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727A -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 Google Patents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9727A KR20130079727A KR1020120000389A KR20120000389A KR20130079727A KR 20130079727 A KR20130079727 A KR 20130079727A KR 1020120000389 A KR1020120000389 A KR 1020120000389A KR 20120000389 A KR20120000389 A KR 20120000389A KR 20130079727 A KR20130079727 A KR 201300797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plate
- chair
- intermediate member
- folding
- s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는 몸체에 구비된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 중심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삽입 고정되며, 탄성 지지되는 오목 또는 볼록 형태의 끼움부가 외주면에 구비된 매개부재; 및 상기 끼움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매개부재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매개부재가 삽입고정된 샤프트에 대해 상기 좌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좌판 폴딩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해제 또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사용, 보관, 이동, 운반, 적재 등에 대한 다양한 활용상의 효율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Chair seat embodying the seat f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plat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haft provided in the body; An intermediate memb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haft through a central hole, and having a concave or convex fitting portio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mounting spac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such that the fitting portion is held by the elastic force and to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mounted, and the intermediate member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at plate relative to the shaft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And a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intain the seat folding, as well as its release,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iciency and user convenience of various applications for use, storage, movement, transport, loading, etc.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판(seat)이 회전에 의하여 접이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좌판이 등받이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그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접힘 상태의 해제를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in which a seat is folded by rotation, and when the seat plate of the chair is folded in the backrest direction, the seat folding device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as well as releasing the folded state more easily. Relates to a chair implemented.
정리, 보관, 관리 내지 겹침 적재 또는 적층 등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좌판(seat) 또는 다리(leg)가 접이 가능한 의자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의자는 좌판 또는 다리를 접거나 펼 수 있어 의자를 사용하거나 또는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그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의자가 차지하는 물리적인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enhance the utility of organizing, storing, managing, stacking or stacking, seats or chairs with folding legs are generally used. Such a folding chair can be folded or unfolded seat or legs, and the shape of the folding chair can be eff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hair or when the chair is stored without using the chair, thereby effectively utilizing the physical space occupied by the chair. .
이러한 접이식 의자는 공간 활용 효용성이 높고, 운반 내지 이동 등이 용이하다는 특성을 가지므로 다수의 인원이 모일 수 있는 곳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와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se folding chairs are widely used in various places and environments, including plac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gather, because they have high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nd easy transport or movement.
그러나 종래 접이식 의자는 좌판 또는/및 다리 부분이 접혀졌을 때(folding), 그 접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가 구현되어 있지 않아 보관 내지 운반 등을 위하여 좌판을 폴딩할 때, 폴딩된 좌판이 다시 내려오게 되어 좌판 등을 재차 폴딩시키는 등 불필요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lding chair, when the seat plate and / or the legs are folded, there is no special device for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so that when the seat plate is folded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the folded seat plate is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and cumbersome work is repeated, such as folding down the seat and the like again.
즉, 종래 접이식 의자는 단순히 좌판을 수직 방향보다 좀 더 기울여지도록 하거나 의자 자체를 벽면 등에 비스듬히 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좌판이 다시 내려오지 않도록 할 뿐, 좌판 자체를 고정하거나 접힘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folding chair simply prevents the seat plate from descending again by simply tilting the seat plate more than the vertical direction or by mounting the chair at an angle to the wall, etc., and can fix the seat plate itself or effectively maintain the folded state. The device was not implemented.
이러한 종래 접이식 의자의 구조 내지 구성에 의하여 좌판 등을 폴딩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등받이에 부딪힌 후 반작용으로 다시 내려와 몇 번씩 좌판 등을 폴딩시켜야 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흔히 반복되고 있으며 또한, 공간 내 흔히 있을 수 있는 작은 흔들림 내지 충격 등에 의해서도 의자 자체가 쓰러지거나 또는 폴딩된 좌판이 다시 내려오게 되는 문제점이 파생적으로 야기되기도 한다.When folding the seat plate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such a conventional folding chair, the unnecessary action of repeatedly folding the seat plate, etc. several times after being physically hit by the backrest and reacting again, is also repeated. Even the shaking or the impact may cause the problem that the chair itself collapses or the folded seat plate comes down again.
