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1530A -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530A
KR20130071530A KR1020110138777A KR20110138777A KR20130071530A KR 20130071530 A KR20130071530 A KR 20130071530A KR 1020110138777 A KR1020110138777 A KR 1020110138777A KR 20110138777 A KR20110138777 A KR 20110138777A KR 20130071530 A KR20130071530 A KR 2013007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ar
bars
horizontal
wood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231B1 (ko
Inventor
오재헌
김재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1013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2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2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23J3/02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 F23J3/026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cleaning the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1/00Flue gas duct systems
    • F23J2211/40Chimney with internal flue pip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캠 베어링을 구동시켜 간헐적으로 연관들 내에 각각 배치되는 청소바들을 상, 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킴과 아울러 및 낙하 충격을 가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연관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연관 내의 연소 가스의 유속을 일정하게 하여 좀더 안정적으로 보일러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해 전열면이 차단되며 열교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아울러 연관 청소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어기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DEVICE FOR CLEANING SMOKE TUBE OF WOOD PELLET BOILER}
본 발명은 목재 펠릿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펠릿 보일러의 연관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좀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공장 및 비닐하우스 등에서는 난방수 및 온수의 공급을 위해 주로 보일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보일러는 열효율이 높으며 연소 후에 재를 남기지 않아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를 사용하기에는 기름이나 가스 등의 연료비 증가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경제적인 사정이 여의치 않은 농촌이나 산간·벽지 등에서는 연료비 증가에 따른 부담으로 그 설치 및 운용 역시 어려운 실정이었다.
더욱이,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에 사용되는 화석 연료는 연소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나 유류 저장탱크 등에서 자연 증발되는 가스로 인해 대기오염을 포함한 지구 환경오염의 중요한 원인물질로 작용하고 있어 사용을 억제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가정용이나 소규모의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일반농가, 공장 등을 중심으로 목재 펠릿을 이용한 보일러를 사용하는 경향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목재 펠릿 보일러의 경우 운전 중 목재 펠릿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타르와 재(ash) 또는 미연분(연료가 완전 연소하면 연료중의 탄소 및 수소는 각각 CO2(탄산가스) 및 H2O(수증기)로 된다.
그러나 실제 연소과정에서는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여 배기가스 중에 그을음(soot)이나, CO(일산화탄소), H2(수소) 또는 CxHy(Hydrocarbon) 등이 존재하게 된다.
이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배기가스 중에 잔존하는 가연성분의 이물질(회분, 미연분 및 타르 등을 총칭함.)에 의해 전열면에 이물질이 고착되게 되는데 이것을 제거하지 않으면 열교환 능력이 떨어져 보일러의 효율이 저하되게 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가정용 펠릿 보일러의 경우 전열면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열면 자동 청소 장치를 갖추도록 가정용 목재 펠릿 보일러 인증 설비심사 기준에 제시하고 있다.
종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정상운전 중에 전열면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치로는 트위스트(Twist)판식 자동청소장치, 스프링(Spring)식 자동청소장치 및 압축공기식 자동청소장치 등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한 트위스트(Twist)판식 청소 장치는 보일러의 연관 중에 트위스트판을 설치하고, 정상운전 중에 주기적으로 이 트위스트 판을 움직여서 연관에 부착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다.
스프링(Spring)식 청소 장치는 보일러의 연관 중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정상운전 중에 주기적으로 이 스프링을 움직여서 연관에 부착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압축공기식 청소 장치는 보일러의 전열면에 압축공기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정상운전 중에 주기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전열면에 부착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전열면 연관의 구조가 입형으로 된 경우에는 상기한 트위스트 판이나 스프링식 자동 청소 장치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열면 연관 구조가 횡형으로 된 경우에는 압축공기식 자동청소장치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목재 펠릿 보일러의 경우 운전중 발생된 이물질(회분, 미연분, 타르 등)이 전열면 연관에 고착되어 소화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굳어가는 현상이 반복되어 압축 공기 등과 같은 압력과 트위스트 판이나 스프링 장치의 왕복 운동 만으로는 청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트위스트 판이나 스프링 청소 장치의 경우 왕복 운동시 연결된 링크가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에 정속(constant velocity)운동에 따라 움직이므로 마찰되는 곳 이외에는 타르 등 점성이 있는 이물질과 재 또는 미연분이 결합된 이물질의 경우는 청소가 잘되지 않아 연소가스의 배기구내의 유속을 빠르게 하는 점과 그 이물질이 열을 흡수하여 열교환 성능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가지게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관 청소 장치들에 간헐적인 상하 수직 운동 및 자유 낙하 충격을 주어 연관들 내에 고착되는 이물질을 좀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관들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연관들 내부를 수직 관통하며 끼워져 내주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도록 설치되는 청소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청소바들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연통 상부를 관통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고 연결바; 상기 각 연결바들의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바; 회동시 일부 구간에서 간헐적으로 상기 가동바의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편심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되어 캠 베어링; 및 상기 캠 베어링을 구동시켜 상기 가동바를 통해 상기 