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646A - Mat of car - Google Patents
Mat of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6646A KR20130066646A KR1020130052790A KR20130052790A KR20130066646A KR 20130066646 A KR20130066646 A KR 20130066646A KR 1020130052790 A KR1020130052790 A KR 1020130052790A KR 20130052790 A KR20130052790 A KR 20130052790A KR 20130066646 A KR20130066646 A KR 20130066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double
- present
- cell structur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removable m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자동차용 매트가 제공된다. 격자형태의 상부층과, 격자형태의 하부층과,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더블라셀 구조물과;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탈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매트가 제공된다.
Automotive mats are provided. A double-lasel structure comprising a lattice-shaped upper layer, a lattice-shaped lower lay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A base plate positioned below the double cell structure; There is provided a vehicle mat including a coupling member for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double cell structure and the base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이 놓이는 위치에 깔아 먼지나 오염물이 자동차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이 오염된 신발을 신은 채로 탑승하기 때문에 승객의 신발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 등을 통해 실내 바닥면이 오염되기 쉽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실내 바닥면에 매트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In general, since a vehicle including a driver rides with contaminated shoes, indoor floors are easily contaminated by dirt or dust falling from the passengers' shoes, and mats are installed on the floors of the indoor floors to prevent them. Is common.
그러나 대개 직물이나 고무재로 제작되는 상기 자동차용 매트를 실내 바닥면에 설치하게 되더라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매트가 오염되므로 주기적으로 매트를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car mat, which is usually made of fabric or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indoor floor, the mat is contaminated when used for a long time, so it is preferable to periodically wash the mat.
상기 자동차용 매트는 우천시에 진흙탕 길을 걸어 신발이 심하게 오염된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에 더욱 더러워지게 된다. 또한, 더러워진 매트를 세척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게 되면 미관상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실내에서 떠다니는 부유 먼지가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승차환경도 크게 나빠지게 된다. 그러나 자동차 실내에서 매트를 꺼내어 세척, 건조한 후 다시 설치하는 작업이 극히 번거로워 많은 사람이 오염된 상태의 매트를 세척하지 않은 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car mat becomes more dirty when a passenger who is heavily contaminated with shoes walks on a muddy road in rainy weather. In addition, if you continue to use the dirty mat without washing it is not good for aesthetics as well as the floating dust floating in the interior of the car, the overall riding environment is greatly worsened. However, it is extremely cumbersome to remove the mat from the car interior, clean it, dry it, and reinstall it, so many people are using the mat in a dirty state without washing it.
한편, 렌트카 회사 등에서 수일 이내로 자동차를 대여할 때에도 자동차의 외표면은 물론 실내의 매트를 청결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염된 매트를 세척하거나 청소하는 데에 매우 많은 인력이 필요한 실정이었다.On the other hand, when renting a car within a few days, such as a rental car company,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lean mat as well as the exterior surface of the car, but a very large amount of manpower is required to clean or clean the contaminated mat.
따라서, 간편하게 세척이 용이한 구조의 자동차용 매트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ar ma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leaned.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적층된 구조로서, 적층구조물이 분리가능한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at in which a double laselle structure and a base plate are stacked, and the laminate structure is detachable.
또한,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에 의해서 쿠션이 좋은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od mat for a cushion by a double cel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에 의해서 사선으로 볼 경우 바닥면이 보이지 않는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mat that the bottom surface is not visible when viewed in a diagonal by the double cel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을 지지하는 격자 플레이트가 추가로 결합된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 for an automobile further coupled to the lattice plate supporting the double cell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격자형태의 상부층과, 격자형태의 하부층과,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더블라셀 구조물과;A double-lasel structure comprising a lattice-shaped upper layer, a lattice-shaped lower lay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A base plate positioned below the double cell structure;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탈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매트가 제공된다.
There is provided a vehicle mat including a coupling member for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double cell structure and the base plate.
또한,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의 하부에는 격자 프레임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 mat for the vehicle is provided below the double lasel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lattice frame.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vehicle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적층된 구조로서, 적층구조물이 분리가능한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at in which a double laselle structure and a base plate are stacked, and the laminated structure is detachable.
