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524A - Holder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older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4524A KR20130094524A KR1020120015848A KR20120015848A KR20130094524A KR 20130094524 A KR20130094524 A KR 20130094524A KR 1020120015848 A KR1020120015848 A KR 1020120015848A KR 20120015848 A KR20120015848 A KR 20120015848A KR 20130094524 A KR20130094524 A KR 20130094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dle
- base body
- terminal
- mobile terminal
- volu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1481789 Rupicap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용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형성되고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 의해 굽힘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필름힌지와, 상기 필름힌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단과 맞닿아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받침 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거치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 port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t an angle to a desk or a table, etc. In the cradle for mounting the terminal at an angle, the cradle includes: A base body formed with a reattachable adhesive on the back and having a volume, a film hinge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and having a length that can be bent by a thin thickness and developed to a constant length, and from the film hi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oot formed to extend and formed with a volume so as to contact the end of the base body to stand up the terminal at an ang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용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부착 가능한(repositionable) 접착제 또는 진공 흡착이 가능한 흡착컵이 형성되고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 의해 굽힘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필름힌지와, 상기 필름힌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단과 맞닿아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받침 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거치발로 구성된 거치대를 형성한 것으로, 거치대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과 함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ort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t an angle to a desk or a table, and in particular, a repositionable adhesive or a vacuum adsorption capable of adsorption. A base body formed with a cup and having a volume, a film hinge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and having a length that is bent by a thin thickness and developed in a constant length, a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lm hinge and the base Forming a cradle consisting of a cradle that is formed with a volume to support the terminal at an angle to support the end of the body,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with ease of use and handling, the product price On the cradle for mobile terminals One will.
최근 DMB방송, 멀티미디어 기능 등의 활성화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확대 보급에 따라 거치대 또한 발명가들에 의해 많이 제안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activation of DMB broadcasting and multimedia functions, the necessity of mounting a mobile terminal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cradle has been proposed by the inventors in accordance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 phones.
그러나 대부분의 발명은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그에 따른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 제품가격이 비싸고, 거치대의 고유기능만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제품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단가를 대폭 낮춤으로써 누구나 부담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거치대의 고유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스를 겸하는 거치대를 여전히 필요로 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invention is the reality that the components are complex and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ly high product price, and only the unique function of the cradle. Accordingly, there is still a need for a cradle that serves as a new type of case that can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by anyone by simply lowering the product configuration and drasticall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exhibi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unique functions of the cradl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단말기용 거치대를 간단히 형성하여 기능적 디자인과 함께 단말기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고, 상기 거치대를 사용시에는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몸체를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하고 필름힌지를 뒤로 젖히는 동작만으로 이에 연장 형성된 거치발이 바닥에 위치하여 상기 거치발의 일단과 베이스몸체의 일단이 맞닿아져 단말기가 비스듬히 세워지게 함으로써 거치대의 사용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거치대의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여 제조비용의 절감과 함께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radle for a terminal an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advantages.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form a cradle for the terminal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 the terminal with a functional design, when using the cradle, attaching the base body constituting the cradle to the back of the terminal and flipping the film hinge backwards Only the extended foot formed on the floor is located on the floor so that one end of the base foot and one end of the base bod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 can be erected to simplify the use of the mount, and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of the mount is very simple and the cost of manufacturing It is to provide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ease of use and handling with savings.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형성되고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 의해 굽힘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필름힌지와, 상기 필름힌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단과 맞닿아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받침 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거치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dle for mounting the terminal at an angle, the cradle is a base body formed with a volume and a reattachable adhesive on the back and formed with a volume, the thickness is formed from the base body is thin It consists of a film hinge which is bent by the length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s from the film hinge and is provided with a volume that is formed with a volume so as to contact the end of the base body to support the terminal at an angl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베이스몸체와 거치발은 볼륨을 갖고 캐릭터 모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base body and the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has a character.
상기 거치발의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attachable adhesiv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holder.
상기 거치발의 배면에 단말기를 닦을 수 있는 샤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ois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foot to wipe the terminal.
상기 거치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dl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ubber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상기 베이스본체의 배면에 진공 흡착이 가능한 흡착컵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 of the bas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ption cup capable of vacuum adsorption is integrally formed.
