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765A - Television - Google Patents
Televi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8765A KR20130088765A KR1020130001110A KR20130001110A KR20130088765A KR 20130088765 A KR20130088765 A KR 20130088765A KR 1020130001110 A KR1020130001110 A KR 1020130001110A KR 20130001110 A KR20130001110 A KR 20130001110A KR 20130088765 A KR20130088765 A KR 201300887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electronic unit
- main body
- additional electronic
- heat trans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 전자 유닛과 텔레비전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가 전자 유닛, 부가 전자 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 커넥터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포트의 열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집적 회로(IC)의 전자 소자의 열을 방출할 수 있고 포트를 냉각할 수 있어 열로 인한 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트에서 발생된 열이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고온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부품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포트에서 발생된 열이 케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접촉 지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포트의 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별도의 팬이나 냉각장치가 불필요하여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무소음 및 무진동을 실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vision having an improved assembly structure of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televisio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ca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located at least one port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adjacent to the port, receiving the heat of the port It provides a television comprising a; at least on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sipate heat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integrated circuit (IC)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o cool the port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 due to heat, H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ly, the deformation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the failure of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and the life of the components can be extended.
In addi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port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case, there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case and reduce the discomfort of the user contact. It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fan or cooler to minimize the heat in the port, reducing installation costs and providing noise and vibration free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가 전자 유닛을 갖춘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가 전자 유닛과 텔레비전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스크 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장치이다. In general, a television is an apparatus for viewing an image, which is one of display apparatuses. The display device is not only a monitor of a desktop computer, but also an essential display device for realizing a compact and lightweight system such as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laptop, a computer, a PDA, or a mobile phone terminal.
텔레비전에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ama Display Panel), 전계방출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다. 이들 장치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영상 크기의 CRT에 비해 작고,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Display devices that can be used in television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plasma display panels (PDPs),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and the like. These devices are in the spotlight as display devices because they have better visibility than cathode ray tubes (CRTs), their average power consumption is smaller than CRTs having the same image size, and their heat generation is small.
근래에는 텔레비전에 부가 전자 유닛을 부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 주변에 부가 전자 유닛을 위치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스마트 텔레비전의 개발로 인해 구형 텔레비전에 특정 기능을 가지는 부가 전자 유닛을 설치하여 구형 텔레비전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부가 전자 유닛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 비해 텔레비전 주위에 부가 전자 유닛을 위치시킬 필요성이 증가한다. In recent years, since there is a need to attach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to a television,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may be located around a television.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televisions, additional electronic units capable of upgrading the functions of the old televisions by installing additional electronic units having specific functions in the old television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case, there is an increased need for placing additional electronic units around the television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종래에는 텔레비전에 부가 전자 유닛을 연결 시, 텔레비전 주위의 테이블과 같은 별도의 공간에 부가 전자 유닛을 위치시키고, 부가 전자 유닛과 텔레비전을 연결 케이블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연결시켰다. Conventionally, when connecting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to a television,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placed in a separate space such as a table around the television, and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television are connected by using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onnecting cable.
또한, 텔레비전이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을 벽면에 대해 지지하는 고정 장치에 부가 전자 유닛을 고정하거나, 텔레비전에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여 부가 전자 유닛을 설치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television is installed on the wall,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fixed to a fixing device that supports the television against the wall, or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installed by adding a separate component to the televis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포트에 전열부재를 접촉시켜 포트의 열을 포트 외부로 전달하는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vision for contacting the heat transfer member to the port to transfer heat from the port to the outside of the por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부가 전자 유닛이 본체에 조립될 수 있는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vision in which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can be assembled in a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가 전자 유닛, 상기 부가 전자 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 커넥터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상기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포트의 열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or more ports to which a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a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port, Provided is a television comprising at least one heat transfer member receiving heat.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면은 전열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t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member.
상기 포트의 외측에 상기 전열부재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be integrally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port.
상기 전열부재는 상기 포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port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전열부재는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ort is inserte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포트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전열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다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parts to insert the plurality of ports, respectively.
