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738A - Elastic return device and chair for exercis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astic return device and chair for exercis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4738A KR20130084738A KR1020120005511A KR20120005511A KR20130084738A KR 20130084738 A KR20130084738 A KR 20130084738A KR 1020120005511 A KR1020120005511 A KR 1020120005511A KR 20120005511 A KR20120005511 A KR 20120005511A KR 20130084738 A KR20130084738 A KR 201300847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coupled
- shaped rail
- return device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 A47C7/503—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with double foot-rests or leg-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 복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력과 양단의 반경이 다른 부채꼴형 레일의 이동 궤적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 레일의 회전운동 시 탄성 복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탄성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복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리운동 및 복근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 return device and an exercise chai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rotational motion of a fan-shaped rail around a rotational axis using a moving trajectory of a fan-shaped rail having a different elastic force and a radius of both ends of the sp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 return device for generating elastic return for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chair comprising the elastic return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exercise the leg and abs.
현대인들은 운동량이 매우 부족하며 이를 보충하기 위해 따로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하거나 헬스클럽 등 유료 운동시설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 있다. 특히, 자가용 운행 및 컴퓨터를 사용하는 업무가 많아짐에 따라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운동량은 점점 부족하게 된다.Modern people are very lacking in exercise volume, and to supplement this, they take time to exercise or use paid exercise facilities such as health clubs. 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tasks such as driving and using a computer increases, the time for sitting on a chair increases, and the amount of exercise becomes insufficient.
그리하여 의자에 앉아있는 동안 수시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무용 의자에 다리운동 및 복근운동 등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 운동용 의자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Thus, a lot of exercise chair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office chairs are equipped with devices for leg exercises and abs exercises so that they can exercise at any time.
이러한 종래의 운동용 의자의 일례로 좌석의 시트 하부에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고 타측에 발걸이가 형성되는 회전부를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부의 일측에 중량물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운동 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리 운동용 의자가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중량물의 무게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교체 사용해야 하므로 중량물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으며, 또한 다양한 무게의 다수개의 중량물이 별로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증가 및 공간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이 사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exercise chair, one side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of the seat and the rotation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portion formed with the foot on the other side to rotate around the hinge, and to replace the weight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There is a one-legged exercise chair that can be adjusted for intensity of exercise. However, this is a risk that the user has to replace the weight of the heavy weight of the weight to be used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weight, and also a large number of weights of various weights must be provided separately, which increases the cost and space constrain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use the weak elderly people.
또한, 종래의 운동용 의자의 다른 예로 도 1과 같이 의자본체(10)의 시트쿠션 프레임(16) 전면에 회동부재(17)의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은 걸림부재(18)가 형성되며, 회동부재(17)와 하부지지대(13)에 양측이 연결되도록 실린더장치(20)가 결합되는 다리 운동용 의자(한국등록실용 20-0431308)가 있다. 이는 도 2와 같이 실린더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24)의 탄성을 이용하여 회동부재(17)가 상승될 때 실린더장치(20)가 늘어나면서 리턴스프링(24)이 실린더 로드(22)를 잡아당겨 운동 강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며, 실린더장치(20)에 컨트롤러(35)와 강도조절스위치(32)를 연결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구조가 복잡하며 컨트롤러 및 강도조절스위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exercise chair, one side of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단하며, 스프링의 탄성과 부채꼴형 레일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이 당겨지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탄성 복원력을 얻을 수 있으며 스프링에 연결되는 탄성조절볼트로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 복귀장치를 이용하여 다리운동 및 복근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is simple to manufacture, so that the spr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he rotation of the fan-shaped rail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providing an elastic return device that can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ith an elastic adjustment bolt connected to the spring. In addition, by using the elastic return device to provide an exercise chair configured to be able to exercise the leg and ab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는,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슬롯(111)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부(100); 상기 한 쌍의 회전부(100) 사이에 구비되고, 모서리부(210)가 상기 수평부(110)의 타측에 고정핀(13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호형상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부채꼴형 레일(200); 상기 수평부(110)의 슬롯(111)에 양단이 삽입되며, 중앙에 