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085A - The multipurpose stands - Google Patents
The multipurpose stan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8085A KR20130068085A KR1020110135426A KR20110135426A KR20130068085A KR 20130068085 A KR20130068085 A KR 20130068085A KR 1020110135426 A KR1020110135426 A KR 1020110135426A KR 20110135426 A KR20110135426 A KR 20110135426A KR 20130068085 A KR20130068085 A KR 20130068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older
- pillar
- hole
- w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4—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 A47F5/06—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전시장이나 매장 또는 행사장 등에서 사용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이 미려하고 심플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생산 및 조립의 용이성을 가지므로 원가절감은 물론 거치물의 높이와 너비, 두께 및 표현방식에 따라 상하높이 조절 및 다양한 폭조절이 가능하고 상하각도조절도 용이하므로 그 사용성이 뛰어나며 거치물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는 다용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used in various exhibition halls, stores, or event venues, and in particular, because the shape is beautiful, simple, and simple, it is easy to produce and assemble. Accordingly, the height and height adjustment and various width adjustments are possible, and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is also easy, so the usability is excellent and relates to a multi-purpose stand that maintains a solid state to enable a stable fixing of the holder.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As a technique which becomes the background of this invention,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168368호 "스탠드식 안내표시대의 프레임 구조",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68368 "Frame Structure of Stand Guide Display",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65187호 "스탠드형 광고판 거치대",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65187 "Stand type advertising board holder",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79177호 "회동수단을 갖는 사인 스탠드",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79177 "Sign Stand with Rotating Means",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23818호 "싸인 스탠드",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23818 "Sign Stand",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42592호 "접이식 P O P 스탠드",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42592 "Foldable P O P Stand",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43844호 "다용도 P O P 스탠드",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43844 "Multipurpose P O P Stand",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44176호 "광고패널 거치대",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44176 "Advertising Panel Cradle",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50967호 "거치대",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50967 "Geochidae",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0-0104062호 "광고판 스탠드" 등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4062 "billboard stand"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백화점과 같은 각종 매장이나 영업장 등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을 표시하거나, 상품판매 또는 진열을 목적으로 그 상품의 특성을 설명하거나 제공되는 서비스, 특정제품을 광고하거나, 행사내용의 안내 등을 게시토록 하거나 박람회나 전시장 및 행사장의 입구나 진행 경로에 전시내용, 행사개요, 이동경로 등을 표시하는 안내 등을 게시토록 하는 다양한 광고, 홍보, 안내 등의 목적으로 광고판 내지 안내판 등이 거치대에 형성되어 사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display the price of the product to be sold in various stores or businesses such as department stores,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for the purpose of selling or displaying the product, advertise services provided, advertise specific products, or guide the event. Billboards or signboards are formed on the holders for various advertisements, promotions, guidance, etc. to be posted, or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the outline of the event, the movement route, etc. at the entrance or the course of the fair, exhibition hall, and venue. It is generally used.
이러한 거치대는 그 형태와 구조에 따라 여러가지가 다양하게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지주의 선단에 안내판 또는 광고판을 형성하고 그 지주의 하단에는 지지대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지면이나 실내바닥 등에 세워 사용하는 것으로, 건물 등의 입구에 이동, 고정할 수 있는 지주를 사용하여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하는 일반적인 사인스탠드 등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Such a cradle is known and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shape and structure. Generally, a guide board or an advertisement board is formed at the tip of a prop, and a suppo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p to be used to stand on the ground or an indoor floor. It is proposed and used in various kinds and forms, such as a general sign stand that refers to advertisements displaying characters, figures, and the like by using props that can be moved and fixed at the entrance of the back.
