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6501A -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501A
KR20130076501A KR1020110145115A KR20110145115A KR20130076501A KR 20130076501 A KR20130076501 A KR 20130076501A KR 1020110145115 A KR1020110145115 A KR 1020110145115A KR 20110145115 A KR20110145115 A KR 20110145115A KR 20130076501 A KR20130076501 A KR 2013007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rs
battery module
laser welding
cen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8849B1 (en
Inventor
류재연
오세영
정승룡
박태진
강순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849B1/en
Publication of KR2013007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84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06Laser s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셀 리드를 상기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셀 리드를 상기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배출홈 및 배출구에 의해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where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ntral housing, a front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ral housing, and a rear housing disposed behind the central housing, the front housing and the center Each of the housings is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bars of the central housing are arranged at the rear of the busbars to serve as a jig for supporting to carry out laser welding to couple the cell leads to the busbars. And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erein each of the rear housing and the central housing is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bars of the central housing ar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us bar. Disposed to perform laser welding to couple the cell leads to the busbar. Characterized while performing the role of the jig for supporting to perform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roove formed longitudinally in response to the laser welding lin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jig role for supporting laser welding between the cell lead and the bus bar, and also performs a discharge role such as heat and gas generated on the back side during laser welding by the discharge groove and the discharge port. It can contribute to compactness and quality improvement.

Description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을 하우징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셀 리드(cell lead)와 버스바(busbar)의 용접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housing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capable of improving a welding process of a cell lead and a busbar.

배터리모듈의 제작 공정 중 셀 리드(cell lead)와 버스바(busbar)의 연결은 현재 일반적으로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용접을 위해 대부분의 배터리 제조사는 스틸물로 제작된 카운터바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 '-' 셀 리드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에 카운터바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cell lead and the busba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is generally made by laser welding. For this laser welding, most battery manufacturers use a counter bar made of steel material. To do this, there is a space for placing a counter bar between '+' and '-' cell leads or between cell leads and bus bars. Doing.

즉, 종래 배터리모듈에서 '+', '-'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의 연결은 위에서 확보된 공간에 삽입된 카운터바를 이용하여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연결된 셀들을 하우징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모듈이 제조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 and '-' cell leads or between the cell leads and the bus bars is performed between the cell leads or between the cell leads and the bus bars using a counter bar inserted in the space secured above. By laser welding. And the battery module is manufactured by housing the connected cells by laser welding.

이와 같이 종래 배터리모듈은 '+', '-'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의 용접 시 별도의 카운터바가 들어갈 공간이 필요하고, 용접 후 하우징에 삽입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터리모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As such,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requires a space for a separate counter bar to be welded between the '+' and '-' cell leads or between the cell leads and the bus bars, and is formed by inserting the housing into the housing after welding. If the size of the battery module is large, it is difficult to insert into the housing.

또한, 하우징에 삽입되는 공정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셀들을 하우징에 삽입한 후 용접을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방식에 의하면 용접을 위해 별도의 카운터바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에 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에 불필요한 형상이 필요하여 배터리모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가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difficulty of the process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may be considered a method of welding after inserting the cells into the housing, but according to this method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a separate counter bar for welding is unnecessary in the housing Since the shape is necessary, there is a problem of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battery module.

