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014A - Cooking vessel - Google Patents
Cooking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8014A KR20130078014A KR1020110146718A KR20110146718A KR20130078014A KR 20130078014 A KR20130078014 A KR 20130078014A KR 1020110146718 A KR1020110146718 A KR 1020110146718A KR 20110146718 A KR20110146718 A KR 20110146718A KR 20130078014 A KR20130078014 A KR 201300780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vessel
- cooking
- food
- curved surface
- opening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상부 일측에 개구면보다 연장된 연장단부를 형성하고 그 연장단부는 내향된 굴곡면을 이루도록 한 구성으로 조리용기를 흔들어서 음식물이 저어지도록 하거나 뒤집는 조리를 할 때 내향 굴곡면에 의해 음식물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용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은 개구면을 통해 쉽게 비울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반구형으로 상향 만곡되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 일측벽에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는 조리용기로 이루어지되 조리용기의 상부 전방에 개구면 보다 연장 형성된 연장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단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굴곡면을 형성하여서 된 주방용 조리용기를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emispherical shape of the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pening surface and the extension end is formed inwardly curved surface In order to prevent food from stir- ing by shaking the cooking container or to prevent food from being thrown out by the inwardly curved surface when cooking, the food cooked in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easily emptied through the opening surface. It's about courag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receiving portion consisting of a side wall formed of the same height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curved upwar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cooking vessel is coupled to the rear one side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but in fron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An extended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pening surface is formed, and the extended end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kitchen cooking vessel formed by forming a curved surface b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상부 일측에 개구면보다 연장된 연장단부를 형성하고 그 연장단부는 내향된 굴곡면을 이루도록 한 구성으로 조리용기를 흔들어서 음식물이 저어지도록 하거나 뒤집는 조리를 할 때 내향 굴곡면에 의해 음식물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용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은 개구면을 통해 쉽게 비울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emispherical shape of the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pening surface and the extension end is formed inwardly curved surface In order to prevent food from stir- ing by shaking the cooking container or to prevent food from being thrown out by the inwardly curved surface when cooking, the food cooked in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easily emptied through the opening surface. It's about courage.
일반적으로 중식요리 등과 같이 음식물을 익히거나 볶는데 사용하는 조리용기는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반구형(일부 중앙부가 평평한 것 포함) 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즉 외곽이 소정 반경을 가지고 상향으로 만곡된 후 상향으로 소정 높이의 용기 측벽을 이루며, 용기의 한쪽 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다.
In general, cooking vessels used to cook or fry foods, such as Chinese cuisine, are open at the top and hemispherical (including a flat portion at the center), that is, the outer edge is curved upward with a predetermined radius. It forms a container side wall of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and a handl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이러한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볶는 조리를 하게 될 때 손잡이를 잡고 조리용기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면서 조리용기의 전후가 번갈아가면서 위로 들려지도록 하는 형태로 조리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이 저어지도록 하거나 뒤집어지도록 하는 조리를 하게 된다.
When cooking or roasting food using such a cooking container, grab the handle and shake the cooking container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ooking container are alternately lifted up to stir or flip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Cook to cook.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조리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숙달된 숙련자 외에는 조리용기를 전후로 흔들고 위로 들려지도록 할 때 음식물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면서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kitchen cooking vesse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oking vessel is shaken back and forth and lifted up by the skilled person other than the skilled person, the food is often leaned forward and protrudes forward.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047569호로 개시된 조리용기에서는 조리용기의 상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조리용기에서 음식물을 뒤집어 줄 때 걸림턱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외측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조리용기의 구조에서는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상부 개구면이 동일선상으로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의 개구면 일측을 안쪽으로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턱의 절곡부위는 개구면에 비해 낮은 위치에 놓여지면서 음식물이 담겨지는 수용부의 전,후방 측벽 높이 편차가 발생하는 불균형으로 인하여 음식물을 뒤집기할 때 오히려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In view of this, in the cooking vessel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47569, food is splashed out of the cooking vessel by the locking jaw when the food container is inverted by forming a locking jaw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lthough it was possible to prevent the outgoing, in the structure of the cooking vessel as described above, food is bent inwardly by opening one side of the opening surface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s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same line to form a locking step. Since the bent portion of the locking jaw is plac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opening surface, the posture may become unstable when the food is flipped due to an imbalance in which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of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food is placed occurs. .
