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570A - Social network system with bluetooth - Google Patents
Social network system with bluetoo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2570A KR20130082570A KR1020110131549A KR20110131549A KR20130082570A KR 20130082570 A KR20130082570 A KR 20130082570A KR 1020110131549 A KR1020110131549 A KR 1020110131549A KR 20110131549 A KR20110131549 A KR 20110131549A KR 20130082570 A KR20130082570 A KR 201300825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user
- search
- bluetooth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블루투스를 이용한 SNS로서, 모바일 단발기에 탑재된 GPS를 이용한 SNS를 사용할 경우 건물이나 지하에서 GPS신호를 받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 하기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해 서비스 이용자를 검색하고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GPS와는 다르게 특정 장소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른 이용자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of not receiving a GPS signal in a building or basement when using the SNS using the Bluetooth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s the SNS using the Bluetooth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earching for and adding a service user using Bluetooth. Unlike the GP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arching for another user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specific place or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시켜주고 인맥을 강화시켜주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네트워크가 형성된 사람들 간에는 대화 및 정보공유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uild a human network and strengthen the network with people in the near field using Bluetooth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talk and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network formed people.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SNS는 '카카오톡'과 같이 단말기의 주소록 동기화를 통하여 이미 친분이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하여 사용었다. 하지만 현재는 새로운 인맥을 구축하기 위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도구로 발전되어 왔으며, 그것에서 더 발전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GPS를 이용하여 이용자 자신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있는 타 이용자들과 인맥을 형성해주는 시스템으로 발전되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GPS를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의 위치확인 기능 및 사용자 간에 데이터 전송과 정보공유가 가능하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소형 GPS는 한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GPS 위성은 지표면에서 약 20000km 떨어진 "고궤도"에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위성은 높은 고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위치신호를 보다 넓은 지역에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위성은 궤도에서 시계 내에 있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지상의 GPS 수신기는 이들 위성 중 최소 4개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GPS위성은 여러 주파수(L1, L2 등)로 미약 전파(very low power radio)를 송출하는데, 민간용 GPS 수신기는 극초단파(UHF)대에서 1575.42MH의 L1 주파수를 수신한다. 이 신호는 구름, 유리 및 플라스틱은 통과할 수 있지만 건물이나 산 같은 고체는 통과할 수 없다. 이처럼 모바일 단말기의 탑재된 GPS는 건물이나 지하에서는 그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므로, GPS를 이용한 SNS 사용자 간에는 건물 내부에 있을 경우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다. 또한,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고층빌딩에 있을경우 현재 몇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민간 GPS의 기능으로는 불가능 하다. 이런한 문제 외에도, 모바일 단말기내의 블루투스만을 이용한 채팅 수단은 종래에 존재하고 있지만 블루투스의 특성상 블루기기가 상호간의 페어링 절차를 거쳐야 하며, 거리가 멀어질 경우 연결이 단절되며 다시 페이링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SNS using a mobile terminal was us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address book synchronization of the terminal, such as KakaoTalk. However, at present, it has been developed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order to establish a new network, which has been further developed and connected with other users at close range based on the user themselves using the GP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t has been developed into a system for shaping. The user of a specific application can use the GPS of the terminal to transmit data and share information between users and the location function of the users in the vicinity. However, the small GP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has one problem. GPS satellites are located in the "high orbit" about 20,000 km from the earth's surface. As the satellite is located at a high altitude, it is possible to send a location signal to a larger area. Since the satellites are positioned so that they are in view in orbit, the terrestrial GPS receiver can receive signals from at least four of these satellites. Each GPS satellite transmits very low power radios at various frequencies (L1, L2, etc.). A civil GPS receiver receives an L1 frequency of 1575.42MH in the ultra-high frequency (UHF) band. This signal can pass through clouds, glass, and plastic, but not through solids such as buildings and mountains. As such, the GP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properly receive the signal in the building or the basement,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locate the GPS between the SNS users. In addition, even if the approximate location is known,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floor of the building if the user is in a high-rise building. In addition to these problems, the chat means using only Bluetooth in the mobile terminal exist in the related art,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luetooth, blue devices must go through a pairing process with each other. There is a ha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 내에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새로운 인맥관계를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technology that can form a new network with people in the short-range using Bluetooth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용자 중에서 자신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이용자를 위해서 (청구항 2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중 하나인 블루투스만을 이용한 SNS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청구항 3)의 특징도 포함한다. 또한 (청구항 1)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된 이용자에 대해 재검색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청구항 4)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이용자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한 후 유지할 수 있도록 (청구항 5)를 포함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laim 1). (Claim 2) for users who do not want their privacy exposed among users who use the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features of (Claim 3)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SNS using only Bluetooth, which is one of the above problems. It also includes (Claim 4)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re-search for users searched using the search function in (Claim 1). Finally, include (claim 5) so that users can maintain after they have formed a human network.