또한,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에 의해서 쿠션이 좋은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mat having a good cushion by the double-lase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에 의해서 사선으로 볼 경우 바닥면이 보이지 않는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mat that the bottom surface is not seen when viewed in a diagonal by the double cel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더블라셀 구조물을 지지하는 격자 플레이트가 추가로 결합된 자동차용 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 for an automobile further coupled to the grid plate supporting the double cel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더블라셀 구조물의 사진(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더블라셀 구조물의 사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격자 프레임의 사진(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top view) of a double-lasel structure of a car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perspective view) of a double-lasel structure of a car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late of an automobile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perspective view) of a grid frame of a car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Thereby not limiting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더블라셀 구조물의 사진(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더블라셀 구조물의 사진(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ar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plan view) of a double-lassel structure of a car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perspective view) of a double-lasel structure of a car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automobile mat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10)는, 격자형태의 상부층(111)과, 격자형태의 하부층(112)과, 상기 상부층(111)과 하부층(1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13)로 구성된 더블라셀 구조물(11)과;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11)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착탈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10)는 자동차의 바닥면에 두는 것으로서, 운전자 신발의 먼지나 오염물이 자동차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10)는 더블라셀 구조물(11)과, 더블라셀 구조물(11)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 베이스 플레이트(12)와 더블라셀 구조물을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13)로 구성된다.The
더블라셀 구조물(11)은 일명 3D 매쉬라고도 한다. 상부층(111)과 하부층(112)은 사각형 또는 육각형 구조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이를 연결부재(113)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더블라셀 구조물(11)은 편직물로서, 상부층(111), 하부층(112) 및 연결부재(1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블라셀 구조물(11)은 합성수지 재질의 실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13)는 이러한 실들이 상부층(111)과 하부층(112)을 오가는 구조로서, 연결부재(113)에 의해서 더블라셀 구조물(11)은 쿠션이 있다.The
더블라셀 구조물(11)을 평면에서 보면, 도 3과 같이, 바닥면(흰색)이 보이나, 도 4와 같이, 사선(45도 각도)으로 보면, 상부층(111)에 가려져서 바닥면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더블라셀 구조물(11)에 의해서, 먼지나 오염물이 더블라셀 구조물(11)에 떨어지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에서 사선으로 보면, 오염물이 더블라셀 구조물(11)의 상부층(111)에 의해서 보이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용 매트(10)의 미관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When the double-
베이스 플레이트(12)는 더블라셀 구조물(11)을 통과하여 떨어진 오염물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전체적인 자동차용 매트(10)의 구조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도 5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홈을 형성하여, 이 홈에 오염물이 갇혀져 보관되는 것이 좋다.
The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사진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5 shows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photograph of the
더블라셀 구조물(11)과 베이스 플레이트(12)는 결합부재(13)로서 착탈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10)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더블라셀 구조물(11)과 베이스 플레이트(12)를 분리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있는 오염물을 털어내면 된다. 더블라셀 구조물(11)에는 물을 뿌리면 먼지가 씻겨진다. 결합부재(13)로 벨크로(velcro)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결합부재(13)는 더블라셀 구조물(11)의 가장자리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에서 암수가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좋다.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10)는 더블라셀 구조물(11)과 베이스 플레이트(12)를 착탈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청소가 쉬워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아울러, 더블라셀 구조물(11)은 자체 쿠션이 있어서, 운전자의 발이 피곤하지 않도록 하고, 촉감이 좋다. 더 나아가, 더블라셀 구조물(11)은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떨어진 오염물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자동차용 매트(10)가 깨끗한 상태로 보이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운전자가 브레이크와 가속페달을 밟을 때, 위치하는 발 뒤꿈치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한 층의 보강물(더블라셀 구조물일 수 있음)을 더 부착함으로써, 해당 부분이 쉽게 마모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pedal, a layer of reinforcement (which may be a double-cell structure)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el where it is located, thereby preventing the portion from being easily worn. hav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의 격자 프레임의 사진(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obile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obile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hotograph (perspective view) of the lattice frame of the car m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20)는, 격자형태의 상부층(211)과, 격자형태의 하부층(212)과, 상기 상부층(211)과 하부층(2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13)로 구성된 더블라셀 구조물(21)과;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21)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21)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가 착탈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23)를 포함한다. 또한, 더블라셀 구조물(21)의 하부에는 격자 프레임(24)이 더 결합된다. 격자 프레임(24)은 도 8과 같이, 관통홀이 복수로 형성된 그물구조의 격자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20)는 더블라셀 구조물(21)의 하부에 격자 프레임(24)을 추가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자 프레임(24)은 더블라셀 구조물(21)이 특정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블라셀 구조물(21)이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편직물이기 때문에, 잘 휘어지고 겹쳐지기도 한다. 발로 더블라셀 구조물(21)을 밀면, 접혀질 수도 있다. 격자 프레임(24)은 더블라셀 구조물(21)의 변형을 방지한다.
