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225A -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0225A KR20130090225A KR1020120011380A KR20120011380A KR20130090225A KR 20130090225 A KR20130090225 A KR 20130090225A KR 1020120011380 A KR1020120011380 A KR 1020120011380A KR 20120011380 A KR20120011380 A KR 20120011380A KR 20130090225 A KR20130090225 A KR 201300902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sensor output
- output image
- camera image
- resolu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2—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s or aspect ratios, e.g. switching between interlaced and non-interlace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하고,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되면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해상도 변경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가 진행됨에 따라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는 대부분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미리 볼 수 있는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와 상기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는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사이즈의 이미지를 얻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즉, 동작 모드 변경)하는 동안에 이미지 캡쳐가 불가능한 시점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센서 출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됨에 있어 이미지 캡쳐가 불가능한 시점이 표출되므로, 사용자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함에 있어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된 후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들은 MIPI,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고,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의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1 외부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고,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의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되며,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에 대한 캡쳐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캡쳐 완료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2 외부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Camera Image Sensor; CIS)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수행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수행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채용한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모바일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채용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수행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수행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채용한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모바일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채용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를 출력(Step S110)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에 응답하여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Step S120)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에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Step S130)하며,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이 완료된 후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Step S140)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Step S150)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인터럽트 신호(INT)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Step S160)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Step S170)하도록 할 수 있다.
최근,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컨버전스에 따라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 내의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이미지(LIG)를 실시간으로 미리 보기 위한 프리뷰 모드와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low resolution)로 설정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high resolution)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는 실질적으로 저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는 실질적으로 고해상도 프리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셔터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변경됨에 있어서 캡쳐 디스에이블 구간(capture disable period)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미지 캡쳐가 불가능한 시점이 존재한다. 상기 캡쳐 디스에이블 구간은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일종의 셔터랙(shutter-lag)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하게 만들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이 불일치함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캡쳐가 수행되는 경우, 비정상적인 데이터가 메모리에 쓰여지고 상기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IDA)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오동작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를 출력(Step S110)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고,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의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풀-프레임(full-frame)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즉,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수신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즉,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smile detect signal),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face detect signal)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서 입력되는 제 1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반면에,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고,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즉,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수신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즉,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에 대한 캡쳐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캡쳐 완료 신호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서 입력되는 제 2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와 "고해상도"로 구분하였지만,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화소(pixel), 사이즈(size), 용량(capacity),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에서는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가 I2C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인터페이스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에 응답하여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Step S120)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에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Step S130)하며,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이 완료된 후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Step S140)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Step S150)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들(FSOI, SSOI)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로 전송됨에 있어서, MIPI,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고,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프리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수신하다가,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모드로 변경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고,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캡쳐 준비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수신하다가,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로 변경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인터럽트 신호(INT)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Step S160)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Step S170)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INT)가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럽트 신호(INT)에 대한 실시간 응답은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페이스는 프레임(frame) 단위로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 즉, 현재의 프레임까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고,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이 완료된 후부터는,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들까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고, 기 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들의 출력이 완료된 후부터는,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시킬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완료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처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이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할 수 없다. 한편, 도 2에서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수행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변경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제 1 구간(FRN)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을 나타내고, 제 2 구간(SRN)은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의 과도기 구간을 나타내며, 제 3 구간(TRN)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캡쳐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신호 및 제 1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된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에 응답하여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에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을 완료한 이후에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완료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인터럽트 신호(INT)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페이스는 프레임 단위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동안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이 변경된다고 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을 수 없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은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되어야 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로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한 시점 즉,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까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는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인터럽트 신호(INT)가 출력되는 시점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기 시작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하기 전까지 인터페이스 설정 값의 변경을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인터럽트 신호(INT)가 출력되는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완료한 이후에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 결과,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의 과도기 구간인 제 2 구간(SRN)이 경과한 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캡쳐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인 제 3 구간(TRN)에서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의 과도기 구간인 제 2 구간(SRN)이 도시되었지만, 제 2 구간(SRN)은 제 1 구간(FRN)과 제 3 구간(TRN)에 비하여 매우 짧은 구간이다. 따라서, 제 2 구간(SRN)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인터럽트 신호(INT)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구간에 해당한다. 그 결과,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인지할 수 없다.
