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478A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Google Patents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4478A KR20130084478A KR1020120005297A KR20120005297A KR20130084478A KR 20130084478 A KR20130084478 A KR 20130084478A KR 1020120005297 A KR1020120005297 A KR 1020120005297A KR 20120005297 A KR20120005297 A KR 20120005297A KR 20130084478 A KR20130084478 A KR 201300844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ogie
- cylinder
- track
- h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한궤도(12)를 포함하는 궤도프레임(10)에 대차프레임(20)이 탑재되고 상기 대차프레임(20)에서 X자형 링크(30)가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승강되는 답판(40)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20)은 그 길이방향인 전후방향 및 좌우(폭)방향으로 작업지가 경사졌을 때 대차프레임을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적층형상의 제1, 제2대차프레임(21,22)으로 마련하되, 제1대차프레임(21)은 선단힌지(23)를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되면서 승강되게 2절 링크(24)와 제1실린더(25)로 연결되며, 상기 제2대차프레임(21,22)은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게 중앙이 중앙힌지(26)로 연결된 그 양측에 각각 제2실린더(27)를 상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차프레임을 제1, 제2대차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마련하고 이 제1, 제2대차프레임을 궤도프레임의 좌우(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함으로써 대차프레임과 함께 답판을 고소작업대의 전후진방향경사는 물론 좌우(폭)방향의 경사에 대하여 간편하게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gie frame 20 is mounted on the track frame 10 including the endless track 12, and the answer plate 40 is elevated as the X-shaped link 30 is folded or unfolded in the bogie frame 20. In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comprising a, the balance frame 20, the first and second of the stacked shape so as to compensate the balance frame horizontally when the work paper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t is provided as a bogie frame (21, 22), the first bogie frame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ction link (24) and the first cylinder (25) so that the rear end is rotated around the leading hinge (23), The second bogie frames 21 and 22 are respectively connected with the second cylinder 27 up and down on both sides thereof, the center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ral hinge 26 so as to reciprocat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track frame 1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bogie frame into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and arranges the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and length directions of the track frame, thereby suing the plate together with the bogie frame. Inclined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of the workbench can be easily compensated horizontally for the inclination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궤도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대차프레임이 제1, 제2대차프레임으로 마련되고 이 제1, 제2대차프레임이 실린더에 의해 궤도프레임의 폭 및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하여 고소작업대의 전진방향은 물론 그 직각방향인 양측방향의 경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수평으로 보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and more particularly, a bogie frame installed on a track frame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and the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are formed by a cylinder. Provided to ro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lates to an aerial aerial platform that can be easily horizontally compensated for the inclination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erial platform as well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erial platform.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작업이 곤란한 높은 위치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과수의 가지치기, 과실수확 등에 주로 사용한다. 상기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답판에 탑승한 후 상기 답판을 상승시켜 높은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In general, 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used in orchards, houses, etc. are equipment for performing a high position work is difficult to work in a worker standing. These aerial platforms are mainly used for pruning fruit and harvesting fruit. The aerial platform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ans for simply raising and lowering on a vehicle or a vehicle having a moving and stopping means, after the operator boards the answer board to raise the answer board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at a high position Equipment.
이러한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이 마련되되 상기 답판은 좀 더 넓은 작업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부분 중앙의 메인답판에서 양쪽으로 보조답판이 안내 출몰되어 확장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답판은 메인답판에서 모터를 이용한 스크루나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에 의해 연동 출몰되게 마련된 것이었다.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is provided with a reply boarded by the operator, but the answer board is provided to expand the auxiliary answer guides to both sides from the main answer board in the center in order to secure a wider working area. Was provided to be interlocked by a cylinder having a screw or a piston rod using a motor.
상기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차량이나 전용기의 대차에 답판의 승강리프트인 X자형 링크를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로 연결한 것인바, 상기 승강리프트를 이루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작동시켜 출몰시킴으로써 상기 X자형 링크가 중간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히고 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승강리프트 상단의 답판이 상승되고 하강되는 것이었다.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is connected to an X-shaped link, which is a lifting lift of a plate, to a bogie of a vehicle or a dedicated machine with a piston rod of a cylinder. The X-shaped link is intermediate by operating a piston rod of a cylinder forming the lifting lift. Rotation around the hinge of the folds and unfolds, which caused the top plate of the lifting lift to rise and fall.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작업지가 궤도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경사져 있는 경우 지면의 경사도만큼 고소작업대를 이루는 궤도프레임과 대차프레임 및 상기 대차프레임에 승강리프트를 통해 연결된 답판 또한 경사지게 되며, 특히 대부분의 고소작업대는 좌우의 폭 방향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대차 상부의 답판에 탑승한 작업자나 탑재물의 하중분포에 따라 전복우려를 내포하고 있다.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work site is inclin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the track frame and the bogie frame forming the aerial platform as the slope of the ground and the answer plate connected via the lifting lift to the bogie frame also be inclined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aerial platform is relatively narrow in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there is a risk of overturning according to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worker or payload on the upper plate of the bogie.
