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937A -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7937A KR20130067937A KR1020110134994A KR20110134994A KR20130067937A KR 20130067937 A KR20130067937 A KR 20130067937A KR 1020110134994 A KR1020110134994 A KR 1020110134994A KR 20110134994 A KR20110134994 A KR 20110134994A KR 20130067937 A KR20130067937 A KR 201300679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thickness
- shroud
- unit
- conditioning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2013/088—Air-flow straigh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 내부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켜 공기조화시스템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며, 공기조화시스템의 송풍팬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균일화하여 팬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roud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in particular,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inside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o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system The shroud fo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fan by equalizing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blowing fa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실내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cools a room by a repetitive action of sucking indoor air, exchanging heat with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ing it into the room, or heating the room by a reverse action. An outdoor heat exchanger-expansion valve-indoor heat exchanger that forms a series of cycles.
그리고, 최근의 공기조화시스템은 공조공간의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여 공조공간 내부로 재공급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제습과정을 수행한 뒤 제습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겸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air conditioning system dehumidifies and performs dehumidification process while circulating humid air and circulating humid air, which supplies and filters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besides cooling and heating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and supplies it back into the air conditioning space. It has several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hat supplies air back to the air conditioning space.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크게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 및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공기조화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기는 실내에 설치되며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be classified into a separate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tegrally provided. Recently,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indoors, and the outdoor air is a separate type of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stalled in outdoor.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은 일체형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실외기를 구성하는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system can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constituting the outdoor unit into the room, and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room, compared to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이러한 공기조화시스템은 내부에 축류팬인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송풍팬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쉬라우드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blowing fan, which is an axial fan,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blowing fan, and a shroud configur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lowing fa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1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쉬라우드(10)는 송풍팬(20)의 외주부를 소정 부분 둘러싸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송풍팬의 후방에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와,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5)와,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공기토출부를 연결하는 두께부(3)를 포함한다. 이러한 쉬라우드는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팬의 구동시 팬의 압력상승에 의한 송풍량을 확보하는데 있어 풍량 손실을 적게 하면서 설계자가 원하는 송풍량 및 소읍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부를 가지고, 이로 인해 송풍팬에 의해 급격하게 굴곡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경우(예를 들어, 전방흡입 전방토출방식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공기흡입구 쪽에 위치하는 쉬라우드의 일부분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구조가 되어 시스템 저항이 증가된다. 그 결과, 송풍팬에 의한 전체 순환 유량이 감소하며,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쪽의 유량과 상기 공기흡입구의 반대쪽의 유량의 차이가 발생하여 팬 소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hrou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thickness portion as a whole, as shown in Figure 1, and this is because of the outdoor unit or indoor unit having a flow path that is bent rapidly by the blowing fan (for example, front suction Indoor unit or outdoor unit of forward discharge type) A part of the shroud located at the air inlet side of the outdoor unit or indoor unit becomes a structure that obstructs the flow of air, thereby increasing the system resistance. As a result, the total circulation flow rate by the blowing fan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w rate of the air intake side of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and the flow rat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intake occurs to increase the fan noise.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및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which solves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쉬라우드의 특정부분으로 인한 공기 유동저항을 제거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및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roud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removes air flow resistance due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shroud to improv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팬의 후방에서 쉬라우드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쉬라우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하여, 팬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및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fan by uniformizing the flow rate of air sucked into the shroud from the rear of the blowing fan throughout the shroud To provid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케이스 내부에 결합되는 장착용 베이스부;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 및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에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와, 