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825A - Road-boundary block having embedded electric wire - Google Patents
Road-boundary block having embedded electric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1825A KR20130071825A KR1020110139267A KR20110139267A KR20130071825A KR 20130071825 A KR20130071825 A KR 20130071825A KR 1020110139267 A KR1020110139267 A KR 1020110139267A KR 20110139267 A KR20110139267 A KR 20110139267A KR 20130071825 A KR20130071825 A KR 20130071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block
- hole
- boundary
- conduit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과 전기통신 배선로 등이 수용이 가능하도록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전선관을 형성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굴착 작업이 생략되어 보다 간편한 선로설비의 매립이 가능하고, 도시미관 및 교통안전 등에 피해가 없도록 함과 더불어, 전선관의 손쉬운 개방을 통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설관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어 전선류를 수용하기 위한 전선관을 포함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상기 경계블록 측면에는 상기 전선관에 수용된 전선류의 분기가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기구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와 상기 전선관에는, 상기 분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분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계블록은 상부 경계블록과 하부 경계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경계블록의 하부 저면과, 상기 하부 경계블록의 상부 표면에는 요부와 철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착탈식 덮개가 상하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상협하광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슬라이딩식 덮개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착탈식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과,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은 측면에 연속하게 결합되어, 일 경계블록의 상기 착탈식 덮개를 탈거한 홈의 공간 측으로, 측면에 결합된 타 경계블록의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를 슬라이딩시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block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conduit at a boundary block installed at the boundary of a road and a roadway to accommodate a street lamp and a telecommunication line, and thus, unnecessary excavation work.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simpler reclamation of the line equipment, avoids damage to the city's aesthetics and traffic safety, and facilitates the maintenance of the cable 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block capable of receiving wir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undary block is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of the road, the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boundary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block that is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wire including a conduit for accommodating the wire flow.
Here, at least one branching hole is formed in the boundary block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so that branching of the electric wires accommodated in the conduit is easy, and branching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ranching hole in the through hole and the conduit. It is possible to be form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lock includes an upper boundary block and a lower boundary block,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undary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undary block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nvex,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is possib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a groove is formed to a depth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e groove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removable cover can be re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a guide groov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shape is formed to a depth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expo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to be slidable. .
In addition, the boundary block formed with the removable cover, and the boundary block formed with the sliding cover are continuously coupled to the side, to the space side of the groove from which the removable cover of one boundary block, the side of the other boundary block coupled to the side It is possible to separate by sliding the sliding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과 전기통신 배선로 등이 수용이 가능하도록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전선관을 형성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굴착 작업이 생략되어 보다 간편한 선로설비의 매립이 가능하고, 도시미관 및 교통안전 등에 피해가 없도록 함과 더불어, 전선관의 손쉬운 개방을 통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설관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block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conduit at a boundary block installed at the boundary of a road and a roadway to accommodate a street lamp and a telecommunication line, and thus, unnecessary excavation work.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simpler reclamation of track equipment, avoids damage to the city's aesthetics and traffic safety, and facilitates maintenance of the facility through easy opening of the conduits, enabling stable and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electric wires.
전력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각종 통신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크게 증가됨에 따라 추가적인 송배전선로 및 통신케이블의 설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전기통신 선로설비의 증가는 지상의 전주를 이용한 기존 방식에 의해 설치되어 도시미관 및 환경이 크게 나빠지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기통신 선로의 계속된 증가 및 거대화는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고, 재해시 소방차나 장비의 접근을 제한하며,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도심공간의 확보에도 큰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시가지, 도로, 공장 등의 인구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전력선 및 통신선을 지중화하는 작업이 상당히 진행되었다.As demand for electric power increases day by day and demand for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also increases,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and communication cables is exploding. The increase in the various telecommunication line equipment is installed by the existing method using the electric pole of the ground will have a bad effect that the urban aesthetics and the environment greatly worsened. Continued growth and enormous growth of telecommunication lines undermines the aesthetics of cities, restricts the access of fire trucks and equipment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reatens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creates significant problems in securing urban spa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work of undergrounding various power lines and telecommunication lines centered on population areas such as urban areas, roads, and factories has been considerably progressed.