그러므로 사용자의 의사에 의하여 좌판이 의도적으로 폴딩된 경우, 그 폴딩이 외부 요인에 의하여 복귀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의사에 따른 조작을 통하여 그 폴딩이 효과적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접이식 의자의 구조를 개선시킬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eat plate is intentionally folded by the user's intention, the folding chair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without being returned by external factors and the folding chair can be effectively released by the user's intention. The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large can be sai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의자의 좌판이 접혀진 경우 그 접힘 상태(폴딩 상태)가 사용자의 의사에 의한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지기 전까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좌판의 접힘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높은 사용자 편의성이 구현된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ecessities, and when the seat plate of the chair is folded, the folded state (folding state)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until artificial manipulation by the user's doctor is applied. Of cour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with higher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folding of the seat plate to be release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 shown in the claim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는 몸체에 구비된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 중심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삽입 고정되며, 탄성 지지되는 오목 또는 볼록 형태의 끼움부가 외주면에 구비된 매개부재; 및 상기 끼움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매개부재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매개부재가 삽입고정된 샤프트에 대해 상기 좌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Chair to implement the seat f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at plat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haft provided in the body; An intermediate memb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haft through a central hole, and having a concave or convex fitting portio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such that the fit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and has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mounted, and the intermediate member rotates together with the seat plate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shaf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수평 지지바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in which case the shaft may be configured to extend rear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본 발명의 상기 매개부재의 끼움부는, 탄성 지지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의 장착공간은 상기 매개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supported protrusion, and the mounting space of the rotating member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or more grooves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inserted.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끼움 고정되도록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중심통공; 및 상기 중심통공 외주면에 구비되며, 이격 공간에 의하여 탄성지지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edi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ntral through-hole having a non-circular cross section to be fitted to the shaft;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hole, and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support made of a plate shap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a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이격공간 내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dia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 the separation space and physically suppo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좌판이 등받이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상기 좌판이 펼쳐진 경우 상기 회전부재의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좌판이 펼쳐졌을 때 상기 수평 지지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부가 하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otrusion of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seat plate is folded in the backrest direction or when the seat plate is unfolded, and the rotating member has the horizontal support bar when the seat plate is unfolded. The mounting groove to be seated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상기 본 발명의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에 의하는 경우, 좌판의 폴딩 유지(잠금 내지 고정)는 물론 그 해제 또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 보관, 이동, 운반, 적재 등에 대한 다양한 활용상의 효율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hair embodying the seat plate f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late folding (locking or fixing) as well as its release can be made by a simple and effective operation, use, storage, moving, transport, loading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efficiency and user convenience of various applications for suc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각 동작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 