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7372A -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372A
KR20130077372A KR1020110146043A KR20110146043A KR20130077372A KR 20130077372 A KR20130077372 A KR 20130077372A KR 1020110146043 A KR1020110146043 A KR 1020110146043A KR 20110146043 A KR20110146043 A KR 20110146043A KR 20130077372 A KR20130077372 A KR 20130077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support
terminal
rotating plate
terminal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혜숙
Original Assignee
원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혜숙 filed Critical 원혜숙
Priority to KR102011014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372A/en
Publication of KR2013007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72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단말기 화면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가능한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거치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치부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가 0 내지 350˚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거치부와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휴대폰, PMP, MP3, 태블릿PC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휴대형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rotatable terminal holder that can stably mount various sizes of terminals, can freely switch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creen, and is portable and can be used for a complex use. To this end,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to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ground, and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support portion can be rotated in a range of 0 to 350 ° based on the mounting portion. It provides a rotary terminal holder including a rot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lding and carrying or storing, the volume can be minimized, and portable terminals of various sizes such as mobile phones, PMPs, MP3s, and tablet PCs can be stably mounted.

Description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ROTATE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단말기 화면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가능한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able termina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be able to stably mount terminals of various sizes, to freely switch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creen, and to be portable and used for a complex use. It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최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박막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크기가 작고 얇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제품이 소개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 thin film typ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various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having a small size and thinness have been introduced.

이러한 LCD가 사용되는 휴대폰, PMP, 전자사전 등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The demand for such mobile phones, PMPs, electronic dictionaries using LCDs is increas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휴대용 전자제품은 다양한 복합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그 가격이 고가이며,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잦은 사용에 의하여 배터리 소모가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se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nclude a variety of complex functions, the price is expensive, the use frequency is very high. Frequent use of such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can drastically reduce battery consumption and often require recharging.

이와 같은 충전은 휴대폰 등을 충전기에 거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휴대폰 등을 거치하는 것은 비단, 이러한 목적만을 위한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거치를 필요로 한다.Such charging is general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a mobile phone or the like is mounted on a charger. However, it is not only for this purpose to mount the mobile phone, etc., but also requires the following cases.

상술한 유형의 휴대용 전자제품 중에는 액정표시장치를 통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시청하거나, 저장된 영상 자료를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비교적 장시간 시청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Among the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of the above-mentioned type, many products that are configured to watc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to view stored video data through a liquid crystal display have emerged, and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view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이와 같은 DMB 등의 시청은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제품을 파지한 상태에서 시청할 수도 있으나, 휴대용 전자제품을 장시간 파지하는 동작은 손이나 팔 등의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Such viewing of DMB may be viewed while the user hold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 long time may cause a burden on the body such as a hand or an arm. Various types of cradle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는 비교적 큰 부피로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 휴대 및 보관이 곤란하고, 다양한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하기가 어렵고, 전자제품의 거치용도 이외에는 사용이 곤란하게 구성되어 있다. However, such a cradle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volume, making it difficult to carry and store, difficult to move to various places, and difficult to use other than the mounting purpose of electronic products.

이에 따라,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휴대용 전자제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t is easy to carry and can stably mount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and development of a new cradl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functions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8926호(2007.11.2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78926 (August 22, 200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566호(2010.05.31 공개)Republic of 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0-0005566 (released May 31, 20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9528호(2006.10.24 공고)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9528 (August 24, 200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단말기의 화면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store because it is easy to use a modified form, it is possible to mount a terminal of various sizes stably, a rotatable terminal that can freely adjust the screen orientation of the mounted terminal To provide a crad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거치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가 0 내지 350˚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거치부와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 holder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terminal and the suppor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to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ground, based on the mounting portion To provide a rotatable terminal holder including a rota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can be rotated in the range of 0 to 350 °.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는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휴대폰, PMP, MP3, 태블릿PC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휴대형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The rotary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volume when it is folded or stored, and can stably mount portable terminals of various sizes such as mobile phones, PMPs, MP3s, tablet PCs,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은 지면에 밀착된 지지부를 기준으로 거치부가 넓은 회동각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된 단말기의 화면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d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can freely adjust the screen direction of th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거치하는 표면과 반대 방향에 거울이 설치된 종래의 거치대와 달리 단말기가 거치되는 표면에 거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치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cradle in which the mirror is inst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because the mirro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terminal is mounted, the mirror can be used by a simple operation of removing the terminal.

