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304A - Pipe laying vessel - Google Patents
Pipe laying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3304A KR20130093304A KR1020120014774A KR20120014774A KR20130093304A KR 20130093304 A KR20130093304 A KR 20130093304A KR 1020120014774 A KR1020120014774 A KR 1020120014774A KR 20120014774 A KR20120014774 A KR 20120014774A KR 20130093304 A KR20130093304 A KR 201300933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buoyancy
- pipeline
- pipe laying
- buoyancy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or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or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5—Pipe-laying sh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or weights
- F16L1/202—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or weights fixed on or to vessels
- F16L1/207—Pipe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파이프부설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은 후미 쪽에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스팅거가 설치된 선체와, 선체의 후미 쪽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부력 증대를 위해 해상으로 펼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포함한다.A pipeline line is initiated. Pipe lay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in which the stinger for supporting the pipeline on the rear side,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hull and includes a buoyancy device that can be expanded to the sea to increase buoya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부설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미 쪽의 부력을 증대시켜 스팅거에 작용하는 파이프라인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부설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lay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laying vessel that can stably support the weight of the pipeline acting on the stinger by increasing the buoyancy on the stern side.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으로는 S형 부설법(S-Laying)과 J형 부설법(J-Laying)이 알려져 있다. S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Pipe Laying Vessel)으로부터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S형으로 내리면서 부설하는 방식이다. J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으로부터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J형으로 내리면서 부설하는 방식이다. 두 부설법은 상대적을 직경이 큰 리지드(Rigid)관을 해저에 부설하는데 적합하지만, 부설방식의 차이로 인해 상호 다른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S-laying and J-laying are known as methods for laying pipelines on the seabed. The S-type method is a method of laying down the pipeline from the Pipe Laying Vessel to the S-shaped bottom. The J-fitting method is a method of laying pipelines down from the pipe line to the J-bottom. The two laying methods are suitable for laying relatively large rigid pipes on the seabed, but they have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ue to differences in the laying method.
S형 부설법은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파이프 연결작업 등이 빠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파이프라인의 부설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수중에 내리는 파이프라인의 무게가 선미 쪽의 스팅거(Stinger)에 대부분 작용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의 심해 설치가 어렵다. 수심이 깊을수록 파이프라인의 무게가 증가하여 스팅거가 이를 지지하기 어렵고, 무게중심이 선체의 후방으로 치우치는 관계로 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The S type installation method has a relatively fast pipeline laying speed because the piping connection work on the ship is fast.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pipeline in the deep sea because the weight of the submerged pipeline mostly acts on the stinger on the stern side. Deep water depths increase the weight of the pipelin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stinger to support it,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ipeline is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hull,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hull.
반면에 J형 부설법은 파이프부설선으로부터 수중으로 내리는 파이프라인이 거의 수직을 유지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의 심해 설치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 방식은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파이프라인 연결작업 등이 느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설속도가 느리다. On the other hand, the J-fitting method is suitable for the deep-sea installation of the pipeline because the pipeline descending from the pipeline is kept almost vertical. However, this method is relatively slow because of the slow pipeline connection work on board.
이런 연유로 관련분야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14475호의 예와 같이, 파이프부설선의 개선을 통해 상대적으로 부설속도가 빠른 S형 부설법에 의하여 심해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in the related field, as shown in the exampl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14475, a study on a method of laying pipelines in the deep sea by the S-type method of relatively fast laying speed through improvement of pipelines .
본 발명의 목적은 선미 쪽의 부력을 증대시켜 선미 쪽에 작용하는 파이프라인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S형 부설법으로 심해 파이프라인 부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이프부설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laying vessel which enables deep sea pipeline laying by the S-type laying method by stabl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pipeline acting on the stern side by increasing the buoyancy on the stern s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후미 쪽에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스팅거가 설치된 선체와, 상기 선체의 후미 쪽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부력 증대를 위해 해상으로 펼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laying vessel comprising a hull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hull supporting the pipeline, and a buoyancy device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hull and can be expanded to the sea to increase buoyancy. Can be.