또한, 일반적으로 POP(Point Of Purchase)광고는 구매시점, 즉 소매점의 내외에서 하는 광고로 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 매스컴으로 하는 광고가 넓고 일반적으로 주지시켜 욕망을 환기하는 광고라 하면, POP광고는 직접구매로 연결시키는 광고로 상승적 효과가 큰것으로 광고가 인쇄된 스크린을 단순히 고정하는 구조로 제품의 진열대 및 지면에 설치하여 소비자의 눈높이에서 광고판이 올 수 있도록 하여 브랜드(상표)를 식별시키고 상품에 주목하게 만들어 광고효과를 최대화하여 구매의 결단을 내리게 하는 설득력을 가지며, 충격적인 동기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POP (Point Of Purchase) advertisement is generally a kind of display at the point of purchase, that is, the advertisement is performed inside and outside the retail store. If the advertising made by mass media is broad and generally known to advertise desire, POP advertisement is a advertisement that leads to direct purchase and has a synergistic effect. It is a structure that simply fixes the screen on which the advertisement is printed. It can be installed at the eye level of consumers to identify the brand (trademark), pay attention to the product,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make the decision to purchase, and use the shocking motivation to sell the product. Play a direct rol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내판 또는 광고판의 거치대 경우에는 한번 설치되면 그 사용범위가 제한적이며 거치대에 부착되는 안내판에 직접인쇄를 하거나 출력물을 붙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다양한 광고효과의 표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거치대의 정형화된 형상을 유지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하였다.In the case of the cradl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guide plate or billboard as described above, once installed, the range of use is limited, and since it is used to directly print or paste the printed information on the guide plate attached to the cradle, various advertising effects cannot be expressed. As a result, the carrying and storage were inconvenient because the shape of the holder is maintained.
이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안내판을 탈,부착할 수 있는 조립식 거치대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조립식 거치대는 복잡한 구성 및 복잡한 조립방식에 의해 사용이 불편하면서도 고비용의 원가가 소요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며 거치대의 크기는 사용자의 용도 즉, 안내판 내지 광고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으나, 거치물이 거치되는 거치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와 거치되는 거치물의 고정이 안정적이지 않으며 거치물의 두께에 맞게 거치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refabricated stand tha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a separate guide plate has been proposed, but this prefabricated stand is very uneconomical and expensive because of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a complicated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namely, the size of the guide plate or the billboard is required a variety, but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cradle on which the cradle is mounted and the fixing of the cradle is not stable and easy to mount the cradle to the thickness of the cradl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adjusted.
상부지주(10A)가 하부지주(10B)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높이조절구(15)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주(10);The
받침판덮개(24)와 무게추 역할을 하는 받침판몸체(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관통홀(21)과 조명이 연결될 수 있게 전선관통홀(22)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21)에 지주(10)의 하부에 구비된 볼트부(11)가 끼워져 체결너트(13)로 고정되는 받침판(20);It consists of a
상기 지주(10) 외주면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듯이 지주(10)의 외주면에 결착되어지며 거치물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포켓부(34)가 체결되어지는 포켓부체결구멍(31)이 형성된 S자형홀더(30);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such as surround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and the pocket portion fastening hole (31) in which various pocket portions (34) are fastened depending on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upport.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톱니형걸림턱(41)을 구비한 고정부재(40)의 제1힌지부(42)와 고정돌기(51)가 구비되며 상하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부재(50)의 제2힌지부(52)가 결착되고, 결합볼트(56)와 탄성스프링(55)과 상기 톱니형걸림턱(41)의 홈(41-1)에 맞물리는 턱(53-1)을 구비한 안내부재(53)와 결합너트(54)로 고정되는 힌지부(61)로 연결되는 회동고정구(60);로 구성되는 다용도 거치대이다.The
상기에 있어서, 상기 S자형홀더(30)를 지주(10)에 1개 또는 다수개(2~3개) 결착하여 하나의 거치대로 다수개의 광고판이나 안내판 및 액자, 서적 등의 거치물(35)을 거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S-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구(60)는 각도조절이 되어지는 회동부재(50)의 고정돌기(51)에 광고판이나 안내판의 상부를 고정하는 다양한 크기의 상부고정블럭(63)이나 액자의 후면에 부착되어 액자를 고정하는 액자고정블럭(65) 같은 다양한 고정블럭이 결속되어 광고판이나 안내판 및 액자 같은 거치물(35)을 고정하되,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되게 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rotating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에 많은 하중이 필요로 할 때, 받침판몸체(25) 저면에 무게추가이드(27)를 구비하여 무게추(26)를 부착하여 무게추체결볼트(28)로 무게추(26)를 고정하여 하중을 증량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the above, when a large amount of load is required on the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있어 편하게 운반 가능하고 적은 공간을 들여 보관할 수 있고, 일부가 파손 등의 고장이 발생 되어도 관련부품만 간편하게 교체 수리할 수 있어 사후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kept in a small space, and can be easily stored and replaced, even if a part of the breakage occurs, so that only relevant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nd repaired.
