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5966A -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 Google Patents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966A
KR20130095966A KR1020120017416A KR20120017416A KR20130095966A KR 20130095966 A KR20130095966 A KR 20130095966A KR 1020120017416 A KR1020120017416 A KR 1020120017416A KR 20120017416 A KR20120017416 A KR 20120017416A KR 20130095966 A KR20130095966 A KR 2013009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in body
mattress
clo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융재
Original Assignee
최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융재 filed Critical 최융재
Priority to KR102012001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5966A/en
Publication of KR2013009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9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체(10)를 충진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10)를 수용하도록 바닥천(21), 측면천(22), 덮개천(24)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분리막(40); 및 상기 본체(20)의 덮개천(24)을 보호하도록 결속되는 외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동체를 기반으로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신체의 굴곡면을 따라 균등한 압력을 작용하면서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하절기의 통풍성과 동절기의 보온성은 물론 상시 안락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tress filled with a fluid (10): a main body (20) forming a space with a bottom cloth (21), a side cloth (22), and a cover cloth (24) to accommodate the fluid (10); A separator 40 install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And an outer jacket 50 which is bound to protect the cover cloth 24 of the main body 20.
Accordingly,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ventilation and summer warmth as well as winter comfort by flexibly and elastically responding to user's posture change while acting equal pressure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ody based on Pascal's principle based on the fluid There is.

Description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본 발명은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이나 스펀지류 대신 유동체를 기반으로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신체의 굴곡면을 따라 균등한 압력을 작용하면서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하절기의 통풍성과 동절기의 보온성은 물론 상시 안락성을 유지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flexible to a change in posture of a user while exerting an equal pressure along a curved surface of the body based on Pascal's principle based on a fluid instead of a spring or a spo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that flexibly responds to summer ventilation and winter warmth as well as to maintain comfort.

일반적으로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스프링이나 스펀지류는 물성의 한계로 인하여 신체의 요철에 따라 압력의 불균일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피로가 누적되는 것은 물론 각종 질병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크고 작은 볼(구체)을 사용하여 매트리스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선행특허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6007호의 "볼 매트리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06605호의 "연옥구슬 침구용 매트리스" 등이 있다.In general, springs or sponges used in mattresses inevitably cause pressure unevenness due to the irregularities of the body due to the limitation of physical properties, causing fatigue and accumulating various diseases as well as causing various disease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nufacture mattresses using large and small balls (spheres) to improve these shortcomings. As examples of prior patents, "Ball mattresse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06007, Korean Utility Model "Made of Gemstone Bead Bedding" of Publication No. 2000-00066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6007호는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특허로서,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진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의 공간부에 제공되어 쿠션재 역할을 하는 볼 형태의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가 제공된 독립된 형태의 주머니를 인접된 상태로 다수개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은 알갱이 형태의 충진재가 제공된 주머니가 각각의 독립된 부재로 이루어져 신체의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에서 하중을 적게 받는 쪽으로 충진재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신체의 무게를 균등하게 지지하므로 침대 사용시 안락함과 편안함을 극대화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06007 is a prior patent issu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includes a bag having an interior space and a ball-shaped filler provided on a space of the bag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and the filler is provided. It is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bags in an adjacent state. Accordingly, the pouch provided with a small granular filler is composed of each independent member, so that the filler moves freely from the heavily loaded part to the less loaded part, thereb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body evenly, thereby providing comfort and comfort when using the bed. Maximize.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06605호의 "연옥구슬 침구용 매트리스"는 전기매트 표면에 연옥을 분말 처리한 후 약 1.5m/m 두께로 돗드(dot) 프린트한 전기매트와 복수개의 주머니에 연옥가루를 약 3.5Ф 구슬 모양으로 제작하여 내장한 연옥구슬 매트리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과 분리가 손쉬우며 취급 보관 및 세탁이 용이할 뿐 아니라 유.소년층이나 중.장년층 등 용도별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떨어져 나가거나 깨질 염려가 없고, 지압이나 통풍이 잘되어 편리한 잠자리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Made of purgatory beads bedding"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0006605, the purgatory powder powder on the surface of the mat and the dot printed to about 1.5m / m thick and purgatory powder in a plurality of pockets It is composed of a nephrite bead mattress built by making about 3.5Ф beads. As a result, it is easy to connect and disconnect, easy to handle, store and wash,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size according to the use such as youth, young people, middle aged, etc., and there is no fear of falling off or breaking, Expect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onvenient bed.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연동한 유동체의 흐름 제어가 원활치 않아 불편을 초래하며, 신장을 비롯한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대응하는 유동체의 유동 효과를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the flow control of the fluid linked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user is not smooth, which causes inconvenience, and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flow effect of the fluid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including the kidney. hav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이나 스펀지류 대신 유동체를 기반으로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신체의 굴곡면을 따라 균등한 압력을 작용하면서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하절기의 통풍성과 동절기의 보온성은 물론 상시 안락성을 유지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flexible and elastic to the user's posture change while acting an equal pressure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ody by the Pascal principle based on the fluid instead of springs or sponges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that maintains the ventilation of the summer and the warmth of the winter as well as always comfort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체를 충진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를 수용하도록 바닥천, 측면천, 덮개천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분리막; 및 상기 본체의 덮개천을 보호하도록 결속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tress filled with a fluid: a main body forming a space with a bottom cloth, a side cloth, a cover cloth to accommodate the fluid; A separator install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an outer shell which is bound to protect the cover cloth of the main body.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적어도 대향하는 2개의 측면천을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pposing side fabrics to form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스판덱스 직물로 형성한 덮개천과 함께 보강띠를 사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supported using a reinforcing band together with a cover cloth formed of spandex fabric.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높이를 12~18㎝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12 ~ 18cm.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코너부는 장단경을 지닌 타원의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of an ellipse having a long and short diameter.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은 양측으로 덧댐부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절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mf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바닥천 상에 벨크로테이프를 개재하여 탈부착 가능한 요통방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low back pain preventer via a Velcro tape on the bottom clot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이나 스펀지류 대신 유동체를 기반으로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유동체가 신체의 굴곡면을 따라 자유롭게 흘러 균등한 압력을 작용하면서 사용자의 신체구조와 크기 그리고 자세 변화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하절기의 통풍성과 동절기의 보온성은 물론 상시 안락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flows freely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ody based on the principle of Pascal instead of the springs or sponges, and is flexible to the user's body structure, size, and postur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ity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omfort and comfort of the summer ventilation and winter warm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를 폭(W) 방향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주요부를 분리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를 길이(L) 방향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분리막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저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ly cut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dth (W) direc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mattr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ttr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length (L) direc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parator of a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ottom of the mattr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작은 볼(구체)과 같은 유동체(10)를 충진한 침구용 매트리스에 관련된다. 유동체(10)는 2~8㎜ 범위의 직경을 지닌 것으로서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원적외선 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물론 유동체(10)의 유동 과정에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도록 적절한 강도와 내마모성을 요구한다. 하나의 매트리스에는 동일한 직경의 유동체(10)를 충진하여 신체 접촉시 유동이 원활하도록 하면서 공극율을 높여 통기성과 보온성도 향상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ding mattress filled with a fluid 10, such as a small ball (sphere). The fluid 10 has a diameter in the range of 2 to 8 mm,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aterial, bu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far infrared rays. Of course, the appropriat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are required to prevent the weakening of durability in the flow of the fluid (10). One mattress is filled with a fluid 10 of the same diameter to increase the porosity while improving the flow rate when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dy improves breathability and warmth.

