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47A -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4947A KR20130094947A KR1020120016234A KR20120016234A KR20130094947A KR 20130094947 A KR20130094947 A KR 20130094947A KR 1020120016234 A KR1020120016234 A KR 1020120016234A KR 20120016234 A KR20120016234 A KR 20120016234A KR 20130094947 A KR20130094947 A KR 20130094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location
- absolute position
- electronic devic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01S5/02522—The radio-map containing measured values of non-radio val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층간 정보 갱신을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절대위치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위치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서버가 단말로부터 절대위치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AP의 위치 변경이 많은 환경에서 정확도 높은 실내 위치 정보를 측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준이 되는 절대위치를 통해 실내 무선 AP(Access Point) 위치를 측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ystem: LBS)는 유선 및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시스템 및 서비스이다. 즉, 위치 측위기술을 이용하여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전화 등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서비스 기술이다.
한편, LBS는 위치제공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요청을 하면, 다양한 위치측위결정기술을 이용하여 측위결과값을 지도에 표시해 주거나 주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LBS의 주요 기술 구성요소로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측위기술, 기기국 및 AP등의 시설정보를 포함한 위치데이터 관리를 위한 핵심 플랫폼기술 및 응용기반기술 등이 있다. 여기에서 가장 핵심기술중 하나인 위치측위기술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기반(Network-based)의 정보를 이용한 Cell ID, Cell Header 등과 핸드셋기반(Hanset-based)의 A-GPS방식 등이 있으며 또한,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무선랜(Wireless LAN) 기반의 WPS(Wifi Positioning System) 방식 등이 있다.
WPS는 AP(Access Point)에서 방사된 RF 신호의 파라미터(MAC 주소, 신호세기 등)를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WPS 서버가 단말과 시스템간 위치측위 결정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여 단말에 제공해 주는 기술이다.
WP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AP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수집/분석된 AP 정보를 이용하는 측위 알고리즘 구현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건물 내 무선 AP 위치는 사용자 혹은 관리자에 의해 자주 변경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건물 내에서 WPS를 이용해서 위치를 측위 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건물 내의 무선 AP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대위치에서 탐색된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층간 기압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서버의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서버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내에서 변경되는 무선 AP 위치 정보를 별도의 갱신 작업 없이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AP의 위치 변경이 많은 환경에서 정확도 높은 실내 위치 정보를 측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QR 코드 배치를 이용할 시 저가의 비용으로 AP 위치 갱신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쇼핑센터에서 자동화를 위해서 Card-Reader 배치를 이용할 시, 고객의 쇼핑 정보와 쇼핑 패턴에 따른 동선도 함께 파악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객에게는 추천하는 쇼핑 동선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절대적인 기압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니고 절대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기압을 이용함으로써, 고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층간 정보를 구별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 사용자의 절대 위치를 기반으로 실내 무선 AP의 위치를 자동으로 측위하고, 실내의 무선 AP의 변경된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기술입니다. 여기서, 단말 사용자의 절대 위치는 실내에 위치한 QR(Quick Response)코드나 RF-Reader(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혹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판독기(Card-Reader) 등을 통해 얻어지는 위치이다. QR코드나 RF-Reader, 카드 판독기의 위치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서버에 구축된다.
또한, QR코드나 RF-Reader, 카드 판독기를 이용하여 획득된 단말 사용자의 절대 위치를 기반으로 실내 내부의 층간 기압을 자동으로 측위하여 갱신하는 기술입니다
이하, 실내 내부에 QR 코드, RF tag 혹은 카드 판독기 등이 설치된 곳은 사용자의 절대위치로 사용되면, 절대위치는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에 QR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 내부의 해당 QR 코드를 스캔한다(100단계).
이후, 단말기는 스캔된 QR코드와 함께,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 주변 AP 신호 정보를 위치정보 서버로 제공한다(110). 상기 AP 신호 정보는 무선 AP의 신호세기, 무선 AP 고유 명칭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캔된 QR코드는 사용자 단말기의 절대위치로 이용되며, 상기 절대위치는 고정된 점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QR코드,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 주변 AP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AP 위치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한다(120단계). 여기서, QR코드 및 주변 AP 신호 정보는 AP 위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는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AP 위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절대위치정보를 지시하는 QR코드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에서 수집된 AP 정보들을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강도를 추정함으로써 AP 위치를 결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QR코드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130단계).