롤러(31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롤러핀(300); 및 상기 고정핀(130)과 롤러핀(300)에 각각 양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는,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슬라이딩 홈(112)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부(100); 상기 한 쌍의 회전부(100)의 양측에 구비되고, 모서리부(210)가 상기 수평부(110)의 타측에 고정핀(13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호형상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레일(200); ㄷ자형 몸체(51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122)에 대응되는 돌출가이드(52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510)의 일측에 한 쌍의 롤러(53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홀더(500); 및 상기 고정핀(130)과 홀더(500)에 양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탄성 복귀장치는 탄성 조절볼트(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조절볼트(600)는 일측이 상기 홀더(500)의 몸체(510)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4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return device is made by further comprising an
또한,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상의 반지름이 양단보다 중앙의 반지름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n-
또한,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의 양단에 걸림턱(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n-
그리고 상기 탄성 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는, 좌판(2100); 상기 좌판(2100)의 후단에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등받이(2200); 및 상기 좌판(2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판(21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2100)의 하면 전단에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100)의 수직부(120)에 하측 방향으로 회전대(140)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대(140)의 하부에 양측으로 적어도 한 쌍의 발고정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elastic return device, the
또한,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회전부(100)의 일측에 걸림핀(160)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160)에 결합되도록 고정바(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운동용 의자(2000)는 상기 등받이(2200)가 상기 좌판(2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2100)의 하면 후단에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100)의 일측에 상측 방향으로 등받이 프레임(2210)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2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회전부(100)의 일측에는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호형의 걸림판(180)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190)가 결합되며,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과 상기 스토퍼(190)에 양단에는 탄성부재(191)가 연결되어, 상기 걸림판(180)은 상기 스토퍼(19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rc-
또한, 상기 등받이(22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2200)에 수직하도록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팔걸이(2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또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22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안전지지대(2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ck frame (22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또한, 상기 한 쌍의 팔걸이(2400) 및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각각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팔걸이(2400)와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연결 링크(2600)로 결합되어, 상기 팔걸이(2400)를 90도 회전시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air of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단하며, 스프링의 탄성과 부채꼴형 레일의 궤적에 따라 스프링이 당겨지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탄성 복귀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에 연결되는 탄성조절볼트로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elastic return force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pulling the spring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he trajectory of the fan-shaped rai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the elastic adjustment bolt connected to the spring has the advantage of adjusting the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는 탄성 복귀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헬스기구들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무거운 중량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헬스기구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fitness equipment that requires an elastic return for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does not require a heavy weigh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fitness equipment.
그리고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를 포함하는 운동용 의자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여, 일반 의자에 다리운동 및 복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다목적으로 구성하여 사무용 의자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d the exercise chair including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and compact configuration is possible, it can be applied to the office chair to configure a multi-purpose to do leg and abs exercises to the general chair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 1은 종래의 운동용 의자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실린더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채꼴형 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복귀장치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 및 안전지지대의 결합구조 및 작동원리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xercise chair.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ylinder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fan-shape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adjustment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10 and 11 are side views showing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ixing device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armrest and the safety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용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ercise chair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rs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1000)는,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슬롯(111)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부(100); 상기 한 쌍의 회전부(100) 사이에 구비되고, 모서리부(210)가 상기 수평부(110)의 타측에 고정핀(13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호형상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부채꼴형 레일(200); 상기 수평부(110)의 슬롯(111)에 양단이 삽입되며, 중앙에 롤러(31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롤러핀(300); 및 상기 고정핀(130)과 롤러핀(300)에 각각 양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우선, 상기 회전부(1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ㄱ자 형으로 형성되어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10)가 연장 형성된 단부에 길게 슬롯(111)이 형성된다.First, the