한편, 도 3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 즉, 현재의 프레임까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고,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이 완료된 후부터는,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들까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고,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2 내지 3)의 프레임들의 출력이 완료된 후부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이 수행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변경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제 1 구간(FRN)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캡쳐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을 나타내고, 제 2 구간(SRN)은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의 과도기 구간을 나타내며, 제 3 구간(TRN)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캡쳐 완료 신호 및 제 2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된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RCS)에 응답하여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에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을 완료한 이후에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완료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인터럽트 신호(INT)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페이스는 프레임 단위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동안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이 변경된다고 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을 수 없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은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되어야 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로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한 시점 즉,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까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는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인터럽트 신호(INT)가 출력되는 시점에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기 시작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하기 전까지 인터페이스 설정 값의 변경을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인터럽트 신호(INT)가 출력되는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완료한 이후에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 결과,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와 프리뷰 모드 사이의 과도기 구간인 제 2 구간(SRN)이 경과한 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인 제 3 구간(TRN)에서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출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는 프리뷰 모드가 디폴트 모드(default mode)로서,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이미지 캡쳐가 이루어진 이후에 도 4에 설명된 과정을 거침으로써,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작은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와 프리뷰 모드 사이의 과도기 구간인 제 2 구간(SRN)이 도시되었지만, 제 2 구간(SRN)은 제 1 구간(FRN)과 제 3 구간(TRN)에 비하여 매우 짧은 구간이다. 따라서, 제 2 구간(SRN)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인터럽트 신호(INT)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구간에 해당한다. 그 결과,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인지할 수 없다.
한편, 도 4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가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 즉, 현재의 프레임까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고,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의 출력이 완료된 후부터는,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현재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들까지 변경전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입력받고,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2 내지 3)의 프레임들의 출력이 완료된 후부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SSOI)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는 프리뷰 모드(50)와 캡쳐 준비 모드(60)로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50)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60)는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다만,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도 사용자가 셔터를 눌러 이미지 캡쳐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50)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는 반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60)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고,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50)와 캡쳐 준비 모드(60)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가 변경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센서 출력 이미지를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할 때 이미지 캡쳐가 불가능한 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센서 출력 이미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 캡쳐가 불가능한 시점이 표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50)에서 캡쳐 준비 모드(60)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경(LOW_RES->HIGH_RES)될 수 있다. 이 때,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출력하는 동안에 생성되는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서 입력되는 제 1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캡쳐 준비 모드(60)에서 프리뷰 모드(50)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가 고해상도에서 저해상도로 변경(HIGH_RES->LOW_RES)될 수 있다. 이 때,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를 출력하는 동안에 생성되는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FSOI)에 대한 캡쳐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캡쳐 완료 신호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서 입력되는 제 2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는 프리뷰 모드(50)가 디폴트 모드로서,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작은 프리뷰 모드로 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1 모드 전환(MODE CHANGE_1)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에서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모드 전환(MODE CHANGE_2)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가 캡쳐 준비 모드에서 프리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저해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주파수도 낮고, 상기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작다. 