또한, 사용자의 사용용도나 사용형태에 따른 크기나 너비가 다양한 거치물의크기에 대응하여 거치물의 하부는 S자형홀더에 부착되는 다양한 거치구에 안착되어지고, 상부는 회동고정구의 고정돌기에 부착되는 다양한 고정블럭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충격이 발생되어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mount is mounted on various mounting holes attached to the S-shaped holder, and the upper part is attached to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rotation fixture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mounting material having various sizes or widths according to the user's use or use type. By being fixed to various fixed blocks, stable fixing is possible even when external shocks are generated.
결합지주의 외주면에 구비된 S자형홀더의 부착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거치물이 원하는 적절한 높이에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안내판이나 광고판을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홍보, 안내 및 광고효과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simply by moving the attachment of the S-shaped hold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ining column up and down, so that the mount can be easily placed at the desired height. It will be able to provide maximum guidance and advertising effects.
또한, 설치공간에 따른 변화시에도 포켓부와 고정블럭을 교체사용함으로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hang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conveniently placed in the desired position by replacing the pocket and the fixed block has the advantage of high utilization.
또한, S자형홀더를 다수개를 지주에 부착하여 다수개의 광고판이나 안내판 및 액자, 서적등의 거치물을 하나의 거치대로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plurality of S-shaped holders to the posts, it is possible to mount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boards, guide plates, frames, books, etc. into a single holder.
또한 본 발명은 그 형상이 대단히 심플하고 미려하여 소비자에게 구매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and beautiful in shape and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a purchase effect to the consumer.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 지주와 받침판의 결합 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 지주와 받침판의 결합 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 높이조절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 높이조절구의 타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 S자형홀더의 사시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 S자형홀더가 지주에 결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 (가) - 본 발명에 있어 S자형홀더에 부착된 포켓부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11 (나) - 본 발명에 있어 S자형홀더에 부착된 포켓부의 타 실시예 사시도.
도 12 - 본 발명에 있어 회동고정구의 사시도.
도 13 - 본 발명에 있어 회동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14 - 도 12의 B-B선 단면도.
도 15 - 본 발명에 있어 회동고정구의 회동부재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의 단면도.
도 16 - 도 15의 분해 단면도.
도 17 - 본 발명에 있어 회동고정구에 상부고정블럭을 부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 - 본 발명에 있어 회동고정구에 액자고정블럭을 부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 - 본 발명에 있어 거치물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 - 도 19의 측면도.
도 21 - 본 발명의 타실시 예로 S자형홀더를 복수개 부착하여 복수개의 거치물을 거치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 - 도 21의 측면도.1-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before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fter the coupling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eight adjust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in the present invention.
8-perspective view of the S-shaped hold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shaped hold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upport.
10-9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Figure 11 (a)-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ocket part attached to an S-shaped hold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b)-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cket part attached to the S-shaped holder in the present invention.
12-a perspective view of a pivoting fix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al fix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14-12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member of the rotating fixture in a vertical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6-15 are exploded cross-sectional views.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fixing block attached to the rotation fix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ixing block attached to the rotation fix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is mou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20-19 a side view.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shaped holders can be mounted by attaching a plurality of S-shaped holder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21 a side view.