상기 공기흡입부로부터 소정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토출개구부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공기토출부를 포함하는 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base portio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A discharge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mounting base part and discharging air flowing by the fan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to the outside; And an air inlet part extending in a rearward direction from the mounting base part to surround the fan of the outdoor unit, spaced apart from the air intake part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paced apart from the air intake part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an accommodating part including an air discharge part provided in the air suction part, wherein the air suction part includes an air intake port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and an inclined suction part inclined toward the air discharge part. A shroud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n be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평행형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평행형 흡입부에 연장되고 상기 일단부터 타단까지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ir suction unit includes a parallel suction unit provided on a surface parallel to the air discharge unit, one end of which extends to the parallel suction unit, and the air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is extended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ction port and the inclined suction unit inclined toward the air discharg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부의 평행형 흡입부는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제1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의 경사형 흡입부의 타단은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rallel suction part of the air suction par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ir discharge part by a first thickness, and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suction part of the air su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from the air discharge part. Characterized by being spaced apart by two thickness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행형 흡입부는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팬 수용부의 직경의 1/5 내지 3/5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parallel suc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air suction part up to 1/5 to 3/5 of the diameter of the fan receiving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부는 일단부터 타단까지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형 흡입부의 일단은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제1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경사형 흡입부의 타단은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air suction unit is configured as an air suction port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and an inclined suction unit inclined toward the air discharge uni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inclined suction unit is form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It is positioned spaced apart by one thickness, and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su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ion spaced apart by a second thicknes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두께의 비는 0.5 이상 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to the first thickness is 0.5 or more and 0.9 or les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두께의 비는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to the first thickness is 0.75.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송풍팬; 전방면의 내측에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고 상기 전방면에 구비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와, 압축기를 수용하고 전방면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공기흡입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하단부의 두께가 상단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blowing fan; A lower case having an air outlet for accommodating the blower fan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face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provided on the front side for discharging heat exchanged air; A case including a cas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air suction port and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 cylindrical shroud provided inside the front face of the upper cas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wer fan, wherein the shroud has a thickness of the lower end smaller than the upper end. Can prov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상단부에서부터 하부 단부까지 상기 상단부의 두께만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두께일정부와, 상기 균일 두께부의 상기 하부 단부에서부터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하단부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감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shroud has a thickness uniformity having a constant thickness by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shroud, and linearly from the lower end of the uniform thickness to the lower end of the shrou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ckness reducing unit that reduces the thicknes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께일정부는 상기 쉬라우드에서 상기 송풍팬의 중심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uniformity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from the shroud to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하단부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감소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rou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ckness reducing portion linearly reduced in thickness from the upper end of the shroud to the lower end of the shrou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하단부의 두께의 비는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0.75.