그리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모서리부(210)가 상기 회전부(100)에 결합되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연결된 부분에 고정핀(130)으로 관통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30)은 부채꼴형 레일(200)의 모서리부(21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형태이거나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30)이 마찰되며 회전되는 부분은 베어링 또는 부쉬 등을 사용하여 결합되어 접촉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And the fan-
그리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도 4(a)와 같이 원판을 4등분한 하나의 조각과 같이 부채꼴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호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된다. 이때, 일단은 상기 수평 부(110)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타단은 상기 수직부(120)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And the fan-
상기 롤러핀(300)은 핀(320)의 중앙에 롤러(3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핀(300)은 상기 수평부(110)의 슬롯(111)에 핀(320)의 양단이 삽입되며, 상기 롤러(320)가 부채꼴형 레일(200)의 둥근 부분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The
여기에 상기 롤러핀(300)의 핀(320)과 상기 회전부(100)의 돌출된 고정핀(13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의 탄성부재(4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0)는 인장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롤러핀(300)은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당겨져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의 둥근 부분과 항상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A pair of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1000)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부채꼴형 레일(200)은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한 원호 궤적(C1)의 반경(R)과 레일 형상 궤적(C2)의 S지점의 반경(rs)은 같고, E지점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져 90도 회전시 E지점에서의 반경(re)이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400)는 두 지점의 반경의 차이만큼 늘어나게 되고 이에 비례하는 탄성력이 발생한다.Thus, when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즉, 부채꼴형 레일(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100)를 회전시키면, 롤러핀(300)이 부채꼴형 레일(200)의 곡선 궤적을 따라 회전부(1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부채꼴형 레일(200)의 반경은 회전 각도에 따라 점차 커지므로, 롤러핀(300)은 슬롯(111)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400)를 당기게 되어 원위치로 돌아오려는 탄성 복귀력이 발생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단하며, 스프링의 탄성과 부채꼴형 레일의 궤적에 따라 탄성부재가 당겨지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탄성 복귀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탄성조절볼트로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는 탄성 복귀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헬스기구들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무거운 중량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헬스기구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is simple to manufa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astic return force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pulling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he trajectory of the fan-shaped rail.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o the elastic adjustment bolt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the user. In addition,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fitness equipment that requires an elastic return for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does not require a heavy weigh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fitness equipment.
그리고 본원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로, 도 4(b)와 같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상의 반지름이 양단보다 중앙의 반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부채꼴형 레일(200)의 곡선 궤적(C2)에서 중앙부분의 반경(rm)이 크고, 양단의 반경(rs, re)이 작게 형성되어 원호 궤적(C1)의 반경(R)과 레일 형상 궤적(C2)의 S지점 및 E지점의 반경(rs, re)은 같도록 가운데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다.And 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b) the fan-shaped
그리하여 부채꼴형 레일(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100)를 회전시킬 때,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의 반경이 가장 큰 45도 부근 까지는 상기 회전부(100)를 회전시키는 동안에 원위치로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고, 45도를 넘어가면 90도 위치로 자동으로 회전된다. Thus, when the
그러므로 이 원리를 이용하면 회전부(100)를 펼때와 구부릴때에 특정한 각도까지 양측으로의 탄성 복귀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 of this princip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elastic return force to both sides up to a certain angle when the
또한,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의 양단에 걸림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채꼴형 레일(200)의 양단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220)을 형성하면 탄성부재(400)의 탄성에 의해 롤러핀(300)이 부채꼴형 레일(200)의 궤적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shap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1000)는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슬라이딩 홈(112)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부(100); 상기 한 쌍의 회전부(100)의 양측에 구비되고, 모서리부(210)가 상기 수평부(110)의 타측에 고정핀(13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호형상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레일(200); ㄷ자형 몸체(51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122)에 대응되는 돌출가이드(52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510)의 일측에 한 쌍의 롤러(53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홀더(500); 및 상기 고정핀(130)과 홀더(500)에 양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이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이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ㄱ자 형태로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형성되는 회전부(10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0)의 단부 내측에 슬라이딩 홈(112) 형성된다.This i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모서리부(210)가 상기 회전부(100)에 결합되며, 수평부(110)와 수직부(120)가 연결된 부분에 고정핀(130)으로 관통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30)은 부채꼴형 레일(200)의 모서리부(21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And the fan-shaped
