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86759A -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759A
KR20130086759A KR1020120007680A KR20120007680A KR20130086759A KR 20130086759 A KR20130086759 A KR 20130086759A KR 1020120007680 A KR1020120007680 A KR 1020120007680A KR 20120007680 A KR20120007680 A KR 20120007680A KR 20130086759 A KR20130086759 A KR 20130086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ttern
side key
key modu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2000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6759A/ko
Publication of KR2013008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형성된 피씨비; 일측은 상기 패턴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 상기 피씨비의 일측에 결합되며, 사이드 키의 가압시 패턴에 접촉되어 패턴 및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돔;을 포함하며, 상기 돔은 외면에 부착되는 시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극단자의 단자공용화가 가능하고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SMART PHONE SIDE KEY MODUL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슬림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 및 작동상태에 따라 바 타입(bar-type), 플립 타입(flip-type), 폴더 타입(foldertype), 슬라이드 타입(slide-type) 및 스윙 타입(swing-type)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각종 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는 키패드 외에 본체의 측면에 사이드 키가 설치된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추세에 부합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서 사이드 키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택트스위치(tact switch)를 이용한 사이드 키 모듈의 경우, 택트스위치 자체의 크기가 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실장시 넓은 실장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시 두께를 슬림화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83677호를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조립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부피도 커서, 현재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 추세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슬림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형성된 피씨비; 일측은 상기 패턴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 상기 피씨비의 일측에 결합되며, 사이드 키의 가압시 패턴에 접촉되어 패턴 및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돔을 포함하며, 상기 돔은 외면에 부착되는 시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납땜되는 것면에 부착되어 상기 돔이 피씨비의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피씨비의 전면 패턴에 밀착되는 전면접촉부; 상기 전면접촉단부와 연결되며 절곡되어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후면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접촉부는 중앙에 배치되어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센터브릿지; 상기 센터브릿지의 양측에 배치되어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센터브릿지 및 제1 및 제2브릿지와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브릿지는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돌기부와, 상기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브릿지는 끝단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의 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극단자의 단자공용화가 가능하고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의 여러가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과 측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의 여러가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과 측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를 나타낸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를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의 여러가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과 측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의 여러가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과 측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를 나타낸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를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적용되는 접촉단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A1)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12)이 전,후면에 각기 형성된 피씨비(1); 일측은 패턴(12)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1)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2); 상기 피씨비(1)의 일측에 결합되며, 사이드 키의 가압시 상기 패턴(12)에 접촉되어 패턴(12) 및 접촉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돔(3); 상기 피씨비(1)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돔(3)이 피씨비(1)의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A1,A2)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미도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피씨비(인쇄회로기판)(1)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이드 키를 가압한 경우 가압된 신호를 피씨비(1)에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피씨비(1)는 도전성 재질의 패턴(12)이 전면과 후면에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접촉단자(2)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통공(13a,13b)이 형성된다.
즉 패턴(12)은 전면과 후면에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13a,13b)은 접촉단자(2)와의 결합구조를 고려하여 삼각형태로 배치된다.
패턴(12)의 형상은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아울러 통공의 배치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접촉단자(2)는 기본적인 형상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패턴(12)에 납땜되어 고정된다.
접촉단자(2)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돔(3)은 금속 박판을 볼록하게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피씨비(1)의 접점포인트에 대응되도록 밀착되어 사이드 키에 연동되어 클릭됨으로써 패턴(12)과 접촉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시트(4)는 비전도성의 합성수지이며 돔(3)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피씨비(1)의 외면에 부착되며 돔(3)의 외면에 덮혀져서 부착됨으로써 돔(3)을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돔(3)을 피씨비(1)에 올려놓고 시트(4)를 부착하는 작업만으로 돔(3)의 고정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의 여러가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과 측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이드 노멀' 타입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사이드 프리' 타입이며, 이는 피씨비의 측면에 접촉되는 타입이다.
도 5는 '탑 노멀'이고, 도 6은 '탑 프리' 타입이다. 이들은 피씨비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타입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A2)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전,후면에 각기 형성된 피씨비(1);
일측은 패턴(12)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1)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2);
상기 피씨비(1)의 일측에 결합되며, 사이드 키의 가압시 패턴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돔(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씨비(1)는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전면과 후면에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접촉단자(2)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통공(13)이 형성된다.
즉 패턴(12)은 전면과 후면에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13)은 접촉단자(2)와의 결합구조를 고려하여 삼각형태로 배치된다.
패턴(12)의 형상은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아울러 통공의 배치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접촉단자(2)는 기본적인 형상은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패턴(12)에 납땜되어 고정된다.
접촉단자(2)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돔(3')은 금속 박판을 볼록하게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피씨비(1)의 패턴(12)에 납땜되어 사이드 키에 연동되어 클릭됨으로써 패턴(12)과 접촉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의 여러가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과 측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사이드 노멀' 타입의 사이드 키 모듈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사이드 프리' 타입이며, 이는 피씨비의 측면에 접촉되는 타입이다.
도 11은 '탑 노멀'이고, 도 12는 '탑 프리' 타입이다. 이들은 피씨비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타입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12-a,12-b)이 전,후면에 각기 형성된 피씨비(1); 일측은 상기 패턴(12-a,12-b)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1)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7)를 포함한다.
접촉단자(7)는, 피씨비(1)의 전면 패턴에 밀착되는 전면접촉부(72); 전면접촉부(72)와 연결되며 절곡되어 피씨비(1)의 후면 패턴(12-b)에 접촉되는 후면접촉부(7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면접촉부(72)에는 전면 패턴(12-a)에 접촉되는 돌턱(721)이 형성된다.
또 후면접촉부(74)는 중앙에 배치되어 피씨비(1)의 후면 패턴(12-b)에 접촉되는 센터브릿지(742); 상기 센터브릿지(742)의 양측에 배치되어 피씨비(1)의 후면 패턴(12-b)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브릿지(743,744)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씨비(1)에는 센터브릿지(742) 및 제1 및 제2브릿지(743,744)와 대응되는 통공(13a,13b)이 형성되고, 센터브릿지(742)는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통공(13a)에 삽입되는 돌기부(742-1)와, 후면 패턴(12-b)에 접촉되는 단부(74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브릿지(743,744)는 끝단에 후크(744-1)가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1)의 통공(13b)에 결합된다.
따라서 센터브릿지(742)의 돌기부(742-1)가 통공(13a)에 삽입된 채 단부(742-2)가 후면 패턴(12-b)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처짐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브릿지(743,744)의 후크(744-1)가 통공(13b)에 삽입되어 걸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록킹기능이 보강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피씨비 2, 7 : 접촉단자
3, 3' : 돔 4 : 시트
12 : 패턴 72 : 전면접촉부
74 : 후면접촉부 742 : 센터브릿지
743 : 제1브릿지 744 : 제2브릿지