상기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쉬라우드의 특정부분으로 인한 공기 유동저항을 제거하여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토출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냉난방 성능을 향상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discharge air volume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y removing the air flow resistance due to the specific portion of the shroud. For this reason, this invention can improve air-condition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의 후방에서 쉬라우드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쉬라우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하여,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shroud from the rear of the blower fan uniform throughout the shrou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fa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에 대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에 대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를 구비한 경우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공기유동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7b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를 구비한 경우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공기유동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에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비에 대한 성능계수의 그래프이고, 도 8b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비가 0.5 미만인 쉬라우드를 구비하는 경우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공기유동에 대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rou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hrou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hroud of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hrou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hroud of FIG.
Figure 7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flow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when equipped with a shrou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7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flow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when equipped with a shrou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graph of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for the thickness ratio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n the shrou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flow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when having a shroud having a thickness ratio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less than 0.5 to b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 및 공기조화시스템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또한, 이하에 첨부된 공기조화시스템은 공기조화시스템의 실외기 또는 실내기에 관한 것이나,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주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외기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ttached below relates to an outdoor unit or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ut for the sake of clarit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mainly be based on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은, 공기흡입구(121)와 공기토출구(111)를 구비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팬(200)과, 외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200)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쉬라우드(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케이스(100)는 전방면의 내측에 상기 송풍팬(200)을 수용하고 상기 전방면에 구비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11)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110)와, 압축기를 수용하고 전방면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21)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이 전방흡입 전장토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20)의 전방면에 공기흡입구(121)를 구비하고, 상부 케이스(110)의 전방면에 공기토출구(111)를 구비한다. The
바람직하게는, 공기흡입구(121)는 하부 케이스(120)의 전방면 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120)의 양측면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쉬라우드(300), 송풍팬(200), 송풍팬(20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모터 마운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side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마운트는 쉬라우드(3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otor mount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400), 압축기, 오일분리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side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상기 하부 케이스(120)는 일체형일 수 있다.Preferably, the
송풍팬(200)은 후방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축류팬이다. 상기 송풍팬(200)의 외주부 전체 또는 외주부 중 일부분은 상기 쉬라우드(300)에 의해 둘러싸인다. The blowing
열교환기(400)는 하부 케이스(120)의 공기흡입구(121)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며, 이를 위하여 하부 케이스(120)의 공기흡입구(121)의 내측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기(400)는 전방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전방열교환부와, 상기 전방열교환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양측면의 내측에 위치되는 측면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400)는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쉬라우드(300)는 케이스(100)의 전방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쉬라우드(300)의 토출개구부(303)는 상부 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111)와 (거의) 맞닿아 있고 상부 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111)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쉬라우드(3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상의 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팬 수용부 내에는 송풍팬(200)이 수용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케이스(100) 내부에 결합되는 장착용 베이스부(301)와,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303)와,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에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흡입부(309)로부터 소정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토출개구부(303)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공기토출부(307)를 포함하는 팬 수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부(309)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121) 및 상기 공기토출부(307)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309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1000)용 쉬라우드(300).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는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공기흡입구(121)를 향하여 그리고 전방방향(공기 토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형 공기흡입부(309)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공기흡입구(121) 쪽에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쉬라우드(300)의 일부분의 두께는 상기 실외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상기 공기흡입구(121) 쪽에서 멀리 위치하는(즉, 상기 쉬라우드(300)의 일부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일부분에 비해 두께가 작다.That is,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300)에 대한 후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쉬라우드(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쉬라우드(30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케이스(100) 내부에 결합되는 장착용 베이스부(301);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303); 및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에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흡입부(309)로부터 소정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토출개구부(303)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공기토출부(307)를 포함하는 팬 수용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부(309)는 부분적으로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121) 및 상기 공기토출부(307)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309b)를 구비한다.Here, the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장착용 베이스부(301)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케이스(100) 중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이다.