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874A -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1874A KR20130071874A KR1020110139342A KR20110139342A KR20130071874A KR 20130071874 A KR20130071874 A KR 20130071874A KR 1020110139342 A KR1020110139342 A KR 1020110139342A KR 20110139342 A KR20110139342 A KR 20110139342A KR 20130071874 A KR20130071874 A KR 201300718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source
- signal
- sink devic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HDMI, DVI, D-Su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여,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설정하고, 각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한 후,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각 프로세스별 고유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등과 같은 다양한 각 프로세스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실행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간의 인터페이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인 HDMI, DVI, D-Sub 등의 장비 성능 정보를 IIC 통신 등을 통해 외부 기기에 보낼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HDMI, DVI, D-Sub 등 사용되고 있는 데, 예를 들어, HDMI 모듈이 구비된 리피터(Repeater)는, 미디어 중계기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피터(200)에는, HDMI 입력(In) 포트를 통해 디브이디 플레이어(DVD-Player) 등과 같이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소스(Source) 디바이스(300)가 연결 접속된다.
또한, 상기 리피터(200)에는, HDMI 출력(Out) 포트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D-TV) 등과 같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출력 표시하는 다양한 유형의 싱크(Sink)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리피터(200)에서는, 장비 성능(Video/Audio 등)을 설정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정보를 HDMI의 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 라인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30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스 디바이스(300)에서는, 상기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100)에 최적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EDID 정보에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100)에서 출력 표시할 수 있는 최적의 A/V(Audio/Video) 포맷 등에 관련된 정보(예: Native Format)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디바이스(300)에서 출력 가능한 비디오 포맷이 Full HD 급이더라도, 상기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100)에 표시 가능한 최적의 비디오 포맷이, HD 급이라고 판별되면, Full HD 급의 비디오 대신 HD 급의 비디오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여러 개의 입력 포트들과 출력 포트들이 마련된 HDMI 모듈이 구비된 리피터가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피터(200)에는, HDMI 모듈의 입력 포트들을 통해, 디브이디 플레이어(DVD-Player), 그리고 비디 플레이어(BD-Player) 등과 같은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들(3001~300n)이 연결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피터(200)에는, HDMI 모듈의 출력 포트들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D-TV), 그리고 고선명 디지털 텔레비전(HD-TV) 등과 같은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1001~100m)이 연결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피터의 HDMI 모듈에 마련된 다수의 입력 포트(예: I1~I3)와 출력 포트(예: O1~O3)에는, 각각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Source #1)와 싱크 디바이스(Sink #1)가 연결 접속되거나,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예: Source #1~#3)와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Source #1)가 연결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피터의 HDMI 모듈에 마련된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는,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Source #1)와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예: Sink #1~#3)가 연결 접속되거나,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예: Source #1~#3)와 싱크 디바이스(예: Source #1~#3)가 각각 연결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피터에서는, 각 소스 디바이스들과 싱크 디바이스들 간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보다 다양한 프로세스(Process)들로 구분하여 실행시킬 수 있게 되는 데, 이를 위한 각 프로세스별 인터페이스 제어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HDMI, DVI, D-Su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여,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설정함과 아울러, 각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한 후,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각 프로세스별 고유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각 프로세스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포트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1단계;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 중 요청된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하여,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2단계는,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로서,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중 적어도 2 개 이상을 설정한 후,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는, 오에스디(OSD) 화면을 통해 표시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변경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통과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변환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최적 비디오 포맷에 대응되게 편집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A/V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절환인 경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합성인 경우,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와,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으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합성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분배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복사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을 추출한 후, 이들 중 최고 해상도를 선정하여,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교환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캡처하여 저장한 후, 소스 디바이스와 교환 연결시,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가 마련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각 프로세스별 고유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로서,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중 적어도 2 개 이상을 설정한 후,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오에스디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오에스디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는, 상기 오에스디(OSD) 화면을 통해 표시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변경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통과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변환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최적 비디오 