이러한 전력선 및 통신선의 지중화를 위해 PVC, 폴리에틸렌, 경질 비닐 등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의 각종 전선관을 이용하여 각종 전력선 및 통신케이블을 보호하여 매립 설치하는 지중화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전선관을 이용한 지중화 공사는 일반적으로 내부 선로의 보호를 위해 일정 깊이 이상으로 굴착 매립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사의 장기화 및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로변의 가로등에 설치되는 배선 또한 가로등 하단의 지면에 굴착 매립이 되어야 했는데, 이러한 경우 선로의 추가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해 도로변을 자주 굴착해야 하므로 이러한 공사를 할 때 교통소통 및 통행안전에 방해요소로 작용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undergrounding of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underground construction is being performed to protect and install various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cables by using various conduits in the form of pipes having plastic materials such as PVC, polyethylene, and hard vinyl. However, underground construction using conduits is generally carried out by excavation landfill more than a certain depth for the protection of the internal track,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is not easy to prolong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but also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Similarly, the wiring installed in the street lamps on the roadside should be excavated in the ground under the street lamps. In this case, the roadsides must be frequently excavated for furthe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track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only be work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등과 전기통신 배선로 등이 수용이 가능하도록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전선관을 형성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굴착 작업이 생략되어 보다 간편한 선로설비의 매립이 가능하고, 도시미관 및 교통안전 등에 피해가 없도록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duit in the boundary block is installed on the border of the road and the roadway to accommodate the street lamp and telecommunications wiring line, etc. Since unnecessary excavation work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easily bury the track equipment, and to provide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electric wires to prevent damage to city aesthetics and traffic safe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관의 손쉬운 개방을 통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설관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through the easy opening of the conduit, easy to maintain, and to enable stable and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어 전선류를 수용하기 위한 전선관을 포함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undary block is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of the road, the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boundary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block that is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wire including a conduit for accommodating the wire flow.
여기에, 상기 경계블록 측면에는 상기 전선관에 수용된 전선류의 분기가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기구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와 상기 전선관에는, 상기 분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분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Here, at least one branching hole is formed in the boundary block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so that branching of the electric wires accommodated in the conduit is easy, and branching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ranching hole in the through hole and the conduit. It is possible to b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계블록은 상부 경계블록과 하부 경계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경계블록의 하부 저면과, 상기 하부 경계블록의 상부 표면에는 요부와 철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lock includes an upper boundary block and a lower boundary block,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undary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undary block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nvex,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is possibl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착탈식 덮개가 상하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상협하광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슬라이딩식 덮개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a groove is formed to a depth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e groove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removable cover can be re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a guide groov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shape is formed to a depth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expo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to be slidable. .
아울러, 상기 착탈식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과,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은 측면에 연속하게 결합되어, 일 경계블록의 상기 착탈식 덮개를 탈거한 홈의 공간 측으로, 측면에 결합된 타 경계블록의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를 슬라이딩시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oundary block formed with the removable cover, and the boundary block formed with the sliding cover are continuously coupled to the side, to the space side of the groove from which the removable cover of one boundary block, the side of the other boundary block coupled to the side It is possible to separate by sliding the sliding cov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매설할 수 있는 가로등과 전기통신 배선로 등을 수용함으로써 각종 도로굴착으로 발생되는 위험, 깨끗한 도심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주의 지중화에 소요되는 비용, 보도블록 시설비용, 도로굴착 및 포장 등으로 소비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선관의 손쉬운 개방을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설관리가 가능하고 설비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ccommodating street lamps and telecommunication wiring lines that can be buried undergrou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angers caused by various road excavation, clean urban aesthetics, cost required for the underground of Jeonju, Economic effects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cost of block facilities, road excavation and pavement. In addition, through the easy opening of the conduit, stable and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is possible, and when there is a problem in the facility,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분기구가 형성된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부가 분리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덮개가 형성된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덮개가 형성된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덮개 방식과 슬라이딩식 덮개 방식의 경계석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wi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formed with a branch in the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is separated from the top and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a wire formed with a removab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wire formed with a slid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removable cap and the sliding cover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은 관통공(20)과 전선관(30)을 포함한다. 상기 경계블록(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공(2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0) 내부에는 전선관(30)이 삽입될 수 있어 전선류(31)의 수용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 1, the