반면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센서 출력 이미지가 고해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주파수도 높고, 상기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크다. 따라서,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력 소모가 큰 캡쳐 준비 모드의 구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킴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모드 전환(MODE CHANGE_1)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프리뷰 모드에서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가 생성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 스마일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일 검출 신호, 얼굴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얼굴 검출 신호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서 입력되는 제 1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 2 모드 전환(MODE CHANGE_2)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동작 모드 변경 신호(미도시)가 생성되면,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대한 캡쳐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캡쳐 완료 신호 및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를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서 입력되는 제 2 외부 입력 신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 버튼 입력 신호, 음성 입력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은 사용자가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카메라 이미지 센서(120)의 동작 모드를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채용한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2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200)는 모바일 기기(200)의 다른 기능(function)들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회로들(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200)라고 명명하였으나,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260)는 모바일 기기(200)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모바일 컨버전스가 진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2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즉,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26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은 모바일 기기(2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내에 모두 실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미도시)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 결합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의 저전력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모바일 기기(2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를 구비할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 변경을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는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된 후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40)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한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는 수광 렌즈(221), 센서(222), 모터(223) 및 센서 컨트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는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입력받아 광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광 렌즈(221)는 센서(222)의 수광 영역(예를 들어, 단위 픽셀 어레이에 구비된 복수의 단위 픽셀들)으로 입사광 즉, 피사체에 상응하는 광 신호(LIG)를 집광시킬 수 있다. 센서(222)는 수광 렌즈(221)를 통하여 입사된 광 신호(LIG)에 기초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222)는 씨모스(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센서 또는 씨씨디(Charge Coupled Device: CCD) 센서일 수 있다. 센서(222)는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DATA)를 센서 컨트롤러(224)에 제공할 수 있다. 모터(223)는 센서 컨트롤러(224)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수광 렌즈(221)의 포커스를 조절하거나, 셔터링(shut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24)는 센서(222) 및 모터(223)를 제어하고, 센서(22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DATA)를 처리하여 센서 출력 이미지(SOI)로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컨트롤러(22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와 연결되어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의 프리뷰 모드에서 저해상도를 가질 수 있고,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 고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저해상도"와 "고해상도"로 구분하였지만,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해상도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화소, 사이즈, 용량, 샘플링 레이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저해상도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의 출력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VGA(640*480) 사이즈로 선택될 수 있다. 반면에, 센서 출력 이미지(SOI)의 고해상도 크기는 기 설정된 사이즈에 상응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의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풀프레임 사이즈 즉, 5M(2608*1960), 8M(3264*2448)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기 위한 프리뷰 모드와 이미지 캡쳐를 준비하기 위한 캡쳐 준비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 메모리(244), 후처리 프로세서(post-processor; 246)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4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가 카메라 모듈의 일 부분으로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 메모리(244), 후처리 프로세서(246)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48)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그러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가 다른 기능 회로들(280)을 위한 소정의 동작을 위하여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입력받고, 상기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생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신호이다. 