Claims (17)

  1.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전,후면에 각기 형성된 피씨비;
    일측은 상기 패턴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
    상기 피씨비의 일측에 결합되며, 사이드 키의 가압시 상기 패턴에 접촉되어 패턴 및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돔;
    상기 피씨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돔이 피씨비의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패턴에 납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은 금속 박판을 볼록하게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피씨비의 접점포인트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비전도성의 합성수지이며 상기 돔에 대응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피씨비의 전면 패턴에 밀착되는 전면접촉부;
    상기 전면접촉단부와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기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후면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접촉부에는 전면 패턴에 접촉되는 돌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접촉부는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센터브릿지;
    상기 센터브릿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브릿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센터브릿지 및 제1 및 제2브릿지와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브릿지는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돌기부와, 상기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릿지는 끝단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의 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0.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전,후면에 각기 형성된 피씨비;
    일측은 상기 패턴에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피씨비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
    상기 피씨비의 일측에 결합되며, 사이드 키의 가압시 패턴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패턴에 납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돔은 금속 박판을 볼록하게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패턴의 접점포인트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3.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에 연동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의 패턴이 전,후면에 각기 형성된 피씨비; 상기 피씨비에 전기가 통하도록 부착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피씨비의 전면 패턴에 밀착되는 전면접촉부;
    상기 전면접촉단부와 연결되며 절곡되어 상기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후면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접촉부에는 상기 전면 패턴에 접촉되는 돌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접촉부는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센터브릿지;
    상기 센터브릿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씨비의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브릿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에는 상기 센터브릿지 및 제1 및 제2브릿지와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브릿지는 하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돌기부와, 상기 후면 패턴에 접촉되는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릿지는 끝단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의 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1020120007680A 2012-01-26 2012-01-26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20130086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80A KR20130086759A (ko) 2012-01-26 2012-01-26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80A KR20130086759A (ko) 2012-01-26 2012-01-26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59A true KR20130086759A (ko) 2013-08-05

Family

ID=4921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680A KR20130086759A (ko) 2012-01-26 2012-01-26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67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37B1 (ko) * 2014-07-11 2014-11-13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Lds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측면 키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4289B1 (ko) * 2014-06-18 2015-04-22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모바일 단말기용 입력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89B1 (ko) * 2014-06-18 2015-04-22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모바일 단말기용 입력 모듈
KR101457337B1 (ko) * 2014-07-11 2014-11-13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Lds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측면 키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0584B2 (en) Side ke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203274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CN201060951Y (zh) 天线与pcb板间的接触连接结构及采用该结构的设备
CN105225872A (zh) 一种按键结构及电子设备
KR1010719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20130086759A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100651448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150096986A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097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20110092975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안정화된 접점 구조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KR101263406B1 (ko) 모듈형 이어폰 잭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9505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EP1758344B1 (en) Key pad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46969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US7179098B2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N201038300Y (zh) 天线与pcb板间的接触连接结构及采用该结构的设备
KR101149798B1 (ko)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키 모듈
CN205921827U (zh) 一种连接组件的安装结构及电子设备
KR20160015122A (ko) 엘시디 모듈에 직접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피시비
KR200239813Y1 (ko) 돔접점방식버튼구조
KR200333728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CN210518290U (zh) 电子设备
KR2003146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와 인쇄회로기판의 연결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