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84091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091A
KR20130084091A KR1020120004838A KR20120004838A KR20130084091A KR 20130084091 A KR20130084091 A KR 20130084091A KR 1020120004838 A KR1020120004838 A KR 1020120004838A KR 20120004838 A KR20120004838 A KR 20120004838A KR 20130084091 A KR20130084091 A KR 20130084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unit
heat
air
charg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권
윤환진
성정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4091A/ko
Priority to US13/740,336 priority patent/US9042765B2/en
Publication of KR2013008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09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매체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장치와, 현상유닛과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히트 플레이트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착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히트 플레이트에 흡수되므로 현상유닛으로의 열전달은 억제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매체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과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를 통해 현상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현상유닛과, 현상유닛에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현상유닛의 감광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와,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과 정착장치는 내부 구조상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장치는 열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착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현상유닛에 전달될 경우 현상유닛 내에 포함된 현상제가 변질될 수 있다.
또한 현상유닛은 코로나 방전을 통해 감광체를 대전시키기 대전장치를 포함하는데, 대전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불가피하게 오존이나 질소 산화물 등과 같은 방전 생성물이 발생하며, 이러한 방전 생성물에 의해 대전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감광체가 오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정착장치에서 발생한 열의 현상장치로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장치와, 현상유닛과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히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히트 플레이트는 현상유닛과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와, 차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히트 플레이트는 차폐부와 방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방열부가 공기와 접촉하며 냉각되도록 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현상유닛과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현상유닛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와, 흡입덕트와 송풍팬을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본체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방열부는 흡입덕트에 배치되어 흡입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현상유닛은 감광체와,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장치를 포함하며, 송풍장치는 대전장치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을 흡입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흡입덕트는 대전장치와 대응하도록 마련된 흡입구를 포함하며, 현상유닛은 흡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현상하우징을 포함하며, 대전장치는 현상 하우징의 배출구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대전장치는 일측면이 감광체와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타측면과 이격 배치되며 핀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차폐부는 정착장치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흡열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방열부는 흡입덕트의 내부 유로 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방열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현상유닛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현상유닛은 감광체와,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장치를 포함하며, 송풍장치는 대전장치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을 흡입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장치와 현상유닛 사이에 배치된 히트 플레이트에 의해 정착장치측에서 현상유닛측으로 전달된 열이 흡수되므로, 정착장치에서 발생한 열의 현상유닛으로의 전달은 억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장치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은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되어 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걸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 정착장치 및 송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 및 송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 및 송풍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과,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통해 컬러에 따라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유닛(30)과, 대전된 현상유닛(30)의 감광체(31)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인쇄매체 공급유닛(20)으로부터 인쇄매체를 전달받아 현상유닛(30)의 감광체(3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50)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60)를 포함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쇄매체 카세트(21)와, 인쇄매체 카세트(21)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들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와, 녹업플레이트(2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두 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인쇄매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상유닛(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광유닛(4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32)와, 감광체(3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장치(33)와, 현상유닛(30)의 외관을 형성하며 감광체(31), 현상롤러(32) 및 대전장치(33) 등의 구성이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 하우징(34)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전장치(33)는 일측면이 감광체(31)와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며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33a)과, 제 1 전극(33a)의 타측면에 대향되도록 이격 배치되며 핀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전극(33b)으로 이루어져, 제 1 전극(33a)과 제 2 전극(33b)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함에 따라 감광체(31)의 표면이 일정 전위로 대전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노광유닛(40)은 화상 정보가 포함된 광을 현상유닛(30)에 마련된 감광체(31)에 조사하여 감광체(3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3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51)를 포함한다.
정착장치(60)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6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매체를 가열롤러(6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닛(30)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현상유닛(30)의 대전장치(33)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이나 질소산화물과 같은 방전 생성물을 공기와 함께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며 거르는 송풍장치(70)를 포함한다.