상기 부력장치는 한쪽이 상기 선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수면과 접하도록 외측으로 펼치거나 상기 선체의 측면 쪽으로 끌어 올리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device may include a buoyancy body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ull and a driving device that extends the buoyancy body outwardly or to the side of the hull so as to contact the water surface.
상기 구동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device may comprise one or more hydraulic cylinders.
상기 선체는 상기 부력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측면에 형성된 부력체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ll may include a buoyancy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to receive a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후미 쪽에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스팅거가 설치된 선체와, 상기 선체의 후미 쪽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력 증대를 위해 수면으로 하강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laying vessel including a hull with a stinger supporting the pipeline on the rear side, and a buoyancy devic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hull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to the surface to increase buoyancy. This may be provided.
상기 부력장치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device may include a buoyancy body that is lif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hull, and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buoyancy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은 부력장치로 선미 쪽의 부력을 증대시켜 선미 쪽에 작용하는 파이프라인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S형 부설법으로 심해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Pipe lay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pipeline acting on the stern side by increasing the buoyancy on the stern side by the buoyancy device, it is possible to lay the pipeline in the deep sea by the S-type laying method .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은 부력장치로 선미 쪽의 부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심해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경우에도 선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균형 유지를 위해 선체를 길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선체를 소형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ipe laying vess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buoyancy of the stern side by the buoyancy devic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balance of the hull even when laying the pipeline in the deep s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hull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lengthen the hull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hul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의 부력장치 사시도로, 부력체가 접힌 상태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의 부력장치 사시도로, 부력체가 수면에 접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의 부력장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의 부력장치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pipe laying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device of the pipe laying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fold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device of the pipe laying l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device of the pipe laying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device of the pipe lay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설선(100)은 S형 부설법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도록 후미에 스팅거(160)가 장착된 선체(110)를 구비한다.1 to 4 show a pipe laying 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선체(110)의 저부에는 추진을 위한 복수의 추진기(111)가 설치되고, 선체(110) 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들(310)을 보관하는 보관실(112)이 마련된다. 선체(110)는 상측에 복층으로 구성되는 갑판들(121,122)을 구비하고, 여기에는 파이프들(310)을 연결하여 파이프라인(300)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영역이 마련된다. A plurality of
작업영역은 파이프들(310)을 길게 연결하여 최종 파이프라인(300)을 만드는 메인 작업라인(130)과, 메인 작업라인(130)으로 공급할 파이프들을 소망하는 길이로 연결하는 복수의 서브 작업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작업라인(140)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베벨링, 예열, 용접,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작업라인(130)과 같은 층의 갑판(122) 또는 다른 층의 갑판(121)에 병렬 작업라인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work area includes a
메인 작업라인(1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수(101) 쪽으로부터 선미(102)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여기에는 복수 개소에 용접영역(131)이 마련됨으로써 서브 작업라인(140)에서 생산된 파이프들을 직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빠르게 연결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에도 용접부분의 검사 및 피복을 위한 작업영역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메인 작업라인(130) 후미 쪽에는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수중으로 안내하기 위해 선미(102)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안내부(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경사안내부(125) 직전의 메인 작업라인(130)에는 수중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파이프라인(300)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텐셔너(150,Tensioner)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텐셔너들(150) 중 일부는 경사안내부(125)에 설치될 수도 있다.At the rear of the