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의 전방면에는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303)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개구부(303)는 상부 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111)와 거의 맞닿도록 배치된다.3 and 4, the moun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개구부(303)에는 송풍팬(20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결합하기 위한 모터 마운트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장착용 베이스부(301)의 후방면에는,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는 팬 수용부가 구비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상기 팬 수용부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송풍팬(200)의 후방에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가 토출개구부(303) 쪽으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307)를 포함한다.The fan accommodating part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includes an
상기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토출부(307)는 소정두께의 두께부(305)로 연결되고, 상기 두께부는 일부분이 공기흡입부(309)에서부터 공기토출부(307) 쪽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경사형 흡입부(309b)를 형성한다. The
상기 공기토출부(307)는 장착용 베이스부(301)의 토출개구부(303)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된다.The
상기 공기흡입부(309)는 상기 공기토출부(307)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평행형 흡입부(309a)와, 일단이 상기 평행형 흡입부(309a)에 연장되고 상기 일단부터 타단까지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121) 및 상기 공기토출부(307)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309b)를 포함한다. The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쉬라우드(300)는 상기 쉬라우드(300)의 상기 상단부(300a)에서부터 하부 단부까지 상기 상단부(300a)의 두께만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두께일정부(310)와, 상기 균일 두께부의 상기 하부 단부에서부터 상기 쉬라우드(300)의 상기 하단부(300b)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감소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께일정부(310)의 후단부는 상기 평행형 흡입부(309a)에 대응되고, 상기 두께감소부(320)의 후단부는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에 대응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공기흡입부(309)의 평행형 흡입부(309a)는 상기 공기토출부(307)로부터 제1 두께(L1)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평행형 흡입부(309a)는 공기토출부(307)에서 쉬라우드(300)의 상단부(300a)에서부터 두께일정부(310)의 하부 단부까지 일정한 두께만큼 이격되어 있다.The
상기 공기흡입부(309)의 경사형 흡입부(309b)의 타단은 공기토출부(307)로부터 상기 제1 두께(L1)보다 작은 제2 두께(L2)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는 공기토출부(307)에서 두께일정부(310)의 하부 단부에서부터 쉬라우드(300)의 하단부(300b)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의 하부 단부(즉, 쉬라우드(300)의 하단부(300b))는 상기 공기토출부(307)로부터 상기 제1 두께(L1)보다 작은 제2 두께(L2)만큼 이격되어 있다. The other end of the
평행형 흡입부(309a)는 공기흡입부(309)에서 팬 수용부의 직경의 1/5 내지 3/5까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행형 흡입부(309a)는 공기흡입부(309)에서 팬 수용부의 직경의 1/2 (즉, 팬의 중심)까지 구비된다.The
상기 제1 두께(L1)(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상단부(300a)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두께(L2)(예를 들어, 도 4에서는 하단부(300b)의 두께)의 비는 0.5 이상 0.9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두께(L1)에 대한 상기 제2 두께(L2)의 비는 0.75일 수 있다.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L2 (eg, the thickness of the
제1 두께(L1)에 대한 제2 두께(L2)의 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L2 to the first thickness L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쉬라우드(300)에 대한 후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쉬라우드(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쉬라우드(30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케이스(100) 내부에 결합되는 장착용 베이스부(301);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303); 및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에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흡입부(309)로부터 소정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토출개구부(303)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공기토출부(307)를 포함하는 팬 수용부;를 포함한다.5 and 6, the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부(309)는 전체적으로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121) 및 상기 공기토출부(307)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309b)를 구비한다.Here, the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장착용 베이스부(301)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케이스(100) 중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이다.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의 전방면에는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303)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개구부(303)는 상부 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111)와 거의 맞닿도록 배치된다.5 and 6, the moun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개구부(303)에는 송풍팬(20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결합하기 위한 모터 마운트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장착용 베이스부(301)의 후방면에는,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301)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는 팬 수용부가 구비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상기 팬 수용부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송풍팬(200)의 후방에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가 토출개구부(303) 쪽으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307)를 포함한다.The fan accommodating part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includes an
상기 공기흡입부(309)와 상기 공기토출부(307)는 소정두께의 두께부로 연결되고, 상기 두께부는 일부분이 공기흡입부(309)에서부터 공기토출부(307) 쪽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경사형 흡입부(309b)를 형성한다. The
상기 공기토출부(307)는 장착용 베이스부(301)의 토출개구부(303)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된다.The
상기 공기흡입부(309)는 일단부터 타단까지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121) 및 상기 공기토출부(307)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309b)를 포함한다. The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는,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의 일단이 상기 공기토출부(307)로부터 제1 두께(L1)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의 타단이 상기 공기토출부(307)로부터 상기 제1 두께(L1)보다 작은 제2 두께(L2)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The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쉬라우드(300)는 상기 쉬라우드(300)의 상단부(300a)에서부터 상기 쉬라우드(300)의 하단부(300b)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감소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께감소부(320)의 후단부는 상기 경사형 흡입부(309b)에 대응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평행형 흡입부(309a)는 공기흡입부(309)에서 팬 수용부의 직경의 1/5 내지 3/5까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행형 흡입부(309a)는 공기흡입부(309)에서 팬 수용부의 직경의 1/2 (즉, 팬의 중심)까지 구비된다.The