아울러, 본 발명은 방향제, 탈취제 등의 다양한 기능재를 선택적으로 내장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is formed to selectively incorporate a variety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fragrance, deodorant can satisfy a variety of tastes of the user.

나아가, 본 발명은 비교적 내구성이 취약한 안착판과 외부 오염에 취약한 마찰패드가 단말기를 거치할 때는 외부로 노출되지만,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착판이나 마찰패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and the friction pad, which are relatively weak in durability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terminal,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carrying or storing. Damage can be minimized.

게다가,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홀딩 및 분리가 용이하여 한 손으로도 단말기를 거치대에 홀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hold and detach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hold or detach the terminal to the holder with one h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otary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ota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o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otatable terminal holder shown in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rota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1)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otary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rotary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1)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형 단말기(100)를 거치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단말기(100)를 거치하는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에 연결되어 거치부(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20), 및 상기 거치부(10)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20)가 0 내지 350˚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거치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수단(30)을 포함한다.1 and 2, the rotatabl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various sizes, th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terminal 100 ( 10), the support portion 20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to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10 from the ground, and the support portion 20 based on the mounting portion 10 in the range of 0 to 350 degrees. Rotating means 30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to be rotated.

여기서, 휴대형 단말기란 휴대폰, PMP, MP3, 전자사전, 태블릿PC 등의 전자제품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박막형태의 화상부가 구비된 전자제품을 의미한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encompasse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PMPs, MP3s, electronic dictionaries, tablet PCs, and the like, and refers to electronic products provided with a thin film-shaped image unit to display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n one 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1)는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보관 시에는 거치부(10)와 지지부(20)를 서로 밀착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지지부(20)를 기준으로 거치부(10)를 회동시켜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abl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in a fixed form, but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stored in reference to the support portion 20. Rotate the mounting portion 10 to be used.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방향은 절대적인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1)를 기준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fer to an absolute direction, but is described based on the rotary terminal holder 1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1)는 지지부(2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20.

상기 지지부(20)는 회동수단(30)에 의해 거치부(10)와 연결되어 거치부(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표면에 지면과 면 접촉이 가능한 지지면이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by the rotation means 30 to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10 from the ground, the surface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의 일측면은 편평한 구조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one side of the support 20 is formed with a flat support surfac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may be formed to have an outwardly convex structure.

상기 지지부(20)는 회동수단(30)에 의해 거치부(10)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회동된 이후 지지면이 지면에 밀착된다. 즉, 접힌 상태에서는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20)의 지지면이 단말기 거치대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지만,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 거치부(10)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된다.The support portion 20 is rotated based on the mounting portion 10 by the rotation means 30, the support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fter the rotation. That is, in the folded state,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is located inside the terminal holder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u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10 for use as a holder.

상기 지지부(20)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지지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패드(21)는 천연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합성고무로 구성되며, 외부 충격에 의한 완충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20)의 표면에 밀착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이 없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surface of the support 20, preferably the support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n anti-skid friction pad 21. The friction pad 21 is composed of synthetic rubber such as natural rubber or silicon, and acts not only as a buffer by external impact but also to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lipping from the grou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0. do.

다시 말해, 상기 지지부(20)는 단말기 거치대(1)가 단말기(100)를 거치하기 위해 거치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20)의 지지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이때, 지지부(20)는 지지부 마찰패드(21)에 의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거치대(1)를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terminal holder 1 is used in the mounting mode for mounting the terminal 100,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is time, the support 20 can increase the friction force by the support friction pad 21,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holder (1).

한편, 상기 지지부(20)의 표면에는 기능재(24)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수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22)의 입구에는 수납홈(22)을 개폐하는 커버(23)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홈(22)이 형성된 표면의 반대 표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23)는 상기 지지부(20)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납홈(22)이 형성된 지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a)과 하판(20b)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groove 2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functional material 24, th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groove 22 at the inlet of the receiving groove ( 23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where the receiving groove 22 is formed. In this case, the cover 23 is rotatably coupled in the support 20. As such, the support part 20 in which the accommodation grooves 22 are formed may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plate 20a and the lower plate 20b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2.