KR 10-2010-0097685 A, 2010. 09. 03, 도면 1KR 10-2010-0097685 A, 2010. 09. 03, drawing 1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용접을 위해 종래 이용되는 카운터바 없이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하여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jig role for supporting laser welding between cell leads or between cell leads and busbars without the conventionally used counter bar for laser welding, and in particular, the heat generated on the back side during laser welding and It is to provide a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pactness and quality of the battery module by performing the discharge role, such as ga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the central housing, the front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ral housing, the rear of the central housing And a rear housing disposed in the rear housing, wherein the front housing and the central housing are each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bars of the central housing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usbar to couple the cell leads to the busbar. And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ile serving as a jig for supporting the laser welding to be performed, wherein the rear housing and the central housing are each engag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Coupled, the bars of the central housing are arranged at the rear of the busba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ile serving as a jig for supporting to perform the laser welding for coupling the cell lead to the bus bar.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 및 후방 하우징의 바에 각각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The bar of the central housing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roove at an end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coupling to the bar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bar of the rear housing, respectively. The discharge groove may be formed in two rows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중앙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rs of the center housing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center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respectively, and the bars of the front housing extend from the front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housing, and the rear Bars of the housing may extend from the rear housing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housing.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바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중앙 하우징 바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rs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bars may b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center housing bars, respectively, to serve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y the ba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the central housing, the front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ral housing, and the central housing A rear housing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each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being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the bars of the rear housing being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usba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ile serving as a jig for supporting to perform laser welding for coupling.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에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The bar of the rear housing may include an outle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roove at an end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coupling to the front housing. The discharge groove may be formed in two rows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r of the rear housing may extend from the rear housing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bar of the front housing may extend from the front housing.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rs of the front housing may b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bars of the rear housing to serve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y the bar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하우징의 바에 의해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하우징의 바에 형성된 배출홈 및 배출구에 의해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As such,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jig role of supporting the laser welding between the cell leads or between the cell leads and the bus bars by the bars of the housing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discharge groove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bar of the housing to perform the discharge role such as heat and gas generated on the back during laser welding can contribute to the compactness and quality of the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이 적용된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의 바들이 맞물려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해 맞물려 결합된 바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 의해 결합된 바들이 용접을 위한 지그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비교예로서 본 실시예와 달리 배출홈이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의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도 6의 의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to which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engaging the bars of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ngagement.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bars engaged by the engagement with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of FIG. 1 and illustrates a diagram of explaining that the bars joined by FIG. 2 perform a jig role for weldin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discharg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re is no discharge groov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s a comparative example of FIG. 5.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이 적용된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배터리모듈은 2개의 적층된 셀들, 제1 적층 셀들(2) 및 제2 적층 셀들(6)로 이루어지고, 각 적층된 셀들에 속하는 전극(3,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지그로 하여 버스바(4, 8)에 레이저 용접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to which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battery module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two stacked cells, first stacked cells 2 and second stacked cells 6, and electrodes 3 and 7 belonging to each stacked cell are shown in this embodiment. Laser welding is carried out to the busbars 4 and 8 with the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ji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제1 적층 셀들(2)의 일측 및 제2 적층 셀들(6)의 일측을 양측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중앙 하우징(10)과, 제1 적층 셀들(2)의 타측과 결합하기 위한 전방 하우징(20)과, 제2 적층 셀들(6)의 타측과 결합하기 위한 후방 하우징(3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entral housing 10 for coupling one side of the first stacked cells 2 and one side of the second stacked cells 6 to both sides, respectively. A front housing 20 for coupl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acked cells 2 and a rear housing 30 for coupl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acked cells 6 may be provided.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중앙 하우징(10)과 전방 하우징(20) 만을 도시하였지만, 후방 하우징(30)과 전방 하우징(20)은 구조적으로 대칭되고, 기능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중앙 하우징(10)과 후방 하우징(30)과의 결합 과정은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에서 생략되었다.2 to 4, only the center housing 10 and the front housing 20 are shown for convenience, but the rear housing 30 and the front housing 20 are structurally symmetrical and functionally identical, so the center housing ( 10) and the coupling process of the rear housing 30 are omitted in the drawings of FIGS. 2 to 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20) 및 중앙 하우징(10) 각각은, 다수개의 바들을 구비하고, 전방 하우징(20)의 바(25)들 및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housing 20 and the central housing 10 each have a plurality of bars, the bars 25 of the front housing 20 and the bars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 Are combined by engaging with each other.

도 2에서는 후방 하우징(30)이 생략되었지만,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은 중앙 하우징(10)으로부터 전방 하우징(20) 및 후방 하우징(30)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Although the rear housing 30 is omitted in FIG. 2, the bars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extend from the central housing 10 toward the front housing 20 and the rear housing 30, respectively.

전방 하우징(20)의 바(25)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20)으로부터 중앙 하우징(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 하우징(30)의 바(35)들은 후방 하우징(30)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앙 하우징(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Bars 25 of the front housing 20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housing 20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housing 10 as shown in FIG. Bars 35 of the rear housing 30 may extend from the rear housing 30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housing 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4, 8)의 후면에 배치되어, 버스바(4, 8)에 폴딩된 셀 리드(3, 7)를 버스바(4, 8)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rs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coupled as shown in FIG. 3 are arranged at the rear of the bus bars 4, 8, as shown in FIG. 4, and folded to the bus bars 4, 8. It can serve as a jig for supporting to perform the laser welding for coupling the cell leads (3, 7) to the bus bars (4, 8).