상기 복수개의 삽입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nserts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포트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포트의 일측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port is loca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ne side of the port may be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부가 전자 유닛과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main body.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a through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a through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가 전자 유닛, 상기 본체의 일측다 마련되는 신호 입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상의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전자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located at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port for signal input / outpu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includes the at least one It provides a televis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dy via a port.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po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through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상기 부가 전자 유닛과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다.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main body,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a through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상기 포트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port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포트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eat transfer member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side of the port for receiving heat generated from the po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집적 회로(IC)의 전자 소자의 열을 방출할 수 있고 포트를 냉각할 수 있어 열로 인한 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트에서 발생된 열이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고온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부품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sipate heat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integrated circuit (IC)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o cool the port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 due to heat, H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ly, the deformation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the failure of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and the life of the components can be extended.
또한, 포트에서 발생된 열이 케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접촉 지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포트의 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별도의 팬이나 냉각장치가 불필요하여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무소음 및 무진동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port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case, there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case and reduce the discomfort of the user contact. It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fan or cooler to minimize the heat in the port, reducing installation costs and providing noise and vibration fre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후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섀시 상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와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와 전열 부재가 커버 내측에 위치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와 전열 부재가 커버 내측에 위치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과 본체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과 본체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이 텔레비전 본체에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과 텔레비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cover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located on a chassis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6 is a view showing a port and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state in which a port and a heat transfer member are positioned inside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 and the heat transfer member are located inside th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in the television body.
1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televi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탠드형 텔레비전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벽걸이형 텔레비전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a stand-alone televis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all-mounted televi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후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cover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은 본체(100)와, 본체(100)를 지지하는 스탠드(2)와, 본체(100)를 스탠드(2)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3)를 포함한다. 1 and 2,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0)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전면 커버(130)와 후면 커버(110)를 포함한다. 본체(100)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텔레비전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140)이 설치된다. 전면 커버(130)와 후면 커버(110)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및 인쇄회로기판(140)이 설치된다. The
