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684A -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 Google Patents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5684A KR20130075684A KR1020120152771A KR20120152771A KR20130075684A KR 20130075684 A KR20130075684 A KR 20130075684A KR 1020120152771 A KR1020120152771 A KR 1020120152771A KR 20120152771 A KR20120152771 A KR 20120152771A KR 20130075684 A KR20130075684 A KR 201300756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pipe
- suction body
- inlet
- j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크게 팔을 내밀지 않고, 또한 흡입체에 연결되는 관부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청소 개소를 확대 가능한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흡입구체(35)는 흡입구(36)를 갖는 길이 형상의 흡입체(37)와,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흡입구(36)의 개구 방향을 유지하는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흡입체(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회전 중심선 C와 대략 동축에 위치하는 개구(51)를 통해 흡입체(37)에 연통하여 접속되는 관부(38)와, 관부(38)의 도중에 있는 요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관절(39, 41)을 구비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uction inlet body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enlarge the cleaning location without the user greatly extending the arm and not affecting the length of the pipe portion connected to the suction body.
The inlet port 35 is biased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let body 37 having the inlet port 36 and the inlet body 37 to either end side,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inlet port 36. A pipe portion 38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line C, which is connected thereto, and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body 37 through an opening 51 located approximately coaxial with the rotation center line C. And at least one swingable joint (39, 41) in the middle of the pipe section (38).
Description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는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uction inlet body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절곡 가능한 접속관과, 이 접속관의 연장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T자 형상의 흡입체를 구비한다.The suction port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cludes a bendable tube and a T-shaped suction member rotatabl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ube.
이 T자 형상의 흡입체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에 회전 중심선을 갖는다.This T-shaped suction body has a rotation center line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체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에 회전 중심선이 있으므로, 흡입체의 길이 방향 길이의 절반의 회전 반경으로 회전한다. 이것으로부터 종래의 흡입구체에 있어서는, 접속관을 기준으로 취하면, 흡입체를 회전시켜도 흡입체의 길이 방향 길이의 절반밖에 바뀌지 않는다(연장되지 않음). 환언하면, 종래의 흡입구체는 흡입체를 회전시켜도 청소 범위가 확대되지 않아, 흡입체의 도달 가능한 거리는 바뀌지 않는다.Since the suction body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a rotation center line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rotates by half the rotation radius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uction body. From this, in the conventional suction port, when the suction pipe is taken as a reference, only half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body changes even when the suction body is rotated (not extended).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suction port does not expand the cleaning range even if the suction body is rotated, and the reachable distance of the suction body does not change.
흡입체를 회전시켜도 청소 범위가 확대되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보다도 높은 곳에 있는 청소 개소를 청소하는 경우, 특히 흡입구체를 보다 먼 곳에 도달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장척의 관부를 파지하는 팔을 크게 내밀 필요가 있다. 한편, 관부를 보다 장척의 것으로 함으로써도 흡입구체를 보다 먼 곳에 도달시킬 수 있다.When cleaning the cleaning area higher than the user's gaze by using an electric cleaner that does not expand the cleaning range even when the suction body is rotated, the user grips the long pipe part, especially when the suction port reaches a farther distance. You need to extend your arms. On the other hand, by making the pipe part more elongated, it is possible to reach the inlet port further.
그러나, 보다 먼 청소 개소로 흡입체를 도달시키기 위해, 흡입구체에 비해 무거운 관부를 연장하거나, 팔을 펴는 동작을 사용자에 강요하는 것은, 큰 우력이 생겨 사용자의 부하를 늘리고, 전기 청소기 및 흡입구체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시킨다. 특히,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같이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하는 장소가 청소 개소인 경우, 이 경향이 현저해진다.However, in order to reach the suction unit to a distant cleaning point, forcing the user to extend the heavy pipe portion or to extend the arm in comparison with the suction port may generate a large force, increase the load of the user, and increase the electric cleaner and the suction port. Impairs the ease of use. In particular, this tendency becomes remarkable when a place located at a considerably high place such a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s a cleaning lo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크게 팔을 내밀지 않고, 또한 흡입체에 연결되는 관부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청소 개소를 확대 가능한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suction inlet body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enlarge a cleaning location without the user making a big arm out and not affecting the length of the pipe portion connected to the suction bod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는 흡입구를 갖는 길이 형상의 흡입체와, 상기 흡입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상기 흡입구의 개구 방향을 유지하는 회전 중심선 주위로 상기 흡입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회전 중심선과 대략 동축에 위치하는 개구를 통해 상기 흡입체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도중에 있는 요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관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suction inlet body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hifts to the any one end side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body of a length-shaped inlet, and the said suction body, and opens the said suction port. A pipe part fluidly connected to the suction body through an opening located approximately coaxial with the rotation center line while rotatably supporting the suction body around a rotation center line maintaining a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joint.
