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88436A - 테이프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테이프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436A
KR20130088436A KR1020120009657A KR20120009657A KR20130088436A KR 20130088436 A KR20130088436 A KR 20130088436A KR 1020120009657 A KR1020120009657 A KR 1020120009657A KR 20120009657 A KR20120009657 A KR 20120009657A KR 20130088436 A KR20130088436 A KR 2013008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owling
plate
timing
storag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연욱
Original Assignee
구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욱 filed Critical 구연욱
Priority to KR102012000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436A/ko
Publication of KR2013008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43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롤 타입의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보관하여 필요한 만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로부터 테이프 전체를 인출시키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케이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수용 보관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용이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된 부분을 개폐시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가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테이프 보관 케이스{Tape custody case}
본 발명은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타입의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보관하여 필요한 만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보관 케이스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을 칠 경우 손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또는 손바닥과 손등을 보호하기 위해 타이밍 테이프를 붙이게 된다.
상기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는 대부분 엄지손가락이 볼링공에 형성된 엄지손가락용 구멍으로부터 부드럽게 미끌어지고 아울러 굳은 살이나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엄지손가락 등에 붙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면직물 원단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도포면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볼링시에는 이면지를 떼고 손가락에 감거나 손바닥에 부착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핑 테이프는 기재인 면직물 원단이 마찰력과 신축성이 부족하여 볼링공에 대한 손의 악력, 밀착성이 작기 때문에 손에서 볼링공이 미끄러지기 쉽고 따라서, 볼링공을 정확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 제10-2002-0085696호에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가 게시된바 있다.
살펴보면,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는, 합성섬유 편물원단의 전면에 합성수지 막을 코팅 처리하고, 상기 합성섬유 편물원단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도포면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는 보관케이스에 보관되어 사용하게 되는바, 보관케이스는 단순히 상기한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를 수용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관케이스로부터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를 모두 인출시킨 후 사용하고자 하는양 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케이스로부터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를 모두 인출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에 이물질이 묻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2-0085696호, 출원일2002년12월28일 발명의 명칭: 볼링 경기용 테이핑 테이프, 3쪽 14줄 ~ 15줄, 도 1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롤 타입의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보관하여 필요한 만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로부터 테이프 전체를 인출시키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케이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보관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있어서, 테이프를 수용 보관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용이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된 부분을 개폐시켜 테이프가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테이프를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덮개부에 의해 타면이 개폐되는 수용부의 일면 상단 일측에는 테이프의 일단을 관통시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일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따르면, 롤 타입의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보관하여 필요한 만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로부터 테이프 전체를 인출시키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따르면, 롤 타입의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보관하여 필요한 만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케이스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100)는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수용 보관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용이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된 부분을 개폐시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가 수용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를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수용부(110)의 일면 상단 일측에는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관통시켜 사용자가 손잡이부(152)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수단(150)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고, 절단부에는 낱개로 하나씩 절단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등 부분에 직접 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볼링용 타이밍밴드(도면부호 생략)가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100)의 수용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수용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수용부(110)는,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판상의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 수 있도록 바닥판(111)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돌출 형성된 상,하 및 좌,우측판(112,113,114,115)이 단일체로 형성된 측벽판(116)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판(116)의 우측판(115) 상단 일부는 상판(112) 일측 끝단과 이격되어 수용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용홀(117)을 형성함과 아울러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될 시 굽힘됨 없이 안정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112)의 하단에 안내길(R)이 형성되도록 가이드수평판(118)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측벽판(116)의 상판(112)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용홀(117)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 경우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힌지용홈(112a)과, 상기 힌지용홈(112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1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측벽판(116)의 우측판(115)에는 후술할 덮개부(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1)를 걸림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걸림용홀(11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측벽판(116)의 상판(112)과 가이드수평판(118)에는 인출수단(150)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잡아당겨 인출시킬 수 있도록 제1,2파지용홀112c,11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용부(110)의 바닥판(111) 중앙부에는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동방지돌기(119)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덮개부(130)는 수용부(110)의 좌측판(114)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부(110)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덮개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연결편(120)을 매개로 측벽판(116)의 좌측판(114)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타단에는 우측판(115)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용홀(115a)에 삽입되어 걸림가능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131)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덮개부(130)는 연결편(120)을 개개로 수용부(110)에 일체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부와 별개로 형성하여 공지의 기술인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인출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판(11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어 손잡이부(152)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안내로(R)을 따라 인출용홀(117)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인출수단(150)은 수용부(11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일단은 공간수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안내로(R)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로울러(151)와, 상기 구동로울러(151)의 타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구동로울러(1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152)와, 상기 손잡이부(152)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51)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구동로울러(15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로울러(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덮개부(130)의 상부 일측에는 구동로울러(151)와 종동로울러(153)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도면부호 생략)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권취된 타이밍 테이프를 수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롤 타입으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상,하 및 좌,우측판(112,113,114,115)이 단일체로 형성된 측벽판(116)에 의해 보관 케이스(100)의 수용부(11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에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롤 타입으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가 수용부(110)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면, 롤 타입으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 일단을 인출수단(150)의 구동로울러(151)와 종동로울러(153) 사이로 관통시키면서 안내로(R)까지 인출시킨다.
이후, 상기 측벽판(116)의 좌측판(114)에 연결편(120)을 매개로 연결된 덮개부(130)를 수용부(110)측으로 회동시키면서 걸림돌기(131)를 우측판(115)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용홀(115a)에 각각 삽입시켜 걸림 고정시키므로 인해, 이물질이 보관 케이스(10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의 수용공간부에 수용 보관된 롤 타입으로 권취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출수단(150)의 손잡이부(152)를 회전시키므로 인해 구동로울러(151)와 종동로울러(152)가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은 안내로(R)를 따라 인출용홀(117)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출용홀(117)측으로 인출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의 볼링용 타이밍밴드를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테이프 보관 케이스
110 ; 수용부
120 ; 연결편
130 ; 덮개부
150 ; 인출수단

