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016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1016A KR20130081016A KR1020120001959A KR20120001959A KR20130081016A KR 20130081016 A KR20130081016 A KR 20130081016A KR 1020120001959 A KR1020120001959 A KR 1020120001959A KR 20120001959 A KR20120001959 A KR 20120001959A KR 20130081016 A KR20130081016 A KR 201300810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ase
- filter
- present
- air pur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등 설치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악취 및 분진 등을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 대출시키는 흡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harmful gases, odors and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product in a production line for installing a product, such as a factory.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ase, a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a suction fan installed in the case to suck the air .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등 설치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악취 및 분진 등을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harmful gases, odors and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product in a production line for installing a product, such as a factory.
일반적으로,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그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매우 심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며, 대기오염도 발생시키게 된다.In general, in an industrial site such as a factory, the pollution of the indoor air is very high, reducing the work efficiency of workers, causing various diseases, and also causing air pollution.
따라서, 산업현장의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현재에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공기정화 기술이 채용된 단순한 공기정화기를 주로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그 대부분은 주 처리대상이 먼지 및 저농도의 오염물질이여서 악취나 유해세균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완벽한 처리성능을 제공 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purify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of industrial sites, currently, a simple air purifier employing a single air purifying technology is usually installed and used, but most of the main treatment targets are dust and low concentrations. If it is a pollutant and contains a high concentration of odor or harmful bacteria, it does not provide perfect treatment performance.
즉, 육가공업체, 하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과 같은 특수 사업장에서는 특히 악취와 함께 유해세균이 집중적으로 발생되게 되는데, 기존의 공기정화기는 단순하게 오염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제거할 수 있을 뿐, 충분한 탈취 및 살균기능은 제공하지 못하였다.In other words, special workplaces such as meat processing companies, sewage treatment plants, and manure treatment plants generate harmful bacteria, especially odors. It could only provide sufficient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또한,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단순히 필터에 의한 여과나 흡착제에 의한 흡착제거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그 흡착력에도 한계성이 있어 자주 청소하거나 교체해 주어야만 하므로, 불편함과 함께 유지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simply uses a filtration by a filter or an adsorption removal method using an adsorbent, the adsorption force is limited, and thus, the air purifier has to be cleaned or replaced frequently.
나아가, 악취를 집중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습식세정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도 하나, 이는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처리약제의 사용에 따라 유지비용을 상승시키며, 폐수와 폐슬러지와 같은 2차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et cleaning is used to concentrate odors, but it requires a large installation area, increases maintenance costs according to the use of treatment agents, and removes secondary pollutants such as wastewater and waste sludg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generated.
이상과 같은 제반 상황을 감안할 때, 현 시점에서는 고농도의 악취 및 유해세균을 함유하는 오염공기를 완전하게 무해화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그 경제적 운용도 가능한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Given the above circumstanc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n industrial combined air purifier capable of completely detoxifying polluted ai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odors and harmful bacteria and capable of economic operation. can do.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46281호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가 제시되어 있다.Therefor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46281 "Industrial combined air purifier"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07-46281호 또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Patent Publication No. 10-2007-46281 also has a problem that does not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특히,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유해물질, 유독가스 및 분진 등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기정회기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공기정화기를 구입하는 비용이 많이 들러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purify the harmful substances, toxic gases and dust generated when producing the product in the production line to produce the product, many air purifiers have to b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purchasing the air purifier is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를 관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또한, 흡입된 공기가 다수개의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해물질과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을 완전히 정화시켜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urpose is to completely clean the harmful substances and harmful gases and dus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respective functions so that only clea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 대출시키는 흡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ase, a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a suction fan installed in the case to suck the air .
여기서,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one side, the discharg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s formed.
나아가, 상기 정화부는 케이스의 흡입구 방향에 프리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필터의 후부에는 케미칼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케미칼필터의 후부에는 정화통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방향에 울파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urifying unit is provided with a pre-filter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case, a rear side of the pre-filter is provided with a chemical filter, a purifying tank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chemical filter, the Ulpa filter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direction of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를 관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air purifying effect at the same time as the tubular structure.