또한, 본체(10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각종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포트(141, 142, 143)가 마련될 수 있다. 포트(141, 142, 143)는 인쇄회로기판(140) 상에 대해 측방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커버(110)의 측면에는 포트(141, 142, 143)가 측방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111, 112, 113)이 마련된다. 포트(141, 142, 143)는 USB 단자 이외에도 HDMI단자 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가 전자 유닛(10)은 본체(100)에 의해 가려지도록 본체(100)의 후방측에 본체(1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포트(141, 142, 143)에 결합되어 부가 전자 유닛(10)이 본체(1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부가 전자 유닛(10)이 포트(141, 142, 143)에 결합되도록 하면, 본체(100)에 부가 전자 유닛(10)의 설치를 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부가 전자 유닛(10)을 간단히 본체(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가 전자 유닛(10)과 본체(100)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또한, 부가 전자 유닛(10)은 텔레비전(1)의 본체(100) 자체에 내장된 기능 이외에 사용자가 새로이 추가된 기능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통해 인터넷이나 영상통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업그레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dditio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섀시 상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located on a chassis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20)는 구동부(미도시), 광학부(미도시), 스피커(122), 인쇄회로기판(140) 내의 각종 부품에 구동 전력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방송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사운드 및 업그레이드 데이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기초하여 구동부(미도시) 및 광학부(미도시)를 구동시키는 인쇄회로기판(14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40) 내의 마이컴(미도시)의 명령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22)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전원부(121)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다시 각 구성부들에 필요한 전압 레벨로 조정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전원부(121)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현 가능하다. The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이외에도 튜너부 및 신호 처리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튜너부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신호 처리부는 방송 신호를 영상 데이터를 가진 영상 신호, 사운드 데이터를 가진 사운드 신호, 부가 데이터를 가진 부가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 데이터의 신호 및 사운드 데이터의 신호를 각각 신호 처리하여 부가 데이터를 GUI생성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printed
인쇄회로기판(140) 내의 마이컴은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에 표시되도록 구동부(미도시) 및 광원부(미도시)를 제어하고, 신호 처리된 사운드가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The microcomputer in the printed
인쇄회로기판(140)의 일측에는 외부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의 유선 연결을 위해 각종 포트(141, 142, 143)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인쇄회로기판(140)상에 배치된 포트(141, 142)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편의상 두개의 포트만을 도시하였다. 포트(141, 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후면 커버(110)의 관통공(111, 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포트(141, 142)가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140)은 본체(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고, 포트(141, 142)에 각종 커넥터(23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각 포트(141, 142)의 일면은 인쇄회로기판(140)과 전기적, 기계적 연결로 인해 인쇄회로기판(140) 상에 각각 접촉되며 다른 일면에는 전열 부재(300)가 각각 접촉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입출력 시 각각의 포트(141, 142)에서 발생된 열은 전열 부재(300)를 따라 이동하여 포트(141, 142)에서 발생된 열을 포트(141, 142)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One surface of each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열 부재(300)는 전열 부재(300)가 접촉하는 면인 포트(141,142)의 접촉면과 상응하는 형상인 판 형상이며, 동일한 크기인 제1접촉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포트(141, 142)에 전열 부재(300)의 제1접촉부(301)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접촉부(301)는 각각의 포트(141, 142)의 한 면에 접촉하여 각 포트에서 발생된 열을 각각 전달받아 다시 외부로 전달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전열 부재(300)는 제1접촉부(301)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02)는 제1접촉부(301)와 일체로 형성되나, 포트(141, 142)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연장부(302)는 전열 부재(300)의 전체적인 크기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전열 부재(300)의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포트(141, 142)의 열을 포트(141, 142)의 외측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포트(141, 142)가 복수개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포트(141, 142)에 접촉하는 복수의 제1접촉부(301)의 일측 말단을 연결함으로써 제1접촉부(301)를 일체화시키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00)는 열전도가 가능한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철(Fe), 텅스텐(w), 금(Au) 등과 같은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열 부재(300)는 이외에 비금속 물질 중 열 전달이 가능한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열 부재(300)는 열전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5, the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10)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열 전달 물질(311)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B, the heat transfer member 310 may be formed by stacking two different types of heat transfer materials 311.
예를 들어, 전열 부재(310)는 열 전도가 가능한 금속(312)과, 금속에 적층된 열 전도가 가능한 비금속(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열 부재(310)는 알루미늄에 탄소 물질이 적층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at transfer member 310 may include a metal 312 capable of thermal conduction and a non-metal 311 capable of thermal conduction stacked on the metal. For example, the heat transfer member 310 may include a carbon material laminated on aluminum.
또한, 전열 부재(310)는 금속 또는 비금속과, 금속 또는 비금속에 도포된 상변화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member 310 may include a metal or nonmetal and a phase change material applied to the metal or nonmetal.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20)는 열전도가 가능한 필름(321)과, 필름(321) 내에 수용된 상변화물질(322)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C, the