상기 전선관(30)의 형상은 폐단면형, 일부 개방형, 함형 다실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선관(30)의 재질 또한 다양한 종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플라스틱 전선관(30)은 경량, 내부식, 절연성 등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낮은 강도, 저온에서의 충격에 의한 파손,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내수특성의 저하 등의 재질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설치시에 내구성을 보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내구성 측면의 단점으로 인해 일정 수명기간이 지난 후 또는 파손 발생시 전면적인 교체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The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강재, 석재, 콘크리트, 인조석재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의 하나를 사용하거나 이들을 복합한 복합소재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강화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중 하나를 사용하고 수지재료로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패놀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suitable to use one of steel, stone,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fiber-reinforced plastic as a material for constructing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 분기구(11)가 형성된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경계블록(10) 측면에는 전선관(30)에 수용된 전선류(31)의 분기가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기구(11)가 관통공(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단, 이때 전선관(30)에도, 상기 분기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분기공이 형성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2, one or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은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인근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전선류(31)를 매립하는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가로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류(31)가 상기 경계블록(10)에서부터 가로등으로 연결되기 위해 분기구(11)가 필요하다. 전력이 운반되는 전선은 경계블록(10)의 내부에 포함되는 전선관(30)을 통해 가로등 위치까지 유도되며 분기구(11)를 이용하여 가로등 기초로 인입되어 가로등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부가 분리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계블록(10)은 상부 경계블록(12)과 하부 경계블록(13)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상부 경계블록(12)의 하부 저면과, 상기 하부 경계블록(13)의 상부 표면에는 요부와 철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호간에 끼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계블록(12)의 하부 저면에는 요(凹)부가 형성되고, 하부 경계블록(13)의 상부 표면에는 철(凸)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인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3,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계블록(10)의 분리와 결합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전선관(30)의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전선관(30)이 일부 개방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단순히 상부 경계블록(12)을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전선관(30) 내부에 수용된 전선류(31)의 취급이 바로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덮개(14)가 형성된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계블록(10)의 상면에는 관통공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5)에 상하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착탈식 덮개(14)는, 경계블록(10) 내부의 전선관(30)을 개방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경계블록(10)에서 상기 착탈식 덮개(14)가 위치하는 홈(15)의 하부측과, 상기 관통공(20)과 상기 전선관(30)의 상부측은 공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상기 착탈식 덮개(14)를 탈거함으로써 상기 전선관(30)의 개방 및 내부에 수용된 전선류(31)의 취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서 전선관(30)의 형상은 일부 개방형을 취한다.
Referring to FIG. 4, a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덮개(16)가 형성된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계블록(10)의 상면에는 관통공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상협하광 형상의 가이드 홈(17)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7)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식 덮개(16)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16)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착탈식 덮개(14)와 마찬가지로 경계블록(10) 내부의 전선관(30)을 개방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홈(17)의 하부측과, 상기 관통공(20)과 전선관(30)의 상부측은 공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16)를 탈거함으로써 전선관(30)의 개방이 가능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5,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16)와 상기 경계블록(10)에서 슬라이딩식 덮개(16)가 위치하는 가이드 홈(17)의 형태는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좁도록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식 덮개(16)가 상기 가이드 홈(17)에 인입되었을 때, 슬라이딩식 덮개(16)와 경계블록(10)의 결속이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덮개(14) 방식과 슬라이딩식 덮개(16) 방식의 경계석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boundary stone of a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은 실제로 단일한 경계블록(10)만 사용되는 경우보다는, 도로의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을 따라 블록 형태의 경계블록(10)이 연속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앞서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을 따르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10)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특정 구역에는 동일한 구성의 경계블록(10)만을 사용하는 것이 제작의 용이성 및 통일성 면에서 일반적인 사용예일 것이다.The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도 4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착탈식 덮개(14)가 형성된 경계블록(10)과 도 5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슬라이딩식 덮개(16)가 교대로 사용되는 것이 장치를 분리 혹은 결합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식 덮개(14)가 형성된 경계블록(10)과, 슬라이딩식 덮개(16)가 형성된 경계블록(10)이 측면에 연속하게 결합되었을 경우에, 착탈식 덮개(14)가 형성된 경계블록(10)의 착탈식 덮개(14)를 탈거하면 덮개가 위치하던 홈(15)에 그대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측면에 결합된 슬라이딩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10)에서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16)를 상기 공간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동 형태가 구현됨으로써, 착탈식 덮개(14)가 형성된 경계블록(10)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볼트 등 체결부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식 덮개(16)가 형성된 경계블록(10)만을 사용하였을 때 슬라이딩 덮개를 분리하기 위해서 해당 위치의 경계블록(10)부터 분리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경계블록 11 : 분기구
12 : 상부 경계블록 13 : 하부 경계블록
14 : 착탈식 덮개 15 : 홈
16 : 슬라이딩식 덮개 17 : 가이드 홈
20 : 관통공 30 : 전선관
31 : 전선류10: boundary block 11: branch
12: upper boundary block 13: lower boundary block
14: removable cover 15: groove
16: sliding cover 17: guide groove
20: through hole 30: conduit
31: wires
Claims (6)
상기 경계블록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어 전선류를 수용하기 위한 전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
In the boundary block which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of the road and the roadway,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block;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it for inserting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wire flow
상기 경계블록 측면에는 상기 전선관에 수용된 전선류의 분기가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분기구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관에는 상기 분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분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branch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undary block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so as to easily branch the electric wires accommodated in the conduit.