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어, 부품 제조 및 조립을 비롯하여 완성품 제조에도 더욱 높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 의자 구조에도 간단한 구조 변경만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더욱 높은 확장 적응성은 물론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that is organically combin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r efficiency in the manufacture of the finished product, including parts manufacturing and assembly, and through the simple structure change to the existing chair structure It can be implemented effectively, resulting in higher scalability and economic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좌판이 펼쳐진 상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좌판이 폴딩된 상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샤프트, 매개부재, 회전부재 등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매개부재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회전부재, 매개부재, 좌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좌판이 펼쳐진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좌판이 회전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좌판이 폴딩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의자가 수평 방향으로 겹쳐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matter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at plate unfolded stat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eat plate fold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haft, an intermediate member, and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otating member, an intermediate member, and a seat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plate is unfold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plate is rotat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t plate is folded,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ch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lap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좌판폴딩 고정 장치가 구현된 의자(이하 의자로 지칭한다)(100)에서 좌판(120)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100)는 일반 접이식 의자와 같이 의자의 몸체(110) 및 좌판(120)을 비롯하여 의자를 지지하는 다리, 사람의 등을 받혀주는 등받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은 좌판만이 접이되는 의자를 비롯하여, 다리도 힌지 등의 결합에 의하여 접이되는 의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핵심적인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부각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좌판이 접이되는 의자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hair that is folded only by a combination of a hinge and the like, as well as a chair in which only the seat plate is folded. However,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ighlight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of which the seat plate is fold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등받이, 팔걸이, 다리 바퀴 등은 일반적인 의자 형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 부분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므로 특정 의자 형태에 제한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이에 의한 권리 범위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backrest, armrests, casters, etc. are merely for illustrating a general chair shap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esent in this part,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thereof are limited to specific chair types. Should be interpreted as not.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의자(100)에서 펼쳐진 좌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으로 기능하는 소정의 샤프트(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등받이 방향으로 폴딩되어 접혀질 수 있다. 좌판(120) 하면에는 좌판(1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150)가 구비되는데, 후술되는 매개부재(140)와 함께 샤프트(130)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운동을 지지하게 된다.The
수평 지지봉(135)은 의자 몸체(11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의자 몸체의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좌판이 아래로 내려와 펼쳐지는 경우 좌판(120) 및 좌판에 착석한 사람의 하중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실시형태에 따라 수평 지지봉(135)에 필요한 형상적 변경을 가하여 수평 지지봉(135) 자체를 샤프트(130)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0)를 수평 지지봉(135)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좌판(120)의 하중을 전방 후방 양쪽에서 지지할 수 있어 하중을 분산할 수 있음은 물론, 좌판(120)이 펼쳐진 경우 좌판(120)의 수평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의자(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 3 등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100)를 구성하는 샤프트(130), 매개부재(140), 회전부재(150) 등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0)의 일단은 수평 지지봉(135)과 연결되며, 다른 한쪽 끝은 매개부재(140)의 매개를 통하여 회전부재(150)와 끼움 결합된다. 이 회전부재(150)는 좌판(120)에 고정되는 형태로 결합되므로 좌판(120)과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자(100)의 좌판(120)은 샤프트(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본 발명의 매개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1), 통공(142), 탄성지지부(143), 이격공간(144), 플렌지(145) 및 지지돌기(1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매개부재(140)는 중심 부위의 통공(142)을 통하여 샤프트(130)의 일단과 끼움 결합되는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좌판(120)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아야 하므로 샤프트(130) 고정된다. 샤프트(130)에 매개부재(140)를 고정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양한 적용 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부품 제조의 편리성, 착탈의 용이성, 고정의 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샤프트(130)의 일단과 통공(142)의 단면을 상호 대응되는 비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의 회전부재(150)는, 상기 매개부재(140)가 삽입고정된 샤프트(130)를 축으로 상기 좌판(120)과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20) 하면에 형성된 결합 공간(125)에 끼움 장착된 후 볼트(10)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홀(154) 및 좌판(120)의 결합홀(127)과 결합됨으로써 좌판(120)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고정된다.Rotating