또, 조리용기의 상부 일측이 안쪽으로 꺾여진 절곡부위와 그렇치 않은 나머지 부분의 외경이 달라지게 되면서 절곡부위는 상부 내측으로 꺽인 상태이므로 조리용기를 버너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조리를 할 때에는 버너의 화염이 용기 외벽을 따라 절곡부위를 통해 화염이 상부 내측으로 유도가 되어 오히려 조리용기의 수용부 상측이 화염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어 뒤집기와 같은 조리를 하지않고 조리용기가 안치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음식물 조리를 하는데 지장을 초래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bent inwar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ther portion is not changed, the bent portion is bent into the upper inner portion, so when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in the burner, the burner flame is burned. The flame is guided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bent portio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vessel,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directly affected by the flame, so that the general food is cooked in a state where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without cooking such as flipping. There are problems such as causing trouble in doing.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의 상부 개구면이 동일선상으로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의 개구면 일측을 안쪽으로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한 구성은 조리용기의 제품 일부가 찌그러진 형태로 제품이 손상된 것처럼 보여지고 음식물이 담겨지는 수용부가 좁아진 형태가 되므로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절곡부위의 각도를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수용부의 측벽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수용부가 좁아지고 절곡되지 않는 부분은 경계부에 의해 절곡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that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s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same lin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cking jaw is formed by bending one side of the opening surface of the front inward is damaged in the form of a product in which the product of the cooking vessel is crushed. As it appears that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food, the shape of the container is narrowed, so it is not only to reduce the value of the product but also to increase the angle of the bent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adjust the bending angl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조리용기와 같이 음식물이 담겨지는 수용부의 측벽 높이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조리용기의 상부 전방에 연장단부를 형성하고 그 연장단부를 내향 절곡하여서 된 굴곡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굴곡면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면서 내향 굴곡면에 의해 음식물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용기에서 조리된 음식물은 개구면을 통해 쉽게 비울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by forming an extended end portion in the upper front of the cooking vessel and bending the extension end inward while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food is contained, such as a conventional cooking vessel. By providing an easy to adjust the angle of the curved surface while preventing the food from being bounced out by the inwardly curved surface and the food cooked in the cooking vessel to provide an easy cooking vessel to empty through the opening surface have.
본 발명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반구형으로 상향 만곡되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 일측벽에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는 조리용기로 이루어지되 조리용기의 상부 전방에 개구면 보다 연장 형성된 연장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단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굴곡면을 형성하여서 된 주방용 조리용기를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accommodating part consisting of a side wall formed at the same height by open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curved upwar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handle coupled to one rear wall of the accommodating part, but having an opening surface in front of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container. The extended end portion is formed to extend more, wherein the extended end is characterized by the kitchen cooking vessel formed by forming a curved surface b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조리용기의 상부는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굴곡면 시작부위와 개구면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formed with the same outer dia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made of the same height.
본 발명의 주방용 조리용기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상부 일측에 개구면보다 연장된 연장단부를 절곡하여서 된 내향된 굴곡면에 의해 조리용기를 흔들어서 음식물이 저어지도록 하거나 뒤집는 조리를 할 때 내향 굴곡면에 의해 음식물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효과를 가지면서 굴곡면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종래 조리용기의 원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형태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shakes the cooking vessel by an inwardly curved surface formed by bending an extended end extending from an opening surface to an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stir or flip food. When the foo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ood from being thrown outwards by the inwardly curved surface is easy to adjust the angle of the curved surface and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hape change so as not to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original shape of the cooking vessel.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리용기의 상부 전방에 내향 굴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면서도 조리용기의 상부 외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를 가스버너의 상측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조리는 하는 경우에도 조리용기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 등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조리용기의 외측벽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종래에 조리용기의 상부가 내측으로 꺾인 형태로 되어있는 경우에 수용부의 내측으로 화염이 유도되어 조리작업에 지장을 주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 조리용기를 흔들어서 조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가스버너의 상부에 안치시킨 조리할 때에도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wardly curved surfac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of the cooking vessel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cooking vessel is the same,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used even when cooking while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gas burner. If the flame generated by the gas burner for heating or the like is uniformly in contact with the entire outer wall of the cooking vessel, and if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conventionally bent inward, the flame is induced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container, thus preventing cooking. Since it does not cause a problem such as giving a cooking container shakes the cooking vessel as well as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use when cooking plac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as bur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조리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조리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조리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용 조리용기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조리용기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반구형으로 상향 만곡되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의 후방 일측벽에 손잡이(14)가 결합되어 있는 조리용기(10)로 이루어지되 조리용기(10)의 상부 전방에 개구면(16) 보다 연장 형성된 연장단부(18)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단부(18)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굴곡면(2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itchen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bent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상기 조리용기(10)는 상부 외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조리용기(10)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30) 등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조리용기(10)의 외측벽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조리용기(10)의 수용부(12) 상측에 화염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조리용기(10)의 연장단부(18)가 절곡되어 굴곡면(20)이 시작되는 부위와 개구면(16) 상단은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음식물(40)이 담겨지는 수용부(12)의 크기가 좁아지지 않고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리용기와 같이 동일한 원형을 유지하면서 굴곡면(20)이 상부 내측으로 더 형성된 구성으로 조리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조리용기(1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는 연장단부(18)는 조리용기(10)의 상부 둘레를 반분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연장단부(18)를 통해 음식물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개구면(16)을 통해서는 조리된 음식물을 쉽게 비울 수 있도록 한다.
