 내경을 가져 신발끈(9)이 쉽게 삽입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슬릿홀(15)은 상기 신발끈(9)의 직경 보다 짧은 폭을 가져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신발끈(9)을 잡아주어 신발끈(9)이 비의도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The through-
상기 베이스판(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금속 중에서도 가벼우며 내부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SUS) 재질이 바람직하다.
The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끈(9)은 신발(1)의 트임부(3) 양측에서 각각 신발(1)에 형성된 홀과 상기 베이스판(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하단에서부터 교대로 지나면서 상단까지 삽입 관통되고 마지막으로 상기 마무리홀(13)에 삽입 관통된다. 이 상태에서 신발끈(9)을 잡아당기면 신발끈(9)은 서로 교차하여 접촉되는 부위가 없어 하단에서 상단까지 쉽게 당겨져 조여지고, 적당하게 조인 후에 신발끈(9)을 슬릿홀(15)로 억지끼움식으로 밀어넣어 삽입시키면 신발끈(9)이 슬릿홀(15)에 풀리지 않도록 걸린다. 그리고 슬릿홀(15)이 신발끈(9)을 풀리지 않도록 하므로 신발끈(9)을 매듭을 주어 묶을 필요가 없다. As shown in FIG. 2, the
참고로 신발(1)의 홀에는 금속고리를 장착하여 신발끈(9)에 의해 신발(1)의 홀이 찢어지거나 하는 등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of the
상기 베이스판(10)의 내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연질의 보호부재를 부착시켜 접촉되는 발등이나 양말 등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t may be desirable to attach a soft protective member, such as silicone or rub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힌지결합부재(20)는 한 쌍의 베이스판(10)을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고 베이스판(10)이 내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와 베이스판(10)을 연결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핀(23)이 상기 몸체(21)에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hinge coupling member includes a
상기 몸체(21)는 상부면에 상기 힌지핀(23)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핀(25)은 상기 몸체(21)와 힌지핀(23)을 삽입 관통한 후에 압착되어 몸체(21) 외면에 걸려 몸체(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The
상기 힌지핀(23)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삽입홀(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23)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삽입홀(17)에 삽입되어 있는 자석(30)과 자속결합되어 힌지핀(23)이 삽입홀(17)에서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그리고 상기 힌지핀(23)은 원형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0)은 힌지핀(2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10)이 회전하면 신발끈(9)이 삽입되는 관통홀(11)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신발끈을 결속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 신발(1) 등의 주변 물체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한결 간편하게 신발끈(9)을 관통홀(11)에 삽입시키거나 뺄 수 있게 된다.
And the
상기 자석(3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1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The
상기 자석(30)은 도면과 같이 길이가 짧은 것을 여러 개 상기 삽입홀(17)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길이가 긴 것 한개(10A)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자석(30)은 한 쌍의 베이스판(10)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판에만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자속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양측의 베이스판 모두에 자석(3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lthough the
그리고 상기 자석(30)은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석을 사용하면, 접촉되는 발등에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And the
그리고 상기 자석(30)은 강력한 자력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신발 착용자가 걸어다닐 때에는 양측 두 자석(30)의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착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뒷꿈치를 들어 힘을 가할 때에는 어렵지 않게 분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And the
격한 운동을 하거나, 험한길을 가는 것이 아니면 신발(1)의 트임부(3)에 착용자의 발이 큰 힘을 가하지 아니하므로, 강력한 힘을 갖는 두 자석(30)이 도보시에 분리될 상황은 거의 발생되지 아니한다.
Since the wearer's foot does not exert great force 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신발끈 체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10 : 베이스판 11 : 관통홀
13 : 마무리홀 15 : 슬릿홀
17 : 삽입홀
20 : 힌지결합부재 21 : 몸체
23 : 힌지핀 25 : 결합핀
30 : 자석10 base plate 11: through hole
13: finishing hole 15: slit hole
17: insertion hole
20: hinge coupling member 21: the body
23: hinge pin 25: coupling pin
30: Magnet
Claims (3)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판 하부를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재;
상기 베이스판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끈 체결장치.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hoelaces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ir of base plates being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shoe;
Hinge coupling member for hinge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Shoelace fastening device comprising a; a magnet provided inside the base plate.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 길이방향으로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체결장치.The method of claim 1,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Shoelace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외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핀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 삽입홀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은 상하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체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nge coupling member includes a body and a hinge pin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in and out.
The hinge pin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hole of the base plate, the base plate is a shoelace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e up and dow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358A KR20130096835A (en) | 2012-02-23 | 2012-02-23 |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358A KR20130096835A (en) | 2012-02-23 | 2012-02-23 |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835A true KR20130096835A (en) | 2013-09-02 |
Family
ID=4944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8358A Abandoned KR20130096835A (en) | 2012-02-23 | 2012-02-23 |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683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05580A (en) * | 2015-01-21 | 2015-05-13 | 苏州市职业大学 | Magnetic shoelace buckle |
WO2015168055A1 (en) * | 2014-04-28 | 2015-11-05 | Dutch Ideas, Llc |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
CN105455305A (en) * | 2015-11-13 | 2016-04-06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Shoe buck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205258B1 (en) * | 2020-07-10 | 2021-01-20 | 주식회사 이퓨 | Shoes string binding apparatus for easy-lace and -unlace |
-
2012
- 2012-02-23 KR KR1020120018358A patent/KR20130096835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68055A1 (en) * | 2014-04-28 | 2015-11-05 | Dutch Ideas, Llc |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
CN104605580A (en) * | 2015-01-21 | 2015-05-13 | 苏州市职业大学 | Magnetic shoelace buckle |
CN105455305A (en) * | 2015-11-13 | 2016-04-06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Shoe buck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5455305B (en) * | 2015-11-13 | 2017-09-01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shoe buckle and its manufacture method |
KR102205258B1 (en) * | 2020-07-10 | 2021-01-20 | 주식회사 이퓨 | Shoes string binding apparatus for easy-lace and -unla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6835A (en) |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 |
KR20150002376U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
US20200008532A1 (en) | Shoe lace holder | |
AU2014328886B2 (en) | Shoe lace holder | |
US20080168680A1 (en) |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 |
KR101161392B1 (en) |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 |
US20150040360A1 (en) |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 |
KR200473618Y1 (en) | Easy tie device of shoestrings | |
KR101844135B1 (en) |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 |
KR200369624Y1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KR200306985Y1 (en) | Shoe tightener | |
US20110088229A1 (en) | Bow Knot Clamp | |
KR20140006345U (en) | Sports shoes having strap tidy and tongue fixing structure | |
KR200409510Y1 (en) | Shoelace ties | |
KR101563525B1 (en) | Structur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 |
NL2009505C2 (en) | FOOTWEAR AND CLOSURE THEREFORE. | |
KR200267874Y1 (en) | shoe lace fastener | |
KR20040049723A (en) | Shoe tightener | |
KR200316633Y1 (en) | A fixing device for footwear-string | |
KR200474869Y1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
JP2016127881A (en) | Shoe string fastening strap and string shoe including the same | |
KR200273526Y1 (en) | Apparatus for binding a shoes string | |
KR20090001669U (en) | Removable shoelace | |
US899888A (en) | Fastening for lacings. | |
KR200453361Y1 (en) | Shoe fi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