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83141A -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 Google Patents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141A
KR20130083141A KR1020120003709A KR20120003709A KR20130083141A KR 20130083141 A KR20130083141 A KR 20130083141A KR 1020120003709 A KR1020120003709 A KR 1020120003709A KR 20120003709 A KR20120003709 A KR 20120003709A KR 20130083141 A KR20130083141 A KR 20130083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rk
weight
center
hoi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만열
Original Assignee
류만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만열 filed Critical 류만열
Priority to KR102012000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141A/en
Publication of KR2013008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4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지게차 포크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서 호이스트와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송시킬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연결위치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게중심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서 중량물이 안착된 파레트에 끼워지는 포크가 연결되는 포크장착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 및 상기 무게중심부와 메인바디의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바디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중심부와 포크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지게차에서 사용되는 일반 포크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conventional forklift fork to stably transfer heavy weight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o form a skeleton, and the weight center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hoist and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vary the center of gravity by varying the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to be transpor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fork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rk is inserted into the pallet seated on the weight, and the strength reinforcement ri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enter and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protrusion includes a handle gripped by the user, and the weight center portion and the fork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general fork used in the forklift to stably transport the heavy materials.

Description

중량물 이송장치{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본 발명은 호이스트와 지게차용 포크를 연결하여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중량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weight transfer device that can easily transfer a heavy weight by connecting a hoist and a fork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용 포크가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호이스트와 연결되어 중량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94062에는 무게중심을 유지하면서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가 게시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ist in a state in which the fork lift forklift is stably mounted to transport the heavy loa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4-0094062 Pallet weight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heavy load while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is posted It is.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weight conveying device for a pal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을 참조하면, 상세히, 종래 기술에 의한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는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detail, the weight conveying apparatus for a pal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중앙 한쌍의 센터프레임(11)과 그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사이드 프레임(12)으로 구성되어 연결대(13) 및 가이드(14)에 의해 일체화 된 설치프레임(1)과 설치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어 크레인의 견인에 의한 파레트 운반시 장치의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frame 1 and the installation frame 1 composed of a pair of center frame 11 and the side frame 12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thereof and integrated by the connecting rod 13 and the guide 14. Is installed on the pallet conveying device by towing of the crane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된 걸이부(2)와 전방을 향해 수직절곡되며 수직부(31) 상단이 상기 연결대(13)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좌우 간격조절이 가능한 키퍼(3)로 구성된다. The hook portion 2 and the vertical bending portion to be able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vertical portion 31 is composed of a keeper (3)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31 to be slid to the connecting rod (13).

그리고, 상기 걸이부(2)는 한쌍의 센터프레임(11)을 길게 연장 형성하여 그 선단에 조절레버(21)를 구비시키며 상기 연장부(11a)에는 고리(23a)가 형성된 슬라이딩축(23)이 결합되는 장공(11b)을 형성하되 장공(11b)의 선단쪽에는 조절레버(21)의 조임에 의해 이동하는 지지바(22)가 결합되고 후단쪽에는 상기 슬라이딩축(23)을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스톱홈(11c)을 형성하여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ok portion (2) is formed by extending the pair of center frame 11 is provided with a control lever 21 at the front end thereof, the extension portion (11a) is a sliding shaft 23 is formed with a ring (23a) To form the long hole (11b) to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ong hole (11b) is coupled to the support bar (22) moving by tightening the control lever 21 is coupled to the rear end to insert the sliding shaft (23) By forming a stop groove (11c) that can be moved to the center of gravity stably the weight can be easily transport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사이 설치프레임(1)과 걸이부(2) 및 키퍼(3) 등이 연결대(13)와 지지대(22) 및 슬라이딩 축(23)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로 이루어져 중량물의 하중이 각 구성의 결합부분에 집중될 경우 하중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frame 1, the hook portion 2, the keeper 3, and the like are coupled between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connecting rod 13, the support 22, and the sliding shaft 23.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broken by the load if the load is made of the relationship is concentrated on the coupling portion of each component.