송풍장치(7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며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송풍팬(71)과, 현상유닛(30)과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대전장치(33)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며 내부에 공기 안내를 위한 유로가 마련된 흡입덕트(72)와, 일단은 흡입덕트(7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풍팬(71)에 연결되어 흡입덕트(72)로 흡입된 방전 생성물 및 공기를 송풍팬(71)으로 안내하는 연결덕트(73)와, 송풍팬(71)에서 토출된 방전 생성물 및 공기의 본체(10) 외부로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덕트(74)와, 토출덕트(74)의 끝단에 배치되어 방전 생성물을 거르는 필터(75)를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덕트(72)에는 대전장치(33)와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구(72a)가 마련되고, 현상 하우징(34)에는 흡입구(72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방전 생성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4a)가 마련된다. 현상 하우징(34)의 배출구(34a) 내측에는 상술한 대전장치(33)가 배치된다. 또한 흡입덕트(72)에는 연결덕트(73)가 연결되는 연통공(72b)과, 노광유닛(40)에서 조사된 광이 흡입덕트(72)를 통과하여 현상유닛(30)의 감광체(3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72c)이 마련된다.
따라서 대전장치(33)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와 함께 배출구(34a) 및 흡입구(72a)를 통해 흡입덕트(72) 내로 흡입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덕트(72)를 따라 이동하여 연통공(72b)에 연결된 연결덕트(73)로 전달되고, 연결덕트(73)를 통해 송풍팬(71)으로 흡입되었다가 토출덕트(7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토출덕트(74)의 끝단에 배치된 필터(75)에 의해 걸러진다.
본체(10)는 그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지구(10a, 10b)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 내에는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1)와,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이송롤러(12)들과, 정착장치(60)의 상측에 배치되며 배지구(10a, 10b) 인접부에 배치되어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인쇄매체가 배지구(10a, 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지롤러(13)이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닛(30)과 정착장치(60) 사이에 배치되어 정착장치(60)에서 발생한 열의 현상유닛(30)측으로의 전달을 억제하는 히트 플레이트(80)를 포함한다. 히트 플레이트(80)는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현상유닛(30)의 상면과 정착장치(60)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정착장치(60)에서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열이 현상유닛(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차폐부(81)와, 차폐부(8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는 방열부(82)와, 경사지게 연장되어 차폐부(81)와 방열부(82)를 연결하는 연결부(8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트 플레이트(80)의 방열부(82)는 보다 빠르게 방열될 수 있도록 흡입덕트(72) 내에 배치되어 흡입덕트(72)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도록 되어 있다. 즉, 송풍장치(70)는 대전장치(33)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을 본체(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히트 플레이트(80)를 냉각시켜 정착장치(60)에서 발생한 열이 현상유닛(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착장치(60)에서 현상유닛(30)측으로 열이 전달되더라도 이러한 열의 상당 부분은 히트 플레이트(80)의 차폐부(81)로 흡수되며, 차폐부(81)에서 연결부(83)를 통해 흡입덕트(72) 내에 배치된 방열부(82)로 전달된 후, 방열부(82)에서 흡입덕트(72)를 통과하는 공기에 흡수되어 공기와 함께 연결덕트(73), 송풍팬(71) 및 토출덕트(74)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정착장치(60)에서 발생한 열이 현상유닛(30)으로 전달되는 것은 히트 플레이트(80)에 의해 억제되며, 그에 따라 현상유닛(30)은 일정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어 현상유닛(30) 내의 현상제 변질은 예방된다.