상기 제1 두께(L1)(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상단부(300a)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두께(L2)(예를 들어, 도 4에서는 하단부(300b)의 두께)의 비는 0.5 이상 0.9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두께(L1)에 대한 상기 제2 두께(L2)의 비는 0.75일 수 있다.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L2 (eg, the thickness of the
제1 두께(L1)에 대한 제2 두께(L2)의 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L2 to the first thickness L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a는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300)를 구비한 경우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의 공기유동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7b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를 구비한 경우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의 공기유동에 대한 개략도이다.Figure 7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flow in the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300)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는 쉬라우드(300)의 하부부분으로 인해 팬의 후방에 와류(vortex)가 발생하는 영역(V)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공기조화시스템(1000) 내부의 공기 유동 저항이 증가하여 토출풍량을 감소시킨다(O1 참고). 또한, 도 7a를 참고하면, 팬의 후방에서 상부에는 공기의 유동이 약하고 하부에는 공기의 유동이 강하여 팬으로 흡입되는 흡입풍량이 상하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며, 이로 인해 팬으로 인한 소음을 증가시킨다.As shown in FIG. 7A, in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는 쉬라우드(300)의 하부부분이 소정부분 절개되어 있어 팬의 후방에 와류(vortex)가 발생하는 영역(V)이 형성되지 않고, 이로 인해 공기조화시스템(1000) 내부의 공기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 토출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O2 참고). 또한, 도 7b를 참고하면, 팬의 후방에서 상부와 하부에는 공기의 유동차가 크지 않고, 이로 인해 팬으로 흡입되는 흡입풍량이 상하부에 따라 균일하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팬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7B, in the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에서 상단부(300a)와 하단부(300b)의 두께비에 대한 성능계수의 그래프이고, 도 8b는 상단부(300a)와 하단부(300b)의 두께비(즉, 제1 두께(L1)에 대한 제2 두께(L2)의 비)가 0.5 미만인 쉬라우드(300)를 구비하는 경우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의 공기유동에 대한 개략도이다.Figure 8a is a graph of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for the thickness ratio of the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300)와 같이 제1 두께(L1)와 제2 두께(L2)의 비가 1인 경우 성능계수가 100%인 것을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에서 제1 두께(L1)와 제2 두께(L2)의 비가 0.5 이상이고 1 미만일 때, 종래기술에 따른 쉬라우드(300)에 비해 성능계수가 최대 6%까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에서 제1 두께(L1)와 제2 두께(L2)의 비가 0.75일 때,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를 구비한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성능계수가 최대값(즉, 106%)이 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when the ratio of the first thickness L1 and the second thickness L2 is 1 as in the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토출영역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에서 제1 두께(L1)에 대한 제2 두께(L2)의 비가 0.5 미만에서는 전체 토출풍량은 증가하나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토출영역 중 하부영역에서는 토출된 풍량 중 일부가 다시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공기흡입구(121) 및 열교환기(400)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300)에서 제1 두께(L1)에 대한 제2 두께(L2)의 비가 0.5 미만인 구간에서는 성능계수가 오히려 저해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8B, referring to the discharge area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쉬라우드의 특정부분으로 인한 공기 유동저항을 제거하여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토출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냉난방 성능을 향상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mount of discharg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y removing the air flow resistance due to the specific portion of the shroud. For this reason, this invention can improve air-condition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의 후방에서 쉬라우드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쉬라우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하여,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shroud from the rear of the blower fan uniform throughout the shrou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fan.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0 : 공기조화시스템 100 : 케이스
110 : 상부 케이스 111 : 공기토출구
120 : 하부 케이스 121 : 공기흡입구
200 : 송풍팬 300 : 쉬라우드
300a : 상단부 300b : 하단부
301 : 장착용 베이스부 303 : 토출개구부
305 : 두께부 307 : 공기토출부
309 : 공기흡입부 309a : 평행형 흡입부
309b : 경사형 흡입부 310 : 두께일정부
320 : 두께감소부 400 : 열교환기1000: air conditioning system 100: case
110: upper case 111: air outlet
120: lower case 121: air intake
200: blowing fan 300: shroud
300a:
301: mounting base portion 303: discharge opening
305: thickness portion 307: air discharge portion
309:
309b: inclined suction part 310: thickness uniformity
320: thickness reducing unit 400: heat exchanger
Claims (12)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개구부; 및
상기 장착용 베이스부에서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의 팬의 외주부를 감싸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와, 상기 공기흡입부로부터 소정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토출개구부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공기토출부를 포함하는 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A mounting bas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A discharge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mounting base part and discharging air flowing by the fan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to the outside; And
It extends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mounting base portion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an of the outdoor unit, the air intake portion in which air is sucked,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air intake portion on a surface parallel to the discharge opening portion It includes; a fan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n air discharge portion provided;
The air intake part is a shroud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part of the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and the inclined inlet portion inclined toward the air discharge portion.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평행한 면 상에 구비되는 평행형 흡입부와, 일단이 상기 평행형 흡입부에 연장되고 상기 일단부터 타단까지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uction unit includes a parallel suction unit provided on a surface parallel to the air discharge unit, one end of which extends to the parallel suction unit, and the air suction port and the air discharge unit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hroud fo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ction portion inclined toward.