본 발명에 따른 본체(20)는 상기 유동체(10)를 수용하도록 바닥천(21), 측면천(22), 덮개천(24)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바닥천(21)과 측면천(22)은 동일한 직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강도의 지탱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텁고 질긴 소재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덮개천(24)은 바닥천(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The main body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ace is formed by the bottom cloth 21, the side cloth 22, and the cover cloth 24 to accommodate the fluid 10. The bottom fabric 21 and the side fabric 22 may use the same fabric, and select a relatively thick and tough material for strength. Cover fabric 24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better to choose a relatively thin material compared to the bottom fabric (21).

본 발명의 세부 설계로서, 상기 본체(20)는 적어도 대향하는 2개의 측면천(22)을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체(20)의 길이(L)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천(22)을 상협하광의 구조로 하는 것이 좋으나, 전체으로 4개의 측면천(22)을 모두 상협하광의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세 변화에 따라 유동체(10)의 유동과 복원이 신속하여 안락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a detailed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pposing side fabrics 22 are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light side light. In particular, the side fabrics 22 facing the length L of the main body 20 may preferably have a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light, but all four side fabrics 22 may have a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light.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s the user changes the posture, the flow and restoration of the fluid 10 may be quickly, and the overall stability may be ensured while maintaining comfort.

본 발명의 세부 설계로서, 상기 본체(20)는 스판덱스 직물로 형성한 덮개천(24)과 함께 보강띠(25)를 사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천(24)을 신축성 직물인 스판덱스로 형성하면 사용자가 자세 변화에 따른 유동체(10)의 유동과 복원이 신속하다. 보강띠(25)는 본체(20)의 폭(W) 방향으로 1~3 개소는 물론 전체 테두리에 걸쳐 형성할 수 있으며, 덮개천(24)의 과도한 신축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한다.As a detailed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is supported by using a reinforcing band 25 together with a cover cloth 24 formed of spandex fabric. When the cover fabric 24 is formed of a stretch fabric, spandex, the user can quickly flow and restore the fluid 10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ture. Reinforcing band 25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rim as well as 1 to 3 places in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to prevent the excessive stretching of the cover cloth 24 to maintain overall stability and durability do.