상기 기능재(24)로는 화장품, 항균필터, 탈취제, 방향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교체가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다.The functional material 24 may be selectively used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smetics, antibacterial filters, deodorants, fragrances, and can be easily replaced when necessary.

상기 지지부(20) 내부에 항균필터가 구비되면, 상기 관통홀(25)을 통하여 항균물질 등이 외부와 소통되어 탈취효과 및 항균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When the antimicrobial filter is provided inside the support part 20, the antimicrobial material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25 to exert the deodorizing effect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이러한 항균필터는 기공을 갖는 활성탄으로 구성되어 탈취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항균필터는 은과 카테킨(catechin)이 함유될 수 있으며, 활성탄의 기공에 발생할 수 있는 박테리아의 기생을 차단하는 항균작용을 할 수도 있다. Such an antibacterial filter may be composed of activated carbon having pores to serve as a deodorant.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filter may contain silver and catechin, and may also act as an antimicrobial to block parasitic bacteria that may occur in the pores of activated carbon.

나아가, 항균필터는 방향성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항균 및 항진균력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항균필터에는 합성 살균제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연 항균물질을 함유한 살균제 조성물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antimicrobial filter may include an aromatic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may include an excellent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gent. The antibacterial filter may include a synthetic fungicide, bu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ungicide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antibacterial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side effects on the human body.

이에 따라, 상기 항균필터에는 레몬그라스 오일, 큐민오일, 마조람 오일, 바질오일, 클로버오일 및 베이오일, 베르가못, 마조람, 피톤치드, 타임, 라벤더, 유칼립투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tibacterial filter may include lemongrass oil, cumin oil, marjoram oil, basil oil, clover oil and bay oil, bergamot, marjoram, phytoncide, thyme, lavender, eucalyptus, or a mixture thereof.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에서는, 상기 지지부(20) 내부에 기능재(24)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material 24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art 20 and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1)는 거치부(1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10.

상기 거치부(10)는 단말기(100)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100)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지지부(20)와 일단이 연결되며, 그 표면에는 단말기(100)와 면 접촉이 가능한 안착면이 형성된다. The mounting portion 10 is to provide a mounting space of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be used, the support portion 20 and one end is connected,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100 Possible seating surfaces are formed.

그리고 거치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은 편평한 구조의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mounting portion 10, as shown in Figure 1, one side is a seating surface of a flat structure is formed,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may be formed in a convex structure to the outside.

상기 거치부(10)는 회동수단(30)에 의해 지지부(20)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회동된 이후 안착면에 단말기(100)가 밀착되면서 안착된다. 즉, 접힌 상태에서는 단말기(100)가 놓이는 상기 거치부(10)의 안착면은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 지지부(20)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된다.  The mounting portion 10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ortion 20 by the rotation means 30, and is moun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erminal 100 on the seating surface. That is, in the folded state, the seating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on which the terminal 100 is plac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it is located insid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portion 20 for use as a mounting stand.

상기 거치부(10)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안착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 마찰패드(12)는 천연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합성고무로 구성되며, 외부 충격에 의한 완충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거치부(10)의 표면에 거치된 단말기(100)가 거치부(10)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이 없이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anti-skid friction pad 1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preferably, the mounting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The mounting friction pad 12 is composed of synthetic rubber such as natural rubber or silicon, and not only serves as a shock absorbing effect by external impact, but also the terminal 100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0. It acts so that it can be stably seated without slipping from the surface of).

상기 마찰패드(12)는 거치부(10)의 표면에 안착된 단말기(100)에 안정적인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마찰패드의 내측에 위치한 거치부(10)의 표면에 거울(14)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 및 충격 흡수를 위하여 거치부(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패드(12)는 비교적 가는 두께, 예를 들면 1 내지 3㎜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iction pad 12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table friction force to the terminal 100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but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located inside the friction pad. While providing a space for the mirror 14 to be installed, it may be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mounting portion 10 for the overall stable structure and shock absorption. At this time, the friction pad 12 may be formed to a relatively thin thickness, for example 1 to 3mm.

