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437A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suspension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suspension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3437A KR20130093437A KR1020120015059A KR20120015059A KR20130093437A KR 20130093437 A KR20130093437 A KR 20130093437A KR 1020120015059 A KR1020120015059 A KR 1020120015059A KR 20120015059 A KR20120015059 A KR 20120015059A KR 20130093437 A KR20130093437 A KR 201300934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bilizer bar
- lower arm
- suspension
- mounting
- moun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태빌라이저바의 위치변경 없이 레이아웃을 확보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양편에서 서브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로어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전방에서 차량의 좌우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 링크부가 상기 로어암을 관통하여 로어암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스태빌라이저바;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의 링크부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암의 내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 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a vehicle suspen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for securing a layout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arm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bframe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 stabilizer bar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subframe, and has link portions penetrating the lower arm and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lower arm at both ends; It is coupled to the link portion of the stabilizer bar, the mounting bush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arm; provides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for a vehicle suspension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태빌라이저바의 위치변경 없이 레이아웃을 확보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a vehicle suspen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for securing a layout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일반적으로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서스펜션 링크가 4개 혹은 5개로 장착 구성되어, 기존에 사용되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이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등의 타 시스템에 비해 많은 링크를 가진다.In general, the multi-link suspension is equipped with four or five suspension links, and has more links than other systems such as double wishbone suspension or McPherson strut suspension.
보통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링크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성능상의 장점이 증가하게 되나, 부품수가 많은 이유로 공간상의 레이아웃 구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멀티링크 서스펜션에서 많은 수의 서스펜션 링크를 피해 배치해야 하는 스태빌라이저바의 경우, 루트 설정이 굉장히 어렵게 된다.In general, the multi-link suspension increases the performance advantage as the number of links increase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ayout of the space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parts. Especially in the case of stabilizer bars that need to be placed in a large number of suspension links in multi-link suspension, routing becomes very difficul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스태빌라이저바(1)가 로어암(4)과 어퍼암(3)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의 링크부(2)를 통하여 로어암(4)에 연결되게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multi-link suspens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stabilizer bar 1 is disposed to pass between the
이러한 종래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로어암(4)과 어퍼암(3)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도 1과 같이 스태빌라이저바(1)가 매우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된다.In this conventional multilink suspension, the space between the
특히, 최근에 멀티링크 서스펜션이 많이 장착되고 있는 4륜 구동 차량의 경우, 구동축이 휠 센터에서 서브프레임의 중앙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스태빌라이저바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부족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our-wheel drive vehicle that is equipped with a lot of multi-link suspension in recent years, since the drive shaft must be connected from the wheel center to the center of the subframe, the space for mounting the stabilizer bar is very insufficient.
이러한 레이아웃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스태빌라이저바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술이 제시된바 있으나, 이 경우 디퍼렌셜의 위치 혹은 차체의 구조 변경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스태빌라이저바의 레이아웃 확보는 가능하나, 차량의 충돌 및 구동 성능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improve such a layout problem, a techniqu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has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but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differential or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must be accompanied, so that the layout of the stabilizer bar can be se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collision and driving performance ar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어있는 로어암의 내부공간에 스태빌라이저바의 링크부를 장착하여, 스태빌라이저바의 위치변경 없이 스태빌라이저바의 레이아웃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mounting the linkage of the stabilizer bar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lower arm,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that can secure the layout of the stabilizer bar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The object is to provide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양편에서 서브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로어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전방에서 차량의 좌우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 링크부가 상기 로어암을 관통하여 로어암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스태빌라이저바;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의 링크부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암의 내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 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arm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bframe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 stabilizer bar which is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subframe, and has link portions penetrating the lower arm and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lower arm at both ends; It is coupled to the link portion of the stabilizer bar, the mounting bush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arm; provides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for a vehicle suspension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상기 로어암의 내벽면에 장착되어 마운팅 부시를 감싼 형태로 지지해주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bracket mount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arm to support the mounting bush in the form wrapped.
상기 스태빌라이저바의 링크부는 마운팅 부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 링크부에는 마운팅 부시의 좌우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맞은편에 마운팅 부시의 좌우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체결된다.The link portion of the stabilizer bar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mounting bush, and the link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bush, and is detached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bush opposite to the locking jaw. The prevention member is fastened.