한편, 보강띠(25)는 덮개천(24)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보강편(25)을 덮개천(24)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band 25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located below the cover cloth 24, but at least some of the reinforcing piece 25 is also possible to be positio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cloth (24).

본 발명의 세부 설계로서, 상기 본체(20)는 높이(H)를 12~18㎝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조를 지닌 본체(20)에 유동체(10)를 충진하는 경우 적절한 높이(H)에 미달하면 유동체(10)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기능에 영향을 주며, 적절한 높이(H)를 초과하면 기능 향상보다는 불필요한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As a detailed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the height (H) in the range of 12-18 cm. When the fluid 10 is filled in the main body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f the fluid is less than the appropriate height H, the flow of the fluid 10 is not smooth and affects the function. It leads to unnecessary manufacturing cost increase rather than function improvement.

본 발명의 세부 설계로서, 상기 본체(20)의 코너부(26)는 장단경을 지닌 타원의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코너부(26)의 장단경은

Figure pat00001
로 이루어진 타원형의 곡률을 지니며, 여기서 a와 b는 각각 L과 W에 비례하는 비율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곡률의 코너부(26)를 형성하면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띠른 유동체(10)의 유동이 원활하고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시킨다.As a detailed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 portion 26 of the main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of an ellipse having a long and short diameter. For example, the long and short diameter of the corner portion 26
Figure pat00001
It has an elliptic curvature, where a and b ar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L and W, respectively. Forming the corner portion 26 of such a curvature smoothly flows the fluid 10 in response to the user's body changes and maintains the overall stability.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분리막(40)이 설치된다. 분리막(40)은 머리 및 나머지 신체 부분을 구분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할되는 공간 상에 각각 밀도 또는 크기가 다른 유동체(10)를 구분하여 수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40 is provid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The separator 40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ly support the head and the remaining body parts, and may separately accommodate the fluids 10 having different densities or sizes in the divided spaces.

본 발명의 세부 설계로서, 상기 분리막(40)은 양측으로 덧댐부(41)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절개부(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리막(40)은 코너에 형성된 절개부(42)를 이용하여 접은 상태로 바닥천(21), 측면천(22), 덮개천(24)과 재봉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의 봉제 제작에 따른 작업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 분리막(40)의 양측에 덧댐부(41)를 설치하여 접합부 강도를 증가하면서 매트리스 전체의 안정성을 도모한다.As a detailed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portion 41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incision portion 42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Separation membrane 40 is sewn with the bottom fabric 21, the side fabric 22, the cover cloth 24 in a folded state using the cut portion 42 formed in the corn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wing production of the mattress. Attaching portions 4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40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joint portion, thereby achieving stability of the entire mattres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덮개천(24)을 보호하도록 외피(50)가 결속된다. 주기적으로 세탁이 필요한 외피(50)는 별도의 끈(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본체(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속한다. 일예로, 본체(20)의 측면천(22)에 밴드(33)를 두르고 일정 간격으로 재봉부(34)를 형성하면 그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며 이러한 틈새를 이용하여 끈을 결속할 수 있다. 물론 결속용 끈을 외피(50) 및 본체(20)의 측면천(22)에 각각 재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ell 50 is bound to protect the cover cloth 24 of the main body 20. The outer skin 50 that needs to be washed periodically binds to the structur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20 using a separate string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band 33 is wrapped around the side fabric 22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ewing unit 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gap is formed therebetween, and a string may be bound using the gap. Of course, the binding straps may be sewn on the outer fabric 50 and the side fabric 22 of the body 20, respectively.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20)는 바닥천(21) 상에 벨크로테이프(31)를 개재하여 탈부착 가능한 요통방지대(4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요통방지대(45)는 고형체를 사용하는 것이며 요추의 지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벨크로테이프(31)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요통방지대(45)의 부착 위치는 바닥천(21)의 하면이 바람직하지만 상면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벨크로테이프(31)는 바닥천(21)의 상하면에 각각 부착한다. 요통방지대(45)의 길이는 본체(20)의 폭(W)보다 작은 것(예컨대 40~50% 수준)이 유동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back pain prevention member 45 that is detachable via a Velcro tape 31 on the bottom fabric 21. The low back pain prevention member 45 uses a solid body and is attached using the Velcro tape 31 when the support of the lumbar spine is required. Alth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cloth 21 is preferable, the upper surface may be selected a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low back pain prevention member 45. To this end, the Velcro tape 31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ttom cloth 21,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lower back pain prevention block 45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main body 20 (for example, 40 to 50% level) for the smooth flow of the fluid.