필요에 따라, 거치부 마찰패드(12)는 지지부 마찰패드(21)와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거치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마찰패드를 복층으로 구비함으로써, 거치부(10)와 지지부(2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If necessary, the mounting friction pad 12 may be provided to face the support friction pad 21. This is to absorb a shock generat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by providing a friction pad in multiple layers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상기 거치부 마찰패드(12)가 구비된 안착면의 중앙에는 거울(1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0)에 단말기(100)를 거치하기 위해 지지부(20)를 기준으로 거치부(10)를 회동시키면, 마찰패드(12)가 구비된 안착면은 대체로 경사진 형태로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된다. 이때, 안착면에는 거울(14)이 형성되기 때문에, 거치된 단말기(100)를 이격시키면 단말기 거치대(1)는 별도의 조작 없이 거울(1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거울(14)이 부착된 단말기 거치대(1)는 단말기(100)를 안착시키는 안착면과 거울(14)의 부착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단말기 거치대(1)를 거울(14)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거울(14)을 사용자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조작 없이도 단말기 거치대(1)를 거울(14)로 사용할 수 있다.A mirror 14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friction pad 12 is provided. When the mounting unit 10 is rotated based on the support unit 20 to mount the terminal 100 on the mounting unit 10, the seating surface provided with the friction pad 12 is generally inclined to the user's field of view. Is exposed to. At this time, since the mirror 14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when the mounted terminal 100 is spaced apart, the terminal holder 1 can serve as the mirror 14 without any additional manipulation.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holder 1 to which the conventional mirror 14 is attached is different from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terminal 100 is seated and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mirror 14, so that the terminal holder 1 is mirrored 14. In order to use as a) it is necessary to move the mirror 14 to the position facing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terminal holder 1 as a mirror 14 without such operation.

또한, 상기 거치부(10)에는 거울(14) 대신 유리, 대리석, 석재 등에 그림이나 사진 또는 글 등이 식각된 식각보드나, 향나무 등의 목재 조각이나 인쇄층이 형성된 목재보드, 또는 화이트보드나 블랙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화이트보드는 펠트펜 등으로 글자나 그림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칠판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블랙보드는 통상의 칠판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0, instead of the mirror 14, glass, marble, stone, etc., such as an etched board etched in a picture, a picture or a text, a wooden board or a printed board formed with a piece of wood or printed layer of juniper, A black board may be provided. Here, the whiteboard is to display a letter or a picture with a felt pen, etc., which means that it is used for the same purpose as a conventional blackboard, the blackboard corresponds to a conventional blackboard.

아울러, 상기 거치부(10)와 지지부(20)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된 구조로 구성되며, 거치부(10)와 지지부(20)의 테두리는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거치부(10)와 지지부(20)가 접어진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 거치부(10)의 안착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보관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안착면에 구비되는 마찰패드(12)와 거울(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마찰패드(12)와 거울(14)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re formed in the same size, and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border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is connected to overlap each other desirable. This is to configure the mounting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re stored in a folded state. In other words, when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storage mode, the friction pad 12 and the mirror 14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riction pad 12 and the mirror are provided. (14) shall not be broken.

보다 구체적으로, 거치부(10)와 지지부(20)는 원형이나 동물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미감이나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or anim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or structural stability.

제 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거치부(10), 지지부(20), 또는 이들 모두가 광촉매(미도시)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는 거울(14)의 전면에도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광촉매는 광반응을 가속시키는 촉매를 의미하며, 세라믹물질로 빛을 흡수하여 기능을 발휘하는 소재이다.As a first embodiment,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not shown), the mounting portion 10, the support portion 20, or both. This photocatalyst may also be co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irror 14. Here, the photocatalyst means a catalyst for accelerating a photoreaction, and is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with a ceramic material and performs a function.

상기 광촉매로는 산화티탄 광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산화티탄 광촉매는 공기 중의 유기물에 대한 강력한 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 공기정화, 항균, 탈취, 방오 기능을 발휘한다. 다시 말해, 산화티탄 광촉매는 단말기 거치대(1)의 사용 공간에서의 공기 질 개선 및 단말기의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itanium oxide photocatalyst may be used as the photocatalyst, and the titanium oxide photocatalyst has a strong decomposition ability with respect to organic matter in the air, and performs indoor air purification, antibacterial, deodorization, and antifouling functions. In other words, the titanium oxide photocatalys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air quality and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terminal in the use space of the terminal holder (1).