상기 회전부재(150)는 중공 형태의 장착공간(151)이 구비되는데, 이 장착공간(151)으로 앞서 설명된 매개부재(140), 구체적으로 샤프트(130)에 고정된 매개부재(140)가 끼움 결합되어 장착된다. 상기 구성들이 결합된 단면을 기준으로 하면, 가장 내부에 샤프트(130)가 놓이고, 그 바깥에 매개부재(140)가 위치하며 가장 외곽에 회전부재(150)가 위치하게 된다.The rotating
상기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는 탄성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좌판(120)이 회전되는 경우 특정 위치에서 회전부재(150)의 장착공간(151)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부(153)에 끼움 내지 삽입되는데, 좌판(120)이 폴딩되는 경우 또는 좌판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경우 돌출부(141)가 홈부(153)에 삽입되도록 좌판의 회전 반경 내지 회전각도를 고려하여 돌출부(141) 내지 홈부(153)가 구비되는 위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활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150)의 장착공간(151) 단면은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통상적으로 좌판(120)의 폴딩과 펼쳐짐은 90도의 각도를 이루므로 도 6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1)를 양 방향에 각각 배치하고, 홈부(153)를 90도 이격 각도를 두면서 배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돌출부(141) 및 홈부(153)의 개수 내지 위치를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또한, 돌출부(13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좌판(120)의 회전 시 홈부(153)에 끼움 결합되어 특정 임계치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좌판(120)의 현재 위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응되는 관점에서 회전부재(150)의 홈부(153) 또한 그러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131 is fitted to the
한편, 돌출부(131) 자체를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통공(142) 외주면에 구비되며 이격 공간(144)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탄성지지부(143)의 중심 부위에 돌출부(13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131 itself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of course, as shown in Figure 4 for the implementation of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through
이 경우, 회전부재(150),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50)의 장착공간(151)이 원활하게 지지되면서 회전 운동을 가이드 받을 수 있도록 탄성지지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개부재(140)의 외주면 단면은 장착공간(151)의 지름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호가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전반적으로 원형에 가깝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와 함께 돌출부(141) 또는 탄성지지부(143)의 지속 사용에 의한 과도한 탄성 변형 내지 형상 왜곡을 방지하고 그로 의해 좌판(120)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매개부재(140)는 이격 공간(144) 내 상기 돌출부(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141) 또는 탄성지지부(143)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a member (to prevent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or shape distortion caused by the continuous use of the
이러한 지지돌기(147)를 통하여 돌출부(141) 또는 탄성지지부(143)의 물리적 이동 거리를 특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어 좌판(120)의 더욱 장기적이고 원활한 회전 운동을 보장할 수 있고,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와 회전부재(150)의 홈부(153) 사이의 끼움 결합에 의한 좌판(120)의 폴딩 유지 및 해제가 정해진 적절한 힘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 높이와 회전부재(150)의 홈부(153) 깊이가 클수록 돌출부(141)를 홈부(153) 밖으로 이탈시키는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며, 작을수록 돌출부(141)를 홈부(153) 밖으로 이탈시키는데 상대적으로 더 작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사용자 측면에서 본다면, 좌판(120)을 회전시켜 폴딩을 고정시키거나 이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힘의 역학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의자가 사용되는 형태 내지 환경, 제품 사용 등에 따라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 높이 등을 차등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greater the height of the
한편, 회전부재(150)의 장착공간(151) 입구 측에는 매개부재(140)의 단부에 구비된 플렌지(145)가 안착되는 단턱부(155)가 구비되어 매개부재(140)가 더욱 용이하게 장착공간(151)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t the inlet side of the mounting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좌판 회전에 의한 폴딩 고정 및 그 해제에 대한 각 구성요소 간의 동작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이하의 설명은 앞서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좌판(120)이 폴딩된 경우와 좌판(120)이 펼쳐진 경우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가 회전부재(150)의 홈부(153)에 삽입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6 to 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for the folding fixed by the seat plate rotation and its release. 6, as described briefly above, when the