이에 의해, 흡입체에 연결되는 관부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청소 개소를 확대 가능한 흡입구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reby, the suction inlet body which can enlarge a cleaning location can be provided, without affecting the length of the pipe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상기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e vacuum clean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said suction inlet body, and the electric blower fluidly connected to the said suction inlet body.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에 의해, 흡입체에 연결되는 관부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청소 개소를 확대 가능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by, the vacuum cleaner which can enlarge a cleaning location can be provided, without affecting the length of the pipe part connected to a suctio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다른 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규제 기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suction por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suction inle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positioning mechanism of the intake port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positioning mechanism of the intake port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restricting mechanism of an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of the inlet 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of the inlet 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intake po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intake po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intake po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use condition of the vacuum clean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suction inlet body and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이다. 전기 청소기(1)는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한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부(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5)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차륜(6)과,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위치하는 착탈 가능한 진애 분리 집진부(7)와, 본체 케이스(5)의 후반부에 위치하는 전동 송풍기(8)와, 주로 전동 송풍기(8)의 운전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와, 전동 송풍기(8)로 전력을 유도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한다.The vacuum cleaner
본체 케이스(5)는 관부(3)를 착탈 가능한 조인트로서의 본체 접속구(12)를 갖는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에 진애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로, 관부(3)와 진애 분리 집진부(7)를 연통하여 접속한다.The main body case 5 has a
진애 분리 집진부(7)는 전동 송풍기(8)가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관부(3) 및 본체 접속구(12)를 거쳐서 유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고, 축적함과 함께 공기를 전동 송풍기(8)로 보낸다.The dust
전동 송풍기(8)는 진애 분리 집진부(7)를 통과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을 발생한다.The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본체 제어부(9)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를 기억 장치에 기억한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9 includes a microprocessor (not shown), and a storage device (not shown) that stores various arithmetic programs, parameters, and the like executed by the microprocessor. The main body control unit 9 stores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that are set in advance in the storage device.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는 관부(3)로부터 수취하는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운전 모드 사이의 차이로서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 송풍기(8)의 입력값]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set in advance have different input values (input values of the electric blower 8)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mode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ipe part 3.
본체 제어부(9)는 관부(3)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하면,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 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운전 모드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제어를 행한다.When the main body control unit 9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pipe unit 3, the main body control unit 9 selectively selects an arbitrary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from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reads it from the storage unit, and reads the operation mode. Therefore, operation control of the
전원 코드(11)는 자유단부에 전원 플러그(14)를 구비한다.The
관부(3)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에 수반하여 청소기 본체(2)로부터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진애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조인트로서의 접속관(19)과, 접속관(19)에 연통하여 접속한 집진 호스(21)와, 집진 호스(21)에 연통하여 접속한 손잡이 조작관(22)과,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23)와, 파지부(23)에 위치하는 조작부(24)와,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5)과, 연장관(25)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구비한다.The pipe part 3 sucks air containing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guides it to the cleaner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를 통해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하여 접속되어 있다.The
집진 호스(21)는 장척이고 플렉시블한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의 단부(진애를 포함한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 여기서는 후방의 단부)를 접속관(19)에 접속한다. 집진 호스(21)는 접속관(19)을 통해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된다.The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와 연장관(25) 사이에 개재한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의 단부(하류측)는 집진 호스(21)의 다른 쪽의 단부(상류측)에 접속한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해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한다.The