다른 구현에 있어서, 수신한 QR코드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대신,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결정되거나 갱신된 AP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130단계). 일례로,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건물 내부의 상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후 신용카드로 결재할 때(200단계), 카드 판독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결재 내용이 전송된다(210단계).
이후, 단말기는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와 함께,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 주변 AP 신호 정보를 위치정보 서버로 제공한다(220단계). 상기 AP 신호 정보는 무선 AP의 신호세기, 무선 AP 고유 명칭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절대위치로 이용된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 주변 AP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AP 위치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한다(230단계). 여기서,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 및 주변 AP 신호 정보는 AP 위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는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AP 위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절대위치정보를 지시하는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에서 수집된 AP 정보들을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 강도를 추정함으로써 AP 위치를 결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240단계).
다른 구현에 있어서, 수신한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대신,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결정되거나 갱신된 AP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240단계). 일례로,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이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AP 위치 측위 및 층간 기압 정보 획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기 내부 RF tag를 RF reader기에 접촉시킬 때 혹은 근접시킬 때(300단계), RF reader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RF reader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310단계).
이후, 단말기는 RF reader에 대한 정보와 함께,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 주변 AP 신호 정보를 위치정보 서버로 제공한다(320단계). 상기 AP 신호 정보는 무선 AP의 신호세기, 무선 AP 고유 명칭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절대위치로 이용된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 주변 AP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AP 위치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한다(330단계). 여기서, RF reader에 대한 정보 및 주변 AP 신호 정보는 AP 위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기압 정보는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AP 위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다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절대위치정보를 지시하는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에서 수집된 AP 정보들을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 강도를 추정함으로써 AP 위치를 결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RF reader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에 제공한다(340단계).
다른 구현에 있어서, 수신한 RF reader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 대신,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결정되거나 갱신된 AP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340단계). 일례로,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절대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한 사용자 주변의 AP 신호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무선 AP의 위치와 비교하여 AP 위치를 갱신하거나 새로 추가한다. 따라서, 정기적인 무선 AP의 탐색 없이 자동으로 무선 AP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서버는 400단계에서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절대위치정보, 단말기 주변의 AP 신호 정보 및 기압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절대위치는 QR코드나 RF-Reader 혹은 카드 판독기(Card-Reader)가 위치한 지점이다.
이후, 서버는 402단계에서, 수신된 단말기의 절대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압정보를 갱신하거나 추가한다. 상기 절대위치 정보에 실내의 층수를 포함하게 되면, 해당 층수의 기압정보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시된 기압으로 갱신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이후, 서버는 404단계에서 절대위치정보 및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즉, 서버는 상기 절대위치 및 상기 절대위치에서 수집된 AP 정보들을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 강도를 추정함으로써 AP 위치를 계산한다.
이후, 서버는 406단계에서 계산된 AP 위치정보와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AP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AP 위치 변경이 있을 시 해당 AP 위치를 갱신한다.
이후, 서버는 408단계에서 위치정보를 요청한 해당 단말기의 주변 AP 신호정보에 기반하여,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500단계에서 QR코드나 RF-Reader, 카드 판독기(Card-Reader)로부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절대위치 정보는 QR코드나 RF-Reader, 카드 판독기(Card-Reader)가 있는 지점의 위치정보로써, 스캐된 QR코드나 RF-Reader 혹은 카드 판독기로부터 수신된 RF-Reader 혹은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이다.