위에서 제시한 문제점인 고소작업대의 폭 방향으로 전복됨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고소작업대는 대차가 경사지에 놓여있는 상태에서 승강리프트인 X자형 링크와 답판을 수평으로 보상하고 고소작업대의 무한궤도 외측에서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것이어서 지지수단에 의해 구조상 고소작업대가 안정적인 균형을 이루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고소작업대 위의 답판에서 원활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echnology to stably support and prevent the overturn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erial platform, which is the problem described above, most of the aerial platform is to horizontally move the X-shaped link and the answer plate, the lifting lift with the bogie on the slope Compensation and support by means of the support means outside the track of the aerial platform is a stable balance between the aerial platform by the support means, thereby enabling smooth aerial work on the plate on the aerial platform.
상기한 고소작업대는 한글자음의 기역자형상으로 된 지지수단이 차량(혹은 대차)의 프레임에서 단순히 외측방향으로 돌출시켜 지면을 떠받치도록 하여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면에 장해물이 있는 경우 작업위치에 제약이 따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으로 고소작업대 전체를 들어 올려 수평으로 보상하므로 지면상태에 따라서는 안정적인 지지를 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The aerial platform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ans in the shape of Hangul consonants, simply protrude outward from the frame of the vehicle (or truck) to support the ground, so that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working position when there is an obstacle on the ground. Not only can follow, but also to raise the entire aerial platform with the support means to compensate horizontally had a problem that can not achieve a stable support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s.
특히, 상기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궤도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인 좌우측(폭)방향으로 경사진 작업지에서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 궤도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한 경사에 대해서는 능동적인 대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aerial platform can only cope only with the work site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but also active response to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궤도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대차프레임이 제1, 제2대차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마련하고 이 제1, 제2대차프레임을 궤도프레임의 좌우(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함으로써 대차프레임과 함께 답판을 고소작업대의 전후진방향인 전후방의 경사는 물론 좌우(폭)방향의 경사에 대하여 간편하게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closure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the bogie frame installed on the track frame is divided into the first, second bogie frame provided and the first, second By arranging the two bogie frames in the right and left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the plate is easily horizontally inclined along the bogie fram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as well as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aerial platform. To provide an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for compens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궤도프레임 및 제1대차프레임의 선단은 힌지로 연결되고 그 후단은 2절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2절 링크가 실린더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게 마련함으로써 궤도프레임에 대하여 제1대차프레임을 2개의 실린더로 승강시키는 것보다 유동 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회전 승강시켜 수평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한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ront end of the track frame and the first bogie frame is connected by a hinge and the rear end thereof is connected by a two-section link, but the two-section link is provided by the cylinder folded and unfolded by the first bogie frame with respect to the track frame Rather than elevating to two cylinders, it is to provide an aerial aerial platform that can be leveled by rotating and lifting in a stable state without flow.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연동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궤도프레임; 이 궤도프레임에 탑재되는 대차프레임;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되되 각각 2개의 링크가 교차되는 중간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리프트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출몰됨에 따라 접히고 펼쳐지는 X자형 링크; 이 X자형 링크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X자형 링크가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승강되는 답판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은 그 길이방향인 전후방향 및 좌우(폭)방향으로 작업지가 경사졌을 때 대차프레임을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적층형상의 제1, 제2대차프레임으로 마련하되, 제1대차프레임과 궤도프레임의 선단이 선단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1대차프레임과 궤도프레임의 후단부분은 선단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되게 2절 링크로 연결되고 상기 2절 링크가 접히고 펼쳐지게 그 중간부분과 대차프레임을 제1실린더로 연결하며, 상기 제1, 제2대차프레임은 궤도프레임의 좌우(폭)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게 그 선단부분과 후단의 중앙이 