그리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And the fan-shap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500)는 ㄷ자형 몸체(51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122)에 대응되는 돌출가이드(52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110)의 슬라이딩 홈(122)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부(100)의 슬라이딩 홈(122)을 따라 상기 홀더가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홀더(500)는 몸체(510)의 일측에 한 쌍의 롤러(53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130)과 홀더(500)에 양측이 연결되도록 탄성부재(400)가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6, the
그리고 상기 홀더(500)는 회전부(100)에 삽입되는 부분의 반대측 몸체(510)에 양쪽으로 한 쌍의 롤러(530)가 형성되며 회전되도록 결합된다.In addition, the
그리하여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100)가 회전되면, 상기 롤러(530)가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일(200)의 곡선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400)가 늘어나므로 회전되는 동안 탄성 복귀력이 증가된다.Thus,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상의 반지름이 양단보다 중앙의 반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호형의 양단에 걸림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fan-shaped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복귀장치는 탄성 조절볼트(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7과 같이 상기 탄성 조절볼트(600)는 일측이 상기 홀더(500)의 몸체(510)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4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몸체(510)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탄성 조절볼트(600)를 회전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탄성 조절볼트(600)의 단부를 탄성부재(400)에 결합되도록 하되 탄성부재(400)는 회전되지 않으면서 상기 탄성 조절볼트(600)만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롤러(530)는 부채꼴형 레일(200)에 항상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탄성 조절볼트(600)를 돌리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turn device is made of a further comprising a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2000)는, 좌판(2100); 상기 좌판(2100)의 후단에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등받이(2200); 및 상기 좌판(2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판(21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2100)의 하면 전단에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100)의 수직부(120)에 하측 방향으로 회전대(140)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대(140)의 하부에 양측으로 적어도 한 쌍의 발고정부(15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8 and 9 are assembled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이는 일반적인 의자에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1000)를 결합하여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과 같이 좌판(2100)의 하면 앞쪽에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이 일측에 결합되도록 하고, 수직부(120)에 회전대(140)가 연장 형성되며, 그 하부에 발고정부(15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발고정부(150)에 발을 걸은 상태에서 다리를 펴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is is configured to the leg movement by combining the
이때, 부채꼴형 레일(200) 중 호형의 양단보다 중앙의 반경이 큰 형태의 부채꼴형 레일(200)을 사용하고 발고정부(150)가 두 쌍이 형성되도록 하면, 발을 두 쌍의 발고정부(150) 사이에 끼우고 다리를 펴면서 일정각도 운동이 되고, 반대로 다리를 오므리면서도 일정각도까지 운동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an-shaped
또한,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회전부(100) 일측에 걸림핀(160)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160)에 결합되도록 고정바(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바(170)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걸림핀(160)에 걸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장치이며, 회전부(100)와 부채꼴형 레일(200)이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하여 회전부(100)가 회전될 수 없도록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다리운동을 하지 않을 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하에서 설명할 복근운동 시 사용될 수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In addition, a
그리고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2000)는 도 10과 같이 상기 등받이(2200)가 상기 좌판(2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2100)의 하면 후단에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100)의 수직부(120)의 일측에 상측 방향으로 등받이 프레임(2210)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2200)의 후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이는,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좌판(2100)의 하면 전단에 탄성 복귀장치(1000)가 결합되는 구성에, 추가로 좌판(2100)의 하면 후단에 탄성 복귀장치(1000)가 하나 더 결합되어 2개의 탄성 복귀장치(1000)가 결합되는 것이다.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좌판(2100)의 후단에 결합되는 탄성 복귀장치(1000)는 전단에 결합되는 탄성 복귀장치(1000)와 구조가 일부 다르게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의 부채꼴형 레일(200)은 반경이 긴 쪽이 상기 좌판(2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반경이 짧은 쪽이 하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된다.As shown, the rear end of the fan-shaped
또한 등받이 프레임(2210)이 회전부(100)에 결합되어 수직인 상태가 초기 상태이고, 이때 회전부(100)는 수평부(110) 만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110)가 수직인 상태가 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2210)과 나란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좌판(2100)의 하면 후단에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이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부(100)의 수직부(120)에 등받이 프레임(2210)의 하측이 결합되고 상측이 등받이(2200)의 후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2200)는 좌판(2100)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And one side of the fan-shaped
그리하여 도 11(a)와 같이 상기 등받이(2200)를 뒤로 젖히면 상기 좌판(2100)과 등받이(2200)를 평행하게 할 수 있으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탄성이 작용하므로 힘을 가해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하여 등 및 허리 운동도 할 수 있다.Thus, when the