제 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거치부(10)나 지지부(20)에 단말기 유선충전수단이나 무선충전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충전수단은 거치부(10)나 지지부(20)의 표면에 구비되는 무선충전용 패드, 및 상기 무선충전용 패드가 구비된 거치부(10)나 지지부(20)에 내장되며 무선충전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팩으로 구성된다.As a second embodiment,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wired charging means or a wireless charging means in the mounting portion 10 or the support 20. 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harging means is embedded in the mounting portion 10 or the support 20, the pad for wireless charging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or the support 20, and the wireless charging pad. It consists of a battery pack electrically connected to a wireless charging pad.

제 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거치부(10)나 지지부(20)에 음향출력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향출력수단은 거치부(10)나 지지부(20)에 내장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거치부(10)에 거치되는 단말기(100)의 I/O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는 케이블로 구성된다.
As a third embodiment,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means in the mounting portion 10 or the support portion 20. More specifically, the sound output means is connected to the I / O port of the terminal 100 mounted on the speaker 10 and the speaker 10, and the speaker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10 It consists of a cable that is equipped with a connector fo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거치부(10)와 지지부(2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편평하고, 서로 대칭인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로서 사용되는 경우 지지부(20)의 지지면을 지면에 밀착시키고 거치부(10)의 안착면을 단말기(100)에 밀착시킴으로써, 단말기(100)의 안정된 거치가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surface that faces each other and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volume when folded or carried or stored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when used as a cradle,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mount portion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rminal 100, thereby making stable mounting of the terminal 100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비교적 두툼한 두께로 형성되며, 파지가 쉽도록 전체적으로는 둥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가 손바닥 내부에 놓이도록 한 상태에서 파지하는 경우, 손바닥 면이 상기 거치부(10)나 지지부(20)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밀착할 수 있다.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is formed roundly as a whole for easy gripping.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holder 1 is grippe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lder 1 is placed inside the palm, the palm surface may naturall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holder 10 or the support 20.

또한, 상기 거치부(10)의 안착면과 지지부(20)의 지지면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성된 마찰패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20)가 지면에 놓이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10)와 지지부(20)를 접는 경우 양자가 닿음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friction pad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when the support portion 20 is placed on the ground, it prevents slippage and provides shock. Wh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re folde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shock that can be caused by the contact of both to ensure durability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아울러, 거치부(10)와 지지부(20)가 서로 대칭된 구조로 형성되면, 거치부(10)와 지지부(20)는 서로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충전수단은 거울(14) 대신 거치부(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능재(24) 대신 지지부(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단말기가 거치부(10) 대신 지지부(20)에도 거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may be us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each other.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means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10 instead of the mirror 14, it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portion 20 instead of the functional material 24. This is because the terminal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20 instead of the mounting unit 1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1)는 회동수단(3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means (30).

상기 회동수단(30)은 지지부(20)와 거치부(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거치부(10)의 회동된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절에 의하여 특정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means 3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mounting portion 10, is configured so that the rotated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 can be adjusted, to be fixed at a specific angle by the user's adjustment It can be configured to be.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수단(30)은 거치부(10)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20)가 0 내지 350˚ 범위(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회동된 각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부(20)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회동수단(30)은 거치부(10)의 상대적인 회동각이 약 315˚ 내외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means 30 is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support portion 20 can be rotated in the range of 0 to 350 degrees (angle rotated relative to the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10). It is responsible for adjusting the angle. At this time, the rotation means 3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fixed at about 315 degre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에서 거치부(10)와 지지부(20)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와 같이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회동수단(3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수단(30)이 지지부(20)와 거치부(10)에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거치부(10) 및 지지부(20)와 일체로 형성되고, 회동하는 부분이 상기 회동수단(30)에 해당할 수도 있다. In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portion coupled in this way may correspond to the rotation means 30. That is, the rotation means 30 is not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mounting portion 10, bu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rotating portion is It may correspond to the rotation means (30).

이하에서는, 상기 회동수단(30)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0) 및 지지부(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tation means 30 is formed separately,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수단(30)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3 and 4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회동수단(30)은 거치부(10)에 연결되는 제 1 회동판(32)과, 지지부(20)에 연결되는 제 2 회동판(34), 및 단말기(100)를 안착시키는 안착판(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안착판(36)은 단말기(1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질 수 있게 되며, 접혀진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게 된다.The rotating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ts the first rotating plate 32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terminal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ing plate (36). At this time, the seating plate 36 may have a length long enough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be stably mounted, and even when folded, it is form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crease the volume of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 및 안착판(36)은 도 3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적으로는 'T'자 형태로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rotating plate 32,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and the seating plate 36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ure 3, in this case formed as a 'T' shape as a whole do.