이후, 단말기는 502단계에서 절대위치를 지시하는 스캐된 QR코드나 RF-Reader 혹은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 및 절대위치 주변의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AP 신호 정보는 무선 AP의 신호세기, 무선 AP 고유 명칭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는 504단계에서 서버로부터 층간 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서버에 의해, 절대위치정보 및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계산되어 필요시 AP 위치는 갱신되며 갱신된 AP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기의 위치가 계산된다. 추가로, 서버는 절대위치에 해당하는 기압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층간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층간정보를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100)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600)는 메모리(610), 프로세서(processor) 유닛(620), 통신 유닛(630), 외부 포트(640), 오디오 IC(Integrated Circuit) 유닛(650), 스피커(660), 마이크로폰(670), 카메라 모듈(680), 센서모듈(690)을 포함한다. 메모리(610)와 외부 포트(64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 유닛(620)은 메모리 제어기 (621), 프로세서(processor)[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라고도 함)(622) 및 주변 인터페이스(6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통신 유닛(630)은 기저대역처리부(base band processor)(632)와 RF IC 유닛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Unit)(631)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참조번호 미기재)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장치(200)는 한 가지 예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여기에서 도시한 것보다 구성요소가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을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configuration)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configuration element)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6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를 포함한다. 또는, 메모리(100)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640)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RF IC 유닛(631)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6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611) 소프트웨어,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612), 위치정보처리모듈(6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614)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61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생략하여, 운영 체제, 통신 모듈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6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612)은, RF IC 유닛(631)이나 외부 포트(640)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데이터 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위치정보처리 모듈(613)은 카메라 모듈(680)을 통해 스캔된 QR코드, RF tag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RF reader에 접촉될 시, 혹은 카드결재 시, RF IC 유닛(631)을 통해, 수신되는 RF reader에 대한 정보 혹은 카드 판독기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절대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AP 위치 갱신 및 층간 정보 갱신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AP 위치정보 갱신 및 층간 정보 갱신하기 위한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6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615)는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JAVA 인에이블 애플 리케이션, 부호화(coding),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음악 플레이어(music player)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620)에 포함된 프로세서(622) 또는 주변 인터페이스(623)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가 메모리 제어기(621)를 통하여 메모리 (610)에 액세스(접속, 접근)하는 경우,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프로세서(622)는 메모리에 포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한다. 프로세서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핼함에 있어, 전체적인 제어 기능(overall control function)을 수행한다. 메모리 제어기 기능은 프로세서에 포함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6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더하여, 프로세서(62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포트(external port)(64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외부 포트(240)는, 휴대용 전자 장치(600)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주변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623)는 휴대용 전자 장치(60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622) 및 메모리(610)(메모리 제어기의 제어 하에)에 연결시킨다. 휴대용 전자 장치(600)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6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인터페이스(623)는 카메라 모듈(680), 센서모듈(690)을 프로세서(622) 및 메모리(610)에 연결시킨다.
프로세서(6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2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622)는 메모리(6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프로세서(622), 주변 인터페이스(623) 및 메모리 제어기(621)는 단일 칩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렇게 단일 칩으로 구성한 것을 프로세서 유닛(620)으로 칭한다. 또한, 이들 구성요소는 단일 칩이 아니라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
통신 유닛(630)은 RF IC 유닛(Radio Frequency IC unit)(631)과 기저대역처리부(base band processing unit)(632)를 포함한다. RF IC 유닛(631)은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기저대역처리부(63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여 안테나(참조번호 미기재)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전자파를 변환하여 기저대역 처리부에 제공한다. RF IC 유닛(631)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RF 트랜시버(transceiver), 증폭기(amplifier), 튜너(tunor), 오실레이터(oscillat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 칩셋(COding DECoding chip set), 가입자 식별 모듈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포함한다.
RF IC 유닛(231)은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RF IC 유닛(631)은 인터넷, 인트라넷,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또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며, 또한, 무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 Red Communication), RFID 통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와이 파이 (Wireless Fidelity, Wi-Fi), Wi-MAX,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시징 (instant messaging) 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 (SMS, short message service)용 프로토콜 또는 이들 여러 가지의 통신 방식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한 통신을 말한다.
일 실시 예에서, RF IC 유닛은 안테나(참조번호 미기재)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기저대역처리부(232)로 제공하고, 기저대역처리부(23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기저대역처리부(232)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하는 데,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에서, 송신인 경우, 기저대역처리부(632)는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기저대역처리부(632)는,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IC 유닛(audio IC unit)(650)은 스피커(speaker)(660) 및 마이크로폰(670)과 함께 사용자와 휴대용 전자 장치(600) 사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오디오 IC 유닛(audio IC unit)(650)은 스피커(speaker)(660) 및 마이크로폰(670)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IC 유닛 (650)은 프로세서 유닛(620)의 주변 인터페이스(623)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신호(electric signal)는 스피커(260)로 전달된다. 스피커(660)는 전기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616)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IC 유닛(650)은 마이크로폰(670)으로부터 이렇게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오디오 IC 유닛(614)은 수신한 전기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주변 인터페이스 (623)로 전송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주변 인터페이스(623)를 통하여 메모리(610)로 전송되거나 통신 유닛(630)으로 전송된다. 오디오 IC 유닛(6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은 출력(한 쪽 또는 두 쪽 귀용 헤드폰)과 입력(마이크로폰) 기능이 모두 가능한 경우도 있다. 오디오 IC 유닛(650)은,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잭(jack)(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잭은 이어폰 잭 또는 헤드셋 잭이라고도 한다.