파지부(23)는 전기 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갖고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된다.The
조작부(24)는 각각의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정지 조작에 대응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 송풍기(8)의 운전 개시 조작에 대응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한다.The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8)의 운전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동 송풍기(8)가 운전을 개시한 후, 기동 스위치(24b)는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과 같이 전환한다.The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 대신에, 약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별개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은 복수의 통 형상체를 겹쳐셔 망원경의 통과 같이 신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k) 구조로 구성된다. 연장관(25)의 한쪽의 단부(하류측)는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 쪽의 단부(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해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한다.The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의 다른 쪽 단부(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나무 바닥이나 카페트 등의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 혹은 활주 가능한 구조를 갖는 동시에,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 있어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갖는다.The
또한,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청소체(29)와, 회전 청소체(29)를 회전 구동 가능한 전동기(31)를 구비한다.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해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연통 접속한다.In addition, the bottom
전기 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의 운전을 개시하여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한다. 전기 청소기(1)는,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8)가 정지한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우선 전동 송풍기(8)를 강 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계속해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중 운전 모드로 운전한다.The
또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약 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이하 반복한다.In addition, when the
강 운전 모드, 중 운전 모드 및 약 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고, 강 운전 모드, 중 운전 모드, 약 운전 모드의 순으로 입력값이 작다.The strong driving mode, the medium driving mode and the weak driving mode are a plurality of preset driving modes, and the input values are smaller in the order of the strong driving mode, the medium driving mode, and the weak driving mode.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발생한 부압은 진애 분리 집진부(7),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 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및 연장관(25)을 거쳐서 바닥면용 흡입구체(26)의 흡입구(28)에 작용한다.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에 의해, 전기 청소기(1)는 피청소면에 저류된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구(28)로부터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진애 분리 집진부(7)는 흡입구(28)가 흡입한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고, 축적한다.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청정해진 공기는 진애 분리 집진부(7) 및 전동 송풍기(8)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2) 밖으로 배기된다.By the negative pressure acting on the
그런데, 바닥면용 흡입구체(26)는 거실의 바닥면 등 비교적 넓은 피청소면의 청소에 적합한 것이지만, 예를 들어 가구의 간극이나 베드의 아래 등의 협애한 청소 개소나, 소위 냉난방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과 같은 높은 곳에 있는 눈으로 확인 곤란한 청소 장소에서는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By the way, the
따라서, 이들 협애한 청소 개소나 높은 곳에 있는 눈으로 확인 곤란한 청소 개소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흡입구체(35) 및 흡입구체(35)를 손잡이 조작관(22)에 접속하는 제2 집진 호스(85)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Therefore, the 2nd dust collecting hose which connects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suction por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intake port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흡입구(36)를 갖는 길이 형상의 흡입체(37)와, 흡입체(37)에 연통 접속되는 관부(38)와, 관부(38)의 도중에 있는 관절(39, 41)과, 관절(39, 41)의 각각을 적절한 회전 각도 φ마다 복수의 개소에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기구(42, 4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2 and FIG.3, the
흡입체(37)는 편평하고 중공인 막대 형상의 베이스(45)와, 흡입구(36)의 개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45)의 주연부에 배열되는 브러시(46)를 구비한다.The
흡입구체(35)의 베이스(45)는 저면에 흡입구(36)를 갖는다. 흡입구체(35)는 흡입체(37)의 저면을 피청소면을 향해 사용된다. 또한, 베이스(45)는 흡입구(36)를 통해 피청소면에 대면 가능한 흡입실(48)을 갖는다.The
흡입실(48)은 전기 청소기(1)가 흡입하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의 일부이다. 또한, 베이스(45)는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있고, 또한 흡입구(36)의 개구 방향을 유지하는 회전축이 되는 슬리브(49)를 구비한다.The
슬리브(49)는 흡입실(48)에 접속하는 중공 부분을 갖고, 베이스(45)의 상면으로부터 관부(38)의 내부로 연장되어 흡입체(37)의 회전 중심선 C를 구성한다. 슬리브(49)의 중공 부분은 흡입체(37)와 관부(38)에 연통 접속하는 개구(51)이다. 슬리브(49)는 관부(38)에 걸려 빠짐 방지로 되는 갈고리(52)를 선단부에 구비한다.The
브러시(46)는 베이스(45)의 저면의 법선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브러시(46)의 선단을 연결하는 궤적은 베이스(45)의 저면에 대략 평행한 면을 그린다.The
흡입체(37)는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관부(38)에 이웃하는 수납 상태(도 2)와, 관부(38)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개 상태(도 11)를 취할 수 있다.The
관부(38)는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측으로 치우치는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흡입체(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관부(38)는 회전 중심선 C와 대략 동축에 위치하는 개구(51)를 통해 흡입체(37)에 연통 접속된다. 관부(38)는 회전 중심선 C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중심선 C의 방향에서 볼 때 흡입체(37)에 배열되어 인접한다.The