도 6은 좌판(120)이 펼쳐진 경우 즉,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하여 좌판(120)이 내려진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간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인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50)의 홈부(153)는 4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는 마주보는 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좌판이 펼쳐진 경우를 좌판 회전의 시작으로 전제한다. 이 경우, 매개부재(140)의 돌출부(141)는 회전부재(150)의 마주보는 홈부(153) 2 곳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특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은 한 펼쳐진 좌판(120)은 그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case where the seat plate is opened is assumed to be the start of the seat plate rotation. In this case, since th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좌판(120)에 임계치 이상의 힘이 시계 방향으로 가해지면 홈부(153)에 삽입된 돌출부(141)는 홈부(153)를 이탈하게 되며 돌출부(141)는 판상 지지부(143) 또는 지지돌기(147)의 탄성 내지 물리적 지지를 받으며 후방(원 중심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판(1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7, when a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is applied to the
시계 방향으로의 외부 힘이 더 가해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20)이 폴딩 위치까지 회전 이동하면, 후방으로 밀려나 있던 돌출부(141)와 판상 지지부(143)는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복원되므로 돌출부(141)는 다시 회전부재(150)의 홈부(153)로 끼움 내지 삽입되게 된다.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further applied and the
이렇게 돌출부(141)가 홈부(153)에 끼움 삽입된 후, 다시 임계치 이상의 힘이 반 시계방향으로 가해지면 돌출부(141)가 홈부(153)를 이탈하게 되어 도 7의 상태를 거쳐 도 6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After the
이와 같은 동작 원리에 의하여 폴딩된 좌판(120)은 특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한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의도되지 않은 외부 충격이나 부딪힘 등에 의하여 좌판(120)이 다시 내려오는 등의 종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바(135)가 좌판(120)의 회전 운동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좌판(120)이 수평 지지바(135)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150)의 하면에 수평 지지바(135)가 안착되는 안착 홈부(157)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상의 설명과 도면 등에서는 본 발명의 매개부재(140)가 볼록의 외주면(돌출부)을 가지고 이에 상응하는 차원에서 회전부재(150)의 장착공간(151)의 내주면이 오목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도시된 실시예와는 반대로 매개부재(140)가 오목의 외주면을 가지고 회전부재(150)의 장착공간(141) 내주면이 볼록의 형상을 가져도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작동 원리가 그대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매개부재(140)는 탄성 지지되는 오목 또는 볼록 형태의 끼움부가 외주면에 구비되고, 본 발명의 회전부재(150)는 상기 끼움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도록 끼움부에 상응(볼록 또는 오목 형태)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며 매개부재(14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51)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the
이 매개부재(140)의 끼움부가 앞서 설명된,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돌출부(141) 자체 또는 판상 지지부(143)에 의하여 지지되는 돌출부(141)에 상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fitting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좌판의 폴딩이 고정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본 발명의 의자(100)를 복수 개 겹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의자 간의 겹침을 위하여 의자(100)의 앞 다리 사이의 간격과 뒤 다리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짐은 자명하다.When the folding of the seat plate is fix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a plurality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thereof may be shown in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forms of modification application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consideration.
100 : 의자 110 : 몸체
120 : 좌판 130 : 샤프트
135 : 수평 지지바 140 : 매개부재
141 : 돌출부 142 : 통공
143 : 판상 지지부 144 : 이격 공간
145 : 플렌지 147 : 지지돌기
150 : 회전부재 151 : 장착공간
153 : 홈부 155 : 단턱부
157 : 안착홈부100: chair 110: body
120: seat 130: shaft
135: horizontal support bar 140: intermediate member
141: protrusion 142: through hole
143: plate support 144: spaced apart
145: flange 147: support protrusion
150: rotating member 151: mounting space
153: groove portion 155: stepped portion
157: seating groove
Claims (7)
중심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삽입 고정되며, 탄성 지지되는 오목 또는 볼록 형태의 끼움부가 외주면에 구비된 매개부재; 및
상기 끼움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매개부재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매개부재가 삽입고정된 샤프트에 대해 상기 좌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A seat plat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a shaft provided in the body;
An intermediate memb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haft through a central hole, and having a concave or convex fitting portio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otating member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and having a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intermediate member so that the fit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intermediate member rotates together with the seat plate with respect to the shaft into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inserted. Chair seat embodied folding seat fix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수평 지지바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The chair is implemented chair seat folding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to the rear.