카메라 모듈(680)은 촬영된 영상(예: QR코드)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주변 인터페이스(223)를 통해 프로세서(222)로 제공한다.
센서모듈(690)은 관성센서들(예: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고도센서 등)과 부가적인 센서(기압센서, 지자기센서 등)를 통해 신호를 감지하여, 감시된 신호를 주변 인터페이스(623)를 통해 프로세서(622)로 제공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600)는, 휴대용 전자 장치(600)에 포함된 여러 가지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한다. 전력 시스템은 전원(power source)(교류 전원이나 배터리), 전력 오류 검출 회로, 전력 컨버터 (converter), 전력 인버터(inverter), 충전장치 또는/및 전력 상태 표시장치(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 관리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600)는 터치스크린(도시하지 않음)으로 입력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별도의 터치패드를 통하여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물리적(physical) 입력/제어 장치(예를 들어, 다이얼 또는 버튼)를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600)를 온/오프시키고 잠그기 위한 푸시 버튼, 볼륨 조절 로커 버튼과 링어 프로파일(ringer profile), 토글링(toggling)용 슬라이더 스위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600)는 마이크로폰(670)을 통하여 미리 정한 기능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QR코드 대신 바코드로 대체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서버는 제어부(700), 저장부(710), 갱신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서버는 도시한 것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도시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configuration)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전반적이 서버를 제어하며, 본 발명에 더하여 AP 위치정보 및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절대위치정보, 단말기 주변의 AP 신호 정보 및 기압 정보를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절대위치는 QR코드나 RF-Reader 혹은 카드 판독기(Card-Reader)가 위치한 지점이다.
갱신부(720)는 수신된 단말기의 절대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압정보를 갱신하거나 추가하고, 그 결과를 저장부(710)에 저장한다.
상기 절대위치 정보에 실내의 층수를 포함하게 되면, 해당 층수의 기압정보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감시된 기압으로 갱신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제어부(700)는 절대위치정보 및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71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절대위치 및 상기 절대위치에서 AP 신호정보들을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 강도를 추정함으로써 AP 위치를 계산한다.
갱신부(720)는 계산된 AP 위치정보와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AP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AP 위치 변경이 있을 시 해당 AP 위치를 갱신한다.
제어부(700)는 위치정보를 요청한 해당 단말기의 주변 AP 신호정보에 기반하여,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제공한다.