상기 베이스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흡착컵의 둘레에 단턱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epp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suction cup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body.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단에는 단말기용 연결줄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bas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line for the terminal is formed.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대의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과 함께 사용 및 취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radle is very simpl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and handling.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로 예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를 굽힘된 형태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를 예시한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예시한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illustrat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lder shown in FIG. 1 in a bent form. FIG.
3 is a side view of Fig.
4 is a side view of Fig.
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yet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pecific example as follows.
본 발명의 여러 도면 설명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10)(이하, '거치대(10)'로 약칭함)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료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상기 거치대(10)는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18)가 형성되고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몸체(12)와, 상기 베이스몸체(1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 의해 굽힘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L)를 갖고 형성되는 필름힌지(16)와, 상기 필름힌지(16)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2)의 일단(12a)과 맞닿아 단말기(100)를 비스듬히 세워 받침 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거치발(14)로 구성된다.The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베이스몸체(12)와 필름힌지(16) 및 거치발(14)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상기에서 거치발(14)은 갈라진 형태의 두 개의 발 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두 개의 발이 아닌 하나의 발로서 거치발(14)을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몸체(12)의 배면은 접착제(18)가 코팅됨으로 평평한 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이스몸체(12)의 배면을 제외한 측면 또는 전면은 볼륨을 갖고 형성하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령, 사람 또는 동물의 형상화한 캐릭터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back surface of the
상기 거치발(14)의 경우도 사람 또는 동물의 형상화한 캐릭터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다시 말해서, 상기 베이스몸체(12)와 거치발(14)은 도 1과 같이 사람 형상의 캐릭터 모양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캐릭터 모양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볼륨을 갖는 사람 또는 동물의 발 모양, 사람 또는 동물의 얼굴 모양, 토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의 캐릭터로 형성할 있음은 물론이다.In other word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1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베이스몸체(12)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제(18)에 의해 거치대(10)는 단말기(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게 된다. 이때 거치발(14)은 단말기(100)의 배면에서 부착되어 있지 않고 달랑달랑하게 위치된다.When the
즉, 상기 필름힌지(16)는 두께가 얇고 유연하여 휴대시 필름힌지(16)를 통해 연장 형성된 거치발(14)이 달랑달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한편, 도 6과 같이 상기 거치발(14)의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18)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단말기(100)의 배면에 베이스몸체(12)와 거치발(14)이 접착제(1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온전히 부착되어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it is possible to form an adhesive 18 that can be re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unting feet (14). Therefore, when the
다른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거치발(14)의 배면에 단말기(100)를 닦을 수 있는 샤무드(20)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can be formed on the back of the
상기에서 샤무드(Chamude)(20)는 시중에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단으로, 세무(CHAMOIS)와 스웨드(SUEDE)의 합성어로 초극세사 부직포형 인공피혁을 말한다.Chamude (Chamude) (20) is a fabric that can be purchased and used on the market, it refers to the ultra-fine non-woven artificial leather synthetic compound of tax (CHAMOIS) and suede (SUED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의 단면도이다.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yet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베이스본체(12)의 배면에 흡착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을 하고 궁형으로 하여 진공 흡착이 가능한 흡착컵(22)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FIG. 8 is an integrally formed