이러한 제 1 회동판(32)은 거치부(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회동판(34)은 지지부(2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회동판(32)에는 제 1 회동판(32)을 거치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회전축(R1)이 구비되며, 제 2 회동판(34)에는 제 2 회동판(34)을 지지부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회전축(R2)이 구비된다.The first rotating plate 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20.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plate 32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ng shaft R1 for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plate 32 to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has a second rotating plate 34.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ng shaft (R2) for connecting to the support.

또한, 제 1 회동판(32)에는 거치부(10)의 회동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회동판(3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에는 상기 홈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pivotal plate 3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pivotal plate 32 so tha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can be adjusted.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아울러, 안착판(36)은 상기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36)은 도 3와 같이 상기 거치부(10)와 지지부(20)가 접혀져 있는 경우에는 단부가 내부를 향하여 위치하고, 도 1과 같이 상기 거치부(10)가 휴대폰이 거치될 수 있도록 회동하는 경우에는 단부가 외부를 향하여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eating plate 36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it is formed in a form protruding to one side. The seating plate 36 is located in the end wh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is folded as shown in Figure 3, the mounting portion 10 as shown in Figure 1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When rotating so that the end is formed to face outward.

다른 실시 양태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은 힌지결합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판(36)은 제 1 회동판(32) 또는 제 2 회동판(34)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may be formed in a hinged structure, and the seating plate 36 may include the first rotating plate 32 or the like. 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ivoting plate 34.

이러한 제 1 회동판(32)은 일단이 상기 거치부(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 2 회동판(3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치부(10)와 접촉되는 제 1 회동판(32)의 양단에는 거치부(10)와 결합되는 원통형 돌기(33)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돌기가 결합되는 거치부(10)에는 원통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 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 돌기가 원통형 홈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임의의 제 1 원통형 돌기(33')와 제 2 원통형 돌기(33")의 사이에는 스프링이나 핀(pin)이 구비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ng plate 32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jection 33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the mounting portion 10 to which the cylindrical projection is coupled The cylindrical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ylindrical projection can be inserted. In this case, a spring or a pi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rbitrary first cylindrical protrusion 33 ′ and the second cylindrical protrusion 33 ″ so that the cylindrical protrusion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또한, 제 2 회동판(34)은 일단이 상기 지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 1 회동판(32)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와 접촉되는 제 2 회동판(34)의 양단에는 지지부(20)와 결합되는 원통형 돌기(35)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돌기가 결합되는 지지부(20)에는 원통형 돌기(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 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rotatable plate 3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20,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able plate 32. 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in contact with the support 2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jection 35 coupled to the support 20, the support 20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projection is a cylindrical projection Cylindrical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35 can be inserted.

아울러,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을 연결시키는 제 3 회전축(38)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rotating shaft 38 connecting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between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as shown in FIG. 5. It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이 분리형으로 구성된 회동수단은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회동수단과 달리 제 3 회전축(38)에 의해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means, in which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are separated, has a third rotational means, unlike the rotating means in which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are integrally formed. The rotating shaft 38 can precisely control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다시 말해, 일체형 회동수단은 보관모드 시에 거치부(1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면, 거치모드 시에 지지부(10)를 기준으로 180˚ 이상 회전된 거치부(10)의 일단(회동수단에 연결된 거치부의 일단)이 지지부의 일단(회동수단에 연결된 지지부의 일단)에 접촉되어 350˚까지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일체형 회동수단은 거치모드 시에 지지부(20)를 기준으로 거치부(10)가 350˚까지 회동되도록 구성되면, 보관모드 시에 거치부(1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integrated rotation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play does not occur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20 in the storage mode, the mounting portion rotated by 180 ° or mor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10 in the mounting mode. One end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otation means) of the support 10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rotation means) is not rotated to 350 °. In addition, when the integrated rotating means is configured to rotate up to 350 degrees based on the support 20 in the mounting mode, the clearanc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20 in the storage mode. Is generated.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회동수단은 보관모드 시에 거치부(1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거치모드 시에 지지부(20)를 기준으로 거치부(10)가 350˚까지 회동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5, the detachable rotation means is mounted based on the support unit 20 in the mounting mode even when the clearance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mounting unit 10 and the support unit 20 in the storage mode. The part 10 may be rotated up to 350 degrees.