중앙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힌지의 양측에 각각 제2실린더를 상하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ck frame including an endless track that is linked by the actuator; A bogie frame mounted on the track frame; An X-shaped link installed in the bogie frame but folded and unfolded as the piston rod of the lift cylinder emerges around the intermediate hinge where two links intersect each other; In 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comprising a step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X-shaped link is raised or raised as the X-shaped link is folded or unfolded, the bogie frame is the work pl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When the slope is inclined to provide a horizontally compensated first and second bogie frame in a stacked shape, the first bogie frame and the end of the track frame is connected by a front hinge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bogie frame and the track frame The part is connected by a two-section link to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rotated about the tip hinge, and the middle section and the bogie frame ar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so that the two-section link is folded and unfolded, and the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are track frames. The front end and the center of the rear end are connected by a central hinge so as to reciprocally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at the featur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궤도프레임의 외측선단과 후단부분에는 각각의 프레임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승강되게 회전 암이 연장되고 상기 회전 암의 끝단에 궤도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할 수 있게 지지대가 연결되되 상기 회전 암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암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와 궤도프레임에 각각 제3실린더가 연결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arm and the rear end of the track frame extends the rotary arm to rotate ascending around each frame hinge and is sup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at the end of the rotary arm The suppor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 third cylind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track fram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rotating arm so as to rotate the rotating arm.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제3실린더의 동작회전 각도를 최소화하여 궤도프레임 및 무한궤도에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 암은 하부로 구부러진 굴절형상(하부로 구부러진 호형)으로 마련되고 제3실린더는 선단부분에 실린더힌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rm is provided in a refracted shape bent downward (arc bent downward) to minimize the rotation angle of the third cylind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ck frame and the endless track and the third cylinder The cylinder hi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portion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궤도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대차프레임이 제1, 제2대차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마련하고 이 제1, 제2대차프레임을 궤도프레임의 좌우(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함으로써 대차프레임과 함께 답판을 고소작업대의 전후진방향인 전후방의 경사는 물론 좌우(폭)방향의 경사에 대하여 간편하게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gie frame installed on the track frame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bogie frame and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bogie fram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By providing so that the answer plate together with the bogie frame can be easily compensated horizontally for the inclination of the right and left (width) direction as well as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erial platform.
또한, 본 발명은 궤도프레임 및 제1대차프레임의 선단은 힌지로 연결되고 그 후단은 2절 링크로 연결되되 상기 2절 링크가 실린더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게 마련함으로써 궤도프레임에 대하여 제1대차프레임을 2개의 실린더로 승강시키는 것보다 유동 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회전 승강시켜 수평으로 맞출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track frame and the first bogie frame are connected by a hinge and the rear end thereof is connected by a two-section link, but the two-section link is folded and unfolded by a cylinder to provide a first bogie frame with respect to the track frame. Rather than elevating with two cylinders, it has a useful effect of being able to rotate horizontally by raising and lowering in a stable state without f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답판을 상승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대에서 요부인 대차프레임 부분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좌우측(폭)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3에서 궤도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졌을 때 제1대차프레임이 상승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궤도프레임의 좌우(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졌을 때 제2대차프레임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대에서 궤도프레임의 길이방향 및 좌우(폭)방향에 대하여 모두 경사졌을 때 제1, 제2대차프레임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erial aerial platform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ising plate in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nly the portion of the bogie frame that is the main part in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uni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in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gie frame is rotated upward whe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gie frame is rotated when 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track frame in FIG. 4.