필름(321)은 페트(PET)로 이루어지며, 상변화 물질(322)을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3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코팅막(3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의 코팅막(331)은 필름(332)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5D, the
전열 부재(330)는 커버에 접촉되어 커버에 전달되는 열의 일부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변화 물질(333)은 커버 내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커버는 포트에 접촉되어 포트의 열을 전달받아 전달 받은 열을 상변화 물질(333)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The
전열 부재(330)는 포트에서 발생되는 전자파(EMI)를 차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쇄회로기판(140)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열할 수도 있다. 또한, 전열 부재(330)는 전자파 차폐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00)는 포트(141, 142)에 위치하고, 포트(141, 142)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막(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막(303)은 서멀 그리스, 갭 패드 및 양면 접착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E, the
접착막(303)이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경우, 양면 접착 테이프는 포트(141, 142)에 전열 부재(300)가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와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와 전열 부재가 커버 내측에 위치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view showing the port and th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 and the heat transfer member is located inside th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41)는 하우징(141a)과, 하우징(141a) 내에 마련되고 커넥터(230)에 삽입되는 접속부(141b)를 포함한다. 또한, 포트(141)는 접속부(141b) 내에 마련되나 외부로 노출되어 커넥터(230) 내의 핀과 접촉하는 복수의 핀(141c)과, 하우징(141a) 내로 돌출되어 삽입된 커넥터(2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41d)와, 하우징(141a)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어 하우징(141a)이 인쇄회로기판(140)에 기계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141e)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하우징(141a)은 인쇄회로기판(140)에 접촉되는 제1면과, 제1면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2면과, 제1, 제2면의 양쪽 말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제2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제4면을 포함한다. The
또한, 하우징(141a)의 일측에는 커넥터(23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홈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핀(141c)이 외부로 돌출된다. 복수의 핀(141c)은 인쇄회로기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전열 부재(340)는 포트(14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전열 부재(340)는 커넥터(230) 및 인쇄회로기판(140)과 연관성이 없는 면, 즉 하우징(141a)의 제2, 제3, 제4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전열 부재(340)는 양 단이 굴곡된 형상인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41a)의 제2, 제3, 제4면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제1삽입부(342)를 포함한다. The
제1삽입부(340)는 포트(1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트(141)의 크기와 대응하는 수용홈(225)을 포함한다. 수용홈(225)에 포트(141)가 삽입됨으로써, 포트(141)의 제2, 제3, 제4 면에 전열 부재인 제1삽입부(342)가 접촉되고 포트(141)의 제2, 제3, 제4면과 제1삽입부(342)가 결합된다. 즉, 제1삽입부(342)는 수용홈(225)에 삽입된 포트(141)의 세 외면을 둘러싸서 포트(141)의 세 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The first inserting
또한, 전열 부재(340)는 제1삽입부(342)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41)는 포트(141)의 제2면이 접촉되는 면의 높이(a1)보다 높은 높이(a2)를 가지고, 포트(141)의 제2면이 접촉되는 면의 가로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포트(141)의 제2면이 접촉되는 면의 가로 길이(b1)으로부터 일정 길이(b2) 더 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장부(341)는 제1삽입부(342)에 전달된 포트의 열을 분산시켜 전달함으로써 열 전도율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이외에도 전열 부재의 수용홈에 복수개의 포트가 수용되도록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의 크기는 복수 개의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포트의 제2면의 면적 및 복수 개의 포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결정된다. 삽입부의 복수개의 포트의 크기에 대응하는 수용홈이 마련되어 복수개의 포트가 함께 삽입되어 복수개의 포트의 외측면에 삽입부가 접촉되어 복수개의 포트와 삽입부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part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orts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eat transfer member. The size of the insert is determined by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or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orts so as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orts. Receiv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ports of the inserting portion are provided to insert the plurality of ports together so that the inserting portion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orts to couple the plurality of ports and the inserting por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40)는 인쇄회로기판(140)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전열 부재(340)와 인쇄회로기판(140)의 사이에 포트(141)가 위치하여 인쇄회로기판(140)과 대면한다. 또한, 전열 부재(340)는 커버(11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7, the
전열 부재(340)는 포트(141)의 열을 전달받아 포트(141)의 열을 분산시킨다. 이로써 포트(141)의 열이 인쇄회로기판(14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접촉 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또한, 전열 부재(340)의 연장부(341)를 통해 포트(141)의 열을 더 넓은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어 커버(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 기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와 전열 부재가 커버 내측에 위치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etailed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ort and a heat transfer member are positioned inside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40)는 복수의 포트(141, 142)에서 발생된 열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제2접촉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제2접촉부(343)는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복수의 포트(141, 142)의 접촉 면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포트(141, 142)의 열을 전달하는 전열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복수의 포트(141, 142) 중 어느 하나의 포트만을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되면 제1접촉부(301)보다 더 큰 면적을 이용해 열을 전달할 수 있다. The