저장부(710)는 다수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700: 제어부
710: 저장부
720: 갱신부
710: 저장부
720: 갱신부
Claims (36)
- 전자장치의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에서 주변 AP 신호들을 스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신호정보는 AP의 신호 세기, AP 고유 명칭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QR(Quick Response)코드 혹은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RF 태그 혹은 카드 결제 이벤트 발생시, RF-Reader 혹은 Card-Reader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 없이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에 제공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 주변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연동하여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전자장치의 층간 기압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QR(Quick Response)코드 혹은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RF 태그 혹은 카드 결제 이벤트 발생시, RF-Reader 혹은 Card-Reader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장치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기압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기압을 기압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서버의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는 QR(Quick Response)코드, RF-Reader 혹은 Card-Reader가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와 기저장된 AP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AP 위치 갱신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AP 위치 갱신이 필요할 시, 상기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에서 수집된 AP 신호정보를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 세기를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절대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에 의해 감시된 기압정보를 기반으로 층간 기압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 주변의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절대위치에서 주변 AP 신호들을 스캔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P 신호정보는 AP의 신호 세기, AP 고유 명칭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는,
QR(Quick Response)코드 혹은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는,
RF 태그 혹은 카드 결제 이벤트 발생시, RF-Reader 혹은 Card-Reader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절대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절대위치 정보 없이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에 제공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 주변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연동하여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장치의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절대위치 정보 및 기압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는,
QR(Quick Response)코드 혹은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는,
RF 태그 혹은 카드 결제 이벤트 발생시, RF-Reader 혹은 Card-Reader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는,
상기 전자장치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기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압을 기압정보로 변환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및 층간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서버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절대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 및 기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정보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위치는 QR(Quick Response)코드, RF-Reader 혹은 Card-Reader가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는,
상기 계산된 AP들의 위치와 기저장된 AP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AP 위치 갱신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AP 위치 갱신이 필요할 시, 상기 관련 AP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 및 상기 절대위치의 주변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AP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수신된 절대위치에서 수집된 AP 신호정보를 조합하여, 위치에 따라 변하는 AP의 신호 세기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는,
상기 단말의 절대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에 의해 감시된 기압정보를 기반으로 층간 기압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요청받고,
상기 단말 주변의 AP 신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6234A KR20130094947A (ko) | 2012-02-17 | 2012-02-17 |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
JP2012236920A JP2013172451A (ja) | 2012-02-17 | 2012-10-26 |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位置情報提供及び更新方法、そのための電子装置及びサーバー装置 |
EP13155239.0A EP2629576A1 (en) | 2012-02-17 | 2013-02-14 |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loc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
CN2013100518942A CN103260130A (zh) | 2012-02-17 | 2013-02-17 | 对无线接入点的位置进行定位的方法和设备 |
US13/770,066 US20130217410A1 (en) | 2012-02-17 | 2013-02-19 |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loc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6234A KR20130094947A (ko) | 2012-02-17 | 2012-02-17 |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4947A true KR20130094947A (ko) | 2013-08-27 |
Family
ID=4778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6234A Withdrawn KR20130094947A (ko) | 2012-02-17 | 2012-02-17 |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217410A1 (ko) |
EP (1) | EP2629576A1 (ko) |
JP (1) | JP2013172451A (ko) |
KR (1) | KR20130094947A (ko) |
CN (1) | CN103260130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93644A1 (ko) * | 2013-12-18 | 2015-06-25 | (주)피앤아이비 | 위치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제어방법 |
KR101719450B1 (ko) * | 2016-03-10 | 2017-04-0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129202A (ko) * | 2017-05-25 | 2018-12-05 | 주식회사 케이티 | 액세스 포인트의 고도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