청소바들을 간헐적으로 들어올려 수직 이동시킨 후 자유 낙하시켜 충격을 주도록 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바는 상기 연관 내부에서 기설정된 감김수를 가지고 비틀리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트위스트 바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결바는 상기 연통들 상측에서 열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각 청소바들을 연결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연결부; 및 상기 수평 연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통 상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바를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바는 상기 연결바들을 연결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연장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캠 베어링의 구동시 간헐적으로 맞닿게 상기 수직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에 따르면, 캠 베어링을 구동시켜 간헐적으로 연관들 내에 각각 배치되는 청소바들을 상, 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킴과 아울러 및 낙하 충격을 가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연관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관 내의 연소 가스의 유속을 일정하게 하여 좀더 안정적으로 보일러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해 전열면이 차단되어 열교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아울러 연관 청소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어기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에 대한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 청소 장치가 구비된 목재 펠릿 보일러의 요부 절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연관 청소 장치(100)가 적용되는 목재 펠릿 보일러(1)는 기본적으로 펠릿 공급부(10), 연소부(20), 연기 통로부(30), 열 교환부(40), 재 배출부(50) 및 연관 청소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펠릿 공급부(10)는 호퍼(11)에 담아 저장된 목재 펠릿을 스크류 컨베이어(12)들을 사용하여 보일러 내의 연소실(21)로 이송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소부(20)는 보일러의 일측 하부에 구획되어 연소실(21) 내로 스크류 컨베이어들(12)을 통해 이송된 목재 펠릿은 격자(22) 상측에 올려져 설치되는 버너(23) 내부로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연기 통로부(30)는 버너(23)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통(31)과, 연통(31)에 연결되어 보일러 상측에 구획되는 연결 통로(32), 연결 통로(32)에 연결되며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연관들(33) 및 연관들(33)의 하측 단부와 배기공(35)를 연결하도록 구획되는 배기 통로(34)로 구성되어, 연소부(20)에서 목재 펠릿이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 가스가 열 교환부(40)를 통해 열 교환한 후 배기공(3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열 교환부(40)는 상기한 연기 통로부(30)의 연통(34)과 복수의 연관들(33)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가열 수조(41)로 구성되어, 연소실(21)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 가스로부터 열을 교환시켜 덥혀진 물을 순환 펌프(미도시) 및 순환 배관(미도시)을 이용해 외부로 순환시켜 난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재 배출부(50)는 연소부(20)의 연소실(21) 및 연기 통로부(30)의 연관들 하측에 연통되게 구획되며, 연소실(21) 내에서 목재 펠릿이 연소하고 남은 재들과 상기한 연통들(33)을 통해 배출된 미세 연소 찌꺼기 등을 배출 트레이(52, 53)에 담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관 청소 장치(100)는 열 교환부(40)의 수조부(4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관들(42) 내부를 후술하는 청소바(110)가 삽입되게 설치되어, 청소바(110)들에 의해 연관들(33) 내부에 고착되는 이물질(재, 회분, 미연분, 타르를 총칭함) 등을 털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관 청소 장치(100)가 설치되는 목재 펠릿 보일러(1)는 연통(31) 및 연관들(33)이 열 교환부의 가열 수조(41)를 수직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관식 보일러인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연관 청소 장치를 이용해 연관들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청소할 수 있도록 연관들이 수직 배열되게 형성되는 한 다양한 형태의 목재 펠릿 보일러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도 1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의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연관 청소 장치(100)는 청소바(110), 연결바(120), 가동바(130), 캠 베어링(140) 및 구동 모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청소바들(110)은 상기한 각각의 연관들(42)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하며 끼워져 설치되어, 연관들(42)의 내주면 상에 고착된 이물질(재, 회분, 미연분, 타르 등을 총칭함)들을 털어내 청소할 수 있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한 청소바들(110)은 각각 상기 연관들(42) 내부에서 기설정된 감김수를 가지고 비틀리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트위스트 바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청소바(110)는 상기한 트위스트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트위스트 바의 비틀림 외경은 후술하는 트위스트 바의 수직 이동 동작을 통해 연관들이 내주면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긁어낼 수 있도록 연관들의 내경보다 공차를 두고 좀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바(120)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청소바들(110)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 통로(30)의 상측 격벽을 관통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연장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들(120)은 수평 연결부(121) 및 수직 연결부(122)를 가지며 대략 "T"자 역상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수평 연결부(121)는 상기 연통들(42) 상측에서 열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각 청소바들(110)을 연결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연결부(122)는 상기 수평 연결부(12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결 통로(32)의 상측 격벽을 관통하며 상기 가동바(130)를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동바(130)는 연동 가능하게 상기 각 연결바들(120)의 수직 연결부(122)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바(130)는 제1 수평 연장부(131), 수직 연장부(132) 및 제2 수평 연장부(133)를 가지며 대략 "ㄷ"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 수평 연장부(131)는 상기 연결바들(120)의 수직 연결부(122)이 연결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바들(120)은 수직 연결부(122)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 고리들에 의해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31)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가동바(130)와 서로 연동하도록 결합된다.