격자 프레임(24)을 제외한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조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을 참조로, 앞선 실시예의 자동차용 매트(10)의 구조로서 설명하였는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rest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except for the
본 실시예의 "격자형"이란 말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의 구조를 의미한다.
The term "lattice" in this embodiment means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and a hexag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addi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an equivalent range based on the embodiment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자동차용 매트(10) 상부층(111)
하부층(112) 상부층(111)
연결부재(113) 더블라셀 구조물(11)
결합부재(13)Automotive Mats (10) Top Layers (111)
Double-celled structure (11)
Coupling Member (13)
Claims (3)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착탈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매트.
A double-lasel structure comprising a lattice-shaped upper layer, a lattice-shaped lower lay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A base plate positioned below the double cell structure;
Mat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for detachable coupling of the double cell structure and the base plate.
상기 더블라셀 구조물의 하부에는 격자 프레임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Automotive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tice frame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ouble cell structure.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m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2790A KR20130066646A (en) | 2013-05-10 | 2013-05-10 | Mat of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2790A KR20130066646A (en) | 2013-05-10 | 2013-05-10 | Mat of ca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4833A Division KR20130058854A (en) | 2011-11-28 | 2011-11-28 | Mat of c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646A true KR20130066646A (en) | 2013-06-20 |
Family
ID=4886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2790A KR20130066646A (en) | 2013-05-10 | 2013-05-10 | Mat of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66646A (en) |
-
2013
- 2013-05-10 KR KR1020130052790A patent/KR2013006664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435451B2 (en) | Car foot mat | |
US8298644B2 (en) | Floor mat | |
KR101262241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oot hold mat for a vehicle and foot hold mat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200471751Y1 (en) | Car Mat Having 3-overlapping Structure | |
US20120019022A1 (en) | Vehicle floor mats with replaceable aspects | |
KR101506878B1 (en) | Upper mat for car mat, car mat including the same | |
KR20130058854A (en) | Mat of car | |
KR20170002513U (en) | interior flooring for vehicle | |
JP2013199268A (en) | Structure of vehicle foot mat | |
KR20130066646A (en) | Mat of car | |
KR101188070B1 (en) | Disposable floor mats for vehicles | |
KR20130063665A (en) | Car mat | |
KR101926820B1 (en) | car mat and its manufacture method | |
CN205737107U (en) | A kind of antiskid automobile foot pad | |
CN204077460U (en) | A kind of novel car foot mats | |
KR101512671B1 (en) | Mats for cars | |
KR200416968Y1 (en) | Car floor mats | |
JP6523084B2 (en) | floor mat | |
KR20120134899A (en) | Car mat | |
RU164381U1 (en) | VEHICLE FLOOR MAT | |
RU196787U1 (en) | CAR DRIVER ROOM | |
TWM436440U (en) | Structure of foot pad | |
RU196786U1 (en) | ROOM FOR PASSENGER CAR SEAT | |
RU196971U1 (en) | CAR DRIVER ROOM | |
CN203172493U (en) | Shockproof antiskid automotive carp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5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