Extended
그리고 상기 굴곡면(20)은 조리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단부(18)를 절곡하여 구성하는 것이므로 조리용기 사용자에 따라 절곡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굴곡면(20)의 절곡시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nd since 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주방용 조리용기는 통상의 조리용기와 같이 음식물이 담겨지는 수용부(12)의 측벽 높이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조리용기의 상부 전방에 연장단부(18)를 형성하고 그 연장단부(18)를 내향 절곡하여서 된 굴곡면(20)을 갖도록 함으로써 굴곡면(2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면서 내향 굴곡면(20)에 의해 음식물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용기(10)에서 조리된 음식물은 개구면(16)을 통해 쉽게 비울 수 있게 된다.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n
즉, 조리용기(1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볶는 조리를 하게 될 때 손잡이를 잡고 조리용기(10)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면서 조리용기의 전후가 번갈아가면서 위로 들려지도록 하는 형태로 조리용기(10)에 담겨진 음식물이 저어지도록 하거나 뒤집어지도록 하는 조리를 하게 될 때 음식물이 전방의 내향 굴곡면(20)에 의해 전방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cooking or roasting food by using the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10)는 전방 상측에 구비되 내향 굴곡면(20)은 손잡이를 잡고 조리용기(10)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면서 조리용기의 전후가 번갈아가면서 위로 들려지도록 하는 형태로 조리를 할 때 음식물이 조리용기(10)의 측벽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굴곡면(20)을 타고 경계로 하여 뒤집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수용부(12)의 상측으로 유도하므로 숙달되지 않은 비숙련자도 음식물이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고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10)는 상부 외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10)을 가스버너(30)의 상측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조리는 하는 경우에도 조리용기(10)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30) 등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조리용기(10)의 외측벽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고 종래에 조리용기(10)의 상부가 내측으로 꺾인 형태로 되어있는 경우에 수용부(12)의 내측으로 화염이 유도되어 조리작업에 지장을 주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이렇게 본 발명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수용부(12)의 크기가 좁아지지 않고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리용기와 같이 동일한 원형을 유지하면서 굴곡면(20)이 상부 내측으로 더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조리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조리용기(10)를 흔들어서 조리하는 경우에는 굴곡면(20)에 의해 음식물이 전방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버너(30)의 상부에 안치시킨 조리할 때에도 조리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조리용기 12 : 수용부
14 : 손잡이 16 : 개구면
18 : 연장단부 20 : 굴곡면
30 : 가스버너 40 : 음식물10: cooking vessel 12: receiving portion
14
18: extended end 20: curved surface
30
Claims (3)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curved upwardly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a receiving portion 12 consisting of sidewalls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a cooking vessel 10 having a handle 14 coupled to one rea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12. It is made to form an extended end portion 18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of the cooking vessel 10 extending than the opening surface 16, the extension end 18 is formed by forming a curved surface 20 b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Kitchen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조리용기(10)의 상부는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10 is a kitchen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outer diameter.
상기 조리용기(10)의 굴곡면(20) 시작부위와 개구면(16)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The method of claim 1,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curved surface 20 and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surface 16 of the cooking vessel 10 made of the same hei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6718A KR20130078014A (en) | 2011-12-30 | 2011-12-30 | Cooking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6718A KR20130078014A (en) | 2011-12-30 | 2011-12-30 | Cooking vess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8014A true KR20130078014A (en) | 2013-07-10 |
Family
ID=4899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6718A KR20130078014A (en) | 2011-12-30 | 2011-12-30 | Cooking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8014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45421A (en) * | 2015-01-22 | 2015-04-29 |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 Crescent cooking pan |
JP2023068893A (en) * | 2021-11-04 | 2023-05-18 | 秀豊 長内 | Spike |
-
2011
- 2011-12-30 KR KR1020110146718A patent/KR2013007801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45421A (en) * | 2015-01-22 | 2015-04-29 |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 Crescent cooking pan |
JP2023068893A (en) * | 2021-11-04 | 2023-05-18 | 秀豊 長内 | Spik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1190B1 (en) |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 |
CN101478899A (en) | Stackable pan set | |
EP3213664B1 (en) | Cooking vessel having detachable handle | |
JP6625888B2 (en) | Food container lid, food container | |
KR101785871B1 (en) | Frying Pan that Using Grilling Cook | |
KR20130078014A (en) | Cooking vessel | |
JP6866247B2 (en) | Food container lid and food container | |
JP7320245B2 (en) | Auxiliary container for rice cooking | |
JP5855044B2 (en) | Cooking container | |
JP2003190011A (en) | Stacking cooking container | |
KR102484110B1 (en) | Frying pan | |
KR101199343B1 (en) | Guider cap for a cooking pan | |
JP2012153390A (en) | Microwave cooking container | |
JP2019522516A (en) | Fly back | |
JP6547156B1 (en) | Cooking pot | |
KR102185069B1 (en) | Cooker | |
JP7004909B2 (en) | Liquid recovery tray | |
JPH11276355A (en) | Chinese pan | |
KR20110047569A (en) | Cooking container | |
KR101536924B1 (en) | Frypan for chef | |
JP3134535U (en) | Rice cooker for microwave oven | |
JP3194548U (en) | Container for porridge production | |
CN217243736U (en) | Anti-leakage frying pan | |
KR200410969Y1 (en) | frying pan | |
JP6144746B2 (en) | Lid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