또한, 상기 로어암에는 스태빌라이저바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스태빌라이저바의 유동시 스태빌라이저바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스태빌라이저바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wer arm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abilizer bar penetrates,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abilizer ba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tabilizer bar when the stabilizer bar flow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suspension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로어암의 내부공간에 스태빌라이저바의 링크부를 장착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바의 레이아웃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1. The layout of the stabilizer bar can be improved by mounting the linkage of the stabilizer bar in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arm.
2. 성능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스태빌라이저바의 현 장착위치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라 스태빌라이저바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른 차량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2. By maintaining the current mounting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which is the most advantageous in terms of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vehicl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스태빌라이저바를 기존에 비해 더욱 간결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스태빌라이저바의 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량 및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3. The stabilizer bar can be configured in a more concise shape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us the rolling performance of the stabilizer bar can be improved, and the weight and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4. 기존에 비해 더욱 컴팩트(compact)한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다.
4. It can be configured as a package more compact (compact) than conventio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링크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장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를 로어암의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bilizer bar mounting structure of a multi-link suspensio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a vehicle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of FIG. 2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arm. FIG.
4 is a schematic view as seen from AA of FIG.
5 is a schematic view as seen from BB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은 스태빌라이저바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비어있는 로어암(11)의 내부공간에 스태빌라이저바(13)를 장착하여 스태빌라이저바(13)의 레이아웃을 확보하며, 특히 로어암과 어퍼암 사이의 공간에 스태빌라이저바를 장착하기 곤란하여 스태빌라이저바의 레이아웃이 제한적인 서스펜션에서 스태빌라이저바의 위치변경 없이 레이아웃을 확보할 수 있다.The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suspension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abilizer bar, and secures the layout of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은 서스펜션의 로어암(11), 양단에 링크부(14)가 각기 좌우양편에 로어암(11)을 관통하여 로어암(1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스태빌라이저바(13),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3)의 링크부(14)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운팅 부시(16), 및 상기 마운팅 부시(16)를 로어암(11)에 고정되게 지지해주는 마운팅 브라켓(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로어암(11)은 차량의 좌우양편에서 서브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서스펜션의 구성요소로, 대략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The
상기 로어암(11)에는 스태빌라이저바(13)의 유동 발생시 스태빌라이저바(1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스태빌라이저바(13)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3)는 차량의 좌우 롤링을 제어하는 부품으로, 상기 서브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좌우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링크부(14)가 상기 관통홀(12)을 통과하여 로어암(1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The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3)의 링크부(14)는 스태빌라이저바(13)와 로어암(11)을 일체로 연결해주는 부분으로, 마운팅 부시(16) 및 마운팅 브라켓(17)을 통해 로어암(11)에 결합된다.The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 부시(16)는 로어암(11)의 내벽면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마운팅 브라켓(17)은 로어암(11)의 내벽면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마운팅 부시(16)를 감싼 형태로 로어암(11)의 내벽면에 장착되어 마운팅 부시(16)를 지지해준다.3 and 5, the
상기 링크부(14)는 로어암(11)의 내벽면에 장착된 마운팅 부시(16)를 관통한 형태로 로어암(11)에 체결된다.The
이러한 링크부(14)에는 링크부(14)에 조립된 마운팅 부시(16)의 좌우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5)의 맞은편에 마운팅 부시(16)의 좌우 타측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8)가 체결된다.The
이에 스태빌라이저바(13)의 링크부(14)는 마운팅 부시(16)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마운팅 부시(16)가 로어암(11)의 내벽면에 설치됨에 따라 로어암(11)과 체결된다.The
또한 상기 마운팅 부시(16)는 차량이 전후/상하/좌우로 거동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바(13)의 전후/좌우 방향의 거동을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4)를 포함한 스태빌라이저바(13)의 양단부는, 어퍼암(19)과 로어암(11)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로어암(11)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은 비어있는 로어암(11)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스태빌라이저바(13)를 장착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바(13)의 레이아웃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어퍼암(19)과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형상 설계가 가능하다.