또한, 하나의 포트(141)에서 발생된 열을 제2접촉부(343)를 이용하여 전달함과 동시에, 제2접촉부(343)에 전달된 열 중 일부의 열을 다른 하나의 포트(142)의 하우징으로 전달하여 다른 하나의 포트(142)를 통해서도 열을 방출할 수 있어 열 전도율을 최대화할 수 있고,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포트(141)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generated from one
또한, 커버(110)는 전열 부재(340)인 제2접촉부(343)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홀(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5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복수 포트(141, 142)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포트(141, 142)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홈(354)을 가지는 제2삽입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제2삽입부(351)는 양단이 굴곡된 형상인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파티션이 마련되어 있어 내부 공간이 복수개로 분할된다. 이로써 제2삽입부(351)의 내부에 복수개의 수용홈(354)이 마련된다. 이로 인해 전열 부재(350)의 내측에 복수개의 포트(141, 14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inserting
제2삽입부(351)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홈(354)의 크기는 각각의 포트(141, 142)의 크기와 대응한다. 제2삽입부(351)의 각각의 수용홈(354)에 복수개의 포트(141, 142)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포트(141, 142)의 내측면에 제2삽입부(351)가 접촉되고 복수개의 포트(141, 142)와 제2삽입부(351)가 일체로 결합된다.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전열 부재(350)는 제2삽입부(351)와, 제2삽입부(351)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352, 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52, 353)는 제1연장부(352)와 제2연장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352)는 복수개의 포트(141, 142)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제2삽입부(351)의 양 측 방향의 양단의 굴곡된 부분에서 연장된 부분으로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연장부(353)는 제2삽입부(351)의 일측에서 제1연장부(352)가 마련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352)와 제2연장부(353)가 모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2삽입부(351)의 말단 중 커넥터(23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부분의 말단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 연장부가 마련된다. 제1연장부(352)와 제2연장부(353)에 의해 복수개의 포트(141, 142)에서 발생된 열을 다측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전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 부재(360)는 복수의 제3삽입부(361)와, 복수의 제3삽입부(361)로부터 연장되되 복수의 제3삽입부(361)를 연결하는 연장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각각의 제3삽입부(361)는 하나의 포트가 삽입되는 수용홈(363)을 포함한다. 수용홈(363)에 하나의 포트가 삽입됨으로써, 제3삽입부(361)와 포트가 결합되고, 제3삽입부(361)가 포트의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한다. 각 수용홈(363)에 하나의 포트가 삽입됨으로써 포트의 제2, 제3, 제4면에 전열 부재(360)인 제3삽입부(361)가 접촉된다. 이 때 제3삽입부(361)는 수용홈(363)에 삽입된 포트의 세 외면을 둘러쌈으로써 포트의 세 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Each
복수의 제3삽입부(361)는 복수개의 포트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고, 이격된 복수의 제3삽입부(361)는 일측 말단에 장착된 연장부(362)에 의해 연결된다. 연장부(362)는 복수의 제3삽입부(361)의 높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3삽입부(361)의 높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복수의 제3삽입부(361)의 가로 방향을 중심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장부(362)는 복수의 제3삽입부(361)에 전달된 포트의 열을 전달함으로써 열전도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전열 부재(360)는 포트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 부품에도 접촉 가능하다. 이로써 전자 부품의 열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열 부재(360)는 포트와 전자 부품에 동시에 접촉되어 포트와 전자 부품의 열을 외부로 동시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과 본체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전자 유닛(10)은 부가 전자 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포함되어 있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로부터 연장되는 넥부(12)와, 넥부(12)의 선단에 마련되어 관통공(111, 112, 113)으로 삽입되어 포트(141, 142, 143)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의 일측에는 부가 전자 유닛(10)으로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복수의 부가 포트(11a)가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12 and FIG. 13, the additio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통공(111, 112, 113)이 본체(100)의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가 전자 유닛(10)이 본체(100)의 후방 측에 본체(10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 전자 유닛(10)의 넥부(12)는 몸체부(11)의 일측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L자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넥부(12)의 선단에 마련된 결합돌기(13)가 본체(100)의 관통공(111, 112, 113)에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결합돌기(13)에는 부가 전자 유닛(10)이 포트(141, 142, 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13a)가 마련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3)는 부가 전자 유닛(10)이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부가 전자 유닛(10)이 포트(141, 142)를 통해 본체(100) 내의 인쇄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3) 및 넥부(12)는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 전자 유닛의 무게가 일정 이상일 경우, 부가 전자 유닛의 몸체부로부터 한 쌍의 넥부가 나란히 마련되어, 두 넥부의 선단에 각각 결합돌기를 마련하여, 각각의 포트에 각각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부가 전자 유닛의 무게가 두 포트에 분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each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트(141, 142, 143)가 본체(100)의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부가 전자 유닛(10)의 넥부(12)는 몸체부(11)의 일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L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포트가 본체0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하고, 부가 전자 유닛의 넥부가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과 본체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에 부가 전자 유닛(20)의 결합은 부가 전자 유닛(20)과는 별도의 부재인 탄지부재(30)에 의해 매개된다. 탄지부재(30)는 부가 전자 유닛(20)을 본체(100)의 후면으로 가압하여 부가 전자 유닛(20)이 본체(100)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탄지부재(30)는 본체(100)에 부가 유닛(2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의 일종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4, the coupling of the additional