특히, 키퍼(3)가 결합되는 연결대(13)의 경우, 사이드 프레임(12)에 끼움 장착되는 결합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키퍼(3)를 이용하여 파레트와 함께 중량물을 이송하게 될 경우 연결대(13)에 하중이 집중되어 연결대(13)가 휘어지거나 부러져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table 13 to which the keeper 3 is coupled, the keeper 3 has a coupling form that is fitted to the side frame 12. In this structure, the heavy weight is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pallet using the keeper 3. In this cas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rod 13 and thus the connecting rod 13 may be bent or broken to produce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ight conveying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and conveying a heavy article more stab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여 파레트에 보다 용이하게 중량물 이송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conveying apparatus that provide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so that the weight conveying apparatus can be more easily connected to the palle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고정구조 없이 체결위치에 따라 무게중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ight transfer device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the fastening position without a separate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서 호이스트와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송시킬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연결위치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게중심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서 중량물이 안착된 파레트에 끼워지는 포크가 연결되는 포크장착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 및 상기 무게중심부와 메인바디의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바디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중심부와 포크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to form a skeleton, and the weight center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hoist and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vary the center of gravity by varying the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to be transpor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fork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rk is inserted into the pallet seated on the weight, and the strength reinforcement ri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enter and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A protrusion is formed to include a handle gripped by the user, and the weight center portion and the fork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프트러그와, 상기 리프트러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리프트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protruding upwar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 lug for fixing the hoist, and a plurality of lift grooves are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lug.

상기 포크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포크가 안착되고, 포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포크고정핀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둘 이상의 핀고정홀이 형성되는 상부포크바와, 상기 상부포크바에 고정된 포크의 후면과 접촉하여 포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포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k mounting portion includes a main plat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with the main body and at least two pins for allowing the fork to be seated at one side of the main plate, and fork fixing pins for fixing the forks to be fitted. And a lower fork bar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lower fork bar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ork fixed to the upper fork bar to allow the fork to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게차 포크를 용이하게 호이스트와 연결하여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klift fork generally used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the hoist to transfer the heavy weight.

그리고,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바디에 다수의 강도보강리브가 구비되어 보다 높은 하중의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rib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ming the skelet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stably transferring a heavy load of a higher load.

또한, 무게중심부를 구성하는 리프트러그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리프트홈이 마련되어 복잡한 구조물의 연결구조 없이 호이스트의 연결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lugs constituting the center of gravity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ft groov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easily grasp the center of gravit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hoist withou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mplex structure, the support strength for workability and load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다수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호이스트에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파레트와 포크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호이스트의 조정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handles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nect the pallet and the fork by gripping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ist, thereby making it easier to adjust the hoist and improve workabil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의 요부구성인 무게중심부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의 요부구성인 포크장착부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에 지게차 포크와 호이스트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파레트와 연결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weight conveying device for a pal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heavy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ork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heavy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forklift fork and a hoist connected to the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is a view for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llet.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ransferring a heavy weight using a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00)는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바디(600)와, 상기 메인바디(600)의 상측에 형성되는 무게중심부(400) 및 상기 메인바디(6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포크장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eight transfer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600 to form a skeleton, the center of gravity 4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600 and the main body 6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rk mounting portion 200 formed on the lower side.

상세히, 상기 메인바디(600)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저탄소강에 속하는 SS41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측 일부분이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울어진 상부에는 호이스트(900, 도 6 참조)와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무게중심부(400)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600 is formed using an SS41 material belonging to a low carbon steel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nd is formed such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the inclined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enter of gravity 400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able to the hoist 900 (see FIG. 6) at a plurality of positions.

상기 무게중심부(400)는 이송시킬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연결위치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을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바디(600)의 상단에서 전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The center of gravity 400 is to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by varying the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to be conveye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600 to the front side.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의 요부구성인 무게중심부를 보인 도면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view showing a center of gravity that is a main component of the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무게중심부(400)에는 상기 메인바디(6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900, 도 6 참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프트러그(440)와, 상기 리프트러그(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리프트홈(46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eight center portion 40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600, the lift lug 440 for fixing the hoist 900 (see FIG. 6), and the lift lug ( A plurality of lift grooves 460 are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440.

상세히, 상기 리프트러그(440)는 상기 메인바디(600)의 상측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900, 도 6 참조)가 연결될 수 있는 체결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detail, the lift lug 440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600 to provide a fastening space to which the hoist 900 (see FIG. 6) can be connected.

그리고, 상기 리프트홈(4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샤클(940, 도 5 참조)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900, 도 6 참조) 연결된 이후 호이스트900, 도 6 참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00)가 들어 올려질 경우 상기 샤클(940, 도 5 참조)이 끼워진 상태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위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ift groove 460 is connected to the hoist 900 (see Fig. 6) by the shackle 940 (see Fig. 6)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hoist 900, see Fig. 6)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100 is lifted, the shackle 940 (see FIG. 5) provi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ositions so as not to be removed in the fitted state.