Such a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vehicl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layout of the
10 : 서브프레임
11 : 로어암
12 : 관통홀
13 : 스태빌라이저바
14 : 링크부
15 : 걸림턱
16 : 마운팅 부시
17 : 마운팅 브라켓
18 : 이탈방지부재
19 : 어퍼암10: subframe
11: lower arm
12: Through hole
13: Stabilizer Bar
14: link unit
15: hanging jaw
16: mounting bush
17: mounting bracket
18: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9: upper arm
Claims (4)
상기 서브프레임(10)의 전방에서 차량의 좌우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에 링크부(14)가 상기 로어암(11)을 관통하여 로어암(1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스태빌라이저바(13);
상기 스태빌라이저바(13)의 링크부(14)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암(11)의 내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 부시(1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
A lower arm 11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bframe 10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Stabilizer bar is formed in front of the sub-frame 10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link portion 14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arm 11 through the lower arm 11 at both ends ( 13);
A mounting bush 16 coupled to the link portion 14 of the stabilizer bar 13 and fix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arm 11;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vehicle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로어암(11)의 내벽면에 장착되어 마운팅 부시(16)를 감싼 형태로 지지해주는 마운팅 브라켓(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suspension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bracket (17) moun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arm (11) supporting the mounting bush (16) in a wrapped form.
상기 링크부(14)는 마운팅 부시(16)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 링크부(14)에는 마운팅 부시(16)의 좌우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5)의 맞은편에 마운팅 부시(16)의 좌우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8)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portion 14 is installed through the mounting bush 16, the link portion 14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15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bush 16, the locking jaw ( 15. The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suspension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8 for fasten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bush 16 is fastened to the opposite side.
상기 로어암(11)에는 스태빌라이저바(13)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홀(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은 스태빌라이저바(13)의 유동시 스태빌라이저바(1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스태빌라이저바(13)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arm 11 has a through hole 12 through which the stabilizer bar 13 penetrates, and the through hole 12 avoids interference with the stabilizer bar 13 when the stabilizer bar 13 flows.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the suspension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abilizer bar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059A KR20130093437A (en) | 2012-02-14 | 2012-02-14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suspension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059A KR20130093437A (en) | 2012-02-14 | 2012-02-14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suspension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3437A true KR20130093437A (en) | 2013-08-22 |
Family
ID=4921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5059A Ceased KR20130093437A (en) | 2012-02-14 | 2012-02-14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suspension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3437A (en) |
-
2012
- 2012-02-14 KR KR1020120015059A patent/KR20130093437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77245B2 (en) | Twist-beam rear axle comprising an additional Watt linkage | |
JP5182650B2 (en) | Trailing arm suspension | |
JP5867027B2 (en) | Suspension frame peripheral structure | |
JP2008540201A (en) | Wishbon-type linkage components and suspensions incorporating them | |
KR100974554B1 (en) | Underbody frame of the vehicle | |
KR100579258B1 (en) | Rear wheel suspension | |
KR101511482B1 (en) | Stabilizer bracket and shock absorber | |
KR20120007608U (en) | brakets for shock absorber | |
KR20120062338A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01509669B1 (en) | Sub frame for vehicle | |
KR20130093437A (en)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of suspension for vehicles | |
EP2231426B1 (en) | Hybrid arm for an independent rear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 |
KR101509688B1 (en) | Sub-frame for front suspension of automobile device for vehicle | |
CN109715419B (en) | Balance shaft support and balance type suspension | |
JP2013112212A (en) | Peripheral structure of suspension frame | |
JP5822130B2 (en) | Suspension frame peripheral structure | |
KR100901578B1 (en) | Trailing Arm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 |
JP5173520B2 (en) | Vehicle suspension subframe structure | |
JP5375181B2 (en) | Rea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 |
KR20040101795A (en) | Suspension for mono-coque body type vehicle | |
CN109789745B (en) | Balance shaft support and balance type suspension | |
KR101509682B1 (en) | Sub frame for vehicle | |
KR20170111604A (en) | Sub frame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 |
KR100361296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01045930B1 (en) | Stabilizer Moun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