또한, 관부(38)는 흡입체(37)보다도 길고,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이웃하는 수납 상태에 있고 흡입체(37)와 배열되는 병렬 부분(55)과, 단독으로 연장되는 잉여 부분(56)이 있다. 관부(38)는 적어도 병렬 부분(55)에 있어서 흡입체(37)와 대략 동등한 폭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관부(38)는 흡입체(37)로부터 돌출되는 슬리브(49)를 끼워 넣는 개구(57)를 갖는다. 슬리브(49) 및 개구(57)는 관부(38)에 흡입체(37)를 지지하는 베어링부(58)이다. 관부(38)는 한쪽의 단부에 베어링부(58)를 구비하고, 다른 쪽의 단부에 조인트부(61)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흡입구체(35)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관부(38)의 한쪽의 단부는 그 선단측으로 되고, 다른 쪽의 단부는 전동 송풍기(8)에 연통 접속되는 근원측으로 된다. 즉, 베어링부(58)가 구성하는 회전 중심선 C는 관부(38)의 선단부에 위치한다.In the use state of the
베어링부(58)는 흡입체(37)를 360°의 범위에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어도 되고, 슬리브(49)와 개구(57)에 적절한 각도마다 끼워 맞추는 복수의 요철(도시 생략)을 갖고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전환 가능해도 된다.The bearing
관절(39, 41)의 각각은 흡입체(37)의 회전 중심선 C에 비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 가능(절곡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 중심선 C에 비평행한 축이라 함은, 회전 중심선 C에 대해 교차 또는 비틀림의 위치에 있는 축이다.Each of th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관절(39, 41)의 각각은 협애한 간극으로의 진입이 용이해지도록 흡입체(37)의 폭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요동한다.Each of the
또한, 관절(39, 41)의 각각은 관부(38)의 유로의 일부이고, 곧게 연장되는 직관 상태, 절곡된 굴절관 상태 중 어떤 상태여도 공기를 유통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구체적으로는, 관절(39, 41)의 각각은 대략 간극 없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대소 2개의 원통을 구비한다. 이들 2개의 원통의 측벽 부분은 적절하게 절결되어 각각의 관절(39, 41) 내 유로를 그 가동 범위 내에서 유통 가능하게 유지한다.Specifically, each of the
또한, 관절(39, 41)은 어느 한쪽만, 즉 적어도 하나만 있으면 되고, 어느 하나가 있으면 흡입구체(35)를 사용자의 눈의 높이보다도 하방 및 상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ly one of the
관절(39, 41) 중 하나인 관절(39)은 관부(38)의 잉여 부분(56)에 위치하고, 흡입체(37)가, 관부(38)가 이루는 열각측에 위치하는 방향(도 2 중 실선 화살 A 방향)으로 절곡된다.The joint 39, which is one of the
여기서, 관부(38)가 이루는 열각측이라 함은, 관절(39)에 걸쳐서 관부(38)의 일측과 타측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이다. 관절(39)은 약 60도의 범위에서 절곡된다.Here, the heat angle side formed by the
관절(39, 41) 중 다른 쪽의 관절(41)은 흡입체(37)가 관부(38)에 끼워 맞추어지는 수납 상태에 있고 흡입체(37)와 관부(38)의 병렬 부분(55)에 위치하여 흡입체(37)가, 관부(38)가 이루는 우각측에 위치하는 방향(도 2 중 실선 화살 B 방향)으로 절곡된다.The joint 41 on the other side of the
여기서, 관부(38)가 이루는 우각측이라 함은, 관절(41)에 걸쳐서 관부(38)의 일측과 타측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큰 쪽의 각이다.Here, the right angle side formed by the
또한, 관절(41)은 병렬 부분(55)의 대략 중앙에 있고,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 회전 중심선 C로 되는 베어링부(58)에 배열된다.In addition, the joint 41 i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규제 기구(62)는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이웃하는 수납 상태에 있어 회전 중심선 C에 교차하는 회전 방향으로 흡입체(37)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규제 기구(62)는 흡입체(37)측의 제1 훅(65)과, 제1 훅(65)을 걸림 가능한 관부(38)측의 제2 훅(66)을 구비한다.The restricting
제1 훅(65)과 제2 훅(66)은 흡입체(37)가 관부(38)에 이웃하는 수납 상태에서 서로 걸린다. 한편, 제1 훅(65)과 제2 훅(66)은,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흡입체(37)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걸림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다.Th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길이 형상의 흡입체(37)를 회전시키면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략 동등한 회전 반경에서 청소 범위를 확대한다.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one positioning mechanism of the intake port body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의 관절(39)은 관절(39)을 적절한 회전 각도마다 복수의 개소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42)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the joint 39 of the
위치 결정 기구(42)는 관절(39)의 측벽 내에 관절축 직교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핀(68)과, 이 핀(68)이 끼워 맞춤 또한 탈출 가능한 복수의 노치(69)와, 핀(68)을 노치(69)로 끼워 넣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71)을 구비한다.The
핀(68) 및 코일 스프링(71)은 관절(39)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한쪽에 있고, 노치(69)는 관절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다른 쪽에 있다.The
위치 결정 기구(42)는 관절(39)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여 코일 스프링(71)에 견디면, 핀(68)이 노치(69)를 극복하여 관절(39)의 각도를 적절한 굽힘 각도로 유지한다.When the
사용자는 관절(39)을 굽히면, 적절한 각도마다 핀(68)이 노치(69)에 끼워질 때마다, 클릭감을 얻어, 관부(38)를 원하는 각도로 절곡할 수 있다.When the user bends the joint 39, each tim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다른 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위치 결정 기구(43)를 덮는 커버를 제거하고 있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positioning mechanism of the suction port body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5 removes the cover covering the
도 2에 추가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의 관절(41)은 관절(41)을 적절한 회전 각도마다 복수의 개소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4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o FIG. 2, as shown in FIG. 5, the joint 41 of the suction inlet
위치 결정 기구(43)는 관절(41)을 사이에 두고 관부(38)의 일측에 설치되는 반구체(72)와, 다른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b)에 있고 반구체(72)가 끼워 맞춤 또한 탈출 가능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73)을 갖는 판부(75)를 구비한다.The
판부(75)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a)에 있고, 반구체(72)를 끼워 맞춤 또한 탈출 가능한 원형상의 구멍(76)도 갖는다.The
위치 결정 기구(43)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 구체적으로는 관절(41)의 요동 범위 내에서 관부(38)와 흡입체(37)가 최접근하는 위치 결정 개소(43a)에서는 헐거움이 작고, 다른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b)에서는 적절한 회전 각도 φ보다도 작은 범위에서 헐거움이 크다.Looseness is small in the
또한, 가이드 구멍(73)은 반구체(72)에 비해 대경의 개구이면 되고, 원형이어도 된다. 한편, 구멍(76)은 반구체(72)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개구로, 반구체(72)와의 덜걱거림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73 may be a large diameter opening compared with the