포맷에 대응되게 편집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A/V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절환인 경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합성인 경우,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와,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으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디오 처리부를 동작 제어하여, 합성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분배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복사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을 추출한 후, 이들 중 최고 해상도를 선정하여,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교환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캡처하여 저장한 후, 소스 디바이스와 교환 연결시,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HDMI, DVI, D-Su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여,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설정하고, 각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한 후,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각 프로세스별 고유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등과 같은 다양한 각 프로세스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실행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간의 인터페이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피터의 HDMI 모듈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리피터의 HDMI 모듈에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프로세스별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되는 리피터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이 설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피터에서의 각 프로세스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리피터의 HDMI 모듈에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프로세스별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되는 리피터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이 설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피터에서의 각 프로세스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가 마련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예: HDMI 모듈)이 구비된 리피터(Repeater) 등에 적용되며, 상기 리피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중계기 등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피터는, 하나의 독립된 전자기기로 제작되거나, 홈 미디어 서버(Home Media Server) 또는 아이피 셋탑 박스(IP-STB) 등과 같은 특정 기기 내에 포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피터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MI 모듈(20), 오디오 처리부(21), 비디오 처리부(22), 제어부(23), 메모리(24),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생성부(25), 그리고 EDID 편집부(26) 등이 포함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4)는, 플래시(Flash) 메모리 또는 이이피롬(EEPRO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EDID 편집부(26)는, 상기 제어부(23)와는 독립된 별도의 구성 수단으로 포함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3) 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HDMI 모듈(20)의 입력 포트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출력 포트에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통과(Through), 변환(Convert), 절환(Switch), 합성(Mix), 분배(Distribute), 복사(Duplicate), 교환(Exchange) 등의 7 가지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2 가지 이상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가 접속되고, 출력 포트에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로서, 통과(Through)와 변환(Convert) 프로세스를 설정하게 된다.
반면,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N 개의 소스 디바이스가 접속되고, 출력 포트에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로서, 통과(Through), 변환(Convert), 절환(Switch), 합성(Mix) 프로세스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가 접속되고, 출력 포트에 N 개의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로서, 통과(Through), 변환(Convert), 분배(Distribute), 복사(Duplicate) 프로세스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M 개의 소스 디바이스가 접속되고, 출력 포트에 N 개의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로서, 통과(Through), 변환(Convert), 절환(Switch), 합성(Mix), 분배(Distribute), 복사(Duplicate), 교환(Exchange) 프로세스를 모두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설정된 각 프로세스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25)를 동작 제어하여, 임의의 한 싱크 디바이스 또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싱크 디바이스에 오에스디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프로세스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임의의 프로세스의 실행을 중지시키게 되며, 이후 각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EDID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한 후,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각 프로세스별 고유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시스템 전원이 온(ON)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HDMI 입출력(I/O) 설정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S10).
그리고,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HDMI 모듈(20)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검출한 후(S11),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되며, 이후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25)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임의의 한 싱크 디바이스 또는 사전에 설정된 싱크 디바이스에 오에스디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S12).
또한,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설정된 프로세스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S13), 해당 프로세스의 실행을 중지시키는 일련의 프로세스 변경 설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4).
예를 들어, HDMI 모듈에 M 개의 소스 디바이스와 N 개의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로서,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프로세스를 모두 자동으로 설정하되, 사용자가, 예를 들어, 교환 프로세스의 실행 중지를 요청하면, 상기 교환 프로세스를 제외한 나머지 6 개의 프로세스만을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로 변경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에서는, HDMI 입/출력 설정 모드를 해제하게 되며(S15), 이후,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는 경우(S16),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제1 싱크 디바이스 간의 통과(Through)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17),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의 EDID 정보를 독출하여, HDMI 모듈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소스 디바이스(Source #1)로 전달하게 된다(S18).
한편,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Source #1)에서는, 상기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A/V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로 전달하는 통과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S19), 이후 사용자가 요청하는 임의의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20).