이에,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하여 컬러 형태, 영상 크기, 프레임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가 전처리 프로세서(pre-processor)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처리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처리 프로세서는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후처리 프로세서(246)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44)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임시로 저장한 후, 후처리 프로세서(246)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4)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4)는 일종의 버퍼 기능을 수행하며,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후처리 프로세서(246)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에서 출력되는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하여 제 2 이미지 데이터(ID_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후처리 프로세서(242)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242) 또는 전처리 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이미지 데이터(ID_1)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48)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제 2 이미지 데이터(ID_2)로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48)는 제 2 이미지 데이터(ID_2)를 이미지 데이터(IDA)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를 프로세싱하여 이미지 데이터(IDA)로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IDA)는 JPEG, TIF, GIF, PCX 등의 다양한 코덱(codec)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IDA)의 코덱으로 높은 압축 효율을 갖는 그래픽 파일 포맷인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의 일 부분으로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는 센서 출력 이미지(SOI)에 대하여 자동 노출(Auto Exposure; AE), 자동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 AWB),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등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고, 스케일러(scaler), 출력 포맷(output format), 색 보정(color correction),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쉐이딩 보상(shading compensation) 등에 대한 프로세싱까지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는 모바일 인더스트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및 인터 집적 회로(Inter-Integrated Circuit; I2C) 버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도 7의 모바일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의 모바일 기기(200)가 스마트폰(300)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의 모바일 기기(700)는 스마트폰(300) 외에도,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또는, 모바일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컨버젼스가 진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200)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300)은 통신 기능이 주된 기능이지만, 부수적으로 카메라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260)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모바일 기기(20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의 동작 모드가 프리뷰 모드와 캡쳐 준비 모드 사이에서 전환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40)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의 모바일 기기(200)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220)의 프리뷰 모드를 디폴트 모드로 유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을 채용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0)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 장치(1020), 저장 장치(1030), 입출력 장치(1040), 파워 서플라이(1050) 및 카메라 모듈(10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기기(10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1020), 저장 장치(1030) 및 입출력 장치(1040)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20)는 전자 기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020)는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모바일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장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장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장치,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장치,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장치,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장치,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장치,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0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disk drive) 및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50)는 전자 기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60)은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프로세서(10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60)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모듈(106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기 설정된 타이밍에 정확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서 출력 이미지의 해상도(즉,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1060)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를 디폴트 모드로 유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1000)은 다양한 형태들의 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키지로는 PoP(Package on Package), BGAs(Ball grid arrays), CSPs(Chip scale packages), PLCC(Plastic Leaded Chip Carrier), PDIP(Plastic Dual In-Line Package),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OB(Chip On Board), CERDIP(Ceramic Dual In-Line Package), MQFP(Plastic Metric Quad Flat Pack), TQFP(Thin Quad Flat-Pack), SOIC(Small Outline Integrated Circuit), SSOP(Shrink Small Outline Package), TSOP(Thin Small Outline Package), TQFP(Thin Quad Flat-Pack), SIP(System In Package), MCP(Multi Chip Package), WFP(Wafer-level Fabricated Package), WSP(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100)는 MIPI를 사용 또는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 이미지 센서(1140) 및 디스플레이(1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의 CSI 호스트(1112)는 카메라 시리얼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 CSI)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140)의 CSI 장치(114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SI 호스트(1112)는 디시리얼라이저(DES)를 포함할 수 있고, CSI 장치(1141)는 시리얼라이저(SER)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의 DSI 호스트(1111)는 디스플레이 시리얼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 DSI)를 통하여 디스플레이(1150)의 DSI 장치(115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SI 호스트(1111)는 시리얼라이저(SER)를 포함할 수 있고, DSI 장치(1151)는 디시리얼라이저(DES)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1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알에프(Radio Frequency; RF) 칩(1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0)의 PHY(1113)와 RF 칩(1160)의 PHY(1161)는 MIPI DigRF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는 PHY(1161)의 MIPI DigRF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DigRF MASTER(1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1100)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1120), 스토리지(1170), 마이크(1180),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1185) 및 스피커(1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100)는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1210),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1220) 및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1230)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예시로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3차원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PDA, 비디오 폰, 감시 시스템, 동작 감지 시스템, 이미지 안정화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모바일 기기 220: 카메라 이미지 센서