상기와 같이 베이스본체(12)의 배면에 흡착컵(22)을 형성함으로써 거치대(10)의 베이스본체(12) 배면을 단말기(100)의 배면에 갖다대고 누르면 상기 흡착컵(22)에 진공이 형성됨으로써 흡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By forming the
이에 따라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접착제(18) 대신 상기 흡착컵(22)을 형성하여 흡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도 9는 도 8의 변형 예로, 베이스본체(12)의 배면에 형성된 흡착컵(22)(도면부호 미표시 도 8의 22부호 참조)의 둘레에 단턱부(24)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베이스본체(12)를 눌러 흡착컵(22)이 진공 흡착시 흡착컵(22)의 누름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턱부(24)에 의해 흡착컵(22)의 누름 변형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보다 확실한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FIG. 9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8, in which a
한편, 상기 베이스본체(12)의 일단에는 도 9와 같이 연결구멍(26)을 형성하여 이 연결구멍(26)을 통해 단말기용 연결줄(28)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100)와 연결하여 거치대(10)를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10)는 도 5와 같이 단말기(100)를 바닥(200)에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려면, 거치대(10)의 베이스본체(12)를 접착제(18)를 통해 단말기(100)의 배면에 부착한 다음 필름힌지(16)를 뒤로 젖히는 동작만으로 거치가 간단히 이루어지는바, 이는 거치대(10)의 베이스본체(12)를 접착제(18)를 통해 단말기(100)의 배면에 부착한 다음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거치할 바닥(200)을 향해 거치대(10)의 거치발(14)을 내려놓을 때 상기 필름힌지(16)를 단말기(100)의 배면 쪽으로 하여 뒤로 젖히게 되면 필름힌지(16)는 얇은 두께에 의해 자연스레 젖힘되면서 일정한 길이(L)에 의해 전개됨에 따라 필름힌지(16)와 연결된 거치발(14)이 바닥(200)에 위치되어 거치발(14)의 일단(14a)과 베이스몸체(12)의 일단(12a)이 맞닿아 거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다시 말해서, 상기 베이스몸체(12)와 이와 연결된 필름힌지(16)가 젖힘되어 전개되는 길이(L)를 갖고 형성되고 필름힌지(16)로부터 연장 형성된 거치발(14)이 볼륨을 갖고 형성되어 거치대(1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거치대(10)를 통해 단말기(100)를 도 5와 같이 비스듬히 세워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만약에 상기 필름힌지(16)가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L)를 갖지 않고, 가령 서류파일과 같이 이등분하여 가운데를 접힘되게 하는 필름힌지처럼 길이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거치발(14)을 통해 단말기(100)를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거치발(14)과 베이스몸체(12)가 볼륨이 없다면 마찬가지로 단말기(100)를 비스듬히 세워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I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거치대(10)를 단말기(100)에 부착하여 거치하거나 또는 휴대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단말기(100)를 보호하는 케이스(도시생략)에도 상기 단말기(100)와 같이 거치대(10)를 케이스에 부착하여 단말기(100)를 거치 또는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거치대(10)를 구성하는 베이스몸체(12)에 연결구멍(26)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용 연결줄(28)을 설치하여서 상기 연결줄(28)을 단말기(100)에 연결하여 휴대 및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 9 to form a connect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combine various features described herein, and various and modified construction methods are possible. Therefore,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10 : 거치대
12 : 베이스몸체
12a, 14a : 일단
14 : 거치발
16 : 필름힌지
18 : 접착제
20 : 샤무드
22 : 흡착컵
24 : 단턱부
26 : 연결구멍
28 : 단말기용 연결줄
100 : 단말기
200 : 바닥10: Cradle
12: base body
12a, 14a: once
14: foot
16: film hinge
18: adhesive
20: chamois
22: adsorption cup
24:
26: connection hole
28: terminal connection line
100: terminal
200: floor
Claims (8)
상기 거치대(10)는,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18)가 형성되고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몸체(12)와, 상기 베이스몸체(1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 의해 굽힘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L)를 갖고 형성되는 필름힌지(16)와, 상기 필름힌지(16)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2)의 일단(12a)과 맞닿아 단말기(100)를 비스듬히 세워 받침 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거치발(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In the cradle 10 for mounting the terminal 100 at an angle,
The cradle 10 has a base body 12 having a reattachable adhesive 18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volume, and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12 to be bent by a thin thickness and having a constant length. The film hinge 16 is formed to have a length (L) to be developed into, and extends from the film hinge 16 and abuts the terminal 100 in contact with one end (12a) of the base body 12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radle 14 formed with a volume to be.