히트 플레이트(80)는 차폐부(81)에는 열교환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차폐부(81)로부터 정착장치(60)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되어 정착장치(60)로부터 열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흡열돌기(81a)가 형성되며, 방열부(82)에는 열교환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방열부(82)로부터 흡입덕트(72) 내부의 유로 상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방열부(82)가 용이하게 흡입덕트(72)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도록 하는 복수의 방열돌기(82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상 차폐부(81)와 방열부(82) 사이에 연결부(83)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폐부(81)와 방열부(82)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30: 현상유닛
31: 감광체 33: 대전장치
34: 현상 하우징 34a: 배출구
60: 정착장치 70: 송풍장치
71: 송풍팬 72: 흡입덕트
73: 연결덕트 74: 배출덕트
75: 필터 80: 히트 플레이트
81: 차폐부 82: 방열부
83: 연결부

Claims (15)

  1. 인쇄매체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히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플레이트는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플레이트는 상기 차폐부와 상기 방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가 공기와 접촉하며 냉각되도록 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상기 현상유닛과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현상유닛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덕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흡입덕트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대전장치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을 흡입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대전장치와 대응하도록 마련된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현상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장치는 상기 현상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 내측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장치는 일측면이 상기 감광체와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타측면과 이격 배치되며 핀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정착장치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흡열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흡입덕트의 내부 유로 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방열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대전장치에서 발생한 방전 생성물을 흡입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상기 대전장치와 대응하는 흡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대전장치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본체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흡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장치는 상기 현상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 내측에 배치되는 현상 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장치는 일측면이 상기 감광체와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타측면과 이격 배치되며 핀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장치와,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히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트 플레이트는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정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며 냉각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20004838A 2012-01-16 2012-01-16 화상형성장치 Ceased KR20130084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838A KR20130084091A (ko) 2012-01-16 2012-01-16 화상형성장치
US13/740,336 US9042765B2 (en) 2012-01-16 2013-01-14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heat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838A KR20130084091A (ko) 2012-01-16 2012-01-16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091A true KR20130084091A (ko) 2013-07-24

Family

ID=4878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838A Ceased KR20130084091A (ko) 2012-01-16 2012-01-16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42765B2 (ko)
KR (1) KR201300840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3494A (ja) * 2017-03-31 2018-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7553B2 (ja) * 2014-07-28 2017-10-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61665B2 (ja) * 2015-08-04 2019-08-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外付け排気フィルター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47515B2 (ja) * 2015-08-19 2019-07-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78750A (ja) * 2015-10-19 2017-04-27 株式会社リコー 作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792812B2 (ja) * 2016-06-21 2020-1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7362392B2 (ja) * 2019-09-26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921B2 (en) 1996-07-29 2003-06-24 Nanosphere, Inc. Nanoparticles having oligonucleotides attached thereto and uses thereof
US6548264B1 (en) 2000-05-17 2003-04-15 University Of Florida Coated nanoparticles
US20030113714A1 (en) 2001-09-28 2003-06-19 Belcher Angela M. Biological control of nanoparticles
JP4542729B2 (ja) * 2001-09-17 2010-09-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A2482611A1 (en) 2002-04-22 2003-10-30 University Of Florida Functionalized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use
JP2004093708A (ja) * 2002-08-30 2004-03-2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20040101822A1 (en) 2002-11-26 2004-05-27 Ulrich Wiesner Fluorescent silica-based nanoparticles
US20050058603A1 (en) 2003-05-02 2005-03-17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rug delivery system based on polymer nanoshells