본 발명을 통하여 2가지의 주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첫 번째는 음란성 방지 효과이다.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SNS가 활성화되면서, 음란성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었다. '하이데어'와 같은 서비스 이용자들 간에는 첫 번째 연결이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음란 사진과 같은 것들이 기재되기 시작하였으며, 원나잇 문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청소년들 또한 쉽게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특성상, 이용자들 간에 첫 번째 연결이 서로간에 얼굴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리에서 이루어지므로 음란물 기재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두 번째는 GPS의 단점 극복이다. 본 발명의 주요 차별성은 근거리에 있는 사람들 간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인데,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GPS는 건물 내부 및 지하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블루투스를 이용함으로서, 장소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wo main effects can be achieved. The first is to prevent obscene effects. As SNS using mobile terminals is activated, social problems such as lewdness have emerged. The first connection is made online among service users such as Heidere, such as pornography photos, and one-night cultures are growing rapidly, and youths are also easily acce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nnection between the users is made at a short range that can identify a fac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preventing pornography. The second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GPS. The main different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ormation of a human network between people at short distances, and due to this problem, GPS is not available inside buildings and underground. By using Bluetooth, services can be us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place or a space.
도 1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가입시 발생하는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주변에 서비스를 사용중인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부분이다
도 3은 서비스 이용자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분이다.1 relates to data transmission that occurs when a service is subscribed through a mobile terminal.
2 is a search part for searching for a mobile terminal using a service in the vicinity;
3 is a part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service users.
이하 도면을 참조하고 특정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specific example.
도 1은 (청구항 1)에 명시되어 있듯이, 모바일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할때, 모바일 단말기(101)에서 DB(104)까지 전송되는 데이터와 절차를 나타내어 주고 있다. 사용자가 이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 가입 버튼을 누르게 되면, 프로그램 내의 서비스 가입모듈(102)이 동작하며 가입자가 입력한 이용자 정보와 mac address를 웹서버(103)로 전송하게 된다. 전송받은 데이터는 DB(104)에 저장이 되며 가입절차가 끝난다.1 shows data and procedure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1 to the DB 104 when subscribing to a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101, as specified in claim 1. When the user enters the user information and presses the service subscription button, the
도 2는 주위의 서비스 이용자를 검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문제점으로 제시 했듯이, 고층건물이나 지하에서 GPS를 이용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위치를 잡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 예로, 서비스 이용자가 특정 건물내에 있는 레스토랑이나 커피숍안에 있을 경우, 그 안에 있는 다른 서비스 이용자들을 검색하려 한다면 서비스 이용자가 실제로 그곳에 존재하더라도 검색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다면 상기의 특정 공간뿐만 아니라, 어떤 장소에서도 다른 이용자들을 검색하는데 제한을 받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검색기능을 활성화 시킨다면 검색모듈(105)이 동작하게 되며, 주위에서 검색가능 상태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들을 검색하게 된다. 검색모듈(105)은 이 블루투스 기기들의 mac address를 확인한 뒤 웹서버(103)로 전송한다. 데이터를 수신한 웹서버(103)는 DB(104)에서 전송받은 mac address와 DB(104)내에 저장되어 있는 mac address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는 mac address가 존재한다면, (청구항 2)에 명시되어 있듯이, 그 mac address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확인한 후, 그 이용자가 검색을 허용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해당하는 이용자가 검색을 허용했다면, DB(104)에서 그 이용자 정보를 웹서버(103)에 전송한 후, 모바일 단말기(101)는 웹서버(103)를 통해 이용자 정보를 전달받은 후, 그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searching for surrounding service users. As suggested by the above problem, when using a service using a GPS in a high-rise building or undergroun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position. For example, if a service user is in a restaurant or a coffee shop in a particular building, and you try to search for other service users in it, the service user will not be able to search even if they actually exist there. However, if the Bluetooth of the mobile terminal is us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searching other users not only in the specific space but also in any place. When the search function is activat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101, the search module 105 is operated to search for Bluetooth devices that are in a searchable state around. The search module 105 checks the mac addresses of these Bluetooth devices and transmits them to the
도 3은 서비스 이용자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때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기 A(106)가 모바일 단말기 B(108)에 데이터 전송요청을 하면, 프로그램의 데이터 전송모듈(107)이 동작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모듈(107)은 모바일 단말기 A(106)가 보내려는 데이터와 모바일 단말기 B(108)의 mac address를 웹서버(103)에 전송한다. 웹서버(103)는 보내려는 데이터를 DB(104)에 저장한 후, mac address와 일치하는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이용자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지 DB(104)를 통해 확인한다. 확인 후, DB(104)는 이 정보를 웹서버(103)에 전송하고, 웹서버는 모바일 단말기 B(108)에 데이터를 전송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when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between service users. When the mobile terminal A 106 make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to the
101: 모바일 단말기
102: 서비스 가입모듈
103: 웹서버
104: DB
105: 검색모듈
106: 모바일 단말기 A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107: 데이터 전송모듈
108: 모바일 단말기 B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기)101: Mobile terminal
102: service subscription module
103: web server
104: DB
105: search module
106: mobile terminal A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107: data transmission module
108: mobile terminal B (terminal receiving data)
Claims (5)
상기 사용자가 검색 기능을 활성화 시켰을 때, 서비스의 검색 모듈이 작동하며 주변의 검색가능 상태(discoverable)인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검색된 디바이스들의 mac address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mac address를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mac address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매칭되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SNS 방법.