위치 결정 개소(43a)는 관부(38)를 직관 형상으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한다. 또한, 위치 결정 개소(43b)는 관부(38)를 굴절관 형상으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한다.The positioning portion 43a positions and maintains the
사용자는 관절(41)을 굽히면, 적절한 각도마다 반구체(72)가 구멍(76) 또는 가이드 구멍(73)에 끼워질 때마다, 클릭감을 얻어, 관부(38)를 원하는 각도로 절곡할 수 있다.When the user bends the joint 41, each time the
그런데, 흡입구체(35)의 관절(39, 41)은 복수 있고, 한쪽의 관절(39)은 흡입체(37)가, 관부(38)가 이루는 각의 열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고, 다른 쪽의 관절(41)은 흡입체(37)가, 관부(38)가 이루는 각의 우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다.By the way, there are a plurality of
그리고, 한쪽의 관절(39)측에 있는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42)는 다른 쪽의 관절(41)측에 있는 다른 쪽의 위치 결정 기구(43)보다도 위치 결정 상태에 있어서의 유지력이 크다.One
이 위치 결정 기구(42, 43)의 유지력의 차는, 위치 결정 기구(42)의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 상수나 위치 결정 기구(43)의 판부(75)의 강성을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위치 결정 기구(42)의 핀(68)의 돌출 길이나 위치 결정 기구(42)의 반구체(72)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조정한다.The difference in the holding forc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규제 기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6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restricting mechanism of the inlet 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의 규제 기구(62)(도 3 참조), 즉 제1 훅(65) 및 제2 훅(66)은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요철(67)을 구비한다. 요철(67)은 회전 중심선 C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요철(67)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회전 중심선 C 주위에 있어서의 흡입체(37)의 회전을 규제하여, 흡입체(37)가 갑자기 전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6, the restricting mechanism 62 (see FIG. 3)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part of the vacuum clean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전동 송풍기(8)와 손잡이 조작관(22)(중계관)을 연통 접속하는 플렉시블한 집진 호스(21)(제1 집진 호스)와, 손잡이 조작관(22)과 흡입구체(35)를 연통 접속하고, 또한 집진 호스(21)보다도 유연하게 휘는 제2 집진 호스(8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또한, 전기 청소기(1)는 제2 집진 호스(85)와 흡입구체(35)를 연통 접속하는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의 신축관(86)을 구비한다.Moreover, the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해 자연 길이로부터 신장되기 쉽다. 환언하면,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해 스프링 상수가 낮고, 또한 수축력으로 완전히 수축한 상태를 자연 길이로 하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The second
또한, 제2 집진 호스(85)는 손잡이 조작관(22)에 끼워 맞춤 가능한 조인트관(87)을 한쪽의 단부(하류측)에 구비하고, 다른 쪽의 단부(상류측)에 신축관(86)을 끼워 맞춤 가능한 조인트관(88)을 구비한다.Moreover, the 2nd
조인트관(88)은 끼워 넣어진 신축관(86)의 고정과 그 해제를 행하는 로크 기구(89)를 구비한다.The
또한,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해 전동 송풍기(8)가 흡입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있다.Moreover, the 2nd
전기 청소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손잡이 조작관(22)의 상류측에 연장관(25) 및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접속하는 형태에서는, 바닥면 위를 광범위하게 청소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이 형태의 전기 청소기(1)는 사용자가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일체로 전후로 왕복시키는 동작을, 집진 호스(21) 전체의 휨으로 흡수한다.The
그리고, 전기 청소기(1)는 사용자가 청소 개소를 바꾸기 위해 손잡이 조작관(22)을 인장하면, 휨이 없어져 직선적으로 되면서도 길이를 대략 유지한 집진 호스(21)로 청소기 본체(2)를 견인하여, 새로운 청소 개소로 이동한다. 즉, 바닥면용 흡입구체(26)를 사용하는 경우, 집진 호스(21)는 용이하게 휘어 만곡되는(굽힘 강성이 낮음) 것이 바람직한 한편, 청소기 본체(2)의 추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견인하기 위해 용이하게는 신축하지 않는(종강성이 높음)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진 호스(21)는 제2 집진 호스(85)에 비해 신축하기 어려운 것으로 청소기 본체(2)의 추종성을 유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Then, when the user pulls the
한편, 전기 청소기(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조작관(22)의 상류측에 제2 집진 호스(85), 신축관(86) 및 흡입구체(35)를 접속하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가구의 간극이나 베드의 아래 등의 협애한 청소 개소나, 소위 냉난방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과 같은 높은 곳에 있는 눈으로 확인 곤란한 청소 개소를 중점적으로 청소하는 용도에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rm which connects the 2nd
이 형태에서 사용되는 전기 청소기(1)는 사용자가 신축관(86) 및 흡입구체(35)를 일체로 전후로 왕복시키는 동작을, 제2 집진 호스(85)의 유연한 휨 및 유연한 신축으로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The
그리고, 전기 청소기(1)는 사용자가 통 끝[흡입구체(35)]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신축관(86)을 인장해도, 직선적이면서도 길이가 신장되는 제2 집진 호스(85)로 변위를 흡수하여, 청소기 본체(2)의 정위를 유지한다.The
즉, 흡입구체(35)를 사용하는 경우, 제2 집진 호스(85)는, 용이하게 휘어 만곡되는(굽힘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한 것에 추가하여, 용이하게 신축하여(종강성이 낮음) 청소기 본체(2)의 정위를 유지하는 쪽의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따라서, 제2 집진 호스(85)는 손잡이 조작관(22)과 흡입구체(35) 사이에서 용이하게 굽혀지고, 또한 용이하게 신장됨으로써 양 부위 사이의 큰 변위를 허가하면서 청소기 본체(2)의 정위를 유지하기 쉽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ly, the second
특히,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보다도 통 끝[흡입구체(35)]에 가까운 상류측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축관(86)을 인장하는 동작을, 제2 집진 호스(85)측을 주체적으로 사용하여 흡수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또한, 제2 집진 호스(85)는 집진 호스(21)에 비해, 사용자가 흡입구체(35)를 보다 멀리 내미는 동작에 유연하게 만곡, 또한 연장하여 추종할 수 있음과 함께,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이완을 없애고, 불필요한 길이를 만들지 않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신축관(86)은 다단계, 예를 들어 3단계로 신축할 수 있다. 신축관(86)은 제2 집진 호스(85)의 조인트관(88)에 끼워 맞춤 접속 가능한 조인트부(91)를 한쪽의 단부(하류측)에 구비하고, 다른 쪽의 단부(상류측)에 흡입구체(35)를 끼워 맞춤 접속 가능한 조인트부(92)를 구비한다.The
또한, 신축관(86)은 각 단에 신장 상태 또는 단축 상태의 고정과 그 해제를 행하는 로크 기구(9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and