이때, 상기 등받이(2200)를 좌판(2100)과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젖힌 상태에서는 탄성 복귀장치(1000)로 인해 등받이(2200)가 원위치인 수직 상태로 돌아오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즉, 도 11 및 도 13과 같이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회전부(100)의 일측에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호형의 걸림판(180)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190)가 결합되며,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과 상기 스토퍼(190)에 양단에는 탄성부재(191)가 연결되어, 상기 걸림판(180)은 상기 스토퍼(19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등받이(2200)를 뒤로 젖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의 걸림판(180)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181)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181)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19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90)는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양측이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결합된 부분의 일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탄성부재(191)가 상기 ㄷ자형의 스토퍼(190)와 부채꼴형 레일(200)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190)가 항상 상기 걸림홈(181)에 걸려 상기 걸림판(180)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190)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192)를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190)가 상기 걸림홈(181)에 걸리거나 빠지도록 할 수 있다.This is to form a plurality of locking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100)에 형성되는 걸림판(180), 스토퍼(190) 및 탄성부재(191)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2200)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전면의 탄성 복귀장치(1000)를 고정하면, 누워서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윗몸일으키기와 같은 복근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그리고 상기 등받이(22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2200)에 수직하도록 접이식으로 한 쌍의 팔걸이(24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2200) 또는 등받이 프레임(22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좌판(2100)의 상측에 나란하게 팔걸이(24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이라 함은 상기 한 쌍의 팔걸이(2400)가 상기 등받이(2200)와 나란하게 되도록 90도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A pair of
이는 상기 등받이(2200)를 뒤로 젖혀 눕힌 상태에서 상기 팔걸이(2400)도 등받이(2200)와 나란하게 젖혀 놓을 수 있도록 하여 복근 운동 시 불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또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22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접이식으로 안전지지대(2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등받이(2200)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복근 운동을 하면 사람의 상체 무게 및 반동으로 인해 의자가 뒤쪽으로 쓰러질 수 있으므로, 등받이 프레임(2210)에 밀착되도록 접혀있던 상기 안전지지대(2500)를 펴서 등받이(2200)에 수직이 되고 바닥면에 닿도록 하여 안전하게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ck frame (2210) can be folded to form a safety support (2500). This is because the chair back may fall down due to the upper body weight and recoil of the person when the abdominal exercise in the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팔걸이(2400) 및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각각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회전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팔걸이(2400)와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연결 링크(2600)로 결합되어, 상기 팔걸이(2400)를 90도 회전시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이는 도 14와 같이 상기 팔걸이(2400) 및 안전지지대(2500)를 각각 일측이 회전축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팔걸이(2400)의 일측 단부와 안전지지대(2500)의 일측 단부를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하여, 그 연장된 부분을 연결 링크(2600)로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팔걸이(2400)를 90도 만큼 회전시켜 등받이(2200)와 수평이 되도록 하면 그 동안에 상기 연결 링크(2600)로 연결된 안전지지대(2500)가 반대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되어 등받이(2200)에 수직인 상태로 펴지게 된다.This is to make the
이와 같이 팔걸이(2400)를 안전지지대(2500)와 연결 링크(2600)로 연결함으로써, 한 번에 팔걸이(2400)와 안전지지대(2500)를 동시에 접고 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uch, by connecting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0 : (본 발명의) 탄성 복귀장치
100 : 회전부
110 : 수평부 120 : 수직부
111 : 슬롯 112 : 슬라이딩 홈
130 : 고정핀 140 : 회전대
150 : 발고정부 160 : 걸림핀
170 : 고정바 180 : 걸림판
181 : 걸림홈 190 : 스토퍼
191 : 탄성부재 192 : 레버
200 : 부채꼴형 레일
210 : 모서리부 220 : 걸림턱
300 : 롤러핀
310 : 롤러 320 : 핀
400 : 탄성부재
500 : 홀더
510 : 몸체 520 : 돌출가이드
530 : 롤러
600 : 탄성 조절볼트
2000 : (본 발명의) 운동용 의자
2100 : 좌판 2200 : 등받이
2210 : 등받이 프레임
2300 : 하부지지대 2400 : 팔걸이
2500 : 안전지지대 2600 : 연결 링크1000: elas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rotating part
110: horizontal portion 120: vertical portion
111: slot 112: sliding groove
130: fixed pin 140: swivel
150: foot fixing part 160: jam pin
170: fixing bar 180: locking plate
181: hanging groove 190: stopper
191: elastic member 192: lever
200: fan-shaped rail
210: corner portion 220: locking jaw
300: roller pin
310: roller 320: pin
400: elastic member
500: Holder
510: body 520: protrusion guide
530: Roller
600: Elastic Adjustment Bolt
2000: Exercis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2100: Seat 2200: Backrest
2210: Back frame
2300: lower support 2400: armrest
2500: safety support 2600: connection link
Claims (14)
상기 한 쌍의 회전부(100) 사이에 구비되고, 모서리부(210)가 상기 수평부(110)의 타측에 고정핀(13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호형상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부채꼴형 레일(200);
상기 수평부(110)의 슬롯(111)에 양단이 삽입되며, 중앙에 롤러(31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롤러핀(300); 및