스팅거(160)는 경사안내부(125)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도록 선체(110)의 후미 쪽에 연결되며, 수중으로 진입하는 파이프라인(300)이 안전한 곡률로 휘어져 내릴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스팅거(160)는 선체(110)의 후미 쪽으로부터 하향경사를 유지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트러스구조물의 형태일 수 있고, 선체(110)에 설치된 크레인(115) 등의 지지수단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스팅거(16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30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다수의 롤러(161)가 설치될 수 있다.The
이러한 파이프부설선(100)은 선상에서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선체(110) 후미 쪽의 이동시켜 스팅거(160)로 지지하는 가운데 수중으로 내려 부설할 수 있다. 즉 S형 부설법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할 수 있다. 이때 수중에 내리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는 대부분 스팅거(160)를 통해 선체(110)의 후미 쪽에 작용한다.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하는 해역의 수심이 깊을수록 스팅거(160)로부터 해저면에 이르는 파이프라인(300)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스팅거(160)를 통해 선미(102) 쪽에 작용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도 증가한다.The
이처럼 파이프라인(300)의 무게가 선미(102) 쪽에 작용하면, 통상의 파이프부설선은 선체가 후방으로 기우는 등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실시 예의 파이프부설선(10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10) 후미 쪽에 설치된 부력장치(170)가 선미 쪽의 부력을 높여줌으로써 선체(110)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weight of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부력장치(170)는 선체(110) 후미 쪽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부력체(171)와, 부력체(171)를 해상으로 펼치거나 선체(110) 쪽으로 끌어 올리는 구동장치(172)를 포함한다. 3 and 4, the
부력체(171)는 선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원단면을 가진 기둥형태로 마련되고, 한쪽 변 부분이 힌지핀(173) 등에 의해 선체(110)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선체(110)의 측면에는 부력체(171)를 선체(110) 쪽으로 접을 때 부력체(171)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부력체 수용부(174)가 마련된다. 여기서는 단면이 반원형태인 부력체(171)를 예시하지만, 부력체는 선체(110) 구조 등 장착위치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구동장치(17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71)를 선체(110)로부터 외측으로 밀어서 해상으로 펼치거나 당겨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부력체 수용부(174)가 위치하는 선체(110)의 측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장치(172)는 도 3과 도 4의 예처럼 신축이 가능한 복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구동장치(17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기구적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부력장치(17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172)의 동작에 의해 부력체(171)를 선체(110)의 측면 쪽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즉 부력체(171)를 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파이프라인을 부설하지 않고 파이프부설선(100)이 이동할 때는 이처럼 부력체(171)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파이프부설선(100)이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하면서 이동할 때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172)를 동작시켜 부력체(171)의 일부가 수면에 잠기도록 부력체(171)를 외측으로 펼친다. 이렇게 하면, 선체(110)의 후미는 자체의 부력에 더하여 부력체(171)의 부력이 작용하므로 부력이 증가한다. When the
따라서 수중에 내리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가 스팅거(160)를 통해 선체(110)의 후미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선체(11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선체(110)는 자체 밸러스트시스템에 의한 균형제어와 함께 부력장치(170)에 의한 부력이 더해지기 때문에 더욱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통상의 파이프부설선을 이용해 S형 부설법으로 심해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경우에는 선체의 균형 유지를 위해 선체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 예의 파이프부설선(100)은 부력장치로 선체 후미 쪽의 부력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선체(110)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서도 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선체(110)를 길게 하지 않고서도 수중에 내리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심해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laying pipelines in the deep sea by the S-type laying method using ordinary pipe laying lines, the length of the hull should be lengthened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hull. However, the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부설선을 나타낸다. 제2실시 예는 부력장치(180)를 달리한 것이다. 이 부력장치(180)는 선체(110)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부력체(181)와, 이 부력체(181)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82)를 포함한다. 아울러 선체(110)의 측면에는 부력체(181)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홈(183)이 마련될 수 있고, 부력체(181)에는 승강안내홈(183)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레일(184)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장치(182)는 선체(110)의 측면 쪽에 매설되어 부력체(181)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5 shows a pipe laying 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이러한 부력장치(180)는 파이프부설선(100)에서 파이프라인을 부설하지 않을 때 부력체(181)를 상승시킴으로써 부력체(181)가 수면과 이격되도록 할 수 있고, 파이프라인을 부설할 때 부력체(181)의 일부가 수면에 잠기도록 부력체(181)를 하강시켜 선체(110) 후미 쪽의 부력을 높일 수 있다.The
한편,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에서 부력장치(170,180)는 선체(110)의 좌현과 우현 쪽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들 부력장치(170,180)의 설치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선체(110)의 후면(선미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부력장치는 스팅거(160)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팅거(16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100: 파이프부설선, 110: 선체,
160: 스팅거, 170,180: 부력장치,
171,181: 부력체, 172,182: 구동장치,
182: 승강장치.100: pipe laying line, 110: hull,
160: stinger, 170,180: buoyancy device,
171,181: buoyant body, 172,182: drive unit,
182: lifting device.