수직 연장부(132)는 상기 수평 연장부(131)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수평 연장부(131)로부터 제2 수평 연장부(133)를 높이 방향으로 이격시켜 후술하는 캠 베어링(14) 구동시 제1 수평 연장부(131)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수평 연장부(133)는 상기 수직 연장부(132)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31)의 중심부에서 상기 캠 베어링(140)의 구동시 간헐적으로 걸려 수직 이동되게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31)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처럼, 제2 수평 연장부(133)의 캠 베어링 걸림 단부를 제1 수평 연장부(131)의 수평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캠 베어링(140)을 통해 가동바(130)를 가동시 연결바들(120)을 통해 가동바(130)에 연결되는 청소봉들(110)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서로 일정하게 균형을 유지하며 수직 이동 및 자유 낙하 충격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캠 베어링(140)은 구동시 상기 가동바(130)의 제2 수평 연장부(133)의 캠 베어링 걸림 단부를 간헐적으로 걸어 밀어 올리도록 편심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된다.
여기서, 캠 베어링(14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편심되게 연장 형성되는 편심 회동바(141)와, 이 편심 회동바(141)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동 베어링(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 모터(150)는 상기 캠 베어링(140)을 구동시켜 상기 가동바(130)를 통해 상기 청소바들(110)을 간헐적으로 들어올려 수직 이동시킨 후 자유 낙하시켜 낙하 충격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본 실시예의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1)의 작동 상태를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4의 (a) 내지 (d)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순서도이다.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50)를 가동하여 캠 베어링(140)을 회동시키게 되면, 캠 베어링(140)이 회전하는 일부 가동바 가동 구간에서 간헐적으로 가동 베어링(142)이 가동바(130)의 제2 수평 연장부(133)의 단부에 걸어 가동바(140)를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연결바(120)를 통해 가동바(130)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청소바들(100) 즉, 트위스트 바들이 상측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연관들(33) 내주면과 마찰하며 연관들의 내주면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긁어내 1차 제거하도록 한다.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베어링(140)이 연속하며 회전하여 상기한 가동바 가동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가동바(130)가 캠 베어링(140)의 가동 베어링(142)으로부터 벗어나 가동바(140)에 연결되는 연결바들(130) 및 청소바들(110) 즉, 트위스트 바들의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며 하측으로 빠르게 수직 이동하며 연관들(33) 내주면을 긁어 내림과 아울러 낙하 충격을 가해 연관들(33)의 내주면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2차 제거하도록 한다.
이때, 청소바들(110)에 가해진 낙하 충격력은 고착된 이물질들을 연관들(33) 내주면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분리된 후 청소바(110)인 트위스트 바의 사이에 끼어있던 잔존물들을 털어주는 역할도 같이 한다.