상부지주(10A)가 하부지주(10B)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높이조절구(15)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주(10);The
받침판덮개(24)와 무게추 역할을 하는 받침판몸체(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관통홀(21)과 조명이 연결될 수 있게 전선관통홀(22)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21)에 지주(10)의 하부에 구비된 볼트부(11)가 끼워져 체결너트(13)로 고정되는 받침판(20);It consists of a
상기 지주(10) 외주면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듯이 지주(10)의 외주면에 결착되어지며 거치물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포켓부(34)가 체결되어지는 포켓부체결구멍(31)이 형성된 S자형홀더(30);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such as surround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and the pocket portion fastening hole (31) in which various pocket portions (34) are fastened depending on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upport.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톱니형걸림턱(41)을 구비한 고정부재(40)의 제1힌지부(42)와 고정돌기(51)가 구비되며 상하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부재(50)의 제2힌지부(52)가 결착되고, 결합볼트(56)와 탄성스프링(55)과 상기 톱니형걸림턱(41)의 홈(41-1)에 맞물리는 턱(53-1)을 구비한 안내부재(53)와 결합너트(54)로 고정되는 힌지부(61)로 연결되는 회동고정구(60);로 구성되는 다용도 거치대이다.The
상기에 있어서, 상기 S자형홀더(30)는 지주(10)의 전면을 감싸는 하부에 다양한 판넬이나 액자 및 서적 등을 거치할 수 있게 하는 포켓부(34)를 연결하는 포켓부연결구멍(31)가 구비되어 광고판 및 안내판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다양한 광고판이나 안내판의 하부가 올려놓아 지도록 다양한 포켓부(34)가 부착되게 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S-shaped
상기에 있어서, 상기 S자형홀더(30)를 지주(10)에 1개 또는 다수개(2~3개) 결착하여 하나의 거치대로 다수개의 광고판이나 안내판 및 액자, 서적 등의 거치물(35)을 거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S-shaped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구(60)는 각도조절이 되어지는 회동부재(50)의 고정돌기(51)에 광고판이나 안내판의 상부를 고정하는 다양한 크기의 상부고정블럭(63)이나 액자의 후면에 부착되어 액자를 고정하는 액자고정블럭(65) 같은 다양한 고정블럭이 결속되어 광고판이나 안내판 및 액자 같은 거치물(35)을 고정하되,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rotating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에 많은 하중이 필요로 할 때, 받침판몸체(25) 저면에 무게추가이드(27)를 구비하여 무게추(26)를 부착하여 무게추체결볼트(28)로 무게추(26)를 고정하여 하중을 증량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the above, when a large amount of load is required on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특징은 첫째, 지주(10)의 외주면에 구비된 S자형홀더(30)의 부착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둘째, 다양한 포켓부(34)와 상부고정블럭(63)과 액자고정블럭(65) 같은 다양한 고정블럭의 교체로 광고판, 안내판, 액자, 서적 등 다양한 크기, 두께, 표현방식의 거치물(35)을 하나의 거치대로 거치할 수 있고,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first,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simply by moving the attachment of the S-shaped
세째 지주(10)에 S자형홀더(30)를 다수개 부착하여 다수개의 거치물(35)을 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By attaching a plurality of S-shaped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둥형태의 지주(10),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결합하는 받침판(20), 상기 지주(10)의 외주면에 결착되며, 거치물(35)의 하부가 얹혀지는 포켓부(34)가 결합되는 S자형홀더(30)가 구비되며, 상기 지주(10)의 상부에는 거치물(35)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63)이 결합되는 회동고정구(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ar-shaped
이때, 지주(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지주(10A)와 하부지주(10B)로 나누어 높이조절구(15)에 의해 높이조절을 할 수 있고, 도 7에서 도시한 타 실시의 예처럼 조절나사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으며, 단면형태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10) is divided into the upper holding (10A) and the lower holding (10B) as shown in Figure 6 can be height-adjusted by the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0)은 받침판덮개(24)와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게추 역할을 하는 받침판몸체(25)로 구성되며, 지주(10) 하부에 구비된 고정볼트부(11)가 관통홀(21)에 끼워져 체결너트(13)로 체결되어 지주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4 to 5, the
또한, 야간에 조명을 필요로 할 때 조명을 연결할 수 있게 전선관통홀(22)을 구비하여 지주(10)의 상부에 조명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eed for lighting at night is provided with a wire through
또한, 바람이 부는 야외 등 많은 하중을 필요로 할 때, 받침판몸체(25)의 저면에 무게추(26)를 부착하여 하중을 증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lot of load is required, such as outdoors in the wind, the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자형홀더(30)는 거치물(35)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포켓부(34)를 체결할 수 있는 포켓부체결구멍(31)을 구비하여 지주(10) 외주면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듯이 지주(10)의 외주면에 결착되어져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부체결구멍(31)에 다양한 포켓부(34)를 체결하여 거치물(35)을 거치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S-shaped
도 12 내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 각도 조절하는 회동고정구(60)는 톱니형걸림턱(41)을 구비한 고정부재(40)의 제1힌지부(42)와 고정돌기(51)를 구비한 상하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부재(50)의 제2힌지부(52)가 결착된 후, 도 13 또는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볼트(56)와 탄성스프링(55)과 상기 톱니형걸림턱(41)의 홈(41-1)에 맞물리는 턱(53-1)을 구비한 안내부재(53)와 결합너트(54)로 고정되는 힌지부(61)로 연결되어, 자유롭게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며 각도 조절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거치물(35)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6, the pivoting