또한, 전기 청소기(1)는 흡입구체(35) 뿐만 아니라, 신축관(86)이나, 제2 집진 호스(85)의 상류측의 개구 단부를 통 끝으로 하여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9-11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intake por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손잡이 조작관(22)에 제2 집진 호스(85), 신축관(86) 및 흡입구체(35)를 순차 접속함으로써, 바닥면용 흡입구체(26)로는 청소하기 어려운 개소, 예를 들어 높은 곳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신축관(86)의 근원이 되는 하류측[제2 집진 호스(85)에 가까운 단부]을 파지하고, 흡입구체(35)를 상방으로 내밀어 높은 곳의 청소를 행한다. 높은 곳에 있는 청소 개소의 구체예로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e의 상면을 생각하는 경우, 신축관(86)의 최연장 길이를 약 1m로 설정함으로써, 여성의 평균 신장(약 158㎝를 상정)보다도 수센티미터 내지 십수센티미터 정도 신장이 낮은 사용자라도 당해 개소로 흡입구체(35)를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of the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e의 천장면의 높이는 높이 약 2m의 쓸어내기 창의 상방에 약간의 거리(약 10㎝)를 이격하여 높이 약 25㎝ 내지 약 30㎝의 실내기를 배치한 경우, 약 2m 35㎝ 내지 약 2m 40㎝로 상정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indoor unit ie of the air conditioner is about 2 m when the indoor unit having a height of about 25 cm to about 30 cm is spaced apart from a slight distance (about 10 cm) above the sweeping window having a height of about 2 m. It is assumed to be 35 cm to about 2 m 40 cm.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39)을 절곡함으로써 흡입체(37)가, 관부(38)가 이루는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직각과 같은 형태)로 된다. 이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의 흡입구체(35)는,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과 같이,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의 시점보다도 높은 곳에 있어 직접 눈으로 확인이 곤란한 청소 개소의 청소에 적합하다.As shown in FIG. 10, the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청소 개소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신축관(86)을 연장함으로써 당해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The user of the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에 추가하여 흡입체(37)를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하여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관절(39)로부터 신장되는 아암 길이를 신장할 수 있다. 이 열각측에 위치하는 형태+전개 형태의 흡입구체(35)는 직접 눈으로 확인이 곤란한 청소 개소의 보다 안측으로 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예를 들어,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17㎝ 정도로 설정해 두면, 관절(39)을 기준으로 하는 전개 상태의 아암 길이를 30㎝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면을 벽 끝까지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9에 있어서의 2점 쇄선의 흡입체(37)].For example, i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부(38)를 절곡하는 관절(39)에 의해 높은 곳에 있는 청소 개소의 테두리를 따라서 직선적(1차원적)으로 이동하여, 테두리부 근방을 청소 가능할 뿐만 아니라, 흡입체(37)를 전개함으로써 테두리부로부터 보다 안측에 도달하여 평면적(2차원적)으로 청소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2 and 13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of the inlet 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41)을 절곡함으로써 흡입체(37)가, 관부(38)가 이루는 우각측에 위치하여 휘는 형태로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이 우각측에 위치하는 형태(휨 형태)의 흡입구체(35)는, 예를 들어 가구의 간극과 같이 바닥면용 흡입구체(26)가 진입 곤란하고 협애한 청소 개소의 청소에 적합하다.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청소 개소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신축관(86)을 연장함으로써 당해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The
이 우각측에 위치(휨)하는 형태의 흡입구체(35)는 흡입체(37)와 관부(38)의 병렬 부분(55)에 관절(41)이 있고, 흡입구체(35)를 피청소면으로 압박하는 힘을 흡입체(37)의 전체에 전달하기 쉬워, 피청소면을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The
그런데, 종래의 흡입구체는, 접속관의 절곡의 위치 결정이 고정적이었으므로, 사용자의 팔의 흔들림에 수반하여 파지 위치의 높이가 변화되면 흡입체(혹은 브러시의 모 끝)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지 상태가 불안정해진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ction port, since the positioning of the bending of the connection pipe was fixed, if the height of the gripping position changes with the shaking of the user's arm, the suction body (or the bristles of the brush)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Grounding condition becomes unstable.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41)의 위치 결정 기구(43)에 있어서, 다른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개소(43b)의 헐거움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의 흔들림에 수반하는 파지 위치의 높이 변화가 생겨도, 신축관(86)이나 관부(38)에 대해 흡입체(37)를 스윙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접지를 유지하기 쉬워, 피청소면 위의 진애를 보다 확실하게 쓸어낼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휨 형태에 추가하여 흡입체(37)를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하여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관절(39)로부터 신장되는 아암 길이를 신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이 휨 형태+전개 형태로 한 흡입구체(35)는 협애한 청소 개소의 보다 안측으로 도달할 수 있다. 또한, 휨 형태+전개 형태로 한 흡입구체(35)는 텔레비전대의 하방과 같이 상하로 좁은 공간으로 흡입체(37)를 잠입시키도록 하여 청소할 수도 있다.The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는 관절(39, 41)의 양쪽을 적절하게 절곡함으로써, 높이 방향에 제약이 있고 폭이 좁은 간극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키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예를 들어, 베드 B의 아래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자 사이의 간극과 같이 천장면이 낮고 협애한 청소 개소의 청소에 적합하다.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청소 개소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신축관(86)을 연장함으로써 당해 청소 개소에 흡입구체(35)를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t is suitable for cleaning of a narrow and narrow cleaning surface, such as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storage boxes accommodated under Bed B. The user of th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흡입구(36)의 개구 방향을 유지하는 회전 중심선 C 주위로 회전 가능한 흡입체(37)를 수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흡입체(37)의 도달 가능한 청소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고,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바닥면용 흡입구체(26)에서는 도달이 곤란하고 협애한 청소 개소에서의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적어도 1개의 관절(39)을 절곡하여 관부(38)를 열각측에 위치하는 인사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높이보다도 높은 청소 개소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거나, 적어도 다른 1개의 관절(41)을 절곡하여 관부(38)를 우각측에 위치하는 휨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높이보다도 낮은 청소 개소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또한, 흡입체(37)의 수납 및 전개와, 관절(39, 41)의 적어도 한쪽의 요동을 조합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흡입체(37)의 청소 범위를 평면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mbining the storage and deployment of the