24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60: 디스플레이
280: 기능 회로
24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60: 디스플레이
280: 기능 회로
Claims (10)
-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에 동작 모드 변경 신호가 생성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가 해상도 변경 동작을 준비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준비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된 후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 동작이 완료되면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인터페이스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들은 MIPI, ITU-R BT.601, ITU-R BT.656 또는 ITU-R BT.709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고,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capture preparation mode)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스타트 신호(auto focus start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캡쳐 준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1 외부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는 고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고,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는 저해상도를 갖는 센서 출력 이미지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캡쳐 준비 모드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프리뷰 모드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센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상기 제 1 센서 출력 이미지에 대한 캡쳐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캡쳐 완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경 신호는 상기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상기 프리뷰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2 외부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380A KR20130090225A (ko) | 2012-02-03 | 2012-02-03 |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US13/668,442 US20130201360A1 (en) | 2012-02-03 | 2012-11-05 | Method of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a camera imag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380A KR20130090225A (ko) | 2012-02-03 | 2012-02-03 |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225A true KR20130090225A (ko) | 2013-08-13 |
Family
ID=4890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380A Withdrawn KR20130090225A (ko) | 2012-02-03 | 2012-02-03 |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201360A1 (ko) |
KR (1) | KR2013009022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89010B2 (ja) * | 2012-01-31 | 2016-03-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KR101932086B1 (ko) * | 2012-09-28 | 2019-03-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
CN113259565B (zh) | 2012-11-28 | 2023-05-19 | 核心光电有限公司 | 多孔径成像系统 |
CN109194849B (zh) | 2013-06-13 | 2021-01-15 | 核心光电有限公司 | 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
KR102081087B1 (ko) | 2013-06-17 | 2020-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기적 영상과 비동기적 영상을 위한 영상 정합 장치 및 이미지 센서 |
JP2016523389A (ja) | 2013-07-04 | 2016-08-08 |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 小型望遠レンズアセンブリ |
CN105917641B (zh) | 2013-08-01 | 2018-10-19 | 核心光电有限公司 | 具有自动聚焦的纤薄多孔径成像系统及其使用方法 |
US9392188B2 (en) | 2014-08-10 | 2016-07-12 | Corephotonics Ltd. |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
WO2016108093A1 (en) | 2015-01-03 | 2016-07-07 | Corephotonics Ltd. | Miniature telephoto lens module and a camera utilizing such a lens module |
KR101914894B1 (ko) | 2015-04-02 | 2018-11-0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듀얼 광학 모듈 카메라의 듀얼 보이스 코일 모터 구조체 |
EP3696587B1 (en) | 2015-04-16 | 2023-09-20 | Corephotonics Ltd. |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
KR101911198B1 (ko) | 2015-05-28 | 2018-10-24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이중-조리개 디지털 카메라의 광학식 손떨림 방지 및 자동-초점을 위한 양-방향성 강성 |
EP3335415B1 (en) | 2015-08-13 | 2019-11-20 | Corephotonics Ltd. |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
KR101993077B1 (ko) | 2015-09-06 | 2019-06-25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소형의 접이식 카메라의 롤 보정에 의한 자동 초점 및 광학식 손떨림 방지 |
EP4024842A3 (en) | 2015-12-29 | 2022-08-31 | Corephotonics Ltd. | Dual-aperture zoom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adjustable tele field of view |
CN107925717B (zh) | 2016-05-30 | 2020-10-27 | 核心光电有限公司 | 旋转滚珠引导音圈电动机 |
EP4020958B1 (en) | 2016-06-19 | 2023-10-25 | Corephotonics Ltd. | Frame synchronization in a dual-aperture camera system |
WO2018007981A1 (en) | 2016-07-07 | 2018-01-11 | Corephotonics Ltd. |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
WO2018007951A1 (en) | 2016-07-07 | 2018-01-11 | Corephotonics Ltd. | Dual-camera system with improved video smooth transition by image blending |
US11531209B2 (en) | 2016-12-28 | 2022-12-20 | Corephotonics Ltd. | Folded camera structure with an extended light-folding-element scanning range |
EP4525469A3 (en) | 2017-01-12 | 2025-05-21 | Corephotonics Ltd. | Compact folded camera |
KR102211711B1 (ko) | 2017-02-23 | 2021-02-03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폴디드 카메라 렌즈 설계 |