Checking and storing the mac address of the Bluetooth device at the first time of execution and then transmitting the data along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to the server and storing it in a DB;
When the user activates a search function, checking a Bluetooth device that is in a discoverable state in which a search module of a service operates and transmitting a mac address of the found devices to a server; And
Comparing the mac addres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mac address stored in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matching us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SNS method.
서비스 이용자는 다른 이용자에 의한 검색 허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는 검색 허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용자가 검색을 허용하지 않은 경우 다른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검색이 된다하더라도 상기 이용자의 정보는 검색 기능을 사용한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SNS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user can select whether to allow the search by other users, and the server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whether to search.
SNS method using a Bluetooth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s not displayed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using the search func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allow the search, even if the user is search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user.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은 주변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며, 모든 데이터의 송수신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통신모듈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SNS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uetooth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used to search for a nearby Bluetooth device, and al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s data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SNS method.
이용자는 검색기능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다른 이용자들의 정보를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서버에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SNS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may store information of other user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his mobile terminal through a search function, and the information may also be stored in a server.
이용자는 검색기능을 통해 검색된 다른 이용자나,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이용자들과 데이터 송수신과 정보 공유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SNS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NS method using a Bluetooth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or other user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search fun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1549A KR20130082570A (en) | 2011-12-09 | 2011-12-09 | Social network system with bluetoo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1549A KR20130082570A (en) | 2011-12-09 | 2011-12-09 | Social network system with bluetoo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2570A true KR20130082570A (en) | 2013-07-22 |
Family
ID=4899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1549A Ceased KR20130082570A (en) | 2011-12-09 | 2011-12-09 | Social network system with bluetoo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257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3580B1 (en) | 2014-04-01 | 2014-06-09 | (주)유비쿼스 | METHOD FOR APPLYING G.hn TO ACCESS NETWORK |
KR101517027B1 (en) * | 2014-02-13 | 2015-05-18 | 김권영 | Detecter For Identifing User At Close Range |
-
2011
- 2011-12-09 KR KR1020110131549A patent/KR2013008257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7027B1 (en) * | 2014-02-13 | 2015-05-18 | 김권영 | Detecter For Identifing User At Close Range |
WO2015122682A1 (en) * | 2014-02-13 | 2015-08-20 | 김권영 | Detector for identifying close-range user, and close-range user identification system using same |
KR101403580B1 (en) | 2014-04-01 | 2014-06-09 | (주)유비쿼스 | METHOD FOR APPLYING G.hn TO ACCESS NETWO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01051B2 (en) | Cloud service for making social connections | |
US8792825B2 (en) |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non-transitory storing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CN106879047B (en) | Method for near-field information transfe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iving client and information system | |
EP3582560B1 (en) | Position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 |
US2011027400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 wi-fi access point map using sensors in a wireless mobile device | |
WO2016134625A1 (en) | Wifi access system | |
AU2014410695B2 (en) | Hidden hotspot access method and apparatus | |
US9877199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from access control device to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 |
US9226166B2 (en) | Method for location | |
EP3078981B1 (en) | In-band pseudolite wireless positioning method, system and device | |
US863869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survey sensors and controllers | |
JP2014529374A (en) | Content display method u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content display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performing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 |
US11877207B2 (en) |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reference radio and using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reference radio to estimate the lo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 |
KR101815162B1 (en) |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US20070232345A1 (en) | Portable Terminal, and Radio Quality Display Method, Program, and System | |
Opoku | An indoor track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 |
US20150015442A1 (en) | System and method to find lost objects | |
KR20130082570A (en) | Social network system with bluetooth | |
JP2019086869A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pplication software | |
CN102904934A (en) |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data transmission | |
US20160021517A1 (en) |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ng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 apparatuses within a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 |
WO2013071761A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etting nearby user help based on mobile location information | |
US20220217422A1 (en) |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CN105282838A (en) | Indoor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KR20180040949A (en) |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base station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