상기 고정핀(130)과 롤러핀(300)에 각각 양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A horizontal portion 110 and a vertical portion 120 are formed, a slot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a pair of rotating portion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parts 100, the corner portion 21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by the fixing pin 130, the arc-shaped radius is the other end at one end Fan-shaped rail 200 is formed to be larger toward the;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slot 111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the roller 310 is formed in the center roller pin 300 is coupled to contact the fan-shaped rail (200);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400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130 and the roller pin 300, respectively;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상의 반지름이 양단보다 중앙의 반지름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n-shaped rail 200 is an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arc shape is larger than the center of both ends.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의 양단에 걸림턱(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n-shaped rail 200 is an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220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arc.
상기 한 쌍의 회전부(100)의 양측에 구비되고, 모서리부(210)가 상기 수평부(110)의 타측에 고정핀(130)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호형상의 반지름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레일(200);
ㄷ자형 몸체(510)의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122)에 대응되는 돌출가이드(52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11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510)의 일측에 한 쌍의 롤러(530)가 형성되어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홀더(500); 및
상기 고정핀(130)과 홀더(500)에 양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A horizontal portion 110 and a vertical portion 120 are formed, the sliding groove 112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a pair of rotating portion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rotating parts 100, the corner portion 21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being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by the fixing pin 130, the arc-shaped radius at one end A pair of fan-shaped rails 200 formed larger toward the other end;
Protruding guides 520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s 1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shaped body 510 and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10, and a pair of rolle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510. A holder (500) formed to be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an-shaped rail (200); And
An elastic member 400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130 and the holder 500;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탄성 복귀장치는 탄성 조절볼트(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조절볼트(600)는 일측이 상기 홀더(500)의 몸체(510)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4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astic retur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adjustment bolt 600, the elastic adjustment bolt 600, one side is screwed to the body 510 of the holder 500 and the other side is the elastic member 400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otatable.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상의 반지름이 양단보다 중앙의 반지름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n-shaped rail 200 is an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the arc shape is larger than the center of both ends.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은 호형의 양단에 걸림턱(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복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n-shaped rail 200 is an elastic retur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220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arc.
좌판(2100);
상기 좌판(2100)의 후단에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등받이(2200); 및
상기 좌판(2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판(210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2100)의 하면 전단에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100)의 수직부(120)에 하측 방향으로 회전대(140)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대(140)의 하부에 양측으로 적어도 한 쌍의 발고정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
An exercise chair comprising the elastic return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7,
Seat plate 2100;
A backrest 220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 plate 2100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lower supporter 230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2100 to support the seat plate 2100; And,
One side of the fan-shaped rail 200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10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2100, the swivel table 140 extends downward to the vertical portion 120 of the rotating part 100 Is formed, the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ir of foot fixing portion 15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swivel (140).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회전부(100)의 일측에 걸림핀(160)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에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160)에 결합되도록 고정바(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
9. The method of claim 8,
A locking pin 16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100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1000, one side is coupled to the fan-shaped rail 200 by a hinge, and a hook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pin 160.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ar 170 is formed to be coupled to.
상기 운동용 의자(2000)는 상기 등받이(2200)가 상기 좌판(2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2100)의 하면 후단에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부채꼴형 레일(200)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100)의 일측에 상측 방향으로 등받이 프레임(2210)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2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ercise chair 2000 is coupled to the backrest 2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plate 2100, the fan-shaped rail 200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1000 at the rear end of the seat plate 2100 Is coupled, the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frame (2210) is forme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100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backrest (2200).