한편, 상기 거치부(10)와 제 1 회동판(32)의 사이, 제 1 회동판(32)과 제 2 회동판(34)의 사이, 및 제 2 회동판(34)과 지지부(20)의 사이에는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 힌지(gear hinge)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32, between the first rotating plate 32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34 and the supporting unit 20. In between, a gear hinge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can be used.

이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0)을 제 1 회동판(32), 제 2 회동판(34), 안착판(36)으로 구성하면, 상기 거치부(10)와 지지부(20)를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안착부가 내부를 향하게 되어 보관이 용이하고, 거치대로 사용하는 경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용이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ivot means 30 includes the first pivot plate 32, the second pivot plate 34, and the seating plate 36, the pivot part 10 and the support part 20 are folded and stored. In this case, the relatively protruding seating portion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to facilitate storage, and when used as a mount, it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to facilitate the mount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거치대(1)는 카메라(40) 및 영상저장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40 and an image storing means 50.

상기 카메라(40)는 거치부(10) 또는 지지부(20)에 설치되어 단말기 거치대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 거치대(1)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 블랙박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차량의 내외부의 원활한 촬영을 위해 로테이팅(회전)될 수 있는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The camera 40 is installed on the holder 10 or the suppor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holder is installed. When the terminal holder 1 is installed in a vehicle, the camera 40 serves as a vehicle black box. It can also be done. Such a camera may be of a type that may rotate (rotate) for smooth shooting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영상저장수단(50)은 카메라(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4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지지부(20)의 수납홈(2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저장수단(50)은 자체적으로 내장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SD 카드 등의 외장메모리(200)가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storing means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40 to store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40, and may be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22 of the support 20. The image storing means 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nal memory by itself, bu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external memory 200 such as an SD card can be inserted and used.

이와 같이, 외장메모리(200)가 사용되는 타입의 영상저장수단(5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20)는 영상저장수단(50)의 내부로 SD 카드 등의 외장메모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20)의 표면에 외장메모리 삽입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image storage means 50 of the type in which the external memory 200 is used is provided, the support unit 20 inserts an external memory 200 such as an SD card into the image storage means 50. The external memory insertion groove 26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20 so as to be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 :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10 : 거치부
12 : 거치부 마찰패드 14 : 거울
20 : 지지부 21 : 지지부 마찰패드
22 : 수납홈 23 : 커버
24 : 기능재 25 : 관통홀
30 : 회동수단 32 : 제 1 회동판
34 : 제 2 회동판 36 : 안착판
40 : 카메라 50 : 영상저장수단
100 : 단말기
1: rotatable terminal holder 10: holder
12: mounting friction pad 14: mirror
20: support 21: support friction pad
22: receiving groove 23: cover
24: functional material 25: through hole
30: rotation means 32: first rotating plate
34: second rotating plate 36: seating plate
40: camera 50: image storage means
100: terminal

Claims (11)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거치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가 0 내지 350˚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거치부와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In the terminal holder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terminal and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ground,
Rotational terminal holder including a rota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can be rotated in the range of 0 to 350 ° relative to the moun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그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Rotating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kid friction pad is provided on the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는 거치부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의 내측에 위치한 거치부의 표면에는 거울, 식각보드, 목재보드, 화이트보드 또는 블랙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nti-skid friction pad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mounting portion,
Rotating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anti-skid friction pad, a mirror, an etching board, a wooden board, a white board or a black board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단말기 유선충전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2. The rota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wired charging means or a wireless charging means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표면에 구비되는 무선충전용 패드, 및 상기 거치부에 내장되며 무선충전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terminal pad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battery pack built in the mount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또는 지지부에 내장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단말기의 I/O 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음향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sound output means consisting of a speaker built in the mounting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and a cab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o the I / O port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Rotating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용 마찰패드가 구비된 거치부의 일측 표면에 접촉되는 지지부의 표면에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입구에는 수납홈을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지지부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수납홈에는 화장품, 항균필터, 탈취제, 방향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nti-skid friction pad,
An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upport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provided with the anti-skid friction pad, and an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a surface of the support part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is a rotary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functional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smetics, antibacterial filter, deodorant, fragran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는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ize with each other,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rotatable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rder of the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overlap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거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동판,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회동판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회동판, 및
상기 제 1 회동판 또는 제 2 회동판에 설치되어 단말기를 안착시키는 안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means
A first rotating plate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A second rotating plat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Rotating termina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ng plate or the second rotating plate seating the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제 1 회동판의 사이, 제 1 회동판과 제 2 회동판의 사이, 및 제 2 회동판과 지지부의 사이에는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 힌지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9,
Rotating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hinge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between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an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plate and the supporting portion. Terminal Cra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거치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A camera installed on the cradle to record the outside of the cradle; And
Rotating terminal holder further comprises an image storage means taken by the camera.
KR1020110146043A 2011-12-29 2011-12-29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Abandoned KR201300773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43A KR20130077372A (en) 2011-12-29 2011-12-29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43A KR20130077372A (en) 2011-12-29 2011-12-29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72A true KR20130077372A (en) 2013-07-09