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제1 싱크 디바이스 간의 변환(Convert)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21), 상기 제어부(23)에서는,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의 EDID 정보를 독출하되, 임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EDID 편집부(26)를 동작 제어하여, 리피터에서 수용 가능한 최적의 비디오 포맷에 맞도록, 상기 임시 저장된 EDID 정보를 편집한 후, 상기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연결된 제1 소스 디바이스(Source #1)로,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S22).
한편,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Source #1)에서는,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리피터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적한 A/V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SD 급이고, 상기 리피터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HD 급이고,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Full HD 급인 경우,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참조하여, HD 급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리피터에서는, 상기 HD 급의 비디오 신호를 SD 급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1)와 비디오 처리부(22)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A/V 신호를,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A/V 신호를 변환한 후,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변환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23).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와 제1 싱크 디바이스 간의 절환(Switch)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24), 상기 제어부(23)에서는,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에 연결된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25),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 중 제2 소스 디바이스(Source #2)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의 ED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Source #2)로 전달하게 된다(S26).
그리고, 상기 제2 소스 디바이스(Source #2)에서는, 상기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A/V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로 전달하는 절환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27).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와 제1 싱크 디바이스 간의 합성(Mix)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28),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Sink #1)의 EDID 정보와 A/V 포맷을 확인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Source #1, #2)의 EDID 정보와 A/V 포맷을 확인하게 된다(S29).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소스 디바이스에 공통된 A/V 포맷에 맞도록,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의 EDID 정보를 편집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제1 싱크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HD 급이고, 제1 소스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Full HD 급이고, 제2 소스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SD 급인 경우,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제2 소스 디바이스에서 공통되는 SD 급의 비디오 포맷을 선정한 후, 상기 EDID 정보를 SD 급에 맞도록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제2 소스 디바이스에 전달하게 된다(S30).
또한,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제2 소스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A/V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이때의 비디오 포맷은 SD 급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비디오 처리부(22)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제2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SD 급의 비디오 신호를 합성한 후,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합성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31).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와 제1 소스 디바이스 간의 분배(Distribute)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32), 상기 제어부(23)에서는, HDMI 모듈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33),
예를 들어, 제2 싱크 디바이스(Sink #2)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싱크 디바이스의 ED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Source #1)로 전달하게 되고(S34),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Source)에서는, 상기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Sink #2)에 최적한 A/V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A/V 신호를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분배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35).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소스 디바이스와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 간의 복사(Duplicate)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36), 상기 제어부(23)에서는, HDMI 모듈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로부터 EDID 정보를 독출하여 임시 저장한 후, 상기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에서 수용 가능한 공통된 비디오 포맷을 추출하게 된다(S37).
예를 들어, 제1 싱크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Full HD 급이고, 제2 싱크 디바이스의 최적 비디오 포맷이 HD 급인 경우, 공통된 비디오 포맷으로 HD 급을 추출한 후, 상기 임시 저장된 EDID 정보를 HD 급에 맞도록 편집하고, 이후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된다(S38).
그리고, 상기 제1 소스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편집된 EDI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와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모두 수용 가능한 A/V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이때의 비디오 신호는 HD 급이 되며,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와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복사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39).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와 여러 개의 싱크 디바이스 간의 교환(Exchange)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S40), 상기 제어부(23)에서는, HDMI 모듈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 연결된 여러 개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EDID 정보들을 캡처하여 저장하게 된다(S41).
그리고,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임의의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를 실시간으로 연결하게 되는 데, 이때, 실시간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EDID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게 된다(S42).
또한, 상기 해당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EDID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싱크 디바이스에 최적한 A/V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23)에서는, 상기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시간 연결된 해당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교환 프로세스의 인터페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43).