KR102770496B1 (ko) | 2017-03-15 | 2025-02-18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파노라마 스캐닝 범위를 갖는 카메라 |
WO2019048904A1 (en) | 2017-09-06 | 2019-03-14 | Corephotonics Ltd. | STEREOSCOPIC DEPTH CARTOGRAPHY AND COMBINED PHASE DETECTION IN A DOUBLE-OPENING CAMERA |
US10951834B2 (en) | 2017-10-03 | 2021-03-16 | Corephotonics Ltd. | Synthetically enlarged camera aperture |
KR102424791B1 (ko) | 2017-11-23 | 2022-07-2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
CN110352371B (zh) | 2018-02-05 | 2022-05-13 | 核心光电有限公司 | 减少高度容余的折叠摄像装置 |
KR102708672B1 (ko) | 2018-02-12 | 2024-09-20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광학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갖는 폴디드 카메라 |
US10694168B2 (en) | 2018-04-22 | 2020-06-23 | Corephotonics Ltd. |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or preventing eye damage from structured light IR/NIR projector systems |
CN112367448B (zh) | 2018-04-23 | 2022-04-19 | 核心光电有限公司 | 感测机构 |
CN119919618A (zh) | 2018-07-04 | 2025-05-02 | 核心光电有限公司 | 用于汽车或监控应用具有扫描光路折叠元件的相机 |
WO2020031005A1 (en) | 2018-08-04 | 2020-02-13 | Corephotonics Ltd. | Switchable continuous display information system above camera |
US11635596B2 (en) | 2018-08-22 | 2023-04-25 | Corephotonics Ltd. | Two-state zoom folded camera |
KR102242437B1 (ko) | 2019-01-07 | 2021-04-20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슬라이딩 조인트를 갖는 회전 메커니즘 |
US10832543B2 (en) * | 2019-01-11 | 2020-11-10 | The Chamberlain Group, Inc. | Activity sensor |
EP4224841B1 (en) | 2019-03-09 | 2025-06-25 | Corephotonics Ltd. | Method for dynamic stereoscopic calibration |
KR20240027858A (ko) | 2019-07-31 | 2024-03-04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카메라 패닝 또는 모션에서 배경 블러링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
US11659135B2 (en) | 2019-10-30 | 2023-05-23 | Corephotonics Ltd. | Slow or fast motion video using depth information |
CN114641983A (zh) | 2019-12-09 | 2022-06-17 | 核心光电有限公司 | 用于获得智能全景图像的系统及方法 |
US11949976B2 (en) | 2019-12-09 | 2024-04-02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
EP4052176B1 (en) | 2020-02-22 | 2025-04-30 | Corephotonics Ltd. | Split screen feature for macro photography |
CN114144898B (zh) | 2020-04-26 | 2022-11-04 | 核心光电有限公司 | 用于霍尔棒传感器校正的温度控制 |
EP4407976A3 (en) | 2020-05-17 | 2024-10-09 | Corephotonics Ltd. | Image stitching in the presence of a full field of view reference image |
WO2021245488A1 (en) | 2020-05-30 | 2021-12-09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
EP4202521B1 (en) | 2020-07-15 | 2025-03-19 | Corephotonics Ltd. | Point of view aberrations correction in a scanning folded camera |
US11637977B2 (en) | 2020-07-15 | 2023-04-25 | Corephotonics Ltd. |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
KR20250037574A (ko) | 2020-07-31 | 2025-03-17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큰 스트로크 선형 위치 감지를 위한 홀 센서-자석 구조 |
KR102480820B1 (ko) | 2020-08-12 | 2022-12-22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스캐닝 폴디드 카메라의 광학 이미지 안정화 |
WO2022137213A1 (en) | 2020-12-26 | 2022-06-30 | Corephotonics Ltd. | Video support in a multi-aperture mobile camera with a scanning zoom camera |
TWI836372B (zh) | 2021-03-11 | 2024-03-21 | 以色列商核心光電有限公司 | 彈出式照相機系統 |
EP4204885A4 (en) | 2021-06-08 | 2024-03-06 | Corephotonics Ltd. | Systems and cameras for tilting a focal plane of a super-macro image |
KR102770497B1 (ko) | 2022-03-24 | 2025-02-18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슬림 컴팩트 렌즈 광학 이미지 안정화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04681B2 (en) * | 2004-01-21 | 2007-12-0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ocus and exposure in a digital imaging device |
US20060221223A1 (en) * | 2005-04-05 | 2006-10-05 | Hiroshi Terada | Digital camera capable of continuous shooting and control method for the digital camera |
US8681236B2 (en) * | 2009-06-18 | 2014-03-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hutter lag of a digital camera |
KR101701852B1 (ko) * | 2010-12-29 | 2017-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2
- 2012-02-03 KR KR1020120011380A patent/KR2013009022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11-05 US US13/668,442 patent/US20130201360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01360A1 (en) | 201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0225A (ko) |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 |
KR101796481B1 (ko) |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 |
KR102310430B1 (ko) | 촬영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 |
US9325905B2 (en) | Generating a zoomed image | |
KR20150098094A (ko) | 복수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 |
EP3172894B1 (en) |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 |
EP3257239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optimization for imaging devices with dual cameras | |
WO2016036462A1 (en) | Imaging architecture for depth camera mode with mode switching | |
JP2021052396A (ja) | 複数のイメージセンサにより獲得されるイメージデータに基づいてビデオhdr処理を遂行するための電子装置 | |
WO2021231020A1 (en) | Camera transition blending | |
US9131158B2 (en) | Moving-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zoom method for moving image | |
US11223762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igh-resolution image | |
US2008029221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s using variable size tiles | |
US11394849B2 (en) |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TW202505469A (zh) | 空間適應性合併及重排 | |
JP5478761B2 (ja) | 撮像装置 | |
KR20190022238A (ko) | 다중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
US2011025499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itigating seesawing effect during autofocus | |
JP2019110372A (ja) | カメ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