탄성 지지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의 장착공간은 상기 매개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tting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Consists of an elastically supported protrusion,
The mounting space of the rotating member is a chair with a seat plate folding fix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least one groov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상기 샤프트에 끼움 고정되도록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중심통공; 및
상기 중심통공 외주면에 구비되며, 이격 공간에 의하여 탄성지지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의 중심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termediate member,
A central through-hole having a non-circular cross section to be fixed to the shaft;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hole, and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made of a plate shap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paration spac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hair is embodied seat plate f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
상기 이격공간 내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rmediate member,
The chair provided with a seat folding folding devic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 the separation spa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rotrusion for physically suppo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상기 좌판이 등받이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상기 좌판이 펼쳐진 경우 상기 회전부재의 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폴딩 고정 장치가 구현된 의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sion of the fastening member,
When the seat plate is folded in the backrest direction or the seat plate is unfolded, the seat plate folding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좌판이 펼쳐졌을 때 상기 수평 지지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부가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폴딩 고정장치가 구현된 의자.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ng member,
Chair seat folding fastening device is implemen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when the seat plate is unfolded when the horizontal support bar is se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389A KR20130079727A (en) | 2012-01-03 | 2012-01-03 |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389A KR20130079727A (en) | 2012-01-03 | 2012-01-03 |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727A true KR20130079727A (en) | 2013-07-11 |
Family
ID=4899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0389A KR20130079727A (en) | 2012-01-03 | 2012-01-03 |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972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70604A (en) * | 2014-04-03 | 2015-10-14 | 爱知株式会社 | Chair |
JP2017079879A (en) * | 2015-10-23 | 2017-05-18 | コクヨ株式会社 | Chair |
KR102699021B1 (en) | 2024-03-13 | 2024-08-26 | (주) 파트라 | Folding seat |
-
2012
- 2012-01-03 KR KR1020120000389A patent/KR2013007972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70604A (en) * | 2014-04-03 | 2015-10-14 | 爱知株式会社 | Chair |
EP2926691A3 (en) * | 2014-04-03 | 2015-10-28 | Aichi Co., Ltd. | Chair |
US9872567B2 (en) | 2014-04-03 | 2018-01-23 | Aichi Co., Ltd. | Chair with positioning member |
US20180103762A1 (en) * | 2014-04-03 | 2018-04-19 | Aichi Co., Ltd. | Chair with positioning member |
US10258161B2 (en) | 2014-04-03 | 2019-04-16 | Aichi Co., Ltd. | Chair with positioning member |
EP3516992A1 (en) * | 2014-04-03 | 2019-07-31 | Aichi Co., Ltd. | Chair |
CN111387742A (en) * | 2014-04-03 | 2020-07-10 | 爱知株式会社 | Chair with improved comfort |
JP2017079879A (en) * | 2015-10-23 | 2017-05-18 | コクヨ株式会社 | Chair |
KR102699021B1 (en) | 2024-03-13 | 2024-08-26 | (주) 파트라 | Folding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39238B1 (en) | Folding chair | |
KR20150016616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 |
KR20130079727A (en) |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 |
JP2017510337A (en) | Movable furniture, especially chairs | |
KR101045677B1 (en) | Chair with foldable armrest | |
US20120055378A1 (en) | Supported tray system | |
FR2981829A1 (en) | MULTIFUNCTION CASE | |
US7832797B2 (en) | Foldable furniture | |
US20170042335A1 (en) | Seating device | |
KR101589829B1 (en) | Small size type folding chair | |
KR101004755B1 (en) | Folding chair | |
CN204048917U (en) | Rocking chair with two hands folded | |
CN201840093U (en) | Simple folding stool | |
SE539187C2 (en) | Backrest assembly | |
TWM494160U (en) | Platform structure capable of being folded for storage | |
KR200491269Y1 (en) | A slide soap dish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height and having bending function | |
KR20070092849A (en) | Chair integrated functional table system | |
CN204541418U (en) | A kind of stool | |
KR102332557B1 (en) | Long chairs for worship | |
JP5915241B2 (en) | Chair | |
KR200238669Y1 (en) | Simple folding table for bus | |
JP6197067B1 (en) | Chair cradle | |
KR200451463Y1 (en) | Variable support structure of computer body | |
KR101210873B1 (en) | Table-mounted chairs | |
KR200250567Y1 (en) | Chair with swiveling chairb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