또한, 흡입체(37)의 수납 및 전개에 의해 청소 가능한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것은, 사용자가 신축관(86)을 멀리 내미는, 즉 팔을 펴는 동작을 억제하여, 모멘트 아암이 신장하는 것에 의한 부하의 증가를 억제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range that can be cleaned by the storage and deployment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회전 중심선 C를 장척의 흡입체(37)의 한쪽의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수납 상태와 전개 상태의 리치 차를 확대하여, 청소 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확대할 수 있다.Moreover,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회전 중심선 C를 장척의 흡입체(37)의 한쪽의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수납 상태와 전개 상태의 리치 차를 확대하여, 청소 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중심선 C를 관부(38)의 선단부에 배치함으로써 흡입체(37)의 장변측의 길이와 단변측의 길이의 차를 확대하여, 청소 범위를 더욱 광범위하게 확대할 수 있다.Moreover,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관부(38)의 잉여 부분(56)에 관절(39)을 배치함으로써, 흡입체(37) 및 관부(38)의 합계 높이를 억제하면서 관부(38)를 열각측에 위치하는 직각 상태로 굴절 가능하고, 특히 높은 곳의 청소 개소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관부(38)의 병렬 부분(55)에 관절(41)을 배치함으로써, 관부(38)를 우각측에 위치하는 휨 상태로 굴절 가능하고, 특히 저지대의 청소 개소에서의 사양에 있어서 흡입체(37)를 확실하게 피청소면으로 압박하여, 피청소면을 쓸기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병렬 부분(55)의 대략 중앙에 관절(41)을 배치함으로써, 쓸기 청소에 있어서의 흡입체(37)의 활주의 안정성을 늘려,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흡입체(37)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관절(41)에 베어링부(58)를 배열하여 배치함으로써, 흡입체(37) 및 관부(38)와의 합계 높이를 억제하여, 협애한 청소 개소로 흡입체(37)를 도달시키기 쉽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규제 기구(62)에 의해 수납 상태에 있는 흡입체(37)의 구속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고, 즉 수납 상태의 흡입체(37)를 규제 기구(62)와 베어링부(58)의 2개소에서 유지할 수 있다.Further, the
이에 의해,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는, 만일 가구 등의 구조물에 흡입체(37)가 걸려도 베어링부(58)를 용이하게 파손하지 않고 견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by, th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체(35) 및 전기 청소기(1)에 따르면, 사용자가 크게 팔을 내밀지 않고, 또한 흡입체(37)에 연결되는 관부(38)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청소 개소를 확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While certain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these embodiments have been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s. These new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While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they are included in the invention and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1 : 전기 청소기
2 : 청소기 본체
3 : 관부
5 : 본체 케이스
6 : 차륜
7 : 진애 분리 집진부
8 : 전동 송풍기
9 : 본체 제어부
11 : 전원 코드
12 : 본체 접속구
14 : 전원 플러그
19 : 접속관
21 : 집진 호스
22 : 손잡이 조작관
23 : 파지부
24 : 조작부
24a : 정지 스위치
24b : 기동 스위치
25 : 연장관
26 : 바닥면용 흡입구체
28 : 흡입구
29 : 회전 청소체
31 : 전동기
35 : 흡입구체
36 : 흡입구
37 : 흡입체
38 : 관부
39, 41 : 관절
42, 43 : 위치 결정 기구
43a, 43b : 위치 결정 개소
45 : 기대
46 : 브러시
48 : 흡입실
49 : 슬리브
51 : 개구
52 : 갈고리
55 : 병렬 부분
56 : 잉여 부분
57 : 개구
58 : 베어링부
61 : 조인트부
62 : 규제 기구
65 : 제1 훅
66 : 제2 훅
67 : 요철
68 : 핀
69 : 노치
71 : 코일 스프링
72 : 반구체
73 : 가이드 구멍
75 : 판부
76 : 구멍
77 : 센터 브러시
78 : 사이드 브러시
78a : 모
79 : 센터 브러시
79a : 모
85 : 제2 집진 호스
86 : 신축관
87, 88 : 조인트관
89, 93 : 로크 기구
91, 92 : 조인트부1: electric cleaner
2: cleaner body
3: tube
5: Body case
6: Wheel
7: dust separation dust collector
8: electric blower
9: body control unit
11: power cord
12:
14: power plug
19: connection tube
21: dust collecting hose
22: handle operator
23: holding part
24: control panel
24a: stop switch
24b: start switch
25 extension tube
26: bottom suction port
28: suction port
29: rotary cleaning body
31: electric motor
35: suction inlet
36: suction port
37: suction
38: tube
39, 41: joints
42, 43: positioning mechanism
43a, 43b: positioning point
45: expect
46: brush
48: suction chamber
49: sleeve
51: opening
52: hook
55: parallel part
56: surplus part
57: opening
58: bearing part
61: joint part
62: regulatory body
65: first hook
66: second hook
67: unevenness
68: pin
69: notch
71: coil spring
72: hemisphere
73: guide hole
75: plate
76: hole
77: center brush
78: side brush
78a: Mod
79: center brush
79a: Mo
85: second dust hose
86: new building
87, 88 joint pipe
89, 93: Locking mechanism
91, 92: joint portion
Claims (9)
상기 흡입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상기 흡입구의 개구 방향을 유지하는 회전 중심선 주위로 상기 흡입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회전 중심선과 대략 동축에 위치하는 개구를 통해 상기 흡입체에 연통하여 접속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도중에 있는 요동 가능한 적어도 1개의 관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A suction body having a length shape having a suction port,
It is located approximately coaxial with the rotation center line while supporting the suction body rotatably around the rotation center line which is biased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body to the side of one end and maintain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A pipe portion connected to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body through an opening;
And at least one swingable joint in the middle of the pipe portion.