Claims (6)
상기 선체의 후미 쪽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부력 증대를 위해 해상으로 펼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A hull with a stinger supporting the pipeline on the rear end,
Pipe laying vessels each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hull and includes a buoyancy device that can be expanded to the sea to increase buoyancy.
상기 부력장치는 한쪽이 상기 선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수면과 접하도록 외측으로 펼치거나 상기 선체의 측면 쪽으로 끌어 올리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device is a pipe laying vessel including a buoyancy body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ull and a driving device that extends the buoyancy to the outside or to the side of the hull to contact the water surface.
상기 구동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device is a pipe laying vessel including one or more hydraulic cylinders.
상기 선체는 상기 부력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측면에 형성된 부력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hull is a pipe laying vessel including a buoyancy body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to receive a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상기 선체의 후미 쪽 양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부력 증대를 위해 수면으로 하강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A hull with a stinger supporting the pipeline on the rear end,
Pipe laying lin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hull so as to b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o the surface to increase the buoyancy buoyancy device.
상기 부력장치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부설선.The method of claim 5,
The buoyancy device is a pipe laying vessel comprising a buoyancy body coupled to the side of the hull to be lifted and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buoyancy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4774A KR20130093304A (en) | 2012-02-14 | 2012-02-14 | Pipe laying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4774A KR20130093304A (en) | 2012-02-14 | 2012-02-14 | Pipe laying vess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3304A true KR20130093304A (en) | 2013-08-22 |
Family
ID=4921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4774A Ceased KR20130093304A (en) | 2012-02-14 | 2012-02-14 | Pipe laying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330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3253A (en) * | 2020-08-20 | 2022-03-02 | (주) 백건준설 | Barge for dredging |
CN114604368A (en) * | 2022-04-12 | 2022-06-10 | 无锡市欣帆船舶设备有限公司 | Telescopic crane applied to offshore pipe-laying ship |
KR20230035889A (en) * | 2021-09-06 | 2023-03-1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detachable buoyancy body |
-
2012
- 2012-02-14 KR KR1020120014774A patent/KR2013009330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3253A (en) * | 2020-08-20 | 2022-03-02 | (주) 백건준설 | Barge for dredging |
KR20230035889A (en) * | 2021-09-06 | 2023-03-1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detachable buoyancy body |
CN114604368A (en) * | 2022-04-12 | 2022-06-10 | 无锡市欣帆船舶设备有限公司 | Telescopic crane applied to offshore pipe-laying shi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626948B (en) | Undersea pipe-laying | |
US9079643B2 (en) | Undersea pipe-laying | |
KR101358148B1 (en) | pipeline laying vessel and pipeline laying method using the same | |
CA2894962C (en) | Multi-activity pipe-laying vessel | |
KR20130093304A (en) | Pipe laying vessel | |
US20210078840A1 (en) | A lifting device | |
KR101335249B1 (en) | Floating support and pipeline laying vessel having the same | |
EA029692B1 (en) | Laying ramp for a pipeline, laying unit comprising such a laying ramp for a pipelin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laying unit | |
KR101335253B1 (en) | Floating support device for pipeline, and submerged-pipeline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58144B1 (en) | Floating support device for pipeline, and submerged-pipeline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7618626A (en) | Improved deep water semi-submersible pipe laying crane ship | |
EP3243734B1 (en) |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 |
KR101358121B1 (en) | Apparatus for laying a marine pipeline and system having the same | |
US8544403B2 (en) | Floating unit | |
KR101390861B1 (en) | Pipe laying vessel | |
KR101335252B1 (en) | Floating support device for pipeline, and submerged-pipeline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130098636A (en) | Buoyancy Device for Submarine Pipeline Laying | |
KR101422496B1 (en) | Pipe laying vessel | |
KR101368800B1 (en) | Drill ship | |
KR101335250B1 (en) | Pipe laying vessel | |
WO2020080948A2 (en) | Combination of heavy lift vessel and floating appendage structure | |
KR20170033528A (en) | Offshor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 |
KR20150029386A (en) | A system for loading out marine topside fac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