즉, 상기 무게중심부(400)는 들어올릴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샤클(940, 도 5 참조)의 체결위치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center of gravity 400 is to grab the center of gravity by vary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shackle (940, see Figure 5)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eight to be lifted.

따라서, 상기 무게중심부(400)가 형성된 메인바디(600)의 상측은 절곡 부분에 상대적으로 하중이 집중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00)에서는 이와 같은 절곡 부분에 강도보강리브(620)를 더 구비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를 보강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loa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600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400 is formed may be concentrated relative to the bent portion, the weight reinforcement rib 620 in such a bent portion in the heavy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o reinforce the supporting strength against load.

그리고, 이와 같은 강도보강리브(620)는 상기 메인바디(600)의 하부에도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더 구비되어, 평판 형상의 메인바디(60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rib 620 is furth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600, thereby preventing the main body 600 of the flat shape to bend.

한편, 상기 메인바디(600)의 하측에는 중량물이 안착된 파레트에 끼워지게 되는 포크(800)를 연결하기 위하여 포크장착부(200)가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rk mounting portion 200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600 to connect the fork 800 to be fitted to the pallet on which the heavy material is seated.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의 요부구성인 포크장착부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fork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heavy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포크장착부(200)는 상기 메인바디(600)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22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220)의 일측에서 상기 포크(800)가 안착되는 상부포크바(240) 및 상기 상부포크바(240)에 고정된 포크(800)의 후면과 접촉하여 포크(8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포크바(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rk mounting portion 200 is the main plate 2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600 by welding, and the fork 800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220 The upper fork bar 240 and the lower fork bar 260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ork 800 fixed to the upper fork bar 240 so that the fork 800 can be stably supported.

상세히, 상기 메인플레이트(220)는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면서 상기 메인바디(60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In detail, the main plate 220 is formed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600 while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ly is coupled by welding.

그리고, 상기 메인플레이트(220)의 좌우 양측은 외측으로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포크(8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포크바(240)의 형성위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plate 220 are further protruded outward to provide a formation position of the upper fork bar 240 for fixing the fork 800.

상기 상부포크바(24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220)의 좌우 돌출부와 대응되는 가로방향 길이를 가지며, 상단에 상기 포크(80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핀고정홀(242)이 더 구비된다.The upper fork bar 240 has a horizont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of the main plate 220, the pin fixing hole 242 is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fork 800 is seated and fixed on the top do.

상기 핀고정홀(242)은 포크고정핀(820, 도 5 참조)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둘 이상이 구비되어, 핀 고정홀(242)의 끼움 장착 위치에 따라 포크(8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The pin fixing hole 242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fork fixing pins (820, see Figure 5), two or more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in fixing hole 242 fork 800 You can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m.

또한, 상기 하부포크바(260)는 상기 상부포크바(24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220)의 돌출부 하단에 구비되며, 포크(800)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면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포크(800)와 접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fork bar 26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fork bar 240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of the main plate 220, the front to correspond to the rear shape of the fork 800 An addition is formed to be in stable contact with the fork 800.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에 지게차 포크와 호이스트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5 is a view showing a forklift fork and a hoist connected to the weight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중심부(400)에는 호이스트로프(920)와 연결된 샤클(940)이 고정되고, 상기 포크장착부(200)에는 포크(800)가 안착되어 포크고정핀(820)에 의해 고정된다.As shown, the center of gravity 400 is fixed to the shackle 940 connected to the hoist rope 920, the fork mounting portion 200 is fixed to the fork fixing pin 820 is seated do.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호이스트(900, 도 6 참조)를 이용하여 포크(800)가 연결된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이동시켜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tate i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heavy goods by moving the heavy weight transfer device 100 to which the fork 800 is connected by using the hoist 900 (see FIG. 6).

한편, 상기 포크(800)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시킬 경우에는 중량물을 파레트(880, 도 6 참조) 위에 올려서 이송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vy material is transferred using the fork 800, the heavy material is transferred on a pallet 880 (see FIG. 6).

따라서, 상기 포크(800)를 파레트(880, 도 6 참조)에 정확하게 끼운 다음 호이스트(900, 도 6 참조)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00)에는 전술한 손잡이(420)가 더 구비된다.Therefore, the fork 800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pallet 880 (see FIG. 6), and then lifted using the hoist 900 (see FIG. 6). For this purpose, the weight transfer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The handle 420 is further provided.