또한,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 2 및 도 3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홈(152)을 구비하고, 전방 하우징(20)의 바(25) 및 후방 하우징(30)의 바(35)와 각각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배출홈(152)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15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rs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have discharge grooves 152 as shown in FIGS. 2 and 3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line as shown in FIG.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54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roove 152 at the end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coupling with the bar 25 and the bar 35 of the rear housing 3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outlet grooves may be formed in two rows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도 6의 비교예와 달리,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중앙 하우징(10)의 바(15)에 배출홈(152)을 구비하고 있어, 용접에 대응하여 뒷면에 발생하는 열 및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도 6의 비교예와 같은 폭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Unlike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6,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groove 152 in the bar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line. In response to the discharge of heat and gas generated on the back 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the explosion as in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도 8은 도 6의 비교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의 결과로서 도 7과 달리 용접 라인에 불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8 is a result of laser welding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 6, unlike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전방 하우징(20)의 바(25)들은,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과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U'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rs 25 of the front housing 20 coupled as shown in FIGS. 3 and 4 ar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bars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so as to act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U'.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중앙 하우징의 바(15)에 의해 셀 리드(3, 7)들 사이 또는 셀 리드(3, 7) 및 버스바(4, 8)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중앙 하우징의 바(15)에 형성된 배출홈(152) 및 배출구(154)에 의해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etween the cell leads 3 and 7 or between the cell leads 3 and 7 and the bus bar 4 by the bar 15 of the central housing engaged with each other. 8) In addition to performing a jig role for supporting laser welding between the discharge groove 152 and the outlet 154 formed in the bar 15 of the central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is generated on the back side during laser welding By performing the discharge role such as heat and gas can contribute to the compactness and quality of the battery modul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셀들이 2개로 이루어진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적층된 셀들이 1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having two stacked cells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stacked cells have 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적층된 셀들이 1개인 경우의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적층된 셀들이 1개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중앙 하우징(10)의 구성은 하우징의 구조에서 제외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in the case where one stacked cell is described will be described. Since there are one stacked cell,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housing 10 shown in FIG. 1 is excluded from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1개의 적층 셀들을 양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적층 셀들을 하우징하는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을 구비하고,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1개의 적층 셀들의 셀 리드들과 버스바가 사전에 정해진 연결을 위한 레이저 용접이 수행되도록 다수개의 바들을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housing and a rear housing which combine the stacked cells at both sides to house the stacked cells, and each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The cell leads and the busbars of the stacked cell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rs such that laser welding for a predetermined connection is performed.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 하우징의 바는 전술한 실시예의 중앙 하우징(10)의 바(15)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bar of the rea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rves as the bar 15 of the central housing 1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후방 하우징 바들은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전방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버스바에 폴딩된 상기 셀 리드를 상기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rear housing bars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rear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and ar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us bar, so that the jig for supporting the cell lead folded on the bus bar to perform laser welding for coupling to the bus bar. Play a role.

또한 후방 하우징 바들은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 그리고 이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여 용접시 뒷면에 발생하는 열 및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housing bars may have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roove to discharge heat and gas generated at the back side during welding.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하우징은 전술한 실시예의 전방 하우징(2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ront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ront housing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중앙 하우징(10)을 이용함으로써 단수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적층 셀들의 하우징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such,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housing of the plurality of stacked cells as well as the singular by using the central housing 10.