한편, 바닥천(21)에는 벨크로테이프(31) 외에 지퍼(36)를 설치하여 유동체(10)를 용이하게 보충하거나 교체하는 용도로 활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fabric 21 is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Velcro tape 31, the zipper 36 is utilized to easily replenish or replace the fluid (10).

작용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트리스는 본체(20)의 분리막(40)으로 분할되는 공간 상에 각각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유동체(10)의 유동과 복원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대한 응답성을 개선하고 신체의 구조와 크기에 스스로 적응하여 안락성이 유지된다.In operation, the mat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ve to the user's posture change in the process of the flow and restoration of the fluid 10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ascal on the space divided into the separator 40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Comfort is maintained by improving itself and adapting itself to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body.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유동체 20: 본체
21: 바닥천 22: 측면천
24: 덮개천 25: 보강띠
26: 코너부 31: 벨크로테이프
33: 밴드 34: 재봉부
40: 분리막 41: 덧댐부
45: 요통방지대 46: 벨크로테이프
50: 외피
10: fluid 20: main body
21: floor fabric 22: side fabric
24: cover cloth 25: reinforcing band
26: corner 31: Velcro tape
33: band 34: sewing
40: separation membrane 41: additional portion
45: back pain prevention 46: Velcro tape
50: jacket

Claims (7)

유동체(10)를 충진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10)를 수용하도록 바닥천(21), 측면천(22), 덮개천(24)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분리막(40); 및
상기 본체(20)의 덮개천(24)을 보호하도록 결속되는 외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In a mattress filled with fluid 10:
A main body 20 forming a space with a bottom cloth 21, a side cloth 22, and a cover cloth 24 to accommodate the fluid 10;
A separator 40 install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0; And
Float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 the outer cover 50 is bound to protect the cover cloth (24) of the main body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적어도 대향하는 2개의 측면천(22)을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20 is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pposing side cloth (22) to form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스판덱스 직물로 형성한 덮개천(24)과 함께 보강띠(25)를 사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20 is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using a reinforcing belt 25 together with a cover cloth (24) formed of spandex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높이(H)를 12~18㎝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20 is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the height (H) in the range of 12-18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코너부(26)는 장단경을 지닌 타원의 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Corner portion 26 of the main body 20 is an oval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of an ellipse having a short and short di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40)은 양측으로 덧댐부(41)를 형성하고 코너부에 절개부(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eparation membrane (40) is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ing an additional portion 41 on both sides and the incision portion 42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바닥천(21) 상에 벨크로테이프(31)를 개재하여 탈부착 가능한 요통방지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를 이용한 부양식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20 is a floating mattress using a fl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cloth 21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low back pain prevention member (45) via a Velcro tape (31).
KR1020120017416A 2012-02-21 2012-02-21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KR201300959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416A KR20130095966A (en) 2012-02-21 2012-02-21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416A KR20130095966A (en) 2012-02-21 2012-02-21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966A true KR20130095966A (en) 2013-08-29

Family

ID=4921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416A KR20130095966A (en) 2012-02-21 2012-02-21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596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89B1 (en) * 2014-02-28 2015-06-10 최융재 Bead Mattr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89B1 (en) * 2014-02-28 2015-06-10 최융재 Bead Mattr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546A (en) Fluid mattress
KR101381423B1 (en) functional pillow
KR101790648B1 (en) Mattress for evenly gathering and dispersing human body gravity
KR101268859B1 (en) Comfortable pillow for the cervical spine
JP4680057B2 (en) pillow
KR20130095966A (en) Buoyant mattress using fluid media
CN213128837U (en) Mattress
KR101304363B1 (en) Variable shaped fillow for waist
JP2016202485A (en) Baby bed
JP3131886U (en) pillow
JP3111334U (en) Good sleep pillow
TWM575296U (en) Structure of pad body
US20110131729A1 (en) Configurable Support Locations Pillow
CN205671852U (en) A kind of integrated mattress inner bag
CN211269593U (en) Combined mattress
CN209090497U (en) A kind of foam rubber and spring segmented combined mattress
CN209769898U (en) Adjustable sleep-relaxing hose pillow and bedding
JP3218345U (en) Yukimaki
TWM421754U (en) Double-pocket-spring mattress
CN207355891U (en) Jade pillow
CN205410562U (en) Children are with bed
CN222237250U (en) The combination of soft, hard, thick and thin springs forms a spring mattress structure with a support force transition zone
CN222397739U (en) Spring mattress with spring-in-spring structure at intervals
CN214548463U (en) A ridge protection partition mattress structure
CN212233844U (en) Mattress with temperature control and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