상기 공기흡입부의 평행형 흡입부는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제1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공기흡입부의 경사형 흡입부의 타단은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parallel suction part of the air suction par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ir discharge part by a first thickness, and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suction part of the air suction par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ir discharge part by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Shrou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평행형 흡입부는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팬 수용부의 직경의 1/5 내지 3/5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parallel suction unit is a shroud fo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air intake portion 1/5 to 3/5 of the diameter of the fan receiving portion.
상기 공기흡입부는 일단부터 타단까지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형 흡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형 흡입부의 일단은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제1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경사형 흡입부의 타단은 상기 공기토출부로부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uction unit is composed of an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and an inclined suction unit inclined toward the air discharge uni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inclined suction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air discharge unit by a first thickness. And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suction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air discharge part by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상기 제1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두께의 비는 0.5 이상 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A shroud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wherein 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to the first thickness is 0.5 or more and 0.9 or less.
상기 제1 두께에 대한 상기 제2 두께의 비는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용 쉬라우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ratio of the second thickness to the first thickness is a shroud fo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0.75.
전방면의 내측에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고 상기 전방면에 구비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와, 전방면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공기흡입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방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쉬라우드는 하단부의 두께가 상단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Blower fan;
An upper case including an air outlet for accommodating the blower fan inside the front face and discharging the heat exchanged air provided on the front face, and a lower case having an air inlet for sucking air through the front face; cas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air suction port and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nd a cylindrical shroud provid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lowing fan.
The shroud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상단부에서부터 하부 단부까지 상기 상단부의 두께만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두께일정부와, 상기 균일 두께부의 상기 하부 단부에서부터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하단부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감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The shroud has a thickness uniformity having a constant thickness by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shroud, and the thickness linearly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of the uniform thickness to the lower end of the shroud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thickness reducing unit.
상기 두께일정부는 상기 쉬라우드에서 상기 송풍팬의 중심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ckness uniformity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from the shroud to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하단부까지 선형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두께감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hroud comprises a thickness reducing part linearly decreasing in thickness from the upper end of the shroud to the lower end of the shroud.
상기 상단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하단부의 두께의 비는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And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lower 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is 0.7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994A KR20130067937A (en) | 2011-12-14 | 2011-12-14 |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994A KR20130067937A (en) | 2011-12-14 | 2011-12-14 |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937A true KR20130067937A (en) | 2013-06-25 |
Family
ID=4886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4994A Ceased KR20130067937A (en) | 2011-12-14 | 2011-12-14 |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67937A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1452Y1 (en) * | 1993-02-26 | 1999-01-15 | 구자홍 | The shroud for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KR20020039485A (en) * | 2000-11-21 | 2002-05-27 | 서종대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JP2006077585A (en) * | 2004-09-07 | 2006-03-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Blower and air-conditioner |
KR20080051593A (en) * | 2006-12-06 | 2008-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US20100269537A1 (en) * | 2008-03-11 | 2010-10-2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 conditioner |
-
2011
- 2011-12-14 KR KR1020110134994A patent/KR2013006793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1452Y1 (en) * | 1993-02-26 | 1999-01-15 | 구자홍 | The shroud for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
KR20020039485A (en) * | 2000-11-21 | 2002-05-27 | 서종대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JP2006077585A (en) * | 2004-09-07 | 2006-03-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Blower and air-conditioner |
KR20080051593A (en) * | 2006-12-06 | 2008-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US20100269537A1 (en) * | 2008-03-11 | 2010-10-2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88409B2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85609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EP3315785B1 (en) | Air conditioner | |
CN105987457B (en) | The outdoor unit of air regulator | |
KR100765570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11279129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500528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8035745A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067937A (en) | Shrou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82363A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KR20200102855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 |
WO2018207248A1 (e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CN111566355B (en) | Cross flow fan and fluid transfer device | |
KR20020027965A (en) | Ventilation means of window type airconditioner | |
KR100854324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JP4045247B2 (en) | Integrated air conditioner | |
KR100833851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200312467Y1 (en) | Structure of grill to Air-conditioner filled in ceiling | |
CN1707175B (en) | Air guiding device for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KR100848903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0122718Y1 (en) | Discharge device of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477313B1 (en) | Hous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blower | |
KR100662372B1 (en) | Indoor blower of air conditioner | |
KR100538168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30072960A (en) |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