상기 손잡이(420)는 상기 메인바디(600)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대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600)의 절곡부분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후이동 손잡이(422)와, 상기 무게중심부(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 손잡이(424, 426)로 구성된다.The handle 420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6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so that the user can be grippe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of the main body 600 to be gripped by the user The front and rear movement knobs 422 for easily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knobs 424 and 426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gravity 400 to allow the user to easily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consists of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손잡이(420)를 통해 상기 호이스트(900, 도 6 참조)로 포크(800)가 장착된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이동시켜 파레트(880, 도 6 참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fts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100 equipped with the fork 800 with the hoist 900 (see FIG. 6) through the handle 42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ore easily move the weight transfer device 100 to be connected to the pallet 880 (see FIG. 6).

물론,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 손잡이(424, 426)를 파지하여 전후방향 이동시키거나 상기 전후이동 손잡이(422)를 파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user may grasp the left and right movement handles 424 and 426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r mov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handle 422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파레트와 연결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송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6 to 8 are views for show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llet,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onveying the weight using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이용하여 중량물(890)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크(800)를 상기 포크장착부(200)에 포크고정핀(82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heavy object 890 is to be conveyed using the heavy object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ork fixing pin 200 is connected to the fork mounting part 200 as described above. Fix using 820.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포크(800)가 고정되면 상기 무게중심부(400)에 형성된 다수의 리프트홈(460) 중 어느 하나에 샤클(940)과 호이스트로프(920)를 이용하여 호이스트(900)를 연결한 이후 호이스트(900)를 작동시켜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들어 올린다.When the fork 800 is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hoist 900 is connected to the one of the plurality of lift grooves 460 formed in the center of gravity 400 by using the shackle 940 and the hoist rope 920. After the hoist 900 is operated to lift the weight conveying apparatus 10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들어올린 이후에는 상기 호이스트(900)를 작동시켜 중량물(890)이 안착된 파레트(880)로 중량물 이송장치(100)를 접근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전후이동 손잡이(422)를 파지하여 포크(800)가 용이하게 파레트(88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Then, after lifting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to operate the hoist 900 to approach the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100 to the pallet 880 on which the heavy weight 890 is seated. By hold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handle 422 in the process is adjusted so that the fork 800 can be easily fitted to the pallet 880.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포크(800)가 파레트(880)에 도 8과 같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샤클(940)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rk 800 is fitted to the pallet 880 as shown in FIG. 8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osition of the shackle 940 is changed.

즉, 상기 파레트(880)에 포크(800)가 끼워진 이후에는 상기 호이스트(90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샤클(940)이 현재 위치한 리프트홈(460)에서 빠져나오도록 한 다음 다른 리프트홈(460)으로 이동시켜 조금씩 들어 올려보면서 무게중심을 맞추게 된다.That is, after the fork 800 is inserted into the pallet 880, the hoist 900 is moved downward to allow the shackle 940 to exit from the lift groove 460 in which it is currently located, and then another lift groove 460. Move to and lift up little by little to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이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면서 중량물(890)의 무게에 따라 무게중심이 맞춰지게 되고, 무게중심이 맞춰지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900)를 이용하여 파레트(880)와 함께 중량물(890)을 들어올린 이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As the process is performed, the center of grav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890, and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adjusted, the weight 890 together with the pallet 880 using the hoist 900 as shown in FIG. 9. After lifting it will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100..... 중량물 이송장치 200..... 포크장착부
220..... 메인플레이트 240..... 상부포크바
242..... 핀고정홀 260..... 하부포크바
400..... 무게중심부 420..... 손잡이
440..... 리프트러그 460..... 리프트홈
600..... 메인바디 620..... 강도보강리브
800..... 포크 820..... 포크고정핀
880..... 파레트 890..... 중량물
900..... 호이스트 920..... 호이스트로프
940..... 샤클
100 ..... Heavy Duty Feeder 200 ..... Fork Mount
220 ..... Main plate 240 ..... Upper fork bar
242 ..... Pin fixing hole 260 ..... Lower fork bar
400 ..... Center of gravity 420 ..... Handle
440 ..... lift lugs 460 ..... lift grooves
600 ..... Main body 620 ..... Strengthened rib
800 ..... Fork 820 ..... Fork Locking Pin
880 ..... Pallet 890 ..... Heavy
900 ..... Hoist 920 ..... Hoist
940 ..... Shackle