The conduit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ranch hole in the conduit
상기 경계블록은 상부 경계블록과 하부 경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경계블록의 하부 저면과, 상기 하부 경계블록의 상부 표면에는 요부와 철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boundary block includes an upper boundary block and a lower boundary block,
Boundary block for accommodating wi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and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undary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undary block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iron portion, respectively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착탈식 덮개가 상하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a groove is formed to a depth to expose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cover is installed to be removable up and down in the groove
상기 경계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상협하광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슬라이딩식 덮개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a guide groove having a top and bottom light shape is formed to a depth at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exposed,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so as to slide
상기 착탈식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과,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가 형성된 경계블록은 측면에 연속하게 결합되어,
일 경계블록의 상기 착탈식 덮개를 탈거한 홈의 공간 측으로, 측면에 결합된 타 경계블록의 상기 슬라이딩식 덮개를 슬라이딩시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을 수용 가능한 경계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 boundary block on which the removable cover is formed;
The boundary block formed with the sliding cover is continuously coupled to the side,
Boundary block that can accommodate the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cover of the other boundary block coupled to the side can be separated by the space side of the groove from which the removable cover of one boundary block remov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267A KR20130071825A (en) | 2011-12-21 | 2011-12-21 | Road-boundary block having embedded electric w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267A KR20130071825A (en) | 2011-12-21 | 2011-12-21 | Road-boundary block having embedded electric wi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1825A true KR20130071825A (en) | 2013-07-01 |
Family
ID=4898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9267A Ceased KR20130071825A (en) | 2011-12-21 | 2011-12-21 | Road-boundary block having embedded electric w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1825A (en) |
-
2011
- 2011-12-21 KR KR1020110139267A patent/KR20130071825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98696B1 (en) | A modular ducting section adapted for laying end-to- end and side by side forming a networked utilities ducting system and rain and run-off water management system | |
MXPA03007366A (en) | SUBSUPERFICIAL OPTICAL FIBER CABLE NETWORK INSTALLATION. | |
US20240141598A1 (en) | Smart Modular Street and Sidewalk | |
WO2011052952A2 (en) | Road restoration block | |
KR100730702B1 (en) |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high voltage cable laying structure | |
JP6353312B2 (en) | Block set and underground cable track using this | |
KR20130071825A (en) | Road-boundary block having embedded electric wire | |
KR100891105B1 (en) | Powerline protector | |
KR100961837B1 (en) | Apparatus of road safety block | |
US20150037096A1 (en) | Sidewalk trench system | |
KR200297359Y1 (en) | Curb including Cable Tray | |
KR200294247Y1 (en) | Cable Tray for Sidewalk | |
KR100731957B1 (en) | Complex case for sewer pipe protection | |
KR101071175B1 (en) | Underground duct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underground communication | |
JP2835939B2 (en) | Lifeline storage box | |
Siregar et al. | Study of Road Utility Planning as an Effort to Creat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rea on the Jalan Ampera Medan Corridor | |
KR200175656Y1 (en) | Boundary block for wiring | |
RU136457U1 (en) | REINFORCED CONCRETE COLLECTOR FOR OPERATION OF UNDERGROUND COMMUNICATIONS | |
JP2003134624A (en) | Underground cable facility | |
KR200158979Y1 (en) | A boundary stone for the wiring | |
JP2019203261A (en) | Common conduit embedded member and common side ditch unit | |
KR101021193B1 (en) | Sewer and Storm Manhole Covers | |
CN110735447A (en) | comprehensive pipe gallery for solar power generation pavement power grooves and using method | |
CN212983922U (en) | Prefabricated construction of wisdom street lamp basis, inspection shaft complex | |
WO2009090388A1 (en) | Kerb block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