CN109754243A (zh) * | 2017-11-01 | 2019-05-14 |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 基于防伪标识的收款二维码防调包系统及方法 |
WO2019231184A1 (ko) * | 2018-05-31 | 2019-12-05 | Lee Sang Seo | 무선랜 ap의 위치값을 지속적으로 정확한 값으로 업데이트해나가는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4189806A (zh) * | 2021-12-09 | 2022-03-15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一种生成无线信号指纹数据库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21922B2 (en) | 2012-06-26 | 2015-09-01 |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 Access point location identif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based on absolute and relative harvesting |
US8909258B2 (en) | 2012-09-07 | 2014-12-09 |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 Context and map aiding for self-learning |
GB201216284D0 (en) * | 2012-09-12 | 2012-10-24 | Illinois Tool Works | A secure door entry system and method |
CN104685505B (zh) * | 2012-10-19 | 2018-01-09 | 迈克菲公司 | 场所感知安全装置、方法、系统与介质 |
US9161329B2 (en) * | 2013-06-26 | 2015-10-13 | Qualcomm Incorporated | Communication of mobile device locations |
US9313767B2 (en) * | 2013-09-19 | 2016-04-12 | Qualcomm Incorporated | Using broadcast position and transmit power from access points to form assistance data |
JP6079533B2 (ja) * | 2013-09-27 | 2017-02-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入退室管理システム |
CN103678717B (zh) * | 2013-12-31 | 2016-09-28 | 北京掌行通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获取地址数据信息的方法及系统 |
CN105323079B (zh) * | 2014-05-27 | 2018-12-18 |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 对物联网系统进行管理的方法和智能终端 |
GB2528698B (en) * | 2014-07-29 | 2021-08-18 | Peter Naylor | Location-specific messaging |
US9237423B1 (en) * | 2014-08-06 | 2016-01-12 | Polaris Wireless, Inc. | Estimating the elevation of a wireless terminal based on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
CN104640208A (zh) * | 2015-03-09 | 2015-05-20 | 西安时云软件科技有限公司 | 无线ap的位置信息获取方法及无线ap |
CN104683953B (zh) * | 2015-03-27 | 2018-06-01 | 重庆邮电大学 | 基于SimRank相似组合邻近图构建的室内WLAN定位组网方法 |
US9693202B2 (en) * | 2015-07-01 | 2017-06-27 |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vice location using wireless data and other geographical location data |
CN105101089B (zh) * | 2015-07-31 | 2020-01-10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实现定位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
CN108317996B (zh) * | 2015-08-27 | 2021-06-29 | 华为终端有限公司 | 一种确定楼层方法、相关设备和系统 |
US10849205B2 (en) | 2015-10-14 | 2020-11-24 |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 Luminaire having a beacon and a directional antenna |
CN105516921A (zh) * | 2015-11-30 | 2016-04-20 | 山东阿拉丁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更新电梯的环境数据信息的方法及装置 |
CN105578214A (zh) * | 2016-02-05 | 2016-05-11 | 尼尔森网联媒介数据服务有限公司 | 确定数字媒体终端的地理位置的方法和装置 |
CN107205219A (zh) * | 2016-03-16 | 2017-09-26 | 伊姆西公司 | 用于定位的方法和设备 |
US10595162B2 (en) | 2016-03-18 | 2020-03-17 | Qualcomm Incorporated | Access point environment characterization |
CN105891866A (zh) * | 2016-03-31 | 2016-08-24 |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 一种定位方法、装置及电子设备 |
WO2018027787A1 (zh) * | 2016-08-11 | 2018-02-15 | 王志远 | 定位信息共享技术的使用情况反馈方法和定位系统 |
CN107506670B (zh) * | 2017-08-24 | 2020-11-2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参数加载方法及装置 |
US10841487B2 (en) | 2017-11-01 | 2020-11-1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obile computing device movement guidance for successful visual code detection within captured image |
JP6541854B2 (ja) * | 2017-11-15 | 2019-07-10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セルスタック |
CN108513259B (zh) * | 2018-02-07 | 2021-04-23 |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 电子装置、楼层定位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10863327B2 (en) | 2018-04-05 | 2020-12-08 | Polaris Wireless, Inc. | Estimation of building floors based on difference in barometric pressure measured by wireless terminals |
US10367932B1 (en) | 2018-04-05 | 2019-07-30 | Polaris Wireless, Inc. | Calibration of measurement bias of a barometric sensor in a wireless terminal |
US11163071B2 (en) | 2018-06-14 | 2021-11-0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istributed location determination in wireless networks |
US10531423B1 (en) | 2018-06-14 | 2020-01-0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istributed location determination in wireless networks |
US10715960B2 (en) | 2018-10-05 | 2020-07-14 | Polaris Wireless, Inc. | Estimation of a stack-effect compensation model based on measurements provided by a wireless terminal |
CN109511166B (zh) * | 2018-12-28 | 2023-07-21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设备的定位方法及定位装置 |
CN109922446A (zh) * | 2019-02-12 | 2019-06-21 | 浙江每日互动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服务器获取网络设备的高度的方法 |
CN110072284A (zh) * | 2019-05-05 | 2019-07-30 | 江苏阳廷电气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网关分布确定方法 |
CN110611880B (zh) * | 2019-09-26 | 2021-05-04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家庭WiFi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DE102019218180A1 (de) * | 2019-11-25 | 2021-05-27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und System zum Zuordnen von Koordinaten |
CN114154547A (zh) * | 2020-08-18 | 2022-03-08 |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 确定商家位置变更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2594A (ja) * | 2003-09-18 | 2005-04-07 | Nec Corp | 情報共有方法、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サーバ |