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gie frame is rotated when both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track frame in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농업 고소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대에서 요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1 to 3 is a view showing 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8 are views shown to explain the main part in 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각각의 액추에이터(16)에 의해 연동되는 무한궤도(12)를 포함하는 궤도프레임(10)과, 이 궤도프레임(10)에 탑재되는 대차프레임(20)과, 이 대차프레임(20)에 설치되되 리프트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가 출몰됨에 따라 중간힌지(33)를 중심으로 하여 접히고 펼쳐지는 X자형 링크(30)와, 상기 X자형 링크(30)의 끝단에 설치되어 X자형 링크(30)가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상승되고 하강되는 답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궤도프레임(10)에는 그 전방에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압장치 및 액추에이터(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6)는 구동원인 유압장치나 엔진 등을 고려하여 무한궤도(1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모터나 트랜스미션 등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대차프레임(20)은 그 길이방향인 전후방향 및 좌우(폭)방향으로 작업지가 경사졌을 때 대차프레임(20)을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적층형상의 제1, 제2대차프레임(21,22)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대차프레임(21)과 궤도프레임(10)의 선단이 선단힌지(23)로 연결되고 상기 제1대차프레임(21)과 궤도프레임(10)의 후단부분은 선단힌지(2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되게 2절 링크(24)로 연결되고 상기 2절 링크(24)가 접히고 펼쳐지게 그 중간부분과 제1대차프레임(21)을 제1실린더(25)로 연결되어 있다. The
상기 2절 링크(24)는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으로 길게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2절 링크(24)가 궤도프레임(10)과 제1대차프레임(21)의 전폭에 걸쳐 지지되므로 구조적인 좌우지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유동(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two-
상기 제1, 제2대차프레임(21,22)은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게 그 선단부분과 후단의 중앙이 중앙힌지(26)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힌지(26)의 양측에 각각 제2실린더(27)가 상하로 연결되어 있다. The first and
상기 X자형 링크(30)는 제2대차프레임(22)의 선단엔 하부선단이, 답판(40)엔 상부선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가 출몰됨에 따라 X자형 링크(30)의 중간힌지(33)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후단이 답판(40)과 제2대차프레임(2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면서 접히고 펴지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X자형 링크(30)가 리프트실린더(32)에 의해 접히고 펴짐으로 인하여 X자형 링크(30)의 상단에 설치된 답판(40)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게 된다.The X-shaped
상기 답판(40)은 X자형 링크(3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상면이 평탄한 사각형으로 마련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42)이 마련된 것이면 충분하다.The
또한 상기 답판(40)의 선단에는 궤도프레임(10)의 액추에이터(16)와 궤도프레임(10)의 엔진, 유압장치 등을 제어하고 제1 내지 제3실린더(25, 27, 56) 및 리프트실린더(3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45)가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상기 답판(40)은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메인답판과, 이 메인답판에서 한쪽 또는 양쪽으로 출몰되는 보조답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The
상기 궤도프레임(10) 양측의 외측선단과 후단부분에는 각각의 프레임힌지(5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승강되게 회전 암(52)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 암(52)의 끝단에 궤도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5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암(5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암(52)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55)와 궤도프레임(10)에 각각 제3실린더(56)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The outer arm and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상기 제3실린더(56)는 그 동작회전 각도를 최소화하여 궤도프레임(10)와 무한궤도(12)에 방해하지 않도록, 피스톤로드가 출몰되는 제3실린더(56)의 선단부분을 실린더힌지(57)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 암(52)은 하부로 구부러진 굴절형상으로 마련하여 그 상단부분을 제3실린더(56)의 피스톤로드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암(52)은 하부로 구부러진 호형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The