US7723311B2 (en) 2003-06-18 2010-05-25 Nanobiomagnetics, Inc. Delivery of bioactive substances to target cells
CN1864068B (zh) 2003-08-18 2010-10-13 特提斯生物科学公司 用小表位抗体降低样品复杂度的方法
JP2005077478A (ja) * 2003-08-28 2005-03-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50090732A1 (en) 2003-10-28 2005-04-28 Triton Biosystems, Inc. Therapy via targeted delivery of nanoscale particles
US7744644B2 (en) 2004-03-19 2010-06-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articles having regions with polyelectrolyte multilayer coatings for regulating drug release
US20080206150A1 (en) 2004-06-25 2008-08-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particles for Imaging Atherosclerotic Plaque
US20070249063A1 (en) 2004-08-30 2007-10-25 Deshong Philip R Biosensors
WO2006050257A2 (en) 2004-10-29 2006-05-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chnology Detection of ion channel or receptor activity
US20060293396A1 (en) 2005-01-14 2006-12-28 Eastman Kodak Company Amine polymer-modified nanoparticulate carriers
WO2006080895A1 (en) 2005-01-20 2006-08-03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Water-soluble, surface-functionalized nanoparticle for bioconjugation via universal silane coupling
US20060204435A1 (en) 2005-03-07 2006-09-14 Stuart Elizabeth S Detection, imaging, and depletion of intracellular pathogens
CA2600370A1 (en) 2005-03-14 2006-09-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ioactive fus1 peptides and nanoparticle-polypeptide complexes
AU2006249323B2 (en) 2005-05-27 2012-08-30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itric oxide-releasing particles for nitric oxide therapeutics and biomedical applications
US20090169478A1 (en) 2005-08-09 2009-07-02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In Vivo Imaging and Therapy with Magnetic Nanoparticle Conjugates
US20070264199A1 (en) 2005-09-26 2007-11-15 Labhasetwar Vinod D Magnetic nanoparticle composi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0793953B1 (ko) 2005-11-18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WO2007067733A2 (en) 2005-12-09 2007-06-1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ositions and methods to monitor rna delivery to cells
WO2008005479A2 (en) 2006-07-06 2008-01-10 University Of Wyoming Charge reversible polymers
EP2004237A1 (en) 2006-04-03 2008-12-24 Keele University Targeted therapy
EP1876188A1 (en) 2006-07-04 2008-01-09 NanoDel Technologies GmbH Two step miniemulsion process
WO2008024435A2 (en) 2006-08-23 2008-02-28 Vanderbilt University Dendritic molecular intracellular transport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337809B2 (en) 2006-09-11 2012-12-25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Charge-assembled capsules for phototherapy
WO2008127290A2 (en) 2006-10-12 2008-10-2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lginate and alginate lyas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80124281A1 (en) 2006-11-29 2008-05-2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Nanotubular probes as ultrasensitive mr contrast agent
AU2007333225B2 (en) 2006-12-08 2014-06-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livery of nanoparticles and/or agents to cells
JP2010516705A (ja) 2007-01-19 2010-05-20 トリトン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ク. 温熱療法におけるサセプタとその使用法
EP3574925A1 (en) 2007-11-05 2019-12-04 Vanderbilt University Multifunctional degradable nanoparticles with control over size and functionalities
WO2009097439A1 (en) 2008-01-29 2009-08-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devices having valves for controlled release of molecules
CN102105175A (zh) 2008-05-27 2011-06-22 香港中文大学 纳米颗粒、制备纳米颗粒和使用纳米颗粒进行细胞标记的方法
US8722017B2 (en) 2008-07-10 2014-05-1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Fluorescent magnetic nanoprobe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JP5534873B2 (ja) * 2010-03-09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3494A (ja) * 2017-03-31 2018-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3060A1 (en) 2013-07-18
US9042765B2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4091A (ko) 화상형성장치
CN100533295C (zh) 成像装置
CN100445898C (zh) 成像设备
US1119981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1033375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92022B2 (ja) 画像形成装置
EP247233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Member to Guide Air
JP6702705B2 (ja) 画像形成装置
JP5520925B2 (ja) 画像形成装置
CN103324074A (zh) 图像形成装置
JP2013184438A (ja) 画像形成装置
CN100524059C (zh) 图像形成装置
US93232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22310A (ja)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63877B2 (ja) 画像形成装置
US116690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reduce emission amounts
JP6540342B2 (ja) 画像形成装置
JP554637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66429A (ja) 画像形成装置
CN102540846B (zh) 具有引导空气的导向构件的成像设备
JP60976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64748A (ja) 画像形成装置
JP4791764B2 (ja) 画像形成機における冷却装置
CN103324076A (zh) 图像形成装置
JP200616333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吸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