그리고, 상기한 연관 청소 장치(1)에 의해 연관들(33) 내주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들은 연관들(33) 하부에 배치되는 재 배출부(50)의 배출 트레이(52)에 담겨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관 청소 장치(1)는 캠 베어링(140)을 구동시켜 간헐적으로 연관들 내에 각각 배치되는 청소바들(110) 즉, 트위스트 바들을 상, 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킴과 아울러 및 자유 낙하시켜 충격을 가함으로써 좀더 효과적으로 연관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관 청소 장치(1)의 경우 타이머 등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회수만큼 가동되도록 구동 모터(150)에 접점신호를 주면 되기 때문에 제어기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목재 펠릿 보일러 10: 펠릿 공급부
11: 호퍼 12: 스크류 컨베이어
20: 연소부 21: 연소실
22: 격자 23: 버너
30: 연기 통로부 31: 연통
32: 연결 통로 33: 연관
34: 배기 통로 35: 배기공
40: 열 교환부 41: 수조
50: 재 배출부 51, 52: 배출 트레이
100: 연관 청소 장치 110: 청소바(트위스트 바)
120: 연결바 121: 수평 연결부
122: 수직 연결부 130: 가동바
131: 제1 수평 연장부 132: 수직 연장부
133: 제2 수평 연장부 140: 캠 베어링
141: 편심 회동바 142: 가동 베어링
150: 구동 모터

Claims (4)

  1. 연관들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연관들 내부를 수직 관통하며 끼워져 내주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도록 설치되는 청소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청소바들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연통 상부를 관통하여 수직 이동 가능하게 연장 설치되고 연결바;
    상기 각 연결바들의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바;
    회동시 일부 구간에서 간헐적으로 상기 가동바의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편심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되어 캠 베어링; 및
    상기 캠 베어링을 구동시켜 상기 가동바를 통해 상기 청소바들을 간헐적으로 들어올려 수직 이동시킨 후 자유 낙하시켜 충격을 주도록 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청소바는,
    상기 연관 내부에서 기설정된 감김수를 가지고 비틀리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트위스트 바 또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포함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각 연결바는,
    상기 연통들 상측에서 열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각 청소바들을 연결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 연결부; 및
    상기 수평 연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통 상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바를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 연결부;를 포함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가동바는,
    상기 연결바들을 연결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연장부;
    상기 수평 연장부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캠 베어링의 구동시 간헐적으로 맞닿도록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KR1020110138777A 2011-12-21 2011-12-21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Active KR10134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777A KR101346231B1 (ko) 2011-12-21 2011-12-21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777A KR101346231B1 (ko) 2011-12-21 2011-12-21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530A true KR20130071530A (ko) 2013-07-01
KR101346231B1 KR101346231B1 (ko) 2014-01-07

Family

ID=4898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777A Active KR101346231B1 (ko) 2011-12-21 2011-12-21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5768A1 (es) 2014-06-06 2015-12-10 Ikerlan, S.Coop Generador de gases adaptado para sistemas de cogeneración, en particular para sistemas de cogeneración stirling
CN115111775A (zh) * 2022-05-27 2022-09-27 河南省豫园锅炉机电有限公司 一种带有自清扫功能的锅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79B1 (ko) * 2014-05-30 2014-11-04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소각 분진 및 연소 분진 제거장치
KR101634544B1 (ko) * 2014-07-25 2016-06-29 임영수 보일러 겸용 벽난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234A (ja) 2002-05-07 2003-11-19 Takuma Co Ltd ダクト清掃装置
KR20100008323U (ko) * 2009-02-12 2010-08-20 (주) 에코프론트 연소가스관 간편 청소 보일러
KR101315109B1 (ko) * 2011-10-26 2013-10-08 (주)넥스트에너지코리아 펠렛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5768A1 (es) 2014-06-06 2015-12-10 Ikerlan, S.Coop Generador de gases adaptado para sistemas de cogeneración, en particular para sistemas de cogeneración stirling
CN115111775A (zh) * 2022-05-27 2022-09-27 河南省豫园锅炉机电有限公司 一种带有自清扫功能的锅炉
CN115111775B (zh) * 2022-05-27 2023-10-20 河南省豫园锅炉机电有限公司 一种带有自清扫功能的锅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231B1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231B1 (ko)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관 청소 장치
KR101077600B1 (ko) 보일러
KR101149359B1 (ko) 펠릿 보일러
KR101333955B1 (ko) 자동 연소장치가 구성된 열교환 방식의 이중관 보일러
KR20130092709A (ko) 펠릿보일러
KR20130130991A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KR20130138619A (ko)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20200113981A (ko) 왕겨재 제조장치
CN201351995Y (zh) 节能除尘锅炉
KR20140045649A (ko)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 목재 펠릿 보일러
RU138540U1 (ru) Котел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CA2816293C (en) Burner with unidirectional secondary air
KR20090010845U (ko) 집진식 폐열교환기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CN203757685U (zh) 折叠式多弯道火焰通道水管锅炉
KR101230496B1 (ko) 우드펠릿 연관식 보일러
KR20130045715A (ko) 펠렛 보일러
KR20110092428A (ko) 목재 펠릿보일러
CN105972670A (zh) 可强制排出废气的木屑颗粒多功能锅炉
KR101496299B1 (ko) 열매체 보일러와 스팀 보일러 복합형 고형연료 보일러
KR20090115617A (ko)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310927B1 (ko) 목재 펠릿 횡형보일러
KR20100110629A (ko) 연탄보일러
KR101496298B1 (ko) 폐기물 고형연료용 버티컬 타입 열매체 보일러
PL241538B1 (pl) Kotłobufor zbudowany z kotła grzewczego umieszczonego wewnątrz bufo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23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23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