위와 같이 상기 지지대(54)가 궤도프레임(10) 양쪽의 무한궤도(12) 외측에서 넓게 지지하기 때문에 대차프레임(20) 및 답판(4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다시 말해서, 상기 궤도프레임(10)에 대하여 제2대차프레임(22)이 제2실린더(27)를 통해 제2대차프레임(22)이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인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보상이 이루어졌을 때 무한궤도(12) 및 지지대(54)가 지면을 확실하고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므로 대차프레임(20) 및 답판(4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ith respect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Let us look at the process of using the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대차프레임(22) 위의 X자형 링크(30)가 접혀 가장 낮은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답판(40) 위에 작업자가 탑승하고, 상기 답판(40) 선단의 컨트롤러(45)를 조작하여 궤도프레임(10)의 액추에이터(16)를 가동시키면 이 액추에이터(16)에 의해 무한궤도(12)가 연동됨으로써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위치까지 이동한 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궤도프레임(10)에서 제3실린더(56)에 의해 연결된 회전 암(52)은 상부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 즉 상기 회전 암(52) 끝단의 지지대(54)는 궤도프레임(10)의 무한궤도(12) 외측상부로 세워져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In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operator rides on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를 작업위치까지 이동한 후 답판(40)상의 컨트롤러(45)를 조작하여 2개의 제3실린더(56)를 작동시키되, 작업위치의 지면이 평지라면 도 2와 같이 상기 제3실린더(56)의 피스톤로드를 동시에 동일하게 신장시키면 궤도프레임(10)측의 프레임힌지(51)를 통해 연결된 회전 암(52)이 하부로 회전되게 된다.After moving the aerial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ork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o operate the two
이렇게 회전 암(52)이 하부로 회전되게 되면 그 끝단의 지지대(54) 또한 회전 암(52)과 함께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 암(52) 끝단의 지지대(54)가 작업지의 지면을 눌러 안정적으로 떠받칠 때까지 하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회전 암(52)이 하강 회전되면 그 끝단의 지지대(54)는 고소작업대의 폭보다 넓은 상태, 즉 궤도프레임(10)의 무한궤도(12) 외측에서 떠받치므로 더욱 안정적인 고소작업대의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궤도프레임(10)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회전 암(52) 끝단의 지지대(54)를 하강 회전시켜 작업지의 지면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컨트롤러(45)를 조작하여 X자형 링크(30)에 설치된 리프트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게 작동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렇게 리프트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게 되면 도 3과 같이 상기 X자형 링크(30)가 펼쳐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X자형 링크(3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된 답판(40)은 소정높이까지 상승되게 된다. 이때, 상기 X자형 링크(30)의 상하끝단은 오므라들게 되는데, 제2대차프레임(22)엔 하부선단이, 답판(40)엔 상부선단이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X자형 링크(30)의 상하후단이 답판(40)과 제2대차프레임(22)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면서 오므라들게 된다.When the piston rod of the
이렇게 답판(40)이 소정높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답판(40) 위에 탑승한 작업자가 소정의 고소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답판(40)에 탑승하여 작업하는 작업자는 궤도프레임(10)의 무한궤도(12) 양쪽에서 지지대(54)가 넓게 배치되어 고소작업대를 안정적인 구조로 지지하기 때문에 불안감 없이 편안하게 소정의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operator boarded on the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지가 궤도프레임(10)의 길이방향인 전후진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고소작업대의 전방이 후방보다 높으면 도 7과 같이 제2실린더(27)를 작동시켜 그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도록 하면 제1대차프레임(21)의 선단힌지(23)를 중심으로 하여 제2대차프레임(22)과 함께 상부로 회전되어 그 후단이 높아지므로 답판(40)을 수평으로 맞출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고소작업대의 전방이 후방보다 낮으면 제2실린더(27)를 작동시켜 그 피스톤로드가 짧아지도록 하면 제1대차프레임(21)의 선단힌지(23)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로 회전되어 그 후단이 낮아지므로 답판(40)을 수평으로 맞출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work sheet to be worked using the aerial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위와 같이 고소작업을 완료한 후, 인근고소작업지로 고소작업대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답판(40)선단의 컨트롤러(45)를 조작하여 궤도프레임(10)측의 제3실린더(56)을 작동시키되 제3실린더(56)의 피스톤로드가 짧아지게 하면 회전 암(52)과 함께 지지대(54)가 상부로 회전되어 들어 올리어지고, 이후에 액추에이터(16)를 작동시켜 궤도프레임(10)의 무한궤도(12)를 연동시킴으로써 인근고소작업지로 고소작업대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completing the aerial work as described above, to move the aerial platform to the nearby aerial work site to operate the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대차프레임(21,22)을 동작시켜 답판(40)이 수평으로 보상된 상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회전 암(52)과 지지대(54)만을 들어 올린 후 간편하게 인근작업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21 and 22 are operated to lift only the
또한, 고소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지가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인 좌우방향으로 경사져있는 경우에는 답판(40) 상의 컨트롤러(45)를 조작하여 낮은 측의 제2실린더(27)를 작동시키되, 도 8과 같이 상기 제2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면 제1 및 제2대차프레임(21,22)의 중앙힌지(26)를 중심으로 하여 제2대차프레임(22)이 회전되어 상승되게 되며 이렇게 제2대차프레임(22)의 낮은 측이 상승 회전되어 수평으로 보상되면 정지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work sheet to which the aerial work is to be incli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ch is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제2대차프레임(22)을 수평으로 보상하면 답판(40)에 탑승한 작업자 또한 수평으로 되며 이후에 평지와 마찬가지로 답판(40)상의 컨트롤러(45)를 조작하여 2개의 제3실린더(56)를 작동시키되 상기 제3실린더(56)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켜 궤도프레임(10)에 프레임힌지(51)를 통해 연결된 회전 암(52)이 하부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암(52) 끝단의 지지대(54)가 작업위치의 지면에 닿아서 지지할 때까지 조작한다. As such, when the