상기 거치대(10)는, 배면에 진공 흡착이 가능한 흡착컵(22)가 형성되고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베이스몸체(12)와, 상기 베이스몸체(1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얇은 두께에 의해 굽힘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전개되는 길이(L)를 갖고 형성되는 필름힌지(16)와, 상기 필름힌지(16)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2)의 일단(12a)과 맞닿아 단말기(100)를 비스듬히 세워 받침 할 수 있도록 볼륨을 갖고 형성되는 거치발(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In the cradle 10 for mounting the terminal 100 at an angle,
The cradle 10 has a base body 12 having a suction cup 22 capable of vacuum adsorption on the back thereof and having a volume, and extending from the base body 12 to be bent by a thin thickness. The film hinge 16 is formed to have a length (L) that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ilm hinge 16 and in contact with one end (12a) of the base body 12 at an angle to the terminal 100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radle 14 which is formed with a volume so as to stand up.
상기 베이스몸체(12)와 거치발(14)은 볼륨을 갖고 캐릭터 모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ase body 12 and the holder 14 i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has a character.
상기 거치발(14)의 배면에 재부착 가능한 접착제(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Removable adhesive (18)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cradle 14,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상기 거치발(14)의 배면에 단말기(100)를 닦을 수 있는 샤무드(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chamois 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radle 14 to wipe the terminal 100.
상기 거치대(1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radle 10 i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ubber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상기 베이스본체(12)의 배면에 형성된 흡착컵(22)의 둘레에 단턱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ortion 24 is formed around the suction cup 22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body 12.
상기 베이스본체(12)의 일단에는 단말기용 연결줄(28)을 연결하는 연결구멍(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end of the base body 12 i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hole 26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line 28 for the terminal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848A KR20130094524A (en) | 2012-02-16 | 2012-02-16 | Holder of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848A KR20130094524A (en) | 2012-02-16 | 2012-02-16 | Holder of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4524A true KR20130094524A (en) | 2013-08-26 |
Family
ID=4921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5848A Withdrawn KR20130094524A (en) | 2012-02-16 | 2012-02-16 | Holder of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452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5144A (en) | 2014-12-19 | 2016-06-29 | 주식회사 아이티웰 | Mobile terminal with removable paper roll case |
KR101955918B1 (en) * | 2017-11-20 | 2019-03-08 | 박승희 | Foldable and rotatable hanger |
KR200490829Y1 (en) * | 2018-12-04 | 2020-01-16 | 이제형 | Cell-phone holder |
-
2012
- 2012-02-16 KR KR1020120015848A patent/KR2013009452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5144A (en) | 2014-12-19 | 2016-06-29 | 주식회사 아이티웰 | Mobile terminal with removable paper roll case |
KR101955918B1 (en) * | 2017-11-20 | 2019-03-08 | 박승희 | Foldable and rotatable hanger |
KR200490829Y1 (en) * | 2018-12-04 | 2020-01-16 | 이제형 | Cell-phone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76005U (en) | Cov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30094524A (en) | Holder of mobile terminal | |
CN205304915U (en) | Slidingtype ring cell phone stand | |
KR20140002951U (en) | Mobile phone case with a stand | |
CN208210048U (en) | A kind of handset bracket | |
KR20120066402A (en) | A supporter for a smart pad | |
CN214381012U (en) | Mobile phone magnetic attraction support | |
CN204967915U (en) | Mobile phone cover | |
CN203313241U (en) | Mobile phone support | |
TWM428632U (en) | Fixing device | |
CN221575425U (en) | An airbag stent | |
CN206023887U (en) | A kind of mobile phone finger ring support | |
CN205693710U (en) | A kind of anti-skid support posture mobile phone shell meeting Human Engineering Principle | |
CN207475649U (en) | A kind of mobile phone finger ring stent | |
CN206124582U (en) | Pen container with cell phone stand | |
KR20130075142A (en) | Case holder of mobile terminal | |
CN206350041U (en) | Mobile terminal | |
CN208434018U (en) | A kind of handset bracket | |
CN211454546U (en) | Passive capacitance finger pen | |
CN208257880U (en) | Handset bracket | |
CN209862581U (en) | Protective sleeve of electronic equipment | |
CN212979656U (en) | Folding desktop writing board | |
CN209233880U (en) |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support with embroidered magic tape | |
CN214315331U (en) | Multifunctional supporting assembly for handheld mobile terminal | |
KR20150115058A (en) | Stand For Portable Terminal And Case Having Intergral 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