또한, 흡입된 공기가 다수개의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해물질과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을 완전히 정화시켜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the clea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completely purifying the harmful substances and harmful gases and dus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respective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110)가 구비된다.1 and 2, the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는 내측에 설치공간(112)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설치공간(112)으로 흡입되는 흡입구(114)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114)가 형성된 타측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6)가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설치공간(112)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되도록 작동하는 흡입팬(21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설치공간(112)에는 흡입팬(210)에 의해 흡입구(114)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구(116)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화부(3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정화부(310)는 케이스(110)의 설치공간(112)에 설치된 흡입팬(210)의 전방에 설치되되, 케이스(110)의 흡입구(114)로 흡입된 오염공기를 1차 정화시키는 프리필터(312)가 구비된다.Here, the purifying
나아가, 상기 프리필터(312)의 후방에는 1차 정화된 오염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2차로 흡착/제거하는 케미칼필터(314)가 구비된다.Further, a rear side of the
아울러, 상기 케미컬필터(314)의 후방과 흡입팬(210)의 사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성화합물을 걸러주는 정화통(316)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정화통(316)은 방독면에 사용되는 통상의 정화통의 구조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설치공간(112)에 설치된 흡입팬(210)의 후부에 위치되되, 케이스(110)의 배출구(116) 방향에는 미세한 분진 등을 여과시키는 울파필터(318)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for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공장의 실내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라인에 설치하여 공장의 실내에서 작업 또는 제품을 생산하는 라인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악취 및 분진이 발생하게 되면 흡입팬(210)의 작동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케이스(110)의 흡입구(114)로 흡입되고, 케이스(110)의 흡입구(114)로 흡입된 오염공기는 1차로 프리필터(3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큰 분진 등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As shown therein, the
이렇게, 상기 프리필터(3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로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비중이 큰 이물질을 걸러진 상태에서 공기가 케미칼필터(314)를 통과하게 된다.As such, the air passes through the
이때, 상기 케미칼필터(314)를 오염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로 오염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흡착/제거한 상태로 통과된다.At this time, in the course of passing the
그리고, 상기 케미칼필터(314)에서 2차로 유해가스가 제거된 공기는 정화통(31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기성화합물이 여과된다.In addition, the organic compound is filter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urifying
이렇게, 상기 정화통(316)에서 유기성화합물이 제거된 공기는 울파필터(318)를 거쳐 케이스(110)의 배출구(1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is way, the air from which the organic compound is removed from the purifying
이때, 상기 울파필터(318)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먼지나 분진 등 이물질을 걸러주게 되어 완전하게 정화된 공기만 케이스(110)의 배출구(1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통(210)은 내측이 관통되는 사각 형상의 지지프레임(212)이 구비되고, 이 지지프레임(212)의 내측에는 요철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공간(214a)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간(214b)이 형성된 차단벽(214)이 구비되며, 이 차단벽(214)에는 정화부재(216)가 설치된다.As shown therein, the purifying
이렇게, 상기 요철 형상으로 절곡된 차단벽(214)에 다수개의 정화부재(216)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공기청정기 110 : 케이스
112 : 설치공간 114 : 흡입구
116 : 배출구 210 : 흡입팬
310 : 정화부 312 : 프리필터
314 : 케미칼필터 316 : 장화통
38 : 울파필터100: air cleaner 110: case
112: installation space 114: suction port
116: outlet 210: suction fan
310: purification unit 312: prefilter
314: chemical filter 316: rain boots
38: Ulpa filter
Claims (3)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 대출시키는 흡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case,
A purify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purify the sucked air;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uction fan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suck the air.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an inlet is formed in one side, the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정화부는 케이스의 흡입구 방향에 프리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필터의 후부에는 케미칼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케미칼필터의 후부에는 정화통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방향에 울파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rific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re-filter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case,
The rear of the pre-filter is provided with a chemical filter,
The rear side of the chemical filter is provided with a purification tank,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lpa filter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direction of the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959A KR20130081016A (en) | 2012-01-06 | 2012-01-06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959A KR20130081016A (en) | 2012-01-06 | 2012-01-06 | air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1016A true KR20130081016A (en) | 2013-07-16 |
Family
ID=4899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1959A Withdrawn KR20130081016A (en) | 2012-01-06 | 2012-01-06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101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4779A (en) * | 2018-06-20 | 2018-09-11 | 南京博酝化工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olecular sieve filter device with high-efficient purification air function |
KR102189185B1 (en) * | 2020-04-22 | 2020-12-09 | 김선희 | Industrial deodorizer |
-
2012
- 2012-01-06 KR KR1020120001959A patent/KR2013008101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4779A (en) * | 2018-06-20 | 2018-09-11 | 南京博酝化工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olecular sieve filter device with high-efficient purification air function |
KR102189185B1 (en) * | 2020-04-22 | 2020-12-09 | 김선희 | Industrial deodoriz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1772B1 (en) |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1336147B1 (en) | Air cleaning system | |
KR101663962B1 (en) | Air purifying device of air cleaner | |
KR102145364B1 (en) | an air purifier | |
KR102262027B1 (en) | Interior ventilation system with improved removal performance of harmful substances | |
CN102029096A (en) | Air cleaner | |
KR102399438B1 (en) |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moss-purifying devices | |
KR101086728B1 (en) | Fourth Filter Air Filter | |
KR101463216B1 (en) | Apparatus for omitting bad smell having improved efficiency | |
KR102463115B1 (en) | Air purifier using sterilization module | |
CN205208764U (en) | Discontinuous modularization air time purifier | |
CN110902932A (en) | Environment-friendly sewag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 |
KR20130081016A (en) | air cleaner | |
KR101806404B1 (en) | Air purification and offensive odor treatment system | |
CN201997210U (en) | Foam contact type air purification device | |
KR20100062020A (en) | Industrial air purifiers | |
CN103398423A (en) | Air purifier | |
KR100793943B1 (en) | Air purifier | |
KR102532294B1 (en) | Air cleaner of vehicles | |
JP6147033B2 (en) | Contaminated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photocatalyst | |
CN205137760U (en) | Air purifier | |
KR100550088B1 (en) |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 |
CN212127913U (en) | A kind of high-efficiency treatment and purification devic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wastewater | |
KR20130128246A (en) | Indoor clean device using positive pressure | |
CN113983613A (en) | A water-washing air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