이때, 또한 상기 지지대(54)가 궤도프레임(10) 양쪽의 무한궤도(12) 외측에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위치, 즉 넓은 폭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대차프레임(20) 및 답판(4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작업지가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인 좌우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하더라도 좌우양쪽의 무한궤도(12) 및 지지대(54)가 지면을 확실하고도 안정적인 지지를 꾀할 수 있어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에 대하여 수평으로 보상된 대차프레임(20) 및 답판(4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고소작업대의 답판(40)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가 불안감 없이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Agricultural aerial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ork site is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고소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지가 궤도프레임(10)의 길이방향인 전후진방향 및 좌우(폭)방향인 좌우방향에 대하여 복합적으로 경사져있는 경우,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실린더(25,27)를 동작시켜 제1 및 제2대차프레임(21,22)이 동작되되 최종적으로 제2대차프레임(22)과 그 위에 X자형 링크(30)를 통해 탑재된 답판(40)이 수평으로 보상되도록 하면 된다. And the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 site to perform the aerial work is inclined in combination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렇게 답판(40)이 수평으로 보상되면 작업지가 수평인 것과 같아지므로 고소작업대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며 이로 인하여 답판(40)에 탑승한 작업자가 불안감 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us, 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과수의 가지치기, 과실수확 등을 위한 과수원이나 하우스에서의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인바 고소작업대의 대차프레임이나 답판을 보상하여 수평으로 맞추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Agricultural aerial work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platform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in the orchard or house for fruit pruning, fruit harvesting, etc. Compensation of the frame of the aerial platform or the plate to the horizontally and stably supported in the field It is useful.
10: 궤도프레임 12: 무한궤도 14: 엔진
16: 액추에이터 20: 대차프레임 21: 제1대차프레임
22: 제2대차프레임 23: 선단힌지 25: 제1실린더
26: 중앙힌지 27: 제2실린더 30: X자형 링크
32: 리프트실린더 33: 중간힌지 40: 답판
42: 난간 45: 컨트롤러 51: 프레임힌지
52: 회전 암 54: 지지대 56: 제3실린더
57: 실린더힌지10: track frame 12: caterpillar 14: engine
16: Actuator 20: Balance frame 21: First bogie frame
22: 2nd bogie frame 23: tip hinge 25: 1st cylinder
26: center hinge 27: 2nd cylinder 30: X-shaped link
32: lift cylinder 33: intermediate hinge 40: reply
42: railing 45: controller 51: frame hinge
52: rotary arm 54: support 56: third cylinder
57: cylinder hinge
Claims (3)
상기 대차프레임(20)은 그 길이방향인 전후방향 및 좌우(폭)방향으로 작업지가 경사졌을 때 대차프레임을 수평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적층형상의 제1, 제2대차프레임(21,22)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대차프레임(21)과 궤도프레임(10)의 선단이 선단힌지(23)로 연결되고 상기 제1대차프레임(21)과 궤도프레임(10)의 후단부분은 선단힌지(2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되게 2절 링크(24)로 연결되고 상기 2절 링크(24)가 접히고 펼쳐지게 그 중간부분과 대차프레임(20)을 제1실린더(25)로 연결하며, 상기 제1, 제2대차프레임(21,22)은 궤도프레임(10)의 좌우(폭)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게 그 선단부분과 후단의 중앙이 중앙힌지(26)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힌지(26)의 양측에 각각 제2실린더(27)를 상하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An orbital frame 10 including an endless track 12 interlocked by an actuator 16; A bogie frame 20 mounted on the orbital frame 10; An X-shaped link (30) installed in the bogie frame (20), which is folded and unfolded as the piston rod of the lift cylinder (32) is centered around an intermediate hinge (33) at which two links cross each other; In the aerial work platform for agriculture comprising a step plate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X-shaped link 30, the X-shaped link 30 is elevated as the folding or unfolding,
The bogie frame 20 is provided as a first and second bogie frames 21 and 22 in a stacked shape so that the bogie frame can be horizontally compensated when the work paper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gie frame 21 and the track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front hinge 23,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bogie frame 21 and the track frame 10 is the front hinge 23. Rotates around and is connected to the section 2 link 24 to be elevated and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and the bogie frame 20 to the first cylinder 25 so that the section 2 link 24 is folded and unfolded, the first cylinder The second bogie frames 21 and 22 are reciprocally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track frame 10 so th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hinge 26 and both sides of the central hinge 26.