JP4322147B2 (ja) * | 2004-03-09 | 2009-08-26 |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 地図表示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プログラム |
CA2744847C (en) * | 2005-11-07 | 2013-09-10 | Qualcomm Incorporated | Positioning for wlans and other wireless networks |
US20070184851A1 (en) * | 2005-12-30 | 2007-08-09 | Pango Network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on synthesis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
JP5009022B2 (ja) * | 2007-03-27 | 2012-08-22 | 富士通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その高度の計測方法、その計測プログラム、及びその計測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
WO2011121392A1 (en) * | 2010-03-30 | 2011-10-0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using radio signals and atmospheric pressure |
KR101429953B1 (ko) * | 2010-04-02 | 2014-08-13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pCell 측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 및 장치 |
CN102075936A (zh) * | 2010-12-28 | 2011-05-2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定位方法及终端 |
CN102348258A (zh) * | 2011-10-12 | 2012-02-08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定位方法及装置 |
-
2012
- 2012-02-17 KR KR1020120016234A patent/KR2013009494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10-26 JP JP2012236920A patent/JP2013172451A/ja active Pending
-
2013
- 2013-02-14 EP EP13155239.0A patent/EP262957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02-17 CN CN2013100518942A patent/CN103260130A/zh active Pending
- 2013-02-19 US US13/770,066 patent/US2013021741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93644A1 (ko) * | 2013-12-18 | 2015-06-25 | (주)피앤아이비 | 위치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제어방법 |
KR101719450B1 (ko) * | 2016-03-10 | 2017-04-0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129202A (ko) * | 2017-05-25 | 2018-12-05 | 주식회사 케이티 | 액세스 포인트의 고도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
CN109754243A (zh) * | 2017-11-01 | 2019-05-14 |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 基于防伪标识的收款二维码防调包系统及方法 |
WO2019231184A1 (ko) * | 2018-05-31 | 2019-12-05 | Lee Sang Seo | 무선랜 ap의 위치값을 지속적으로 정확한 값으로 업데이트해나가는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90136619A (ko) * | 2018-05-31 | 2019-12-10 | 이상서 | 무선랜 ap의 위치값을 지속적으로 정확한 값으로 업데이트해나가는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
US11722986B2 (en) | 2018-05-31 | 2023-08-08 | Fureun Co., Ltd. | Positioning system for continuously and accurately updating position value of wireless LAN AP, and method therefor |
CN114189806A (zh) * | 2021-12-09 | 2022-03-15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一种生成无线信号指纹数据库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N114189806B (zh) * | 2021-12-09 | 2023-08-15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一种生成无线信号指纹数据库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172451A (ja) | 2013-09-02 |
CN103260130A (zh) | 2013-08-21 |
EP2629576A1 (en) | 2013-08-21 |
US20130217410A1 (en) | 201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4947A (ko) | 무선 액세스포인트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 |
KR101895455B1 (ko) | 전자장치에서 의미적 위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
US9081080B2 (en) | RSSI-based indoor positioning in the presence of dynamic transmission power control access points | |
US2015037350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system enhancement wit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
US20060084463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ergency call function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call reques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EP3051892B1 (en) | Mobile device, location estimation method, and location estimation program | |
RU2667795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оступа к серверу | |
KR20150132217A (ko) | 보조 데이터 생성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 선택 | |
CN104335635A (zh) | 基于收集的一系列接入点的数据来触发接入点之间的切换的方法和设备 | |
US10531228B2 (en) | Approaching user detection, user authentication and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RF fingerprint | |
US2015021219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sitioning based on positioning compatibility classification | |
KR20200144843A (ko) | 가변적 지오펜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JP2017500589A (ja) | サーバから仮想アクセスポイントを識別するデバイスに支援データを送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JP2013110606A (ja) | 端末装置、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50039413A (ko) |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20047539A (ko)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단말기 및 서버 | |
KR20150069928A (ko) |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 |
CN109791209B (zh) | 一种定位方法及装置 | |
US20160174147A1 (en) | Access point selection for mobile device positioning | |
US11343644B2 (en) | Neighbor awareness method, beac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KR20190100786A (ko) | 결제 정보에 기반한 지오펜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07613099A (zh) | 加载紧急号码的方法及装置 | |
JP2013250213A (ja) | 通信装置、情報処理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 |
JP2012222432A (ja) | 携帯端末装置 | |
AU2018211200B2 (en) | Control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position verific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position verific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