Family

ID=4899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43A Abandoned KR20130077372A (en) 2011-12-29 2011-12-29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372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23B1 (en) * 2014-01-07 2015-05-04 신태선 Versatile rotating holder
KR20150075470A (en) * 2013-12-26 2015-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WO2016111490A1 (en) * 2015-01-08 2016-07-14 주식회사 비에스 Mobile device cradle having bluetooth speaker mounted thereon
WO2018117372A1 (en)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80091155A (en)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Multifunctional wearable cellular phone holder
KR102247774B1 (en) * 2021-02-17 2021-05-04 (주)피에이치원 Wired and wireless cradle
KR20210093717A (en) * 2020-01-20 2021-07-28 안영철 non-slip type smart phone chargeable supporter
KR20210103828A (en) * 2020-02-14 2021-08-24 윤여신 Holder for mobile device
KR20230089848A (en) * 2021-12-14 2023-06-21 한국전력공사 Supporting device for cabl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470A (en) * 2013-12-26 2015-07-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KR101514323B1 (en) * 2014-01-07 2015-05-04 신태선 Versatile rotating holder
WO2016111490A1 (en) * 2015-01-08 2016-07-14 주식회사 비에스 Mobile device cradle having bluetooth speaker mounted thereon
EP3361597A4 (en) * 2016-12-23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8668522A (en) * 2016-12-23 2018-10-16 三星电子株式会社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18117372A1 (en)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US10886760B2 (en) 2016-12-23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8668522B (en) * 2016-12-23 2023-01-13 三星电子株式会社 Wireless charging equipment
KR20180091155A (en)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Multifunctional wearable cellular phone holder
KR20210093717A (en) * 2020-01-20 2021-07-28 안영철 non-slip type smart phone chargeable supporter
WO2021149866A1 (en) * 2020-01-20 2021-07-29 안영철 Non-slip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easy mount replacement
KR20210103828A (en) * 2020-02-14 2021-08-24 윤여신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2247774B1 (en) * 2021-02-17 2021-05-04 (주)피에이치원 Wired and wireless cradle
KR20230089848A (en) * 2021-12-14 2023-06-21 한국전력공사 Supporting device for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7372A (en)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CN101026020B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US9019702B2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JP6821886B2 (en) Cylindrical biaxial hinges for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s with cylindrical biaxial hinges.
JP6684232B2 (en) Device holding structure
CN205812122U (en) A magnetic mobile phone ring holder
US20150076188A1 (en) Rugged cases for tablets
TW201244607A (en) Supporter
JP2012227794A (en) Finger hook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N114484172A (en) Support and terminal equipment subassembly
US20130293072A1 (en) Tablet and electronic media cover protector and handling apparatus
US20130140413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1527645A (en) Reading aid
KR20130008317A (en) Makeup case with prop for mobile equipments
JP2022066795A (en) Information device system and input apparatus
KR101140806B1 (en)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JP2015046074A (en) Protective cover
KR20120066402A (en) A supporter for a smart pad
CN210137354U (e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JP3114439U (en) Pan head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electronic camera
US9255662B2 (en) Mobile device mount and method of using
KR200488289Y1 (en) Stand of portable terminal
CN219755897U (en) Object supporting mechanism and use equipment with same
KR20120015202A (en) Cradle for Tablet PC
KR101979822B1 (en) A portable terminal case capable of being statio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6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