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ylinder (27)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상기 궤도프레임(10)양측의 외측선단과 후단부분에는 각각의 프레임힌지(5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승강되게 회전 암(52)이 연장되고 상기 회전 암(52)의 끝단에 궤도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할 수 있게 지지대(5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암(5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암(52)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55)와 궤도프레임(10)에 각각 제3실린더(56)가 연결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arm and the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track frame 10 extend around the respective frame hinges 51 so that the rotary arm 52 extends and the track frame 10 extends to the end of the rotary arm 52. Support 54 is connected to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55 and the track frame 10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rotary arm 52 to rotate the rotary arm 52 A third aerial cylinder 56 is connected to the aerial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상기 제3실린더(56)의 동작회전 각도를 최소화하여 궤도프레임(10) 및 무한궤도(12)에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 암(52)은 하부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3실린더(56)는 선단부분에 실린더힌지(57)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arm 52 is bent downwardly and the third cylinder 56 is distal to minimize the operating rotation angle of the third cylinder 56 so as not to disturb the track frame 10 and the endless track 12. Agricultural aerial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er hinge 57 is provided in th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5297A KR20130084478A (en) | 2012-01-17 | 2012-01-17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5297A KR20130084478A (en) | 2012-01-17 | 2012-01-17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4478A true KR20130084478A (en) | 2013-07-25 |
Family
ID=4899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5297A Ceased KR20130084478A (en) | 2012-01-17 | 2012-01-17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4478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277B1 (en) * | 2013-12-17 | 2014-05-16 | (주)한성티앤아이 | A device for keeping horizontal level of platform |
KR101489946B1 (en) * | 2013-09-26 | 2015-02-04 | (주) 대동이엔지 | the safety work table for excavator |
KR102267216B1 (en) * | 2019-12-16 | 2021-06-21 | (주) 세웅 | Engine Type High Place Working Vehicles |
CN113967898A (en) * | 2020-07-22 | 2022-01-25 | Hephaist株式会社 | Positioning unit and positioning table |
KR102448328B1 (en) * | 2021-04-27 | 2022-09-28 | (주) 세웅 | Power unit for engine-type aerial work vehicle |
-
2012
- 2012-01-17 KR KR1020120005297A patent/KR2013008447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9946B1 (en) * | 2013-09-26 | 2015-02-04 | (주) 대동이엔지 | the safety work table for excavator |
KR101395277B1 (en) * | 2013-12-17 | 2014-05-16 | (주)한성티앤아이 | A device for keeping horizontal level of platform |
KR102267216B1 (en) * | 2019-12-16 | 2021-06-21 | (주) 세웅 | Engine Type High Place Working Vehicles |
CN113967898A (en) * | 2020-07-22 | 2022-01-25 | Hephaist株式会社 | Positioning unit and positioning table |
CN113967898B (en) * | 2020-07-22 | 2024-05-03 | Hephaist株式会社 | Positioning unit and positioning workbench |
KR102448328B1 (en) * | 2021-04-27 | 2022-09-28 | (주) 세웅 | Power unit for engine-type aerial work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8221B1 (en) | Agricultural aerial platforms | |
US8267222B2 (en) | Compact scissors lift | |
KR101123630B1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al machinery | |
KR20130096559A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
KR100989822B1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
US7004286B2 (en) |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 |
RU2711828C2 (en) | Levelling group for aerial platform | |
KR101923680B1 (en) | Work vehicle for fruit tree cultivation | |
CN1070127C (en) | Low profile self 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 |
KR101459637B1 (en) | foothold extension device of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al machinery | |
KR20120104864A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
KR101248639B1 (en) | Level balanced platform lifting utility | |
KR20130084478A (en) |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 |
US3999491A (en) | Elevationally adjustable folding stage | |
CN104528609A (en) | Bridge type operation platform | |
KR101635168B1 (en) | Tilt-adjustable lifting device | |
CA2702129C (en) | Compact scissors lift | |
CN104512843A (en) | Working platform of bridge type working platform | |
CN103848376A (en) | High-lift working platform | |
KR101811173B1 (en) | Low floor boardable high place operation car | |
KR20080093514A (en) | Height Adjustable Work Platform | |
KR101823592B1 (en) | High-place work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 |
CN204588640U (en) | Bridge-type job platform | |
KR200479291Y1 (en) | High-Rise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al Work Capable of Adjusting Turning Range of Boom | |
CN204454480U (en) | The workplatform of bridge-type job platfo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