상기 탄성 복귀장치(1000)의 회전부(100)의 일측에는 고정핀(130)을 중심으로 호형의 걸림판(180)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의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190)가 결합되며, 상기 부채꼴형 레일(200)과 상기 스토퍼(190)에 양단에는 탄성부재(191)가 연결되어, 상기 걸림판(180)은 상기 스토퍼(19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0,
An arc-shaped locking plate 180 is formed around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100 of the elastic return device 1000, and a stopper 190 is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fan-shaped rail 200. ) Is coupled, and the elastic member 19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an-shaped rail 200 and the stopper 190, and the locking plate 18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the stopper 190.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등받이(22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2200)에 수직하도록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팔걸이(2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armrests (4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2200) and foldable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ckrest (2200).
상기 등받이 프레임(22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안전지지대(2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2,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fety support (2500) that is coupled to one side to the back frame (2210) is foldable.
상기 한 쌍의 팔걸이(2400) 및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각각 상기 등받이 프레임(2210)에 회전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팔걸이(2400)와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연결 링크(2600)로 결합되어, 상기 팔걸이(2400)를 90도 회전시 상기 안전지지대(2500)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의자.The method of claim 13,
The pair of armrests 2400 and the safety supporter 25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ackrest frame 2210 by a rotating shaft, and the armrest 2400 and the safety supporter 2500 are coupled by a connection link 2600. , When the armrest 2400 is rotated 90 degrees, the safety support 2500 is an exercis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9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5511A KR20130084738A (en) | 2012-01-18 | 2012-01-18 | Elastic return device and chair for exercis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5511A KR20130084738A (en) | 2012-01-18 | 2012-01-18 | Elastic return device and chair for exercis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4738A true KR20130084738A (en) | 2013-07-26 |
Family
ID=4899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5511A Abandoned KR20130084738A (en) | 2012-01-18 | 2012-01-18 | Elastic return device and chair for exercis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473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21304A (en) * | 2018-11-21 | 2019-04-16 | 郭庭芳 | A kind of abdominal exercise chair |
CN114129965A (en) * | 2021-11-23 | 2022-03-04 | 汤桃发 | Sports is with single sit up training chair |
-
2012
- 2012-01-18 KR KR1020120005511A patent/KR20130084738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21304A (en) * | 2018-11-21 | 2019-04-16 | 郭庭芳 | A kind of abdominal exercise chair |
CN109621304B (en) * | 2018-11-21 | 2020-06-09 | 佛山市顺德区淘奇家具有限公司 | Chair is tempered to belly |
CN114129965A (en) * | 2021-11-23 | 2022-03-04 | 汤桃发 | Sports is with single sit up training chair |
CN114129965B (en) * | 2021-11-23 | 2022-12-09 | 云阳县彭咏梧小学 | Sports is with single sit up training chai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20578B2 (en) |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 |
JP2012523287A (en) | Sliding abdominal exercise device | |
JP2017519609A (en) | Activation platform | |
KR101008489B1 (en) | Kinetic chair | |
KR101281675B1 (en) | Chair with seat board of sliding device | |
KR20130084738A (en) | Elastic return device and chair for exercise having the same | |
US11154139B2 (en) | Fitness stool | |
KR20160112475A (en) | Chair for pelvis training and lumbar posture correction | |
TWM604195U (en) | Automatic rehabilitation massage chair | |
KR20140052148A (en) | Sit-up bench | |
KR101683871B1 (en) | Chair for exercising whole-body | |
KR101540538B1 (en) | Waist exercising apparatus | |
KR101558413B1 (en) | Titing device of chair | |
KR200334046Y1 (en) | Exerciser for legs | |
KR101408910B1 (en) | Chair with leg exercise | |
KR102120008B1 (en) | chair assembly of weight exercise equipment | |
KR101320049B1 (en) | Seat chair capable of adjusting angle | |
WO2021077629A1 (en) | Combined abdominal curl treadmill | |
KR200487923Y1 (en) | Complex fitness equipment | |
KR102294992B1 (en) | Transforming chair | |
KR102290271B1 (en) | Multi-function Chair | |
CN202777616U (en) | Improved structure of fitness equipment | |
JP2014521483A (en) | Elevated reclining exercise chair | |
KR101610054B1 (en) | Complex exercise equipment of swing | |
KR101435599B1 (en) | Apparatus exercise for upside down hang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