Claims (4)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서 호이스트와 다수의 위치에서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송시킬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연결위치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게중심부;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서 중량물이 안착된 파레트에 끼워지는 포크가 연결되는 포크장착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 및 상기 무게중심부와 메인바디의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바디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중심부와 포크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량물 이송장치.
A main body forming a skeleton;
A weight center portion formed to be connectable to the hoist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main body and varying the center of gravity by varying the connec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to be transferred;
Fork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rk to be fitted to the pallet on which the weight is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trength reinforcing rib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mprises a handle that the user grips,
The weight center portion and the fork mounting portion is a heavy weight conveying apparatu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부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프트러그와,
상기 리프트러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리프트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A lift lug protruding upward to fix the hoist;
And a plurality of lift grooves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lu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장착부는,
상기 메인바디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포크가 안착되고, 포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포크고정핀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둘 이상의 핀고정홀이 형성되는 상부포크바와,
상기 상부포크바에 고정된 포크의 후면과 접촉하여 포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포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k mounting portion,
A main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by welding;
An upper fork bar on which one side of the main plate is seated, and at least two pin fixing holes are formed to allow the fork fixing pins to be fitted to fix the forks;
And a lower fork bar configured to contact the rear of the fork fixed to the upper fork bar so that the fork can be stably suppo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 구비되어 호이스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후이동 손잡이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무게중심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호이스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handle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holding the hoist,
And a left and right moving handle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gravity at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easily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ist.
KR1020120003709A 2012-01-12 2012-01-12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Ceased KR201300831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09A KR20130083141A (en) 2012-01-12 2012-01-12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09A KR20130083141A (en) 2012-01-12 2012-01-12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41A true KR20130083141A (en) 2013-07-22

Family

ID=4899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09A Ceased KR20130083141A (en) 2012-01-12 2012-01-12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14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5226A (en) * 2014-10-27 2015-02-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replacing shear blade of hydraulic shearing machine
CN108158137A (en) * 2018-01-22 2018-06-15 重庆汇邡机械制造有限公司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atic leather shoes painting line
KR102218596B1 (en) * 2020-07-31 2021-02-19 유복순 Portable lift for crane
KR20220107443A (en)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지엔 Fork lift device for hoist crane
CN117585579A (en) * 2024-01-19 2024-02-23 成都龙科重型机械制造有限公司 New energy big battery pack installation equipment in final assembly workshop
KR102683207B1 (en) * 2024-01-09 2024-07-08 홍대성 Lifting jig for vertical balancing of floating cov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5226A (en) * 2014-10-27 2015-02-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replacing shear blade of hydraulic shearing machine
CN108158137A (en) * 2018-01-22 2018-06-15 重庆汇邡机械制造有限公司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atic leather shoes painting line
KR102218596B1 (en) * 2020-07-31 2021-02-19 유복순 Portable lift for crane
KR20220107443A (en)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지엔 Fork lift device for hoist crane
KR102683207B1 (en) * 2024-01-09 2024-07-08 홍대성 Lifting jig for vertical balancing of floating cover
CN117585579A (en) * 2024-01-19 2024-02-23 成都龙科重型机械制造有限公司 New energy big battery pack installation equipment in final assembly workshop
CN117585579B (en) * 2024-01-19 2024-04-05 成都龙科重型机械制造有限公司 New energy big battery pack installation equipment in final assembly worksh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3141A (en) Carrying apparatus for heavy load
KR102728248B1 (en) Carrier board conveying box with reinforced structure
JP5283002B2 (en) Conveying equipment
JP5743156B2 (en) Article placement tool
CN201686451U (en) Forklift hanger
KR20200125371A (en) Clamping apparatus for fork lift
JP6270524B2 (en) Hanging tool
KR20130006534U (en) Jig fixed on forklift
JP2012001300A (en) Attachment for forklift and freight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72623Y1 (en) Lift carrier
CN202848846U (en) Hoisting tool
KR102497626B1 (en) The adsorption hanger for transfer
KR101716413B1 (en) Additional leg unit for fork lifting car
CN204399739U (en) Original sheet glass hoisting structure
JP3137180U (en) Heavy goods cart
CN222665314U (en) Pallet transfer spreader
KR20090000250U (en) Vertical trolley with improved center of gravity axis
JP5255418B2 (en) Four-way pallet for tray multi-stacking
CN214003963U (en) A fork truck appurtenance for transporting glass transportation frame
CN213387671U (en) Fork lengthening supporting mechanism
KR101809632B1 (en) Lift carrier
KR101202661B1 (en)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CN217994457U (en) Steel pipe transportation structure
CN206457162U (en) Fork truck staving handbarrow
KR101630134B1 (en) Spreader Bar for Exca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