이에 따라,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등과 같은 다양한 각 프로세스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실행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리피터의 미디어 중계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HDMI 모듈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의 하나로서, DVI, D-Su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EDID 정보는, 오디오/비디오 등에 대한 장비 성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의 하나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싱크 디바이스 200 : 리피터
300 : 소스 디바이스 20 : HDMI 모듈
21 : 오디오 처리부 22 : 비디오 처리부
23 : 제어부 24 : 메모리
25 : 오에스디 생성부 26 : EDID 편집부
300 : 소스 디바이스 20 : HDMI 모듈
21 : 오디오 처리부 22 : 비디오 처리부
23 : 제어부 24 : 메모리
25 : 오에스디 생성부 26 : EDID 편집부
Claims (20)
-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의 포트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1단계;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 중 요청된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하여,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로서,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중 적어도 2 개 이상을 설정한 후,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는, 오에스디(OSD) 화면을 통해 표시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변경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통과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변환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최적 비디오 포맷에 대응되게 편집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A/V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절환인 경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합성인 경우,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와,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으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합성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분배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복사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을 추출한 후, 이들 중 최고 해상도를 선정하여,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교환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캡처하여 저장한 후, 소스 디바이스와 교환 연결시,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가 마련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편집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각 프로세스별 고유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접속 상태에 따라,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로서, 통과, 변환, 절환, 합성, 분배, 복사, 교환 중 적어도 2 개 이상을 설정한 후, 임의의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오에스디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오에스디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는, 상기 오에스디(OSD) 화면을 통해 표시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변경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통과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변환인 경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최적 비디오 포맷에 대응되게 편집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A/V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절환인 경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합성인 경우,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와,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으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다수의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디오 처리부를 동작 제어하여, 합성한 후,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분배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복사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공통된 A/V 포맷을 추출한 후, 이들 중 최고 해상도를 선정하여,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기기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프로세스의 종류가, 교환인 경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캡처하여 저장한 후, 소스 디바이스와 교환 연결시,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342A KR20130071874A (ko) | 2011-12-21 | 2011-12-21 |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US13/678,060 US8839334B2 (en) | 2011-12-21 | 2012-11-15 |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
EP12193534.0A EP2608563B1 (en) | 2011-12-21 | 2012-11-21 | Method and repeater for controlling multimedia interfaces |
CN201210520359.2A CN103179368B (zh) | 2011-12-21 | 2012-12-06 | 用于控制接口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342A KR20130071874A (ko) | 2011-12-21 | 2011-12-21 |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1874A true KR20130071874A (ko) | 2013-07-01 |
Family
ID=4735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9342A Withdrawn KR20130071874A (ko) | 2011-12-21 | 2011-12-21 |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839334B2 (ko) |
EP (1) | EP2608563B1 (ko) |
KR (1) | KR20130071874A (ko) |
CN (1) | CN10317936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69398B2 (en) | 2005-09-08 | 2023-09-26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widget-assisted setup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
US8493434B2 (en) * | 2009-07-14 | 2013-07-23 |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 Adaptive HDMI formatting system for 3D video transmission |
US9019435B2 (en) | 2011-09-22 | 2015-04-28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controlling device functionality |
US11295603B2 (en) | 2011-10-28 | 2022-04-05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
US11756412B2 (en) | 2011-10-28 | 2023-09-12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ervices and/or devices with a voice assistant |
US10593195B2 (en) | 2011-10-28 | 2020-03-17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
US9449500B2 (en) | 2012-08-08 | 2016-09-20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