이러한 회동고정구(60)에 도 17 내지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50)에 구비된 고정돌기(51)에 광고판, 안내판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63) 이나 액자의 후면에 부착하여 액자를 고정하는 액자고정블럭(65) 같은 다양한 고정블럭이 결속되어 광고판, 안내판, 액자, 책자 같은 크기와 두께, 표현방식이 다양한 거치물(35)을 상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고정, 거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7 to 18,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9 내지 도 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와 두께가 다양한 거치물(35)은 거치물(35)의 하부는 S자형홀더(30)에 결착되는 포켓부(34)에 얹혀지고, 거치물(35)의 상부는 회동고정구(60)에 결착되는 상부고정블럭(63)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이 이뤄지며, 상하로 각도조절이 되면서 거치물(35)을 거치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9 to 20, the
또한, 도 21 내지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0)에 S자형홀더(30)를 다수개 결착하여 다수개의 광고판 이나 안내판과 같은 거치물(35)을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1 to 22, a plurality of S-shap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명세서와 도면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한 것에 지나지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여기에 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 그러한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re merely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such modifications are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f.
100 - 다용도거치대 10 - 지주
10A - 상부지주 10B - 하부지주
11 - 고정볼트부 13 - 체결너트
15 - 높이조절구 16 - 높이조절레바
20 - 받침판 21 - 관통홀
22 - 전선관통홀 24 - 받침판덮개
25 - 받침판몸체 26 - 무게추
27 - 무게추가이드 28 - 무게추체결볼트
30 - S자형홀더 31 - 포켓부체결구멍
34 - 포켓부 35 - 거치물
40 - 고정부재 41 - 톱니형걸림턱
41-1 - 홈 42 -제1힌지부
50 - 회동부재 51 - 고정돌기
52 - 제2힌지부 53 - 안내부재
53-1 - 턱 54 - 결합너트
55 - 탄성스프링 56 - 결합볼트
60 - 회동고정구 61 - 힌지부
63 - 상부고정블럭 65 - 액자고정블럭 100-Multipurpose Stand 10-Shore
10A-
11-Fixing bolt part 13-Tightening nut
15-Height adjustment 16-Height adjustment lever
20-Base 21-Through Hole
22-Cable through hole 24-Support plate cover
25-Base body 26-Weight
27-Weight guide 28-Weight fixing bolt
30-S-shaped holder 31-Pocket fastening hole
34-pocket 35-mounting
40-Retainer 41-Serrated Jaw
41-1-Groove 42-First Hinge
50-rotating member 51-fixing protrusion
52-2nd hinge part 53-Guiding member
53-1-Jaw 54-Locking Nut
55-Elastic Spring 56-Coupling Bolt
60-Hoe-dong Fixture 61-Hinge
63-Top Locking Block 65-Frame Locking Block
Claims (4)
받침판덮개(24)와 무게추 역할을 하는 받침판몸체(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관통홀(21)과 조명이 연결될 수 있게 전선관통홀(22)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21)에 지주(10)의 하부에 구비된 볼트부(11)가 끼워져 체결너트(13)로 고정되는 받침판(20);
상기 지주(10) 외주면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듯이 지주(10)의 외주면에 결착되어지며 거치물(35)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포켓부(34)가 체결되어지는 포켓부체결구멍(31)이 형성된 S자형홀더(30);
상기 지주(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톱니형걸림턱(41)을 구비한 고정부재(40)의 제1힌지부(42)와 고정돌기(51)가 구비되며 상하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부재(50)의 제2힌지부(52)가 결착되고, 결합볼트(56)와 탄성스프링(55)과 상기 톱니형걸림턱(41)의 홈(41-1)에 맞물리는 턱(53-1)을 구비한 안내부재(53)와 결합너트(54)로 고정되는 힌지부(61)로 연결되는 회동고정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The upper support 10A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10B, and the support 10 is provid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by the height adjustment tool 15;
It consists of a support plate cover 24 and the support plate body 25 to serve as a weight, the wire through hole 22 is provided so that the through hole 21 and the light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10 is fitted. A support plate 20 into which the bolt part 11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and fixed to the fastening nut 13;
It is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as if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10) pocket portion fastening hole 31 to which various pockets 34 are fastened depending on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mounting (35) S-shaped holder 30 is formed;
The first hinge portion 42 and the fixing protrusion 51 of the fixing member 40 having the sawtooth engaging jaw 41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ngle is adjusted up and down. The second hinge portion 52 of the rotating member 50 to be made is bound, and fits the coupling bolt 56, the elastic spring 55 and the groove 41-1 of the toothed jaw 41. Multipurpos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ivoting fixture (60)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61 is fixed to the guide member 53 having a jaw (53-1) and the coupling nut (54).