상기 적어도 1개의 관절 중 1개는 상기 잉여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체가, 상기 관부가 이루는 열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The said pipe part is longer than the said suction body, Comprising: The said suction body has the excess part which extends alone and is in the storage state adjacent to the said pipe part,
One of the at least one joint is located in the excess portion, the suction inlet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is located in the column angle side formed by the pipe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85933A JP5865700B2 (en) | 2011-12-27 | 2011-12-27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JPJP-P-2011-285933 | 2011-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5684A true KR20130075684A (en) | 2013-07-05 |
KR101455476B1 KR101455476B1 (en) | 2014-10-27 |
Family
ID=4890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27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5476B1 (en) | 2011-12-27 | 2012-12-26 |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865700B2 (en) |
KR (1) | KR101455476B1 (en) |
CN (1) | CN203122294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64854B2 (en) | 2016-05-31 | 2021-07-20 | Darius Development Limited | Cleaner attachment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79814B2 (en) * | 2015-06-12 | 2019-09-25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US10856713B2 (en) | 2015-10-22 | 2020-12-0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Cleaner head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
JP6540820B2 (en) * | 2015-11-02 | 2019-07-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Cleaning tool and vacuum cleaner |
DE102018116395B4 (en) * | 2017-07-21 | 2023-10-19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Cleaning device with a suction nozzle and a mechanical cleaning element |
WO2020264183A1 (en) | 2019-06-26 | 2020-12-30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Vacuum tool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2859U (en) * | 1981-06-19 | 1982-12-24 | ||
JP2824944B2 (en) * | 1991-10-09 | 1998-11-18 |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 Electric vacuum cleaner |
KR100596479B1 (en) * | 2004-07-05 | 2006-07-03 |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 Mobile robot with cleaning function |
JP4530940B2 (en) * | 2005-08-10 | 2010-08-25 | 三洋電機株式会社 | Vacuum cleaner attachment |
KR100840058B1 (en) * | 2005-08-10 | 2008-06-19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Attachment for cleaner |
GB2435816A (en) * | 2006-03-08 | 2007-09-12 | Dyson Technology Ltd | An attach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
JP5452065B2 (en) * | 2009-04-24 | 2014-03-26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Electric vacuum cleaner |
-
2011
- 2011-12-27 JP JP2011285933A patent/JP5865700B2/en active Active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2771A patent/KR1014554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2-27 CN CN2012207348356U patent/CN203122294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64854B2 (en) | 2016-05-31 | 2021-07-20 | Darius Development Limited | Cleaner attachment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865700B2 (en) | 2016-02-17 |
KR101455476B1 (en) | 2014-10-27 |
JP2013132475A (en) | 2013-07-08 |
CN203122294U (en) | 2013-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75684A (en) |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 |
EP2515732B1 (en) | Vacuum cleaner with retractable auxiliary suction hose | |
AU2016374644B2 (en) | Improved vacuum head attachment and vacuum cleaner | |
EP2929821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ame | |
RU2488342C2 (en) | Suction unit handle unit | |
US9955834B2 (en) | Cleaner and cleaner accessory | |
JP6579814B2 (en)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
KR102321633B1 (en) |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455477B1 (en) | Electric cleaner | |
JP2015042320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22500183A (en) | Cleaning head for surface treatment equipment with one or more stabilizers and surface treatment equipment with this | |
KR20130075685A (en) |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 |
JP2013132477A (en) |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 |
TWI623294B (en) | Cleaning tool and vacuum cleaner | |
JP6202120B2 (en) |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 |
JP2004321699A (en) | Fittings for vacuum cleaners and vacuum cleaners | |
KR102326654B1 (en) | vacuum cleaner nozzle | |
US20130036568A1 (en) | Flexible vacuum tube length extender for cleaning tools | |
KR20230086156A (en) | Cleaner | |
JP2018138113A (en) | Extension pip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 |
JP2010110483A (en) | Vacuum cleaner | |
JP2004321698A (en) | Fittings for vacuum cleaners and vacuum cleaners | |
JP2011245188A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