CN103780861B (zh) * | 2014-02-20 | 2017-03-29 | 广州物联家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Home‑IOT的多路输入和多路输出的切换方法及交换机 |
KR20160050296A (ko) * | 2014-10-29 | 2016-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16081636A1 (en) | 2014-11-18 | 2016-05-26 | Branch Media Labs, Inc. | Seamless setup and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devices and content |
US10051204B2 (en) * | 2014-11-18 | 2018-08-14 | Caavo Inc | Seamless setup and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devices and content |
US20160141810A1 (en) * | 2014-11-18 | 2016-05-19 | Branch Media Labs, Inc. | Automatic detection of a power statu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schemes based thereon |
US9749552B2 (en) | 2014-11-18 | 2017-08-29 | Caavo Inc |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mapping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to ports on an HDMI switch |
TWI536819B (zh) | 2014-12-23 | 2016-06-01 |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 通訊認證系統及使用其之方法 |
US10680846B2 (en) | 2016-04-01 | 2020-06-09 | Caavo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HDMI CEC |
US10701284B2 (en) | 2017-02-10 | 2020-06-30 | Caavo Inc | Determining state signature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coupled to an audio/video switch |
KR102411287B1 (ko) | 2017-11-22 | 2022-06-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미디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JP2019140430A (ja) * | 2018-02-06 | 2019-08-22 | 船井電機株式会社 | 再生装置 |
CN110471351A (zh) * | 2019-08-26 | 2019-11-19 | 宁波阶梯教育科技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系统、控制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
CN111741425B (zh) * | 2020-05-18 | 2022-01-2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智能家电的定位方法、装置、服务器、机器人及存储介质 |
FR3127620A1 (fr) * | 2021-09-30 | 2023-03-31 | Orange | Procédé de gestion de la restitution d’un contenu audio. |
EP4535340A1 (en) * | 2022-11-09 | 2025-04-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driver ics, modular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16868B1 (en) | 2004-11-25 | 2010-05-19 | Panasonic Corporation | Repea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JP2007324919A (ja) * | 2006-05-31 | 2007-12-13 | Toshiba Corp | 音声および映像信号送信装置ならびに信号処理方法 |
JP4388968B2 (ja) * | 2007-03-28 | 2009-12-24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画像再生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信号処理装置 |
US20090033668A1 (en) | 2007-07-31 | 2009-02-05 | Pederson Douglas A | Display EDID emulator system and method |
US20100033621A1 (en) * | 2008-08-06 | 2010-02-11 | Mediatek Inc. | Video system and memory sharing method |
JP5210244B2 (ja) * | 2008-08-13 | 2013-06-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映像制御装置及び映像制御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
JP5590377B2 (ja) | 2010-02-24 | 2014-09-17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2011
- 2011-12-21 KR KR1020110139342A patent/KR2013007187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11-15 US US13/678,060 patent/US88393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1-21 EP EP12193534.0A patent/EP260856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12-06 CN CN201210520359.2A patent/CN10317936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839334B2 (en) | 2014-09-16 |
EP2608563A1 (en) | 2013-06-26 |
US20130167188A1 (en) | 2013-06-27 |
CN103179368A (zh) | 2013-06-26 |
EP2608563B1 (en) | 2016-07-13 |
CN103179368B (zh) | 2016-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71874A (ko) |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
CN101542454B (zh) | 接收数据的设备和方法 | |
CN100447856C (zh) | 多屏幕系统和多屏幕实现方法 | |
US8973024B2 (en) | Video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ideo control apparatus | |
CN110035317B (zh) | 用于促进媒体装置接口能力扩展的系统、方法及机器可读介质 | |
US20100097529A1 (en) |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TWI382394B (zh) | 韌體更新之方法與系統 | |
JPWO2015133249A1 (ja) |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 |
US20110242415A1 (en) | Video-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audio processing method | |
US20130113697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 |
US2015027814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USB Por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 |
US20200322568A1 (en) | Device for secure video streaming | |
US20140351844A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TW20113842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multiple image transfer channels | |
JP5725604B2 (ja) |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 |
CN104333734A (zh) | 一种无pc的全彩显示屏的视频图像处理设备及其方法 | |
US909465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switching of digital or analog video and audio using an analog video switching device | |
JP2009093696A (ja) | 情報再生装置のテストシステム | |
US20080071950A1 (en) | Thin client implementation based on redirection of virtual i/o devices | |
KR101437165B1 (ko) | 에이치디엠아이 입출력 포트 자동 설정장치 및 방법 | |
EP2101485A1 (en) | Intermediate device for receiving and sending signal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mediate device for receiving and sending signals | |
TW201301894A (zh) | 顯示控制裝置 | |
KR102346000B1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02238415A (zh) | 多影像输入信道测试装置及方法 | |
JP6031804B2 (ja) |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及び投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