부가 전자 유닛(20)은 탄지부재(30)에 의해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탄지부재(30)는 본체(100)의 관통공(111, 112, 113)에 결합된다. 부가 전자 유닛(20)이 탄지부재(30)에 의해 본체(100)의 후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본체(100)에 홀을 천공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부가 전자 유닛(20)을 간단히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additional
탄지부재(30)는 부가 전자 유닛(20)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부(31)와, 가압부(31)로부터 연장되는 넥부(32)와, 넥부(32)의 선단에 마련되어 포트(141, 142, 143)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3)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31)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부가 전자 유닛(20)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33)가 관통(111, 112, 113)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후면 커버(190)와 가압부(31) 사이의 간격은 부가 전자 유닛(20)의 두께에 비하여 좁게 형성된다. 부가 전자 유닛(20)을 본체(100)의 후면 커버(190)와 가압부(31) 사이에 삽입하면, 가압부(31)가 탄성 변형하고, 가압부(31)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부가 전자 유닛(20)을 본체(100)의 후면 커버(190)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이에 의해 부가 전자 유닛(20)이 본체(100)의 후면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부가 전자 유닛(20)이 본체(100)의 후방 측에 본체(10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지부재(30)의 넥부(32)는 가압부(31)의 일측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L자 형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넥부(32)의 선단에 마련된 결합돌기(33)가 포트(141, 142, 143)에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additional
탄지부재(30)의 결합돌기(33)에는 부가 전자 유닛(20)이 포트(141, 142, 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미도시)가 마련되어, 탄지부재(30)가 접속부(미도시)를 통해 본체(100) 내의 인쇄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지부재(30)의 넥부(32)에는 부가 전자 유닛(20)으로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부가 포트(32a)가 마련되어, 탄지부재(30)의 결합돌기(33)가 결합된 포트(141, 142, 143)을 대체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탄지부재(30)는 부가 전자 유닛(20)이 본체(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일종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지부재(30)에는 하나의 결합돌기(33)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포트(141, 142, 143)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33)가 탄지부재(30)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전자 유닛(20)을 본체(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설치 브래킷(40)을 이용한다. 부가 전자 유닛(20)은 설치 브래킷(40)에 의해 본체(100)에 결합된다. 설치 브래킷(40)은 본체(100)에 부가 유닛(2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의 일종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5, an
설치 브래킷(40)은 부가 전자 유닛(20)이 수용되는 수용부(41)와, 수용부(41)로부터 연장되는 넥부(42)와, 넥부(42)의 선단에 마련되어 포트(141, 142, 143)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3)를 포함한다. The moun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41)는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되어 사이에 부가 전자 유닛(2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41a)을 포함하여 부가 전자 유닛(20)이 수용부(41) 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넥부(42)의 형상과 결합돌기(43)에 마련되는 접속부(43a), 부가 포트(41b)에 관한 부분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Since the shap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치 브래킷(40)에는 하나의 결합돌기(43)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포트(141, 142, 143)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43)가 설치 브래킷(40)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ounting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이 텔레비전 본체에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Fig. 1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in the television body.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전자 유닛(50)의 후면에 결합돌기(51)가 마련된다. 또한, 포트가 위치하는 관통공(111)은 후면 커버(110)의 전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관통공(111)은 본체(100)의 후면에 위치하며, 관통공(111)의 내측에 포트가 위치하기 때문에 포트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된다. 포트가 본체(100)의 후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가 전자 유닛(50)은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경우와 같이 본체(100)의 측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넥부와 같은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6, the
또한, 부가 전자 유닛(50)의 일측에는 결합돌기(51)와는 별개로 돌출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2)는 결합돌기(51)와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결합돌기(51)와 본체(100)의 착탈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돌출부(52)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유동성이 있으며, 돌출부(52)를 가압하여 부가 전자 유닛(50)을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52)는 결합돌기(51)의 상측에 마련된다. In addition,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전자 유닛(50)에 결합돌기(5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부가 전자 유닛(50)을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 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에 비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전자 유닛과 텔레비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1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a televi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전자 유닛(70)은 본체(100)에 체결부재(80, 90)를 통해 결합된다. 체결부재(80, 90)는 제1체결부재(90), 제2체결부재(80)를 포함한다. 제1체결부재(90)와 제2체결부재(80)는 암수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즉, 제2체결부재(80)는 제1체결부재(90)에 체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additional