Claims (6)

  1. 테이프 보관 케이스에 있어서,
    테이프(T)를 수용 보관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테이프(T)를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용이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타측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된 부분을 개폐시켜 테이프(T)가 수용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테이프를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보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30)에 의해 타면이 개폐되는 수용부(110)의 일면 상단 일측에는 테이프(T)의 일단을 관통시켜 사용자가 회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수단(1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보관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0)는,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판상의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 수 있도록 바닥판(111)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돌출 형성된 상,하 및 좌,우측판(112,113,114,115)이 단일체로 형성된 측벽판(116)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판(116)의 우측판(115) 상단 일부는 상판(112) 일측 끝단과 이격되어 수용된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용홀(117)을 형성함과 아울러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될 시 굽힘됨 없이 안정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112)의 하단에 안내길(R)이 형성되도록 가이드수평판(118)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보관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30)는, 일단이 연결편(120)을 매개로 측벽판(116)의 좌측판(114)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사각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타단에는 우측판(115)에 걸림가능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131)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보관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150)은, 수용부(110)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일단은 공간수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안내로(R)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로울러(151)와, 상기 구동로울러(151)의 타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구동로울러(1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152)와, 상기 손잡이부(152)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구동로울러(151)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구동로울러(15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로울러(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보관 케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116)의 상판(112) 일부는,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이 인출용홀(117)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 경우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힌지용홈(112a)과, 상기 힌지용홈(112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112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116)의 우측판(115)에는 덮개부(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1)를 걸림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걸림용홀(115a)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판(116)의 상판(112)과 가이드수평판(118)에는 인출수단(150)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볼링용 타이밍 테이프(T)의 일단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잡아당겨 인출시킬 수 있도록 제1,2파지용홀112c,118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보관 케이스.

KR1020120009657A 2012-01-31 2012-01-31 테이프 보관 케이스 Abandoned KR20130088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657A KR20130088436A (ko) 2012-01-31 2012-01-31 테이프 보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657A KR20130088436A (ko) 2012-01-31 2012-01-31 테이프 보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436A true KR20130088436A (ko) 2013-08-08

Family

ID=4921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657A Abandoned KR20130088436A (ko) 2012-01-31 2012-01-31 테이프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4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3422B (zh) 带盒
KR100883884B1 (ko)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JP5651435B2 (ja) 収納容器
MX2012004376A (es) Caja de tiza.
TWI654098B (zh) Belt printing device and tape printing system
US8042592B2 (en) Tape dispenser
JP6779330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635552B2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
KR20130088436A (ko) 테이프 보관 케이스
JP5538187B2 (ja) 巻回体収容箱、巻回体入り収容箱及び長尺物引き出し方法
KR200494136Y1 (ko) 티슈용기 마개
KR100674121B1 (ko) 펜타입의 수정테잎
JP6368141B2 (ja) 墨壷
KR200316709Y1 (ko) 먼지 제거기
TWM595118U (zh) 保鮮膜盒及其裁刀組件
KR20110007763U (ko) 원터치식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JP2004123196A (ja) ラップフィルム収容ケース
WO2014010085A1 (ja) 収納器具
KR20170001774U (ko)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170001724U (ko)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170029870A (ko) 휴대용 비닐장갑 케이스
KR20040085580A (ko) 먼지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8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