The weight weight 26 is attached to the weight guide 27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body 25, and the weight 26 is fixed by the weight fastening bolt 28 to increase the load. Versati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426A KR101284254B1 (en) | 2011-12-15 | 2011-12-15 | The multipurpose Stan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426A KR101284254B1 (en) | 2011-12-15 | 2011-12-15 | The multipurpose Stan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8085A true KR20130068085A (en) | 2013-06-25 |
KR101284254B1 KR101284254B1 (en) | 2013-07-10 |
Family
ID=4886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54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4254B1 (en) | 2011-12-15 | 2011-12-15 | The multipurpose Stan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42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7246A (en) * | 2016-12-12 | 2018-06-20 | 렌탈은행 주식회사 | Multipurpose electric exhibition stand with height adjusting type |
WO2023224301A1 (en) * | 2022-05-19 | 2023-11-23 |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 Lamp stand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6023B1 (en) | 2014-07-25 | 2017-01-12 | 조인영 | Portable Scre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1577Y1 (en) | 2004-05-28 | 2004-09-14 | 이용태 | A support for a fishing rod |
KR100792228B1 (en) | 2006-08-03 | 2008-01-07 | 조도영 | Stand for fishing rod |
KR20090072725A (en) * | 2007-12-28 | 2009-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nd unit |
KR100965859B1 (en) | 2008-03-19 | 2010-06-24 |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 Hinge for stand |
-
2011
- 2011-12-15 KR KR1020110135426A patent/KR1012842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7246A (en) * | 2016-12-12 | 2018-06-20 | 렌탈은행 주식회사 | Multipurpose electric exhibition stand with height adjusting type |
WO2023224301A1 (en) * | 2022-05-19 | 2023-11-23 |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 Lamp stand device |
KR20230161738A (en) * | 2022-05-19 | 2023-11-28 |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 Lamp stand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4254B1 (en) | 201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93748B1 (en) | Sign support system | |
US9326406B2 (en) | Transportable deployable display apparatus | |
US7814692B2 (en) | Outrigger | |
KR101284254B1 (en) | The multipurpose Stands | |
US5634286A (en) | Display sign | |
US8701322B2 (en) | Sign cube system | |
KR20210061700A (en) | Easy to move advertising signboard | |
KR200490288Y1 (en) | Stand holder for advertisement sheet capable of supporting at wind impact | |
KR200457131Y1 (en) | Merchandise display stand with billboard | |
KR200474163Y1 (en) | Light-emitting devices are installed, even overnight Banner device | |
KR200443844Y1 (en) | Multipurpose PPO Stand | |
KR200469911Y1 (en) | post of advertisement sign board fixing device | |
KR101311545B1 (en) | Collapsible stand for supporting advertisement board | |
US8118514B2 (en) | Combination flipbook and pull-up focal header | |
KR200404960Y1 (en) | Billboard support plate structure for angle adjustment of billboard support | |
KR101874134B1 (en) | easy installation and cxchange of the ad and circular signbord with effect of three-dimensional announcement | |
KR20170023253A (en) | Hanging device for advertising signboard | |
CN210378380U (en) | Telescopic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poster propaganda frame | |
KR20230002254U (en) | Stand-type signboard or flame with magnetic detachable cover plate | |
KR200330626Y1 (en) | An induction type standing signboard | |
KR200484233Y1 (en) | Solid banner advertisement apparatus | |
KR20170038488A (en) | Hanging scroll type banner signboard | |
JP3214681U (en) | Display goods decoration | |
JP3104776U (en) | Announcement advertising equipment | |
KR200209754Y1 (en) | A placard 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