이를 위해, 제1체결부재(90)는 바디부(92)와 헤드부(91)를 포함하며, 헤드부(91)에 제2체결부재(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홈(9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91)는 바디부(92)로부터 연장되며 바디부(9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80)도 바디부와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체결부재(80)는 제1체결부재(90)의 체결홈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1체결부재(90)의 제1체결홈(93)에 제2체결부재(80)가 결합된다.To this end, the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면 커버(130)에 마련된 제1결합홈(132)에 제2체결부재(90)가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체결홈과 전면 커버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제1체결부재(9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결합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30)에는 제1체결부재(90)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90)는 제1결합홈(132)을 통해 전면 커버(130)에 결합된다. 후면 커버(110)와 전면 커버(130)의 사이에 인쇄회로기판(140)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체결부재(90)의 바디부(92)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 결합홈(144)을 통해 삽입되어 제1결합홈(132)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체결부재(90)의 헤드부(91)는 인쇄회로기판(140)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체결부재(90)는 후면커버(110)와 전면 커버(130) 사이에 위치한다. The printed
후면 커버(110)에는 제2체결부재(80)가 체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커버 결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가 전자 유닛(70)에는 제2체결부재(80)가 체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홈(7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부재(80)는 부가 전자 유닛(70)의 제2결합홈(71)을 통해 삽입되며, 후면 커버(110)의 후면 커버 결합홈(112)을 통과하여 제1체결부재(90)의 제1체결홈(93)에 결합된다. At least one rear
도면에는 제1체결부재(90)와 제2체결부재(80)가 각각 4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삽입되면 된다. 또한, 제1결합홈, 인쇄회로기판 결합홈, 전면 커버 결합홈, 후면 커버 결합홈, 제2결합홈도 제1체결부재, 제2체결부재의 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four
제1체결부재(90)는 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가 전자 유닛(70)을 본체(10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부가 전자 유닛(70)을 제2체결부재(80)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제1체결부재(90)의 헤드부(91)에 제1체결홈(93)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가 전자 유닛(70)을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이에 따라, 텔레비전 내부의 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부가 전자 유닛(70)을 텔레비전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따르면 부가 전자 유닛(70)이 위치하는 공간 외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reby,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additional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 뿐만 아니라, 제2체결부재와 제3체결부재도 암수의 관계에 있다. 즉, 제3체결부재는 제2체결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체결부재는 제2체결부재에 대해 암나사에 해당하며, 제2체결부재는 제1체결부재에 대해 수나사에 해당한다. 제2체결부재는 제3체결부재에 대해 암나사에 해당하며, 제3체결부재는 제2체결부재에 대해 수나사에 해당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two fastening members are used, but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ree fastening members. In this case, not only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ut also the second and third fastening members have a male and female relationship. That is, the third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rresponds to a female screw fo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orresponds to a male screw for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orresponds to a female screw for the third fastening member,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corresponds to a male screw fo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부가 전자 유닛은 본체의 일부분에 대해 체결부재 외에 자기체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가 전자 유닛은 본체에 대해 부착식 접착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may be coupled to a part of the main body using a magnetic body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member.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can also be coupled to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adhesive, double sided tap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텔레비전
10, 20, 50, 70: 부가 전자 유닛
30: 탄지부재 40: 설치 브래킷
110: 후면 커버 111, 112, 113: 관통공
130: 전면 커버 140: 인쇄회로기판
141, 142, 143: 포트
300, 310, 320, 330, 340, 350, 360 : 전열 부재1: television
10, 20, 50, 70: additional electronic unit
30: carbon member 40: mounting bracket
110:
130: front cover 140: printed circuit board
141, 142, 143: ports
300, 310, 320, 330, 340, 350, 360: heat transfer member
Claims (18)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가 전자 유닛;
상기 부가 전자 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 커넥터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상기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포트의 열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main body;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At least one port to which a ca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connected;
And at least one heat transfer memb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port and receiving heat from the port.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면은 전열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t is in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member.