2: 제1 적층 셀들
3, 7: 셀 리드
4, 8: 버스바
6: 제2 적층 셀들
10: 중앙 하우징
15: 중앙 하우징의 바
152: 배출홈
154: 배출구
20: 전방 하우징
25: 전방 하우징의 바
30: 후방 하우징
35: 후방 하우징의 바
2: first stacked cells
3, 7: cell lead
4, 8: busbar
6: second stacked cells
10: central housing
15: Bar in the center housing
152: discharge groove
154: outlet
20: front housing
25: Bar in front housing
30: rear housing
35: bar in rear housing

Claims (10)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In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 center housing, a front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er housing, and a rear housing disposed behind the central housing,
Each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central housing are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bars of the central housing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usbar to support laser welding for coupling the cell leads to the busbar. It has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ile serving as a jig for
Each of the rear housing and the central housing is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bars of the central housing are arranged at the rear of the busbar to support laser welding to couple the cell leads to the busbar.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ile serving as a jig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 및 후방 하우징의 바에 각각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 of the central housing,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charge por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roove at the end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coupling to the bar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bar of the rear housing,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harge groove is formed in two rows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중앙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s of the center housing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center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respectively, and the bars of the front housing extend from the front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housing, and the rear The housing bar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s extending from the rear housing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바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중앙 하우징 바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rear housing bars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bars ar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center housing bars, respectively, and serve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y the bars.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In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 center housing, a front hous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er housing, and a rear housing disposed behind the central housing,
Each of the front and rear housings is coupled by a plurality of bar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bars of the rear housings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usbars to support laser welding for coupling the cell leads to the busbars.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aser welding line while serving as a jig f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에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ar of the rear housing,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charge por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groove at the end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coupling to the front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charge groove is formed in two rows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ar of the rear housing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rear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housing, the bar of the front housing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housing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10. The method of claim 9,
Bars of the front housing is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bars of the rear housing is coupled to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serves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y the bars.
KR1020110145115A 2011-12-28 2011-12-28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Active KR101298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5A KR101298849B1 (en) 2011-12-28 2011-12-28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5A KR101298849B1 (en) 2011-12-28 2011-12-28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01A true KR20130076501A (en) 2013-07-08
KR101298849B1 KR101298849B1 (en) 2013-08-23

Family

ID=4899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115A Active KR101298849B1 (en) 2011-12-28 2011-12-28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8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789A (en) * 2015-10-22 2018-05-29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oduction method of battery and battery
KR20180067672A (en) * 2015-10-22 2018-06-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Battery
KR20200104621A (en) *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Catridge for battery cell having counterbar ho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11302999B2 (en) 2018-04-19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Unit module including busbar frame structure which can facilitate wel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09B1 (en) 2017-09-29 2022-07-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KR102105665B1 (en) 2018-04-04 2020-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ressing jig for pressing a bus bar and a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131B1 (en) * 2006-05-22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
KR101260470B1 (en) * 2006-04-07 2013-05-06 타이코에이엠피(유) the connection appratus of battery cell module
KR101136800B1 (en) * 2008-02-29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Process for Preparation of Battery Modul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023184B1 (en) * 2010-11-01 2011-03-18 쓰리피시스템(주) Welding system and method of battery modu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789A (en) * 2015-10-22 2018-05-29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oduction method of battery and battery
KR20180067672A (en) * 2015-10-22 2018-06-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Battery
US10483519B2 (en) 2015-10-22 2019-11-19 Envision Aesc Japan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US11302999B2 (en) 2018-04-19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Unit module including busbar frame structure which can facilitate wel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20200104621A (en) *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Catridge for battery cell having counterbar ho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849B1 (en)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849B1 (en)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CN107925032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EP1872421B1 (en) Terminal-connecting means
KR101688488B1 (en) Battery module
CN104247091B (en) Battery Wiring module
JP7062185B2 (en) Busbar assembly
US8673480B2 (en) Support feature for joining of battery cell tabs
KR20190051157A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US20100266887A1 (en) Battery pack
JP6394964B2 (en) Power storage module
CN109148754A (en) Battery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9070822A (en) Electric coupling device of battery terminal
KR101456936B1 (en) Voltage sensing circuit for vehicle battery and Cell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298872B1 (en) 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JP6168359B2 (en) Wiring module
JP2010061962A (en) Terminal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US10290850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a bus bar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battery packs
JP2019186138A5 (en)
JP6557634B2 (en) Connection module
KR102463137B1 (en) Receptacle for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such a receptacle
US11411277B2 (en) Battery pack, power tool, and battery pack and power tool set
JP2009217989A (en) Battery pack
KR101611435B1 (en) Junction box for Solar cell panel
KR20170011206A (en) Pack Frame of Expandable Structure
JP2013089382A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