상기 포트의 외측에 상기 전열부재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eat transfer member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port.
상기 전열부재는 상기 포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eat transfer memb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port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전열부재는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transfer member is a televi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ort is inserte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포트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전열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 is provided in plural, the heat transfer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inserts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s can be inserted.
상기 복수개의 삽입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plurality of inserts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포트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포트의 일측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 is loca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ne side of th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elevision.
상기 부가 전자 유닛과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main body.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proj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the coupl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hrough-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projection is provided on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the coupl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hrough-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가 전자 유닛;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신호 입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상의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전자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main body;
An additional electronic unit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port for signal input / outpu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aid additional electronic unit is coupled to said body via said at least one port.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at least one port is exposed outward through a through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부가 전자 유닛과 상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2,
And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and the main body,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a through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said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said additional electronic unit.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부가 전자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coupling protrusion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additional electronic unit.
상기 포트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port is coupled to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상기 포트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포트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t least one heat transfer member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side of the port to receive heat generated from the port.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3153270.7A EP2624542B1 (en) | 2012-01-31 | 2013-01-30 | Television |
US13/754,484 US9294707B2 (en) | 2012-01-31 | 2013-01-30 | Television |
JP2013016204A JP6271131B2 (en) | 2012-01-31 | 2013-01-30 | TV set |
CN201310038911.9A CN103227911B (en) | 2012-01-31 | 2013-01-31 | Television 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9427 | 2012-01-31 | ||
KR20120009501 | 2012-01-31 | ||
KR1020120009427 | 2012-01-31 | ||
KR1020120009502 | 2012-01-31 | ||
KR1020120009827 | 2012-01-31 | ||
KR1020120009501 | 2012-01-31 | ||
KR20120009428 | 2012-01-31 | ||
KR1020120010090 | 2012-01-31 | ||
KR1020120009428 | 2012-01-31 | ||
KR20120010090 | 2012-01-31 | ||
KR20120009500 | 2012-01-31 | ||
KR20120009827 | 2012-01-31 | ||
KR1020120009500 | 2012-01-31 | ||
KR20120009502 | 2012-01-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765A true KR20130088765A (en) | 2013-08-08 |
Family
ID=4921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1110A Withdrawn KR20130088765A (en) | 2012-01-31 | 2013-01-04 | Televi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8765A (en) |
-
2013
- 2013-01-04 KR KR1020130001110A patent/KR20130088765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20375B2 (en) | Display apparatus | |
JP4261888B2 (en) | Display device | |
EP2651202B1 (en) | Image displaying apparatus | |
EP3343047A1 (en) | Display device | |
CN109479109B (en) | Display device | |
EP3157107B1 (en) |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 |
US10211556B2 (en) | Display device | |
US11515615B2 (en) | Display apparatus and antenna assembly | |
US7898798B2 (en) |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 |
JP2010256619A (en) | Heat dissipating structure of thin image display | |
CN110501834B (en) | Display device | |
EP1740035A2 (en) | Display apparatus | |
KR20230111999A (en) | Display apparutus | |
KR100714166B1 (en) | Flat type image display device | |
KR100683739B1 (en) | Plasma display device | |
CN106997891B (en) | Display device | |
CN107710062A (en) | Connect the stru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display device with the structure | |
JP6271131B2 (en) | TV set | |
KR20130088765A (en) | Television | |
US20060268171A1 (en) | Plasma display module | |
KR100959284B1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display driving unit on the lower part | |
JP2022035972A (en) | Suppor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 |
JP2012220698A (en) | Thin display device | |
KR